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796B1 -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796B1
KR100597796B1 KR1020040000252A KR20040000252A KR100597796B1 KR 100597796 B1 KR100597796 B1 KR 100597796B1 KR 1020040000252 A KR1020040000252 A KR 1020040000252A KR 20040000252 A KR20040000252 A KR 20040000252A KR 100597796 B1 KR100597796 B1 KR 100597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channel transmitter
pi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8239A (ko
Inventor
공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테크
공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테크, 공승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테크
Priority to KR1020040000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796B1/ko
Publication of KR20040008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8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공간인식을 위한 무선공용채널전송기(출원번호 10-2002-0008785)에 관련된 사용 방안에 대한 것으로써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발신신호)에 대한 특별한 구성 방법과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발신 신호를 일반적인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신호 탐색과 결과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특별한 기능 수행 절차와 작동 규칙에 대한 방법 및 운용 방안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시스템, 공용 채널, 공간인식, 단말기

Description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UTILIZING METHOD OF WIRELESS COMMON CHANNEL TRANSMITTER AND CALL PROCESSING METHOD OF TERMINAL AND BASE STATION THEREOF}
도 1a는 일반적인 무선공용채널전송기 중 신호 발생기의 식별신호 구성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b는 일반적인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주기적 활성화 모드(Discrete Transmission Mode)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특별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발신 신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원활한 사용을 위한 단말기 및 기지국에서의 관련 기능 수행 및 호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원활한 사용을 위한 단말기 및 기지국에서의 관련 기능 수행 및 호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원활한 사용을 위한 단말기 및 기지국에서의 관련 기능 수행 및 호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원활한 사용을 위한 단말기 및 기지국에서의 관련 기능 수행 및 호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원활한 사용을 위한 단말기 및 기지국에서의 관련 기능 수행 및 호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원활한 사용을 위한 단말기 및 기지국에서의 관련 기능 수행 및 호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원활한 사용을 위한 단말기 및 기지국에서의 관련 기능 수행 및 호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원활한 사용을 위한 단말기 및 기지국에서의 관련 기능 수행 및 호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9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원활한 사용을 위한 단말기 및 기지국에서의 관련 기능 수행 및 호 처리 절차 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10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원활한 사용을 위한 단말기 및 기지국에서의 관련 기능 수행 및 호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공용채널전송기(출원번호 10-2002-0008785)의 식별신호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 표준(IS-95, IS-2000)에 따른 적합한 절차(procedure)의 수행으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도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 탐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특별한 신호 발생 방법과 이와 관련된 기지국 및 단말기간의 관련 기능 수행 및 호 처리(Call Processing)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소개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 발생 방법은 기존 이동통신망의 무선접속규격을 따르는 단말기까지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만들기 위한 기존 출원된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 발생 방법의 특별한 경우이다.
일반적인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발생된 식별신호는 기존의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 단말기에게는 탐색되지 않거나 기존의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와 기지국이 주고받는 표준 메시지만을 사용해서는 기지국이 단말기에게 무선공용채널전송기 관련 정보를 제공하더라도 단말기가 무선공용채널전송기를 원활하게 탐색하게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기지국에서도 단말기가 탐색한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를 획득할 수 없다. 이러한 적용상의 제약은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에 상당한 제약조건이 될 수 있으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ID신호)를 탐색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 구현된 단말기에만 무선공용채널발생기의 활용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를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탐색하고 그 탐색 결과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처리 절차와 구현 방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써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현된 표준 기능으로도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를 단말기가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특별한 식별신호 발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써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현된 표준 기능으로도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를 단말기가 탐색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하여 단말기에 필요한 관련 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로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써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현된 표준 기능으로도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를 단말기가 탐색하고 그 탐색 된 결과를 기지국에 제공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한 이동통신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정보 전달 절차 및 활용 메시지 내용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대한 설명과 발명의 근본적 내용에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어 있는 기술 내용이나 세부 사항은 모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기존에 출원된 무선공용채널전송기(출원번호 10-2002-0008785)에 대한 주요 개념이나 주요 관련 기술 또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 자체의 기능이 본 발명과 직접적 관련이 없는 경우 이에 대한 설명이나 서술을 생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기존의 기술과 이론적 분석에 대하여는 최소한의 간단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이하 본 발명은 단말기의 위치 추정을 위하여 순방향 공용채널신호를 전용으로 송 신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Wireless Common Channel Transmitter)의 특별한 사용 실례(도면 참조)와 함께 이에 연관되는 기지국 및 단말기간 기능 수행과 호 처리(Functions and Call Processing)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유용한 사용 실례가 소개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주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에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 발생기 부분을 도시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공용채널전송기는 1개 이상의 피앤 옵셋(PN Offset)을 입력받고 각 피앤 옵셋(PN Offset)에 의한 파일럿 채널을 발생시킨다(블록 101, 111, 121). 참고로, 무선공용채널전송기에서 사용하는 피앤 옵셋(PN Offset)은 주변 기지국들이 사용하지 않는 피앤 옵셋(PN Offset)들이며 1개의 피앤 옵셋(PN Offset)으로부터 1개의 파일럿 채널을 만든다. 각 블록에서 발생된 파일럿 채널은 다수 개(k>>1)의 서로 다른 경로 지연(Path Delay) 성분을 갖게 하는 시간 지연 블록(Delay Bank)을 통과하고 그 결과로 만들어진 다수 개(k>>1)의 서로 다른 시간 지연 성분을 갖는 파일럿 채널들이 신호선택 및 결합기(Signal Set Select and Combine, 141)로 출력된다. 상기 신호선택 및 결합기(141)의 신호 선택 방식은 각 무선공용채널전송기마다 독특한 식별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
[도 1]에서 소개된 바와 같은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구현 방안은 그 식별신호가 기존의 단말기로는 탐지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어 특별히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최종 출력 신호를 탐지할 수 있도록 단말기의 파일럿 채널 탐색기를 개선한 단말기들에 대해서만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이 가능하다. 그 이유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에서 사용하는 피앤 옵셋(PN Offset)에 대한 정보를 기존의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각 피앤 옵셋(PN Offset)으로 발생된 파일럿 채널이 갖는 복수개의 Delay Path를 단말기가 모두 탐지하여 그 탐지 결과를 기지국(시스템)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능이 없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무선공용채널전송기를 구별하는데 필수적인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정보(Identity Information)가 되는 피앤 옵셋(PN Offset) 정보와 각 피앤 옵셋(PN Offset)으로 만들어진 파일럿 채널의 Delay Set이 단말기에서 탐지되고 그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단말기가 갖지 않은 기능을 추가한 단말기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발신 신호 탐지와 그 결과 보고를 위한 단말기 기능 추가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도를 떨어뜨릴 수 있으며 광범위한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응용을 저해하는 장애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 표준 기능만을 갖는 단말기들도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응용 실례를 소개하는 동시에 기존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접속규격(Air Interface Standard)인 IS-95, IS-2000 및 IS-801 등에서 유휴 상태(Idle State) 또는 통화 상태(Traffic State)의 단말기가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신호를 탐지하고 그 결과를 기지국으로 보고하도록 만드는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소개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독특한 사용 실례를 구현하기 위하여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 성분에 대한 조건을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조건 1]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는 하나 이상의 피앤 옵셋(PN Offset)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파일럿 채널(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조건 2]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파일럿 채널은 1개의 시간지연(Delay) 성분만을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상기 [조건 1]과 [조건 2]에 따른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신호 발생기를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다. [도 2a]의 경우, 무선공용채널전송기는 2개의 피앤 옵셋(PN Offset)(mi, mj)을 파일럿 채널 발생기(각각 201, 211)에 입력하여 2개의 파일럿 채널을 만들고 각 파일럿 채널에 대하여 각각 Di 및 Dj 칩 시간만큼 지연(각각 202, 212)시켜서 얻은 신호를 최종 혼합하여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유일(Unique)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단말기의 주변 기지국 신호에 대한 파일럿 탐색기 창(Searcher Window)의 폭을 N(기지국에서 지정) 칩이라 할 때, |Di|<N/2, |Dj|<N/2 이다. [도 2b]의 경우에는 [도 2a]와 달리 3개의 피앤 옵셋(PN Offset)(mi, mj, mk)을 PN 코드 발생기(각각 241, 251, 261)에 입력하여 3개의 파 일럿 채널을 만들고 각 파일럿 채널에 대하여 각각 Di, Dj 및 Dk 칩 시간만큼 지연(각각 242, 252, 262)시켜서 얻은 신호를 최종 혼합하여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유일(Unique)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도 단말기의 주변 기지국 신호에 대한 파일럿 탐색기 창(Searcher Window)의 폭을 N(기지국에서 지정) 칩이라 할 때, |Di|<N/2, |Dj|<N/2, |Dk|<N/2 이다. [도 2a] 및 [도 2b]에서 Reference Time & Clock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이용하여 얻은 GPS 시간 및 클럭(Clock) 정보이거나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설치된 곳에서 수신되는 이동통신 기지국 파일럿 채널과 동기를 맞추어 발생시키는 시각 및 클럭(Time & Clock) 정보이다.
[도 2a] 또는 [도 2b]와 같이 [조건 1]과 [조건 2]를 만족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를 발신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기존의 단말기가 그 신호를 탐지하고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먼저, 통화 상태(Mobile Station Control on the Traffic Channel State)의 단말기가 [조건 1] 과 [조건 2]에 따른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발신 신호(식별신호)를 탐지하고 측정하여 그 결과를 기지국에게 보고하기 위해서는 단말기가 무선공용채널전송기에서 사용한 피앤 옵셋(PN Offset)(들)에 대한 정보를 알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통화 상태의 단말기에게 주변 기지국 리스트 개정 메시지(Neighbor List Update Message, IS-95 참조)를 통하여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사용하는 피앤 옵셋(PN Offset) 정보를 전달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통화 상태에 있는 특정 단말기가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피앤 옵셋(PN Offset) 정보가 포함된 주변 기지국 리스트 개정 메시지를 수신 받게 되어 상기 특정 단말기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를 탐색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기지국은 단말기에게 파일럿 측정 요구 명령(Pilot Measurement Request Order)을 전달하며 이를 수신한 단말기는 기지국이 파일럿 측정 요구 명령에서 지정한 일정 세기 이상으로 수신되는 각 파일럿 채널의 최초 수신 성분(First Arrival Path)에 대한 측정 결과를 파일럿 세기 측정 메시지(Pilot Strength Measurement Message)를 통하여 전달한다. [조건 2]에서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입력된 피앤 옵셋(PN Offset)을 이용하여 발신하는 파일럿 채널의 시간 지연 성분을 1개로 제한하는 것은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파일럿 세기 측정 메시지에 각 파일럿 채널마다 단 1개의 수신 시간 지연 성분만이 기록되어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통화 상태의 단말기가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발신 신호를 탐지하고 측정하여 그 결과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도록 만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은 위치 측정에 대한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접속규격인 IS-801을 이용하는 것이다. IS-801의 위치 결정 데이터 메시지(Position Determination Data Message)는 메시지 타입의 값을 설정함에 따라 파일럿 위상 측정 요구(Pilot Phase Measurement Request, REQ_TYPE='0101') 또는 파일럿 위상 측정 보고(Pilot Phase Measurement Report, RESP_TYPE='0101')하도록 되어 있다. 위치 결정 데이터 메시지를 이용하는 방안은 통화 상태의 단말기에게 주변 기지국 리스트 개정 메시지(Neighbor List Update Message)를 통하여 단말기에게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피앤 옵셋(PN Offset) 정보를 미리 전달한 이후, 위치 결정 데이터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기에게 파일럿 채널들에 대한 신호 탐색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달할 것을 요 구하고 그 결과를 기지국에서 전달받음으로써 상기 파일럿 측정 요구 명령과 파일럿 세기 측정 메시지를 활용한 방법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IS-801을 사용하는 정도에 따라 통화 상태뿐만 아니라 유휴 상태(Idle State)에서도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신호 측정을 요구하고 그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단말기가 유휴 상태에 있을 경우, 기지국은 호출 채널(Paging Channel)과 같은 제어 채널(Control Channel)을 통하여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피앤 옵셋(PN Offset)이 높은 탐색 우선순위(Search Priority)를 갖도록 지정된 확장된 주변 기지국 리스트 메시지(Extended Neighbor List Message)를 전달함으로써 단말기가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방법 및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실용 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3]에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실용 예로써 무선공용채널전송기와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호 처리(Call Processing)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등록(Registration, 301) 절차를 통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은 특정 단말기가 어느 기지 국 영역에 있는지 알게 된다(301과정은 선택적 사항이며 본 발명의 필수적인 절차는 아니다). 만일 상기 특정 단말기의 서비스 기지국이 무선공용채널전송기를 서비스 영역 내에 가지고 있고 상기 단말기가 어떤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신호를 탐지하는지 알아보고자 할 때 기지국은 단말기와 통화 채널 상태로 천이(Transition)한다(과정 311, 본 과정에 필수적인 기지국과 단말기 간의 상세한 메시지 및 기능적 처리 내용은 본 발명의 요지에서 벋어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통화 채널 상태로의 천이 주체는 단말기나 기지국 모두 가능하다). [도 3]의 실용 예는 기지국이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작동(Operation)을 제어할 수 있는 경우를 도시하며 기지국과 단말기 간에 통화 채널이 설정되면 기지국은 먼저 무선공용채널전송기를 활성화(Active) 상태로 천이(과정 321) 시키고(시각 t=T321) 단말기로 주변 기지국 리스트 개정 메시지를 전달(과정 331)한다. 상기 과정 321은 과정 331보다 먼저 또는 적어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만일 과정 331을 먼저 수행한다면 최대한 빠른 시간이내에 과정 321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지국이 과정 331의 수행 시각을 t=T331 이라할 때, T321 - T331 < △(△는 수초 이하를 나타내는 작은 양의 정수)이 되는 것이 바람직한 실용 예가 된다. 즉, 기지국이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활성화 상태로 천이되기 이전에 단말기로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피엔옵셋(PN Offset) 정보를 전달하게 되는 경우에 단말기가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신호가 발신되기도 전에 그 신호를 탐색하게 되는 비효율을 방지하는 실용 예이다. 또한 상기 실용 예는 기지국이 단말기로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피엔옵셋(PN Offset)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 이후 단말기가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파일럿 신호를 탐색하기 시작하는 최초의 시점(단말기가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피엔옵셋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 시간이 지난 이후의 시점)보다 앞선 시점에서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활성화 상태로 천이되어야 한다는 최소한의 시간적 제한 범위를 설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과정 이후 기지국은 단말기로 파일럿 측정 요구 명령을 전달(341)하고 단말기는 파일럿 측정 요구 명령과 함께 전달된 파일럿 채널의 수신 양호성 판단을 위한 파일럿 채널 수신세기 임계치(MIN_PILOT_EC_IO_THRESH) 이상으로 수신되는 파일럿 채널들을 측정하여 기지국으로 보고(파일럿 세기 측정 메시지, 과정 351)한다. 만일 단말기가 전송한 파일럿 세기 측정 메시지로부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발신 신호에 대한 탐색 결과를 얻을 수 없거나 정확한 정보를 판단할 수 없는 경우, 기지국은 상기 341 및 351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341 및 351과정의 반복에 있어서, 과거 보다 명확한 측정 결과를 얻기 위하여 기지국은 파일럿 측정 요구 명령 내의 파일럿 채널 수신세기 임계치를 조절 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이 파일럿 채널 수신세기 임계치를 낮추는 경우, 단말기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발생 신호에 대한 검출 감도를 높이는 결과를 얻어 미약하게 수신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발생 신호를 측정 결과에 포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341과정과 351과정과 같은 반복적인 식별신호 탐색에 대한 요구와 보고 절차의 수행 방식은 본 발명의 모든 실용 예에서 적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351과정을 통하여 단말기로부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발생 신호 정보를 성공적으로 추출하거나 단말기가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신호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과정 361을 통하여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신호 출력을 단절시키고 설정되었던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통화 채널을 종료(Traffic Channel Release 과정, 371)한다. 상기 과정 361과 과정 371 간에는 상대적 우선 순위를 가지지 않는다(즉, 과정 371이 과정 361보다 먼저 수행되는 것도 무관하며 과정 361은 과정 351보다 먼저 수행될 수 없다). 통화 채널이 종료된 단말기는 시스템 초기화 상태(System Initialization State)를 거쳐 이전 통화 상태에서 얻었던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피앤 옵셋(PN Offset)에 대한 정보를 상실하고 기지국 호출 채널(Paging Channel)로부터 주변 기지국 리스트 메시지(Neighbor List Message)를 수신한다.
[도 4]에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작동(Operation)이 기지국의 제어에 따르지 않고 자체적으로 설정된 주기적 발신 시간을 갖는, DTX (Discrete Transmission)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대한 사용 예이다. [도 4]에서 도시하는 전 과정은 다음의 몇 가지를 제외하고는 상기 [도 3]에서의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그 과정에 관계된 동작 규칙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도 4]의 과정 401, 411, 421, 431, 441, 451은 각각 [도 3]의 과정 301, 311, 331, 341, 351, 37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참고로 [도 3]의 경우와 같이, [도 4]의 과정 431 및 과정 441이 필요에 따라 반복 수행이 가능한 것과 Ts-T421 < △(T421=과정 421의 수행 시점)의 관계를 가지는 것 그리고 T441(과정 441의 수행 시점) - (Ts+Ta) < 0 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과정 431과 과정 441이 반복 수행되는 경우, 최종적인 과정 441의 수행 시점을 T441'이라 할 때, T441‘ -(Ts+Ta) < 0 이어야 바람직한 실용 예가 된다. (즉,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비활성화(또는 발신 Off) 시간에는 431과 441의 반복이 무의미 하므로 431 및 441의 절차가 시행되지 않는다). 만일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작동이 지속적 발신 모드(Continuous Transmission Mode)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도 4]의 431과정 및 441과정은 위와 같은 특별한 시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IS-801을 사용하는 단말기에 대한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실용 예로써 무선공용채널전송기와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호 처리(Call Processing)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5]의 과정들 중에서 과정 501, 511, 521, 531, 561, 571 등은 각각 [도 3]의 과정 301, 311, 321, 331, 361, 371 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그 수행 기능과 관련 동작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서 제시되는 모든 절차와 방법은 [도 3]에서 제시된 모든 절차와 방법 중에서 과정 341과 351에서 사용된 메시지와 다른 메시지가 과정 541과 551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 모두 동일하다. 과정 541에서 단말기로 전달되는 메시지(파일럿 위상 측정 요구)와 과정 551에서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메시지(파일럿 위상 측정 보고)는 모두 위치 결정 데이터 메시지(Position Determination Data Message)로써 IS-801에 정의되어 있다. 상기 541의 과정에서 전달되는 파일럿 위상 측정 요구 메시지에 지정되는 파라미터 중, DESI_PIL_PH_RES(요구되는 파일럿 위상 측정의 정밀도)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시간 지연(Di, i=1,2,...k)의 기본 간격(Delay Increment Resolution = Di+1 - Di)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DESI_PIL_PH_RES이 높으면 단말기에서의 파일럿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에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IS-801을 사용하는 단말기에 대한 무선공용채널 전송기의 실용 예로써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작동(Operation)이 기지국의 제어에 따르지 않고 자체적으로 설정된 주기적 발신 시간을 갖는, DTX (Discrete Transmission) Mode로 동작하는, 경우에 대한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기능 수행 및 호 처리(Call Processing)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서 도시하는 전 수행 기능 내용 및 동작 과정 등의 방법은 다음의 몇 가지를 제외하고는 상기 [도 4]에서의 것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6]의 과정 601, 611, 621, 651은 각각 [도 4]의 과정 401, 411, 421, 45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의 세부 과정 중 [도 4]와 다른 과정 631 및 과정 641은 각각 [도 5]의 과정 541 및 과정 551과 동일하다. [도 4]에서 소개된 방법과 같이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작동(Operation)이 주기적인 DTX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특별한 사용 방법이 추가된다. 참고로 [도 4]의 경우와 같이, [도 6]의 과정 631 및 과정 641이 필요에 따라 반복 수행이 가능한 것과 Ts-T621 < △(T621 = 과정 621의 수행 시점)의 관계를 가지는 것 그리고 T641(과정 641의 수행 시점) - (Ts+Ta) < 0 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과정 631과 과정 641이 반복 수행되 는 경우, 최종적인 과정 641의 수행 시점을 T641'이라 할 때, T641‘ -(Ts+Ta) < 0 이어야 바람직한 실용 예가 된다. (즉,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비활성화(또는 발신 Off) 시간에는 631과 641의 반복이 무의미 하므로 631 및 641의 절차가 시행되지 않는다). 만일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작동이 지속적 발신 모드(Continuous Transmission Mode)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도 6]의 631과정 및 641과정은 위와 같은 특별한 시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또 다른 실용 예로써 무선공용채널전송기와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관련 기능 수행과 호 처리(Call Processing)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도 7]에서 도시하는 본 발명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도 3]의 것과 유사하나 [도 3]의 311, 321, 331과정과 다른 711, 721, 731 과정이 소개되고 있다). 먼저, 등록(Registration, 701) 절차를 통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은 특정 단말기가 어느 기지국 영역에 있는지 알게 된다(701과정은 301과정과 마찬가지로 선택적 사항일 수 있다). 만일 상기 특정 단말기의 서비스 기지국 이 무선공용채널전송기를 서비스 영역 내에 가지고 있고 상기 단말기가 어떤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신호를 탐지하는지 알아보고자 할 때 기지국은 먼저 무선공용채널전송기를 활성화(Active) 상태로 천이(과정 711, 시각 t=T711) 시키고 확장된 주변 기지국 리스트 메시지(Extended Neighbor List Message)를 통하여 단말기에게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피앤 옵셋(PN Offset) 정보를 전달(과정 721, 시각 t=T721)한다. 상기 과정 711과 과정 721의 수행 시각에 대한 관계는 T711 - T721 < △(△는 수초 이하를 나타내는 작은 양의 정수)이 되는 것이 바람직한 실용 예가 된다. 또한 기지국은 확장된 주변 기지국 리스트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기가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신호를 우선적으로 탐색하도록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피앤 옵셋(PN Offset)에 대한 탐색 우선도(Priority)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는 확장된 주변 기지국 리스트 메시지에서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피앤 옵셋(PN Offset) 정보와 함께 그 탐색 우선도(Search_Priority) 필드를 높게(High) 또는 매우 높게(Very High)를 나타내는 값으로 지정함으로서 가능하다. 단말기에게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피앤 옵셋(PN Offset) 정보와 우선도를 담은 확장된 주변 기지국 리스트 메시지 를 전달한 기지국은 단말기와 통화 채널을 설정(과정 731)한다. 결과적으로 [도 7]의 실용 예는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무선공용채널전송기에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고 무선공용채널전송기를 활성화 시키며 기지국과 단말기간 통화 채널을 설정하는 방법 또는 순서 만이 [도 3]의 예와 다르다. 이후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과정 741, 751, 761, 771에서 수행되는 과정과 진행 방법은 각각 본 발명이 제안한 [도 3]에서 설명한 과정 341, 351, 361, 371과 그 내용이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는 [도 4]에서 소개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이 소개된다. 801 과정은 401 과정과 동일한 내용이며 811의 과정은 [도 7]의 721과정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기지국은 단말기로 확장된 주변 기지국 리스트 메시지(Extended Neighbor List Message)를 통하여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피앤 옵셋(PN Offset)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여기서 과정 831, 841, 851은 [도 4]에 소개된 과정 431, 441, 451과 각각 동일하며 관련 동작 규칙도 동일하므로 반복되 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4]에서 소개된 방법과 같이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작동(Operation)이 주기적인 DTX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특별한 사용 방법이 추가된다. 참고로 [도 4]의 경우와 같이, [도 8]의 과정 831 및 과정 841이 필요에 따라 반복 수행이 가능한 것과 Ts-T811 < △(T811 = 과정 811의 수행 시점)의 관계를 가지는 것 그리고 T841(과정 841의 수행 시점) - (Ts+Ta) < 0 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과정 831과 과정 841이 반복 수행되는 경우, 최종적인 과정 841의 수행 시점을 T841'이라 할 때, T841‘ -(Ts+Ta) < 0 이어야 바람직한 실용 예가 된다. (즉,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비활성화(또는 발신 Off) 시간에는 831과 841의 반복이 무의미 하므로 831 및 841의 절차가 시행되지 않는다). 만일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작동이 지속적 발신 모드(Continuous Transmission Mode)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도 8]의 831과정 및 841과정은 위와 같은 특별한 시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또 다른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작동 방법을 소개 하고 있다. [도 9]의 과정 901, 911, 921, 951은 각각 [도 7]에서 소개한 과정 701, 711, 721 76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동일한 규칙으로 동작한다. [도 9]에서 소개하는 방법은 IS-801을 기반으로 단말기의 유휴 상태(Idle State)에서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신호를 탐지하고 그 결과를 얻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911 및 912 과정 이후 기지국은 통화 채널 상태로 천이(Transition)하지 않고 순방향 제어 채널(예를 들어, IS-95의 호출 채널 또는 접속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에게 파일럿 위상 측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931 과정)하고 단말기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신호를 탐지하고 그 측정 결과를 역방향 제어 채널이나 접속 채널을 통하여 파일럿 위상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941 과정)한다. 상기 931 및 941 과정은 [도 3]에서 과정 341 및 과정 351이 반복 수행될 수 있었던 것과 동일한 원리로 기지국이 필요한 경우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과정이 수행된 이후 기지국은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발신 출력을 차단(Off)시키기 위하여 전력 차단(Power Off) 명령을 전달(과정 951, 시각 t=T951)하며 951의 과정이 수행된 직후 단말기로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피앤 옵셋(PN Offset) 정보를 담지 않는 확장된 주변 기지국 리스트 메시지(Extended Neighbor List Message)를 전달(과정 961, 시각 t=T961)하여 단말기가 불필요한 파일럿 채널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지 않도록 한다. 즉, T951 - T961 < △(△는 수초 이내를 나타내는 양의 정수)를 만족한다.
[도 10]에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주기적인 활동 상태를 갖는 DTX(Discrete Transmission)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대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작동 및 운용 방법이다. [도 10]에서 제시하는 과정 1001, 1011은 각각 [도 8]의 과정 801, 811과 동일한 기능 수행과 동작 규칙을 갖는다. 또한 과정 1021과 1031 및 과정 1041은 각각 [도 9]의 과정 931과 과정 941 및 과정 961과 동일한 기능 수행과 동작 규칙을 갖는다. 다만, 과정 1041은 동작 규칙에 있어서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성 상태(발신 상태)가 끝난 직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 동작이 된다(즉, t=T1041‘에 과정 1041이 최종 수행되었다면 T1041‘ -(Ts+Ta) < 0이 되는 것이 바람직한 실용 예가 된다).
[도 11]과 [도 12]는 이미 사용자에 의하여 통화 상태(MS Control on the Traffic Channel State)에 있는 단말기에 대하여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신호 탐색과 측정 결과 전달을 수행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방안이다. 따라서, [도 11]의 과정 1101, 1151 및 [도 12]의 과정 1201, 125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과는 무관하며 다만 단말기가 통화 상태임을 도시하기 위하여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11]의 경우부터 설명하면, 과정 1111, 1121, 1131은 [도 3]에서 소개한 과정 331, 341, 35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그 동작 규칙도 동일하다. 따라서, 과정 1111, 1121, 1131에 대한 상세 설명은 [도 3]의 과정 331, 341, 351에 관련된 설명으로 대체한다. 1131의 과정이 최종 수행된 이후(과정 1121 및 1131은 [도 3]의 341, 351과정과 같이 동작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기에게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피앤 옵셋(PN Offset) 정보를 담지 않은 주변 기지국 리스트 개정 메시지(Neighbor List Update Message)를 다시 전달함으로써 단말기가 통화에 불필요한 파일럿 채널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지 않도록 한다. [도 12]의 경우 과정 1211 및 1241은 각각 [도 11]의 1111 및 114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동작 규칙 도 동일하다. [도 12]의 과정 1221과 과정 1231은 각각 [도 8]의 과정 831 및 84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이들 과정에 대한 동작 규칙도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안 및 동작 흐름도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신호를 탐색하고 측정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단말기의 기능적 업그레이드(Upgrade)가 필요 없이 기존의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표준을 따르는 모든 기존 단말기들에서 구현 가능하므로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는 주로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초적 틀이 되는 IS-95 표준을 주요 활용예로 삼아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IS-95 뿐만 아니라 IS-2000과 같은 향상된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도 그대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IS-801의 무선접속규격을 모두 만족하는 단말기들에 대해서도 그대로 활용될 수 있도록 IS-801에 대한 방법도 포함하고 있다.

Claims (37)

  1. 이동통신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의 특정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특정 공간에 위치한 단말기에 대한 인식과 위치 추정을 위한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하나 이상의 파일럿 채널들의 혼합신호를 발신하며 각 파일럿 채널이 하나의 시간 지연 값만을 갖는 경우에 있어서 그 신호를 기존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의 표준 규격을 따르는 단말기가 탐색할 수 있도록 하고 탐색된 결과를 기지국이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기위한 과정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와 통화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주변기지국리스트개정메시지에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파일럿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실어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게 파일럿측정요구명령을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럿측정요구명령을 수신한 단말기가 수신되는 파일럿 채널들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파일럿세기측정메시지에 실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와 통화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이 단말기의 등록 과정을 거쳐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영역 내에 있음이 확인된 이후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게 주변기지국리스트개정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로 전원 인가 명령을 전달한 이후에 진행되거나 10초 이상 선행되어 진행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안테나 출력이 발신 상태와 비 발신 상태를 특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게 주변기지국리스트개정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이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활성화 되어 안테나 출력이 발신 상태가 된 이후에 진행되거나 10초 이상 선행되어 진행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안테나 출력이 발신 상태와 비 발신 상태를 특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파일럿측정요구명령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파일럿수신세기측정메시지 전달 과정이 기지국의 필요에 의하여 반복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최종 전달하는 파일럿수신세기측정메시지의 전달 과정이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비활성화 되어 안테나 출력이 비발신 상태가 되기 이전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8. 이동통신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의 특정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특정 공간에 위치한 단말기에 대한 인식과 위치 추정을 위한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하나 이상의 파일럿 채널들의 혼합신호를 발신하며 각 파일럿 채널이 하나의 시간 지연 값만을 갖는 경우에 있어서 그 신호를 기존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의 표준 규격을 따르는 단말기가 탐색할 수 있도록 하고 탐색된 결과를 기지국이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기위한 과정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와 통화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주변기지국리스트개정메시지에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파일럿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담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게 파일럿위상측정요구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럿위상측정요구를 수신한 단말기가 수신되는 파일럿 채널들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파일럿위상측정보고에 담아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와 통화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이 단말기의 등록 과정을 거쳐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영역 내에 있음이 확인된 이후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게 주변기지국리스트개정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로 전원 인가 명령을 전달한 이후에 진행되거나 10초 이상 선행되어 진행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안테나 출력이 발신 상태와 비 발신 상태를 특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게 주변기지국리스트개정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이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활성화 되어 안테나 출력이 발신 상태가 된 이후에 진행되거나 10초 이상 선행되어 진행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안테나 출력이 발신 상태와 비 발신 상태를 특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파일럿위상측정요구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파일럿위상측정보고 전달 과정이 기지국의 필요에 의하여 반복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최종 전달하는 파일럿위상측정보고의 전달 과정이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비활성화 되어 안테나 출력이 비발신 상태가 되기 이전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위상측정요구를 수신한 단말기가 수신되는 파일럿 채널들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파일럿위상측정보고에 담아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달하는 과정의 결과로 기지국이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를 추출할 수 없거나 상기 단말기의 파일럿 채널 측정 결과에 대한 확인 절차를 위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14. 이동통신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의 특정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특정 공간에 위치한 단말기에 대한 인식과 위치 추정을 위한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하나 이상의 파일럿 채널들의 혼합신호를 발신하며 각 파일럿 채널이 하나의 시간 지연 값만을 갖는 경우에 있어서 그 신호를 기존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의 표준 규격을 따르는 단말기가 탐색할 수 있도록 하고 탐색된 결과를 기지국이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기위한 과정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확장된주변기지국리스트메시지에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파일럿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담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와 통화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게 파일럿측정요구명령을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럿측정요구명령을 수신한 단말기가 수신되는 파일럿 채널들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파일럿세기측정메시지에 실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 확장된주변기지국리스트메시지를에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파일럿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담아 전송하는 과정이 상기 단말기의 등록 과정을 거쳐 상기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영역 내에 있음이 확인된 이후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게 확장된주변기지국리스트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로 전원 인가 명령을 전달한 이후에 진행되거나 10초 이상 선행되어 진행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안테나 출력이 발신 상태와 비 발신 상태를 특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게 확장된주변기지국리스트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이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활성화 되어 안테나 출력이 발신 상태가 된 이후에 진행되거나 10초 이상 선행되어 진행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안테나 출력이 발신 상태와 비 발신 상태를 특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파일럿측정요구명령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파일럿수신세기측정메시지 전달 과정이 기지국의 필요에 의하여 반복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최종 전달하는 파일럿수신세기측정메시지의 전달 과정이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비활성화 되어 안테나 출력이 비발신 상태가 되기 이전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21. 이동통신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의 특정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특정 공간에 위치한 단말기에 대한 인식과 위치 추정을 위한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하나 이상의 파일럿 채널들의 혼합신호를 발신하며 각 파일럿 채널이 하나의 시간 지연 값만을 갖는 경우에 있어서 그 신호를 기존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의 표준 규격을 따르는 단말기가 탐색할 수 있도록 하고 탐색된 결과를 기지국이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기위한 과정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확장된주변기지국리스트메시지에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파일럿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담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게 파일럿위상측정요구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럿위상측정요구를 수신한 상기 단말기가 수신되는 파일럿 채널들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파일럿위상측정보고에 담아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럿위상측정보고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이 다시 상기 단말기에게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파일럿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담지 않고 주변 기지국들의 파일럿 채널들에 대한 정보만을 담은 확장된주변기지국리스트메시지를 다시 상기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 확장된주변기지국리스트메시지를에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파일럿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담아 전송하는 과정이 상기 단말기의 등록 과정을 거쳐 상기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영역 내에 있음이 확인된 이후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게 확장된주변기지국리스트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로 전원 인가 명령을 전달한 이후에 진행되거나 10초 이상 선행되어 진행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안테나 출력이 발신 상태와 비 발신 상태를 특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게 확장된주변기지국리스트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이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활성화 되어 안테나 출력이 발신 상태가 된 이후에 진행되거나 10초 이상 선행되어 진행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안테나 출력이 발신 상태와 비 발신 상태를 특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파일럿위상측정요구 전달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파일럿위상측정보고의 전달 과정이 기지국의 필요에 의하여 반복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최종 전달하는 파일럿위상측정보고의 전달 과정이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비활성화 되어 안테나 출력이 비발신 상태가 되기 이전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26. 이동통신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의 특정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특정 공간에 위치한 단말기에 대한 인식과 위치 추정을 위한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하나 이상의 파일럿 채널들의 혼합신호를 발신하며 각 파일럿 채널이 하나의 시간 지연 값만을 갖는 경우에 있어서 그 신호를 기존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의 표준 규격을 따르는 통화 상태의 단말기가 탐색할 수 있도록 하고 탐색된 결과를 기지국이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기위한 과정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주변기지국리스트개정메시지에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파일럿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실어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게 파일럿측정요구명령을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럿측정요구명령을 수신한 단말기가 수신되는 파일럿 채널들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파일럿세기측정메시지에 실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주변 기지국의 파일럿 채널에 대한 정보만을 담은 주변기지국리스트개정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게 주변기지국리스트개정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로 전원 인가 명령을 전달한 이후에 진행되거나 10초 이상 선행되어 진행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28. 삭제
  29. 삭제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안테나 출력이 발신 상태와 비 발신 상태를 특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게 주변기지국리스트개정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이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활성화 되어 안테나 출력이 발신 상태가 된 이후에 진행되거나 10초 이상 선행되어 진행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안테나 출력이 발신 상태와 비 발신 상태를 특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파일럿측정요구명령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파일럿수신세기측정메시지 전달 과정이 기지국의 필요에 의하여 반복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최종 전달하는 파일럿수신세기측정메시지의 전달 과정이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비활성화 되어 안테나 출력이 비발신 상태가 되기 이전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측정요구명령을 수신한 단말기가 수신되는 파일럿 채널들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파일럿세기측정메시지에 담아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달하는 과정의 결과로 기지국이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를 추출할 수 없거나 상기 단말기의 파일럿 채널 측정을 재 요구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주변기지국리스트개정메시지에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파일럿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실어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게 파일럿측정요구명령을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럿측정요구명령을 수신한 단말기가 수신되는 파일럿 채널들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파일럿세기측정메시지에 실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주변 기지국의 파일럿 채널에 대한 정보만을 담은 주변기지국리스트개정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33. 이동통신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의 특정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특정 공간에 위치한 단말기에 대한 인식과 위치 추정을 위한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하나 이상의 파일럿 채널들의 혼합신호를 발신하며 각 파일럿 채널이 하나의 시간 지연 값만을 갖는 경우에 있어서 그 신호를 기존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의 표준 규격을 따르는 통화 상태의 단말기가 탐색할 수 있도록 하고 탐색된 결과를 기지국이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기위한 과정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주변기지국리스트개정메시지에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파일럿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실어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게 파일럿위상측정요구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럿위상측정요구를 수신한 단말기가 수신되는 파일럿 채널들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파일럿위상측정보고에 담아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주변 기지국의 파일럿 채널에 대한 정보만을 담은 주변기지국리스트개정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게 주변기지국리스트개정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로 전원 인가 명령을 전달한 이후에 진행되거나 10초 이상 선행되어 진행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안테나 출력이 발신 상태와 비 발신 상태를 특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게 주변기지국리스트개정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이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활성화 되어 안테나 출력이 발신 상태가 된 이후에 진행되거나 10초 이상 선행되어 진행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안테나 출력이 발신 상태와 비 발신 상태를 특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파일럿위상측정요구의 전달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파일럿위상측정보고의 전달 과정이 기지국의 필요에 의하여 반복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최종 전달하는 파일럿위상측정보고의 전달 과정이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가 비활성화 되어 안테나 출력이 비발신 상태가 되기 이전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위상측정요구를 수신한 단말기가 수신되는 파일럿 채널들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파일럿위상측정보고에 담아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달하는 과정의 결과로 기지국이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를 추출할 수 없거나 상기 단말기의 파일럿 채널 측정을 재 요구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주변기지국리스트개정메시지에 상기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파일럿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실어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게 파일럿위상측정요구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럿위상측정요구를 수신한 단말기가 수신되는 파일럿 채널들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파일럿위상측정보고에 담아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주변 기지국의 파일럿 채널에 대한 정보만을 담은 주변기지국리스트개정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KR1020040000252A 2004-01-05 2004-01-05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KR100597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252A KR100597796B1 (ko) 2004-01-05 2004-01-05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252A KR100597796B1 (ko) 2004-01-05 2004-01-05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239A KR20040008239A (ko) 2004-01-28
KR100597796B1 true KR100597796B1 (ko) 2006-07-06

Family

ID=3731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252A KR100597796B1 (ko) 2004-01-05 2004-01-05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7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239A (ko) 200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9603B2 (ja) Cdmaセルラー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局の位置測定を行うシステム及び方法
CN100420161C (zh) 使用移动站位置信息减小导频搜索时间的方法和设备
US6205326B1 (en) Method for determining when a communication unit is located within a preferred zone
CN101449616B (zh) 基站识别
US8737998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cessing of neighbor cell information
US10285156B2 (en) Dynamic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for inter-frequency positioning measurements
US6405047B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cking mobile station&#39;s posi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510003B2 (ja) 移動無線端末における同期方法
US8750893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position detection method
US7146164B2 (en) Intelligent base station antenna beam-steering using mobile multipath feedback
JP2002510158A (ja) 基地局の同期ステータスに関する情報を送信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1005388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 위치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핸드오프 수행방법
JPH11508429A (ja) 時分割同時送受信パイロット信号の発生方法および装置
US7149201B2 (en) Enhanced bearer overhead monitoring for improved position location performance for wireless mobiles
KR20030011654A (ko) 위치 판단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83906B1 (ko) 주파수 옵셋을 이용한 위치 탐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US7295535B2 (en) Method for signal acquisition in a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rminal
KR100597796B1 (ko)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활용 방법과 그 방법에 관련된 단말기와 기지국의 호 처리 방법
KR2004003328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공용채널전송기의 식별신호탐색과 탐색 결과 추출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시스템의 연동 방안
JP2002135826A (ja) 位置測定システム並びにその基地局及び無線端末装置
US20020077125A1 (en) Efficient CDMA earliest phase offset search for geo-location
EP2537043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cessing of neighbor cell information
US88741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overhead information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339240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통화 차단 장치 및 그 방법
JP2005136748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体装置及び基地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