KR100598395B1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395B1
KR100598395B1 KR1020040070909A KR20040070909A KR100598395B1 KR 100598395 B1 KR100598395 B1 KR 100598395B1 KR 1020040070909 A KR1020040070909 A KR 1020040070909A KR 20040070909 A KR20040070909 A KR 20040070909A KR 100598395 B1 KR100598395 B1 KR 100598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member
casing
sensing
exposed
control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2122A (ko
Inventor
이유섭
김광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0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395B1/ko
Publication of KR20060022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표시부(10)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1)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노출공(22)을 가지고 상기 화상표시부를 수용 지지하는 케이싱(20)과;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에 배치되어 상기 노출공을 통해 노출되며, 전도성을 갖는 감지부재(40)와; 상기 감지부재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신호에 따라 소정의 조절기능을 수행하는 컨트롤PCB(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전기감응식의 제어노브 역할을 하는 감지부재가 제공되므로 기계식의 제어노브에 비해 내구적 성능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따른 제어노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제어노브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감지부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플레이장치 10 : 화상표시부
20 : 케이싱 22 : 노출공
24 : 전원노출공 26 : LED노출공
30 : 절연부재 32 : 가이드부
34 : 스위치연결부 36 : LED수용부
40 : 감지부재 42 : 버튼부
44 : 접속부 50 : 컨트롤PCB
52 : 전달핀 56 : 전원스위치
60 : 전원가이드부재 62 : 스위치노출공
70 : 인디케이터LE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지부재의 구조가 개선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에는 화면의 명암, 밝기, 크기 및 위치 등을 조절하거나, 볼륨의 UP/DOWN 및 채널의 UP/DOWN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노브가 마련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101)는 다수의 제어노브(142)를 구비한 외장 프런트커버(120)와, 외장 프런트커버(120)의 안쪽에서 스크루(154a)나 후크 결합 등에 의해 고정되어 제어노브(142)의 눌림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1)의 기능을 작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택트스위치(144)를 구비한 스위치보드(14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노브(142)는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며, 제어노브(142)의 사이에는 텐션바(134)가 마련되어 제어노브(142)를 연결한다.
텐션바(134)는 사용자가 제어노브(142)를 가압할 때 한 쌍의 노브 중 하나의 노브만이 눌리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기기의 작동을 위해 외장 프런트커버(120)에 형성된 제어노브(142)를 누르면, 텐션바(134)의 탄성력에 의해 스위치보드(140)상에 조립된 택트스위치(144)를 누르게 됨으로써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 제어노브를 직접 눌러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기계식 제어노브를 사용하므로, 제품을 오래 사용하거나 조립오차가 생길 경우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식 제어노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노브를 전자식으로 대체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표시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노출공을 가지고 상기 화상표시부를 수용 지지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에 배치되어 상기 노출공을 통해 노출되며, 전도성을 갖는 감지부재와; 상기 감지부재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신호에 따라 소정의 조절기능을 수행하는 컨트롤PC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컨트롤PCB에 마련되어 상기 감지부재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컨트롤PCB에 전달하는 전달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과 상기 감지부재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감지부재를 수용 지지하며, 상기 케이싱과 상기 감지부재를 절연하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중 박형 디스플레이장치를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하고,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방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3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감지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는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표시부(10)와, 화상표시부(10)를 수용 지지하는 케이싱(20)을 갖는다.
케이싱(20)의 전면에는 다수의 노출공(22)이 형성되며,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는 전원노출공(24)와, 전원의 온/오프 상태 및 리모컨의 수신상태를 표시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노출공(26)이 마련된다. 케이싱(2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성 재료로 마련되어 디스플레이장치(1)의 외관을 형성한다.
노출공(22)은 후술할 절연부재(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절연부재(30)의 직경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노출공(22)은 케이싱(20)의 길이 방향으로 한 쌍씩 복수개로 관통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볼륨 업/다운, 채널 업/다운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 상하로 위치하는 것이다.
케이싱(20)의 내측면에는 노출공(22)의 위치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부재(40)와, 감지부재(40)를 수용하여 케이싱(20)과 감지부재(40)를 절연하는 절연부재(30)와, 감지부재(40)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전달핀(52)이 마련되어 소정의 조절기능을 수행하는 컨트롤PCB(Printed Circuit Board, 50)가 결합된다. 또한, 케이싱(20)의 내측면에는 전원가이드부재(60)와 인디케이터LED(70)가 결합된다.
감지부재(40)는 전도성을 갖도록 금속성의 재질을 사용한다. 그러나 비금속 성 재질에 금속성 물질을 도금처리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사출물에 니켈크롬 도금처리를 하여 전도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감지부재(40)는 노출공(2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한다. 사용자가 감지부재(40)에 접촉하면, 감지부재(40)는 인체로부터 발생되는 미세전기를 감지한다. 이에 의해 감지부재(40)는 전기감응 방식의 제어노브 역할을 수행한다. 감지부재(40)는 단면이 대략 'H'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버튼부(42)와, 전달핀(52)과 결합되는 접속부(44)로 나누어진다. 감지부재(40)는 전기감응 방식의 제어노브 역할을 수행한다.
버튼부(42)는 한 쌍의 원기둥 형상이 서로 이격되어 노출공(22)을 통해 돌출되며, 버튼부(42)의 하부영역에는 전달핀(52)과 결합되는 접속부(44)가 버튼부(42)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접속부(44)는 제1접속부(44a)와 제2접속부(44b)로 이루어진다. 케이싱(20)과 컨트롤PCB(50)가 서로 경사지게 결합되므로, 노출공(22)간의 높이차를 고려하여 제1접속부(44a)가 제2접속부(44b)보다 짧게 마련된다.
절연부재(30)는 전도성이 있는 금속성의 케이싱(20)과 감지부재(40)간의 전기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되며, 감지부재(40)를 수용 지지한다. 절연부재(30)의 상부영역은 감지부재(40)의 버튼부(42)를 수용 지지하는 가이드부(32)를 갖는다.
가이드부(32)는 감지부재(40)에 마련된 버튼부(42)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된다. 원통 형상의 내부에 감지부재(40)의 버튼부(42)가 수용된 다.
절연부재(30)의 일측에는 후술할 전원스위치(56)에 연결되어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연결부(34)와, 인디케이터LED(70)를 수용하는 LED수용부(36)가 설치된다.
스위치연결부(34)는 케이싱(20)에 마련된 전원노출공(24)을 통해 케이싱(20) 외부로 노출되며, 전원스위치(56)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의 전원을 온/오프한다.
컨트롤PCB(50)는 감지부재(40)와 접속하는 전달핀(52)과, 감지부재(40)와 결합하기 위한 관통부(53)과, 스크루(54a)에 의해 케이싱(20)과 결합하기 위한 스크루수용부(54)와,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스위치(56) 및 LED(58)를 포함한다.
전달핀(52)은 컨트롤PCB(50)에 마련되어 감지부재(40)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컨트롤PCB(50)로 전달시킨다. 전달핀(52)은 감지부재(40)의 제1접속부(44a)와 제2접속부(44b)의 사이에 억지끼움되며, 제1접속부(44a) 및 제2접속부(44b)와 면접촉하여 감지부재(40)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컨트롤PCB(50)로 전달시킨다.
관통부(53)는 감지부재(40) 중의 일부와 결합한다. 일부의 감지부재(40)가 갖는 제2접속부(44b)가 관통부(53)에 삽입됨으로써 전달핀(52)이 감지부재(40)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원스위치(56)는 절연부재(30)에 마련된 스위치연결부(34)에 접속되어 디스플레이장치(1)의 전원을 온/오프한다.
LED(58)는 전원의 온/오프 상태와 리모컨의 수신여부를 표시하는 발광소자 로, 전원이 온 되거나 리모컨을 동작시킬때 발광한다.
전원가이드부재(60)는 절연부재(30)의 전방에서 절연부재(30)에 마련된 스위치연결부(34)와 결합하며, 스위치연결부(34)를 수용하여 케이싱(20) 외부로 스위치연결부(34)를 노출시키기 위한 스위치노출공(62)이 마련된다.
인디케이터LED(70)는 LED(58)의 불빛을 흡수하여 케이싱(20)의 외부로 전달시키며, 절연부재(30)의 후방에서 절연부재(30)에 마련된 LED수용부(36)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감지부재(40)의 결합과정 및 작동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전달핀(52)이 마련된 컨트롤PCB(50)에 감지부재(40)가 결합된다. 전달핀(52)은 감지부재(40)에 마련된 제1접속부(44a) 및 제2접속부(44b)의 사이에 면접촉된다.
그 후 컨트롤PCB(50)에 마련된 LED(58)에 인디케이터LED(70)가 결합되고, 감지부재(40)와 인디케이터LED(70)에 절연부재(30)가 결합된다. 이 때 절연부재(30)에 마련된 스위치연결부(34)가 전원스위치(56)에 접속된다.
절연부재(30)의 스위치연결부(34)에 전원가이드부재(60)가 결합되고, 전원가이드부재(60)의 스위치노출공(62)을 통해 스위치연결부(34)가 케이싱(20) 외부로 노출된다.
케이싱(20)의 내측면으로 절연부재(30)가 결합되면, 노출공(22)을 통해 절연부재(30)에 수용된 감지부재(40)의 버튼부(42)가 케이싱(20)의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전원가이드부재(60)에 수용된 스위치연결부(34)와, LED수용부(36)에 수용된 인디케이터LED(70)가 각각 케이싱(20)에 마련된 전원노출공(24)과 LED노출공(26)을 통해 케이싱(20)의 외부로 노출된다.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노출공(22)을 통해 감지부재(40)에 접촉하면, 접촉시 인체에서 발생되는 미세전기가 감지부재(40)에 의해 전달핀(52)에 전달된다. 전달핀(52)은 감지부재(4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컨트롤PCB(50)에 전달하고, 컨트롤PCB(50)는 사용자가 접촉한 감지부재(40)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볼륨업에 해당하는 감지부재(40)에 접촉했다면, 감지부재(40)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전달핀(52)으로 전달되고, 전달핀(52)에 의해 컨트롤PCB(50)에 전달된 신호에 의해 컨트롤PCB(50)가 볼륨업 기능을 수행한다. 즉, 감지부재(40)는 전기감응 방식의 제어노브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기계식에서 전기감응식으로 구조가 개선된 감지부재가 제공되므로, 감지부재의 사용수명이 길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감지부재는 박형 디스플레이장치에 사용된다고 하였으나, 제어노브의 역할을 필요로하는 곳이라면 디스플레이장치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케이싱은 전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마련된다고 하였으나 전도성이 없는 비금속성의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케이싱이 비금속성의 재질로 마련된다면 절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감지부재만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노출공이 한쌍씩 마련된다고 하였으나, 일렬로 마련 되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감지부재도 한쌍의 버튼부를 갖지 않고 하나의 버튼부만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감지부재가 전도성을 가지므로 전달핀 없이 감지부재만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외관을 만족시킬 수 있다면 감지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전달핀을 직접 노출공을 통해 노출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따르면, 전기감응식의 제어노브 역할을 하는 감지부재가 제공되므로 기계식의 제어노브에 비해 내구적 성능이 향상된다.

Claims (3)

  1. 화상표시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노출공을 가지고 상기 화상표시부를 수용 지지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에 배치되어 상기 노출공을 통해 노출되며, 전도성을 갖는 감지부재와;
    상기 감지부재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신호에 따라 소정의 조절기능을 수행하는 컨트롤PC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PCB에 마련되어 상기 감지부재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컨트롤PCB에 전달하는 전달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과 상기 감지부재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감지부재를 수용 지지하며, 상기 케이싱과 상기 감지부재를 절연하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40070909A 2004-09-06 2004-09-06 디스플레이장치 KR100598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909A KR100598395B1 (ko) 2004-09-06 2004-09-06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909A KR100598395B1 (ko) 2004-09-06 2004-09-06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122A KR20060022122A (ko) 2006-03-09
KR100598395B1 true KR100598395B1 (ko) 2006-07-06

Family

ID=37128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909A KR100598395B1 (ko) 2004-09-06 2004-09-06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3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122A (ko) 200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1310B2 (en) Setting apparatus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CN113451064B (zh) 按钮开关
KR20100130606A (ko) 슬라이드 조작식 스위치
US6201202B1 (en) Switch operating rubber member and switch device
US8730655B2 (en) Side key connection device of mobile terminal
KR100598395B1 (ko) 디스플레이장치
CN109494107A (zh) 一种超薄笔记本光学键盘
TWI600039B (zh) Press the switch structure
KR100528680B1 (ko) 정전 용량 감지 스위치
JP2008108557A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JP2011253685A (ja) 押釦式スイッチ装置および操作パネル
KR1010623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광형 사이드키
KR100786764B1 (ko) 게임기용 스위치
CN210182265U (zh) 一种简式按键指示型开关
US20040129544A1 (en) Pushbutton switch with led indicator
EP2332025B1 (en) Input device with rotary wheel
KR20040013742A (ko) 리모콘
CN219998090U (zh) 按键结构及智能坐便器
CN219606998U (zh) 一种手电筒挡位切换结构
KR100597747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177530Y1 (ko)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JP2002260479A (ja) 照光付スイッチ装置
CN212725088U (zh) 组合式发光电源开关
CN211479907U (zh) 一种光微动开关及鼠标
CN210325589U (zh) 一种按键组件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