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040B1 -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040B1
KR100598040B1 KR1020030027196A KR20030027196A KR100598040B1 KR 100598040 B1 KR100598040 B1 KR 100598040B1 KR 1020030027196 A KR1020030027196 A KR 1020030027196A KR 20030027196 A KR20030027196 A KR 20030027196A KR 100598040 B1 KR100598040 B1 KR 100598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mobile terminal
door lock
password
lock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3319A (ko
Inventor
정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27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040B1/ko
Publication of KR20040093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서 비밀번호 생성기를 통하여 매번 다른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보안 이력 사항을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가정이나 사무실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안 대상체에 대한 보안 설정/해제용 보안번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보안 대상체의 보안 설정/해제에 관한 모든 이력 사항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이동 단말기의 근접시, 상기 저장수단을 바탕으로 보안번호를 인증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한 비밀번호를 인증하며, 보안 이력 사항을 기록하기 위한 제어수단; 상기 인증된 이동 단말기에 대해, 실시간으로 상기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비밀번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비밀번호 생성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보안 대상체에 대한 보안을 설정 및 해제하는 보안 설정/해제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도어락 제어 시스템 등에 이용됨.
도어락, 보안, 이동 단말기, 근거리통신망, 비밀번호 생성

Description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of door lock control using the mobile sta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이동 단말기 12 : 고정 단말기
13 : 보안 서버 14 : 데이터베이스(DB)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MS : Mobile Station)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서 비밀번호 생성기를 통하여 매번 다른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보안 이력 사항을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가정이나 사무실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사회 또는 직장 생활을 하는 모든 이들이 개인 휴대 통신기기인 이동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두고 문명의 이기가 이기주의를 양산하고 있다고 비평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꿈의 정보화 통신 사회가 현실로 다가 오고 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개인 휴대폰은 그 기술의 개발도 셀룰러폰, PCS 폰, 위성통신폰 등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또한, 그의 기술개발도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더욱 첨단 기술이 개발되고 있어 휴대 통신의 한계가 어디 까지인지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기능과 디자인이 촌각을 다투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첨단기술의 개발에 모든 연구 및 상품화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휴대폰이 우리가 지니는 생활용품화되고 있는 실정에서 일반인들이 쉽게 휴대하면서 그 부가기능이 반영되지 못하는 현실들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최근에는 휴대폰에 많은 기능이 부가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폰에 단축다이얼기능, 잠금기능, 자동재발신, 자동착신, 키톤길이조절, 조명제어, 현재시간표시 설정/해제, 착신모드설정, 수화음량조절, 전화벨음량조절, 키톤음량조절, 현재시간입력, 알람기능, 국제시간표시기능, 통화시간표시기능, 사용제한기능, 멜로디선정 등 수많은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휴대폰은 휴대에 간편한 구조를 취하고 있고, 극히 일반화되어 있으며, 활 동시간에는 항상 휴대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휴대폰에 또 다른 기능을 갖게 한다면 매우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 일예로, 중대형 사무실이나 고급 보안을 요구하는 연구실 등에서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무인 경비 시스템이 중소형 사무실이나 아파트 등을 대상으로 그 시장이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그 비용은 여전히 높아서 일반화되기 까지는 많은 장벽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어락 시스템은 고정된 비밀번호를 부여하여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문이 열리지 않는 시스템으로 누구라도 그 비밀번호를 안다면 누구나 쉽게 문을 열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에 저렴한 비용과 단계별로 보안의 수준을 차별화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을 필수품인 휴대폰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서 비밀번호 생성기를 통하여 매번 다른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보안 이력 사항을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가정이나 사무실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안 대상체에 대한 보안 설정/해제용 보안번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보안 대상체의 보안 설정/해제에 관한 모든 이력 사항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이동 단말기의 근접시, 상기 저장수단을 바탕으로 보안번호를 인증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한 비밀번호를 인증하며, 보안 이력 사항을 기록하기 위한 제어수단; 상기 인증된 이동 단말기에 대해, 실시간으로 상기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비밀번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비밀번호 생성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보안 대상체에 대한 보안을 설정 및 해제하는 보안 설정/해제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안 대상체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보안번호와 보안 이력 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제 1 단계; 이동 단말기의 근접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보안번호를 보안 서버가 인증하는 제 2 단계; 상기 인증된 이동 단말기에 대해, 실시간으로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비밀번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한 상기 비밀번호를 상기 보안 서버가 인증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보안 서버의 인증 결과에 따라, 보안 대상체에 대한 보안을 설정 및 해제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안 해제시에, 인증된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보안 해제를 일시적으로(바람직하게는 약 1분 내외) 해제시키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안 해제시에, 인증된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보안 해제를 보안 설정시까지 장시간 해제시키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0"은 이동 단말기(MS : Mobile Station), "111"은 데이터베이스(DB), "112"는 보안 서버, "113"은 비밀번호 생성기, 그리고 "114"는 보안 설정/해제부를 각각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MS)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11)은, 보안번호(보안 대상체에 대한 설정/해제용 개인 이동전화번호 등)와, 보안 이력 사항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DB)(111)와, 이동 단말기(10)의 근접시, 데이터베이스(114)를 바탕으로 보안번호를 인증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한 비밀번호를 인증하며, 보안 이력 사항을 기록하기 위한 보안 서버(112)와, 인증된 이동 단말기(10)에 대해, 실시간으로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비밀번호를 이동 단말기(10)로 전송하기 위한 비밀번호 생성기(113)와, 보안 서버(112)의 제어하에, 보안 대상체에 대한 보안을 설정 및 해제하는 보안 설정/해제부(114)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안 서버(112)의 데이터베이스(111)에는 보안 대상체(회사 혹은 사무실의 출입문, 아파트 혹은 일반 주택 등의 출입문, 금고 등)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자의 보안번호(예를 들면, 사번이나 개인 이동전화번호, 그외 고유 식별번호 등)가 사전에 등록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와 도어락 제어 시스템(11) 사이의 통신은 근거리통신망(적외선 포트, 블루투스 등)을 이용한다.
이동 단말기(10)는 현재 상용화된 셀룰러폰 혹은 PCS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뿐만 아니라,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등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등이 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보안서버, 비밀번호 생성기 및 데이터베이스를 도어락 제어 시스템으로 연동하여 구현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 인터넷 등의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도어락 제어 시스템인 보안서버, 비밀번호 생성기 및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연동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MS)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어떤 회사 혹은 사무실(물론, 일반 주택, 아파트 등이 될 수도 있다) 출입문의 보안 서버(112)에 그 직원들의 보안번호(사번이나 개인 이동전화번호, 그외 고유의 식별번호 등)를 등록시키고, 직원이 출입문을 열고 닫을 때, 그 직원이 자기 회사의 보안 서버(112)에 접속하여 자기 보안번호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고, 그 보안 서버(112)로부터 인증을 받는다.
이후, 비밀번호 생성기(113)를 통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비밀번호를 직원의 이동 단말기(10)로 전송받아, 전송된 비밀번호를 키 입력하여 보안 서버(112)로부 터 인증을 받는다.
이후, 보안 서버(112)를 통해 인증 완료 후, 보안 대상체에 대한 보안을 설정 및 해제한다. 이때, 문이 열릴 때, 일시적인 보안해제(바람직하게는 1분내외)인가 장기적인 보안해제인가를 물어보고, 단기적인 보안해제일 경우에는 정해진 짧은 시간(바람직하게는 약 1분내외)내에 보안이 해제되었다가 다시 보안이 자동 설정된다. 한편, 장기적인 보안해제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재접속하여 보안을 설정해야 한다.
예를 들면, A회사의 직원이 출근하여 사무실에 입실하려고 할 때, 자사의 보안 대상체에 대하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안 서버에 인증을 요청한다. 이때, 보안 서버는 인증을 요청한 개인이 해당 회사의 직원인지를 인증한다. 그러면, 비밀번호 생성기가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비밀번호를 출근하는 직원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후, 보안 서버로부터 인증 성공시에 해당 직원이 이동 단말기로 전송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30초 동안 문의 보안이 해제된다. 그리고, 계속 보안해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계속 보안해제가 설정된 경우에는 별도의 인증절차없이 문을 자유롭게 열고 닫을 수 있다.
한편, A회사의 마지막으로 퇴근하는 직원이 출입문 앞에서 자사의 보안 다상체에 대하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안 서버에 인증을 요청한다. 이때, 보안서버는 퇴근하는 직원이 해당 회사의 직원인지를 인증한다. 그러면, 비밀번호 생성기가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비밀번호를 퇴근하는 직원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 다.
이후, 퇴근하는 직원이 이동 단말기에 전송된 비밀번호를 보안 설정/해제부에 키 입력하면 바로 출입문의 보안이 설정된다.
위의 두 경우 모두 보안 서버에 접속한 기록이 남아서 누가 문을 열고, 닫았는지를 알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MS)(11)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은, 먼저 보안 대상체(회사 혹은 사무실의 출입문, 아파트 혹은 일반 주택 등의 출입문, 금고 등)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자기 보안번호(바람직하게는 이동전화번호)의 인증을 위해 이동 단말기(10)를 통해 보안 서버(13)에 접속한다(201).
이후, 보안 서버(13)는 그 이동 단말기(핸드폰, PDA, IMT-2000 단말기 등)(10)로부터의 보안번호를 데이터베이스(DB)(111)에서 검사하여(202), 인증 실패시에 에러 메시지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로 전송한다(203).
한편, 보안 서버(112)를 통해 인증 성공시, 비밀번호 생성기를 통해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비밀번호를 요청할 때 마다 새로운 비밀번호를 생성한 후(204),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로 전송한다(205).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보안서버(112)가 인증을 하고, 인증 완료 후, 보안 대상체에 대한 보안을 설정 및 해제한다(207). 이때, 보안해제시에는 보안해제를 일시적으로(약 1분내외) 해제시킬 수도 있고, 보안 설정시까지 장시간 해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보안 설정 및 해제시에는 모두 보안 서버(112)에 접속한 전화번호의 모든 기록이 데이터베이스(MISS DB)(111)에 남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현 생활의 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저렴하고 간편한 보안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보안장치가 설치된 곳에 보안에 대한 어떠한 접근도 그 이력으로 남게 되므로, 추후 설치된 보안에 문제가 생겼을 때 접근한 사람들의 이동전화번호나 그 이력을 모두 알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보안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삭제
  2.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안 대상체에 대한 보안 설정/해제용 보안번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보안 대상체의 보안 설정/해제에 관한 모든 이력 사항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이동 단말기의 근접시, 상기 저장수단을 바탕으로 보안번호를 인증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한 비밀번호를 인증하며, 보안 이력 사항을 기록하기 위한 제어수단;
    상기 인증된 이동 단말기에 대해, 실시간으로 상기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비밀번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비밀번호 생성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보안 대상체에 대한 보안을 설정 및 해제하는 보안 설정/해제 수단
    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근거리통신망(적외선 포트, 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여 보안 설정/해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대상체는,
    실질적으로, 회사 혹은 사무실의 출입문, 아파트 혹은 일반 주택의 출입문, 금고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5.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안 대상체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보안번호와 보안 이력 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제 1 단계;
    이동 단말기의 근접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보안번호를 보안 서버가 인증하는 제 2 단계;
    상기 인증된 이동 단말기에 대해, 실시간으로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비밀번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한 상기 비밀번호를 상기 보안 서버가 인증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보안 서버의 인증 결과에 따라, 보안 대상체에 대한 보안을 설정 및 해제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보안 해제시에, 인증된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보안 해제를 일시적으로(바람직하게는 약 1분 내외) 해제시키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보안 해제시에, 인증된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보안 해제를 보안 설정시까지 장시간 해제시키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서버는,
    상기 보안 대상체에 대한 보안 설정/해제용 보안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보안번호를 인증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한 비밀번호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방법.
KR1020030027196A 2003-04-29 2003-04-29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98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196A KR100598040B1 (ko) 2003-04-29 2003-04-29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196A KR100598040B1 (ko) 2003-04-29 2003-04-29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319A KR20040093319A (ko) 2004-11-05
KR100598040B1 true KR100598040B1 (ko) 2006-07-13

Family

ID=3737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196A KR100598040B1 (ko) 2003-04-29 2003-04-29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351B1 (ko) * 2004-12-10 2007-01-04 주식회사 아이레보 임시 인증 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그에따른 인증 방법
KR101400646B1 (ko) * 2007-09-06 2014-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한 이동단말기와 아날로그 다이얼락의 제공 방법
KR101408319B1 (ko) * 2012-12-13 2014-06-17 와이엠디(주)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잠금해제 시스템 및 그 잠금 해제방법
KR102194262B1 (ko) 2013-12-02 2020-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인팅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20170078415A (ko) * 2015-12-29 2017-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319A (ko) 200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437B1 (ko) 단일 가입자 아이덴티티 모듈(sim)을 사용하여 무선 링크 상에서의 복수 디바이스들의 동시 인증
US7796973B2 (en) Method to challenge cell phone user for fraudulent use
CN104778773A (zh) 利用手机实现的门禁控制系统与控制方法
US8188857B2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wireless networks
ES2353855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de autentificación de usuarios.
CN107729759A (zh) 一种app操作权限控制方法、存储设备及移动终端
US7688959B2 (en) Method for remotely connecting to a secure telephone network
US8145755B2 (en) Terminal, terminal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enabling management of terminals including based on association to each other
CN101087334A (zh) 手机信息多用户管理方法
CN104574616A (zh) 一种智能电子门锁控制方法及其装置
JP5823185B2 (ja) 発信者情報提供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598040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9168B1 (ko) 안전키 생성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0002029A (ja) 電子ロックシステム
JPWO2002071786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を構成する装置
KR1011556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관리 방법
JP2006188922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1651745A (zh) 一种移动终端的操作方法、系统及移动终端
KR20040000056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 경비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334866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認証サーバ、端末装置および認証方法
KR102305392B1 (ko) Ip 폰을 이용한 이기종 단말기 간의 통신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1006019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0455039B1 (ko) 휴대전화를 이용한 유선 인증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3551363B2 (ja) 電子錠システム
JP4337027B2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