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479B1 - 케이블 권취용 릴에 있어서의 회동 접점구조 및 이를구비한 케이블 권취용 릴 - Google Patents

케이블 권취용 릴에 있어서의 회동 접점구조 및 이를구비한 케이블 권취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479B1
KR100597479B1 KR1020040108889A KR20040108889A KR100597479B1 KR 100597479 B1 KR100597479 B1 KR 100597479B1 KR 1020040108889 A KR1020040108889 A KR 1020040108889A KR 20040108889 A KR20040108889 A KR 20040108889A KR 100597479 B1 KR100597479 B1 KR 100597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erminal
input
spool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0225A (ko
Inventor
이미경
Original Assignee
이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경 filed Critical 이미경
Priority to KR1020040108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479B1/ko
Priority to JP2007513051A priority patent/JP2007537571A/ja
Priority to PCT/KR2005/000166 priority patent/WO2005115139A1/en
Priority to US11/596,442 priority patent/US7364108B2/en
Publication of KR20060070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권취용 릴에 있어서의 회동 접점구조 및 이 회동 접점구조를 구비한 케이블 권취용 릴에 관한 것으로, 권취시 케이블의 비틀림 및 꼬임을 억제하면서 항시 안정된 통전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동 접점구조는, 입력 또는 출력 케이블의 각 단부와 결속된 복수의 단자핀들이 기판 중심으로부터의 이격거리를 서로 달리하여 배설된 제 1 기판과, 상기 입력 또는 출력 케이블의 각 단부와 결속된 복수의 환형단자들이 상기 단자핀들의 이격거리에 대응하는 반경을 갖는 동심원구조로 배설된 제 2 기판이, 대응하는 단자핀들과 환형단자들간에 접점이 형성되도록 회동체와 고정체에 대향구조로 설치되거나; 회동체의 일편에는, 외주면에 상기 입력 또는 출력 케이블의 단부와 결속된 복수의 외주단자들이 이격되게 배설된 휠부재가 설치되고; 고정체에는, 상기 입력 또는 출력 케이블의 단부와 결속되며 상기 휠부재의 외주단자에 외접한 복수의 선형단자들이 인출된 고정단자부가 설치되어; 회동체가 회동하여 케이블이 권취되는 동안에도 상기 대응하는 단자핀들과 환형단자들간 또는 대응하는 외주단자들과 선형단자들간에 회동 접점이 형성됨으로써, 입력 케이블과 출력 케이블간의 통전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권취용 릴에 있어서의 회동 접점구조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권취용 릴{ROTATING CONNECTION STRUCTURE AND CABLE WINDING REEL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 1형태로 제공된 회동 접점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제 1 형태의 회동 접점구조를 구비한 스피닝 릴을 보여주는 것으로, (a)는 전체구성을 분해 사시도이고, (b)는 회동 접점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요부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 2형태로 제공된 회동 접점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 (a)는 분해 사시도이고, (b)는 결합 상태도이며,
도 4는 상기 제 2 형태의 회동 접점구조가 마련된 캐스팅 릴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회동 접점구조
10. 제 1 기판 11. 단자핀
20. 제 2 기판 21. 환형단자
30. 휠부재 31. 외주단자
40. 고정단자부 41. 선형단자
100. 스피닝 릴 110. 릴 몸체
120. 스풀축 130. 스풀
140. 로터 141. 베일
150. 손잡이
200. 캐스팅 릴 210. 릴 몸체
211. 개구부 220. 스풀
230. 손잡이
C1. 입력 케이블 C2. 출력 케이블
본 발명은 케이블 권취용 릴에 있어서의 회동 접점구조 및 이 회동 접점구조를 구비한 케이블 권취용 릴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권취시 케이블의 비틀림 및 꼬임을 억제하면서 항시 안정된 통전상태가 이룩되도록 한 케이블 권취용 릴에 있어서의 회동 접점구조 및 이 회동 접점구조를 구비한 케이블 권취용 릴에 관한 것이다.
당분야에서는 복수의 신호선 및 전원선이 매립된 낚싯줄 소위, 다기능 케이블이 제안된 바 있고, 또 수중 환경의 촬영 및 측정을 위한 소형의 촬영장비 및 계측기들이 제안되어 현재 시판 중에 있다.
그리고 상기한 다기능 케이블은, 통상의 낚시줄과 같이 직경이 매우 가늘고 또 유연성 또한 우수하기 때문에, 종래 낚시줄을 권취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릴을 사용하여 권취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낚시줄을 권취하는 용도로 사용된 릴은, 릴몸체에 설치된 스풀이 회동되어 케이블을 권취하도록 구성되거나(캐스팅 릴), 또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스풀을 임의로 파지하여 소정각 회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스피닝 릴). 그런데 이러한 릴에 별도의 구조적인 변경없이 일단이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부에 고정된 케이블을 권취하게 되면, 외부 장치부와 스풀간에 형성된 케이블 구간에는 스풀의 회동에 의해 필연적으로 비틀림과 꼬임이 발생된다.
그리고 이러한 케이블의 꼬임 또는 비틀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종래 일체형이던 케이블을 릴상에서 스풀에 권취되는 입력 케이블과 스풀에서 인출되는 출력 케이블로 이원화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이렇게 이원화시키기 위해서는 이원화된 케이블간에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안정된 회동 접점구조를 구비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입력 케이블의 단부와 출력 케이블의 단부간에 항상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항상 접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권취용 릴에 있어서의 회동 접점구조를 제공함에 있고,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이러한 회동 접점구조가 마련된 케이블 권취용 릴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형태에 따른 케이블 권취용 릴의 회동 접점구조는,
케이블 권취시 회전하는 회동체 및 케이블의 권취시에 회전하지 않는 고정체에 각각 단부가 결속된 입력 케이블과 출력 케이블간에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입력 또는 출력 케이블의 각 단부와 결속된 복수의 단자핀들이 기판 중심으로부터의 이격거리를 서로 달리하여 배설된 제 1 기판과, 상기 입력 또는 출력 케이블의 각 단부와 결속된 복수의 환형단자들이 상기 단자핀들의 이격거리에 대응하는 반경을 갖는 동심원구조로 배설된 제 2 기판이, 대응하는 단자핀들과 환형단자들간에 접점이 형성되도록 상기 회동체와 고정체에 대향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회동체가 회동하여 케이블이 권취되는 동안에도 상기 대응하는 단자핀들과 환형단자들간에 회동 접점이 형성됨으로써, 입력 케이블과 출력 케이블간의 통전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기판에 배설된 단자핀의 후미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단자핀을 제 2 기판쪽으로 탄지함으로써, 상기 제 1 기판에 배설된 단자핀들과 상기 제 2 기판에 배설된 환형단자들이 긴밀한 접촉을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형태에 따른 케이블 권취용 릴의 회동 접점구조는,
케이블 권취시 회전하는 회동체 및 케이블의 권취시에 회전하지 않는 고정체 에 각각 단부가 결속된 입력 케이블과 출력 케이블간에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의 일편에는, 외주면에 상기 입력 또는 출력 케이블의 단부와 결속된 복수의 외주단자들이 이격되게 배설된 휠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입력 또는 출력 케이블의 단부와 결속되며 상기 휠부재의 외주단자에 외접한 복수의 선형단자들이 인출된 고정단자부가 설치되어;
상기 회동체가 회동하여 케이블이 권취되는 동안에도 이들 대응하는 휠부재의 외주단자들과 고정단자부의 선형단자들간에 회동 접점이 형성됨으로써, 입력 케이블과 출력 케이블간의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형단자는 상기 휠부재의 외주단자를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는 C자형으로 제작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케이블 권취용 릴에 있어서의 회동 접점구조를 구비한 케이블 권취용 릴에 관한 것이다.
먼저, 스피닝 릴 형태의 케이블 권취용 릴에 회동 접점구조가 구현된 케이블 권취용 릴을 살펴보면,
골격을 구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권취시 회전하지 않는 고정체를 형성하며, 편심링크 구조에 의해 진퇴를 반복하는 스풀축과; 상기 스풀축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권취시 회전하는 회동체를 형성하며, 외주에 케이블의 권취공간이 확보된 스풀과; 베일을 통해 안내되는 케이블을 회동작용을 통해 스풀에 권취하는 로터; 및 상기 몸체에 축설되며 외부조작에 의해 상기 편심링크 구조 와 로터에 작용력을 제공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풀과 스풀축에는 각각 입력 또는 출력 케이블의 각 단부가 택일적으로 결속된 제 1, 제 2 기판이 택일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1 기판에는 상기 어느 케이블의 각 단부가 결속된 복수의 단자핀들이 기판 중심으로부터의 이격거리를 서로 달리하여 돌출되게 배설되고, 상기 제 2 기판에는 상기 어느 케이블의 각 단부가 결속되고 상기 단자핀의 이격거리에 대응한 반경을 가진 복수의 환형단자가 동심원구조로 배설되며;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은 상기 단자핀들과 환형단자들은 상호 접촉상태를 형성하도록 대향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스풀이 회동하여 케이블이 권취되는 동안에도, 이들 스풀과 스풀축에 각각 설치된 제 1, 제 2 기판에 각각 형성된 단자핀들과 환형단자들간에는 회동 접점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입력 케이블과 출력 케이블간의 통전상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캐스팅 릴 형태의 케이블 권취용 릴에 회동 접점구조가 구현된 케이블 권취용 릴을 살펴보면,
케이블의 권취시 회전하지 않는 고정체를 형성하며, 전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릴 몸체와; 상기 릴 몸체의 개구부에 수용되게 설치되고, 케이블의 권취시 회전되는 회동체를 형성하며, 외주면에 케이블 권취구역이 확보된 스풀; 및 상기 릴 몸체에 축설되어 상기 스풀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풀의 일편에는, 외주면에 상기 입력 또는 출력 케이블의 단부와 결속 된 복수의 외주단자들이 이격되게 배설된 휠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릴 몸체에는, 상기 입력 또는 출력 케이블의 단부와 결속되며 상기 휠부재의 외주단자에 외접한 복수의 선형단자들이 인출된 고정단자부가 설치되며;
상기 휠부재에 설치된 외주단자들에 상기 고정단자부의 선형단자들이 외접하도록 휠부재와 고정단자부가 결합되어;
상기 스풀이 회전하여 케이블이 권취되는 동안에도, 이들 스풀과 릴 몸체에 각각 설치된 휠부재의 외주단자들과 고정단자부의 선형단자들간에 회동 접점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입력 케이블과 출력 케이블간의 통전상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공된 케이블 권취용 릴에 있어서의 회동 접점구조 및 이 회동 접점구조가 마련된 케이블 권취용 릴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 1형태로 제공된 회동 접점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제 1 형태의 회동 접점구조를 구비한 스피닝 릴을 예시한 것으로, (a)는 전체구성을 분해 사시도이고, (b)는 회동 접점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요부확대도이다.
먼저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 1 실시형태로 제공된 케이블 권취용 릴에 있어서의 회동 접점구조(1)는, 케이블 권취용 릴의 구성요소 중, 케이블 의 권취시 회전하는 회동체와 케이블의 권취시 회전하지 않는 고정체에, 입력 케이블(C1) 또는 출력 케이블(C2)을 택일적으로 연결한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20)을 상호 대향되게 설치하고, 이들 기판(10, 20)간에 회동 접점이 형성되도록 하여, 입력 케이블(C1)과 출력 케이블(C2)간의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술하면, 상기 제 1 기판(10)에는 입력 또는 출력 케이블의 단부와 결속된 복수의 단자핀(11)들이 기판 중심에서의 이격거리(L1, L2, L3)를 서로 달리하여 돌출되게 배설되며, 이와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 2 기판(20)에는 입력 케이블(C1) 또는 출력 케이블(C2)의 단부와 결속되며 상기 단자핀(11)들의 이격거리에 대응한 반경(L1, L2, L3)을 가진 복수의 환형단자(21)가 동심구조로 배설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1에서는, 상기 제 1 기판(10)에는 출력 케이블(C2)의 단부와 각각 결속된 3개의 단자핀(1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기판(20)에는 입력 케이블(C1)의 단부와 각각 결속된 3개의 환형단자(21)가 상기 단자핀(11)들과 대응되게 동심구조로 배설되어 있는데, 이러한 단자핀(11) 및 환형단자(21)의 개수는 결속되는 입력 케이블 및 출력 케이블의 단부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입력 케이블(C1)의 권취시 회동체가 소정각 회동되더라도, 제 1 기판(10)에 배설되며 출력 케이블(C2)의 단부와 결속된 단자핀(11)이 제 2 기판(20)에 배설되며 입력 케이블(C1)의 단부와 결속된 환형단자(21)와 접촉한 채로 회동하게 되므로, 이들 간에는 항시 접점이 이루어지게 되고, 따라서 상기 입력 케이블(C1)과 출력 케이블(C2)간에는 항상 통전상태가 유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회동 접점구조(1)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제 1 기판(10)에 배설된 단자핀(11)의 후미에 각각 스프링(12)을 설치하여, 상기 단자핀(11)이 제 1기판(10)의 전면으로 돌출하려는 성향을 가지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상기 제 1 기판(10)에 배설된 단자핀(11)들은 상기 제 2 기판(20)에 배설된 환형단자(21)들과 보다 긴밀한 접촉상태를 항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형태에 따른 회동 접점구조를 통상의 스피닝 릴에 구현한 예를 살펴본다.
본 실시예의 스피닝 릴(100)은,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골격을 구성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권취시 회전하지 않는 고정체로서, 편심링크 구조에 의해 진퇴를 반복하는 스풀축(120)과; 상기 스풀축(120)에 축설되어 케이블의 권취시에 회전되는 회동체로서, 외주에 케이블 권취구역(S)이 마련된 스풀(130)과; 베일(141)을 통해 안내되는 케이블을 회동작용을 통해 스풀(130)의 권취구역(S)에 권취하는 로터(140); 및 몸체(110)에 축설되어 외부조작에 의해 상기 편심링크 구조와 로터를 연동시키는 작용력을 제공하는 손잡이(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지의 스피닝 릴형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렇게 구성된 스피링 릴(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권취시 회동하지 않는 고정체인 스풀축(120)과 상기 케이블의 권취시 회동하는 회동체인 스풀(130)에,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따른 회동접점 구조(1)를 마련하여, 입력 케이블(C1)과 출력 케이블(C2)간의 통전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정체인 스풀축(120)에 출력 케이블(C2)과 연결된 단자 핀(11)을 배설한 제 1 기판(10)을 설치하고, 상기 회동체인 스풀(130)에 입력 케이블(C1)과 연결된 환형단자(21)를 배설한 제 2 기판(20)을 대향되게 설치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스풀(130)이 외력이나 사용자의 임의조작에 의해 소정각 회동되더라도, 제 1 기판(10)에 배설된 단자핀(11)과 제 2 기판(20)에 배설된 환형단부(21)간에는 항시 접점이 형성되고, 따라서 입력 케이블(C1)과 출력 케이블(C2)간에는 안정된 통전상태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기판(10)의 배면에는 소정간격 이격되게 지지판(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 1 기판(10)에 배설된 단자핀(11)의 후미(11a)에는 상기 지지판(13)에 탄지된 스프링(12)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기판(10)에 배설된 단자핀(11)은 항시 돌출하려는 성향을 가지게 되어서, 제 2 기판(20)에 배설된 환형단자(21)와 보다 긴밀한 접점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 2형태로 제공된 회동 접점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 (a)는 분해 사시도이고, (b)는 결합 상태도이며, 도 4는 상기 제 2 형태의 회동 접점구조를 구비한 캐스팅 릴의 분해 사시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따른 케이블 권취용 릴에 있어서의 회동 접점구조(1') 또한, 제 1 형태와 마찬가지로 케이블 권취용 릴의 구성요소 중, 케이블의 권취시 회전되는 회동체에 결속되는 입력 케이블(C1)과, 케이블의 권취시 회전하지 않는 고정체에 결속되는 출력 케이블(C2)간에 통전이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의 권취시 회전되는 회동체의 일편에는,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입력 케이블(C1) 또는 출력 케이블(C2)의 단부와 결속된 복수의 외주단자(31)들이 이격하여 배설된 휠부재(30)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의 권취시 회전하지 않는 고정체에는, 입력 케이블(C1) 또는 출력 케이블(C2)의 단부와 결속되며 상기 휠부재(30)의 외주단자(31)에 외접하는 복수의 선형단자(41)들이 인출된 고정단자부(40)가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아 상기 휠부재(30)의 외주에는 3개의 외주단자(31)가 이격하여 배설되어 있으며, 또 고정단자부(40)에서는 이와 대응하여 3개의 선형단자(41)가 인출되어 있는데, 이러한 외주단자 및 선형단자의 개수는 결속되는 입력 또는 출력 케이블의 단부의 개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휠부재(30)에 마련된 외주단자(31)와 고정단자부(40)의 선형단자(41)는, 커넥터(32, 42)를 통해 입력 케이블(C1) 및 출력 케이블(C2)의 단부와 결속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단자부(40)에 인출된 선형단부(41)의 형상을, 상기 휠부재(30)의 외주단자(31)를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C자형으로 제작하여,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형단자(41)와 외주단자(31)간의 접점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있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형태에 따른 회동 접점구조를 통상의 캐스팅 릴에 구현한 예를 살펴본다.
본 실시예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러한 회동 접점구조를 통상의 캐스 팅 릴(200)에 부가하여, 상기한 릴이 케이블 권취용도로 활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캐스팅 릴(200)은 케이블의 권취시 회전하지 않는 고정체를 구성하며 전면에는 개구부(211)가 형성된 릴 몸체(210)와; 상기 개구부(211)에 수용되게 설치되며 외주에 케이블 권취구역(S)이 확보된 스풀(220); 및 상기 릴 몸체(210)에 축설되어 상기 스풀(220)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손잡이(230)를 포함하여 구성된 형태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캐스팅 릴(200)에 있어서의, 상기 케이블의 권취시 회전하지 릴 몸체(210)와, 상기 케이블의 권취시 회전하는 스풀(220)을 각각 고정체와 회동체로 하여,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따른 회동 접점구조(1')를 구현하여, 입력 케이블(C1)과 출력 케이블(C2)간의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 회동체인 스풀(220)의 일측에는 외주면에 입력 케이블(C1)의 단부와 접속된 외주단자(31)가 상호 이격되게 배설된 휠부재(30)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체인 릴 몸체(210)에는 출력 케이블(C2)의 단부와 접속된 선형단자(41)가 인출된 고정단자부(40)를 설치하고 있다.
이렇게 형성된 휠부재(30)와 고정단자부(40)를 결합하면, 상기 고정단자부(40)의 선형단자(41)는 휠부재(30)의 외주에 형성된 외주단자(31)와 외접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도면을 보아 상기 고정단자부(40)에서 인출된 선형단자(41)의 형상은, 상기 휠부재(30)의 외주단자(31)를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는 C자형으로 제작되어, 상기 외주단자(31)와 안정된 접점을 이루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손잡이(230)의 조작에 의해 스풀(220)이 연속적으로 회 동되더라도, 휠부재(30)의 외주에 형성된 외주단자(31)와, 고정단자부(40)의 선형단자(41)는 항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입력 케이블(C1)과 출력 케이블(C2)간에는 항시 안정된 통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권취용 릴의 구성요소 중, 케이블의 권취시 회전되는 회동체에 결속된 케이블과 케이블의 권취시 비회전되는 고정체에 접속된 케이블간에 접점을 형성하여, 케이블의 권취시에도 입력과 출력 케이블간에 안정적으로 통전이 이루도록 하는 케이블 권취용 릴에 있어서의 회동 접점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회동 접점구조를 케이블 권취용 릴에 적용하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케이블의 권취시 케이블이 꼬이거나 비틀리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어, 안정성 측면에서 매우 긴요한 발명으로 예상된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케이블 권취시 회전하는 회동체 및 케이블의 권취시에 회전하지 않는 고정체에 각각 단부가 결속된 입력 케이블과 출력 케이블간에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의 일편에는, 외주면에 상기 입력 또는 출력 케이블의 단부와 결속된 복수의 외주단자들이 이격되게 배설된 휠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입력 또는 출력 케이블의 단부와 결속되며 상기 휠부재의 외부단자에 외접한 복수의 선형단자들이 인출된 고정단자부가 설치되어;
    상기 회동체가 회동하여 케이블이 권취되는 동안에도 이들 대응하는 휠부재의 외주단자들과 고정단자부의 선형단자들간에 회동 접점이 형성됨으로써, 입력 케이블과 출력 케이블간의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권취용 릴에 있어서의 회동 접점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단자는 상기 휠부재의 외주단자를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는 C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권취용 릴의 회동 접점구조.
  5. 골격을 구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권취시 회전하지 않는 고정체를 형성하며, 편심링크 구조에 의해 진퇴를 반복하는 스풀축과; 상기 스풀축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권취시 회전하는 회동체를 형성하며, 외주에 케이블의 권취공간이 확보된 스풀과; 베일을 통해 안내되는 케이블을 회동작용을 통해 스풀에 권취하는 로터; 및 상기 몸체에 축설되며 외부조작에 의해 상기 편심링크 구조 와 로터에 작용력을 제공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피닝 릴의 형태로서;
    상기 스풀과 스풀축에는 각각 입력 또는 출력 케이블의 각 단부가 택일적으로 결속된 제 1, 제 2 기판이 택일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1 기판에는 상기 어느 케이블의 각 단부가 결속된 복수의 단자핀들이 기판 중심으로부터의 이격거리를 서로 달리하여 돌출되게 배설되고, 상기 제 2 기판에는 상기 어느 케이블의 각 단부가 결속되고 상기 단자핀의 이격거리에 대응한 반경을 가진 복수의 환형단자가 동심원구조로 배설되며;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은 상기 단자핀들과 환형단자들은 상호 접촉상태를 형성하도록 대향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스풀이 회동하여 케이블이 권취되는 동안에도, 이들 스풀과 스풀축에 각각 설치된 제 1, 제 2 기판에 각각 형성된 단자핀들과 환형단자들간에는 회동 접점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입력 케이블과 출력 케이블간의 통전상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 접점구조를 가진 케이블 권취용 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의 배면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지지판이 설치되고, 상기 단자핀의 후미에는 상기 지지판에 탄지된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제 1 기판에 배설된 단자핀이 상기 스프링에 의해 항시 제 2 기판에 배설된 환형단자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단자핀과 환형단자간에 긴밀한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권취용 릴.
  7. 케이블의 권취시 회전하지 않는 고정체를 형성하며, 전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릴 몸체와; 상기 릴 몸체의 개구부에 수용되게 설치되고, 케이블의 권취시 회전되는 회동체를 형성하며, 외주면에 케이블 권취구역이 확보된 스풀; 및 상기 릴 몸체에 축설되어 상기 스풀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캐스팅 릴 형태로서;
    상기 스풀의 일편에는, 외주면에 상기 입력 또는 출력 케이블의 단부와 결속된 복수의 외주단자들이 이격되게 배설된 휠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릴 몸체에는, 상기 입력 또는 출력 케이블의 단부와 결속되며 상기 휠부재의 외주단자에 외접한 복수의 선형단자들이 인출된 고정단자부가 설치되며;
    상기 휠부재에 설치된 외주단자들에 상기 고정단자부의 선형단자들이 외접하도록 휠부재와 고정단자부가 결합되어;
    상기 스풀이 회전하여 케이블이 권취되는 동안에도, 이들 스풀과 릴 몸체에 각각 설치된 휠부재의 외주단자들과 고정단자부의 선형단자들간에 회동 접점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입력 케이블과 출력 케이블간의 통전상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 접점구조를 가진 케이블 권취용 릴.
KR1020040108889A 2004-05-14 2004-12-20 케이블 권취용 릴에 있어서의 회동 접점구조 및 이를구비한 케이블 권취용 릴 KR100597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889A KR100597479B1 (ko) 2004-12-20 2004-12-20 케이블 권취용 릴에 있어서의 회동 접점구조 및 이를구비한 케이블 권취용 릴
JP2007513051A JP2007537571A (ja) 2004-05-14 2005-01-18 接点形成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ケーブル巻取り用リール
PCT/KR2005/000166 WO2005115139A1 (en) 2004-05-14 2005-01-18 Connection structure and reel
US11/596,442 US7364108B2 (en) 2004-05-14 2005-01-18 Connection structure and r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889A KR100597479B1 (ko) 2004-12-20 2004-12-20 케이블 권취용 릴에 있어서의 회동 접점구조 및 이를구비한 케이블 권취용 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225A KR20060070225A (ko) 2006-06-23
KR100597479B1 true KR100597479B1 (ko) 2006-07-05

Family

ID=37164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889A KR100597479B1 (ko) 2004-05-14 2004-12-20 케이블 권취용 릴에 있어서의 회동 접점구조 및 이를구비한 케이블 권취용 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4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302Y1 (ko) * 2020-02-12 2021-09-27 (주)시원광기술 디지털 현미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225A (ko) 200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23814A1 (en) Daul retractable cord device with sliding electrical connector
KR101103392B1 (ko) 이중 케이블릴 장치
JP5759136B2 (ja) 伸縮コードリール
US8905780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relating to extension cord with integrated cord management
US7052281B1 (en) Cable winding device with direct cable to electrical component connection
JP2009158170A (ja) 回転コネクタ
KR100597479B1 (ko) 케이블 권취용 릴에 있어서의 회동 접점구조 및 이를구비한 케이블 권취용 릴
US6435886B2 (en) Rotary connector capable of largely increasing height of space accommodating flexible cable
US6659246B2 (en) Extendable and retractable telephone cord apparatus
CN100418264C (zh) 可动式天线及具备该天线的电子设备
KR101063416B1 (ko) 슬립링 장치
US6059080A (en) Wire wheel with continuous electrical connection
US7527132B2 (en) Retractor apparatus for electrical cord
JP2006216370A (ja) 回転コネクタ
KR200376950Y1 (ko) 전원 플러그
KR100885334B1 (ko) 회로 차단기
JP3093727B2 (ja) 電子機器
KR200366476Y1 (ko) 리트랙터블 코드 릴 조립체
JP3036699B1 (ja) コンセント独立型コ―ドリ―ル装置
CN219086409U (zh) 一种具有可旋转输出接头的usb数据线
JP319I (ja) リール用スリップリング装置
JPH059831Y2 (ko)
JP2008024400A (ja) コードリール
JPH07254461A (ja) 回転式アングルタイプコネクタ
JP2001187675A (ja) 電気コード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