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105B1 -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 Google Patents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105B1
KR100597105B1 KR1020050073938A KR20050073938A KR100597105B1 KR 100597105 B1 KR100597105 B1 KR 100597105B1 KR 1020050073938 A KR1020050073938 A KR 1020050073938A KR 20050073938 A KR20050073938 A KR 20050073938A KR 100597105 B1 KR100597105 B1 KR 100597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guide
guides
feed roller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50073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06Guiding rollers, wheels or the like, formed by or on the outer element of a single bearing or bearing unit, e.g. two adjacent bearings, whose ratio of length to diameter is generally less than 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Feeding path after the transfer point and up to the fixing point, e.g. guides and feeding means for handling copy material carrying an unfused toner i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3Feeding path after the fixing point and up to the discharge tray or the finisher, e.g. special treatment of copy material to compensate for effects from the f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5Driving or gui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양단에 단부판이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고, 용지의 이송을 안내하는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고 중력방향 하부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 하부 및 상부 굴곡가이드와; 상기 제1 하부 및 상부 굴곡가이드를 통과하여온 용지의 이송을 안내하는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고 중력방향 하부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 하부 및 상부 굴곡가이드와; 상기 상부굴곡가이드의 표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구동원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면서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굴곡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용지이송경로의 최하류부에 구비되어 용지의 선단을 잡아 용지의 후단 처짐과 다수매의 용지의 적층이 가능하도록 하는 선단이송롤러와; 상기 제1 및 제 2 하부 굴곡가이드의 사이에 용지의 후단 처짐과 용지의 회수를 위한 공간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셔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동화기기, 프린터, 용지, 이송

Description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Paper transfering portion of printer for automated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이송부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구성을 보인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자동화기기요 프린터의 구성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프린팅부와 그 주변의 구성을 보인 측면구성도.
도 5a는 도 2에 도시된 커팅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커팅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용지이송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링크와 그 주변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구동원과 기어열을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레임 11: 단부판
12: 용지집적부 14: 회수용지보관부
16: 가이드축 18: 용지인입가이드부
20: 하부가이드판 21: 상부가이드판
26: 프린팅부 28: 헤드브라켓
34: 걸이축 36: 플레이트롤러
38: 프린팅모터 38': 기어열
40: 용지배출가이드부 42: 하부가이드판
50: 커팅부 51: 프레임브라켓
52: 커팅모터 54: 워엄휠
60: 용지이송부 62: 제1하부굴곡가이드
64: 제2하부굴곡가이드 65: 배출가이드면
70: 상단가이드유니트 72: 유니트브라켓
76: 지지링크 78: 링크가이드축
78': 가이드슬롯 80: 제1상부굴곡가이드
82: 제2상부굴곡가이드 86,88,90: 이송롤러
98: 선단이송롤러
본 발명은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지에 정보를 프린팅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이송시키는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 지이송부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기기는 그 수행되는 기능이 모두 자동화되어 별도로 관리하는 사람이 없이 동작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동화기기의 예로서, 매체자동지급기나 증명서발급기 등이 있다. 상기 자동화기기에서는 고객이 요청하는 정보를 용지에 프린팅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자동화기기에는 프린터가 하나의 모듈로 설치된다.
일반적인 자동화기기에서는 사용자가 많은 정보를 요청하거나 동일한 정보를 여러 매 요청하는 경우에 많은 매수의 용지를 계속하여 프린터에서 배출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일단 자동화기기의 외부로 용지가 배출되면 회수가 불가능하여 사용자가 용지를 수취하지 않는 경우에는 개인 정보가 누출될 위험성이 있다.
또한, 여러 매의 용지를 하나씩 계속하여 배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를 계속하여 지켜보면서 받아 차곡차곡 정리해야 하는 불편한 점도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용지의 이송경로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최소한 용지의 길이와 대응되는 프린터의 전후폭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매의 용지를 적층하여 한번에 배출하고 회수할 수 있는 자동화기기용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론터를 경박단소화할 수 있는 용지이송부를 제공하 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양단에 단부판이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고, 용지의 이송을 안내하는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고 중력방향 하부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 하부 및 상부 굴곡가이드와; 상기 제1 하부 및 상부 굴곡가이드를 통과하여온 용지의 이송을 안내하는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고 중력방향 하부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 하부 및 상부 굴곡가이드와; 상기 상부굴곡가이드의 표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구동원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면서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굴곡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용지이송경로의 최하류부에 구비되어 용지의 선단을 잡아 용지의 후단 처짐과 다수매의 용지의 적층이 가능하도록 하는 선단이송롤러와; 상기 제1 및 제 2 하부 굴곡가이드의 사이에 용지의 후단 처짐과 용지의 회수를 위한 공간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셔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롤러 및 선단이송롤러와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굴곡가이드의 표면으로 돌출되게 아이들롤러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롤러 및 선단이송롤러는 용지의 상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아이들롤러는 용지의 하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하부굴곡가이드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적어도 하나의 돌출굴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굴곡가이드에는 상기 돌출굴곡면에 대응되는 요입굴곡면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하부 및 상부굴곡가이드는 용지이송경로의 상류부가 중력방향 하부인 상기 셔터의 선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 하부 및 상부굴곡가이드의 용지이송경로의 상류부에 설치되는 이송롤러와 아이들롤러는 상기 이송롤러가 상대적으로 용지이송경로의 상류부측에 설치되어 용지의 후단이 하부를 향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의 하부에는 상기 셔터에 의해 개방된 공간을 통해 용지를 안내하는 회전날개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양단에 단부판이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고, 용지의 이송을 안내하는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고 굴곡면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중력방향 하부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 하부 및 상부 굴곡가이드와; 상기 제1 하부 및 상부 굴곡가이드를 통과하여온 용지의 이송을 안내하는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고 굴곡면이 형성되며 중력방향 하부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 하부 및 상부 굴곡가이드와; 상기 상부굴곡가이드의 표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굴곡가이드의 굴곡부의 근처에 설치되어 구동원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면서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굴곡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용지이송경로의 최하류부에 구비되어 용지의 선단을 잡아 용지의 후단 처짐과 다수매의 용지의 적층이 가능하도록 하는 선단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와 선단이송롤러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그 사이에서 용지를 이송시키는 아이들롤러와; 상기 제1 및 제 2 하부 굴곡가이드의 사이에 용지의 후단 처짐과 용지의 회수를 위한 공간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셔터와;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셔 터에 의해 개방된 공간으로 용지를 안내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하부 및 상부굴곡가이드는 용지이송경로의 상류부가 중력방향 하부인 상기 셔터의 선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 하부 및 상부굴곡가이드는 용지이송경로의 상류부가 중력방향 하부인 상기 셔터의 선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 하부 및 상부굴곡가이드의 용지이송경로의 상류부에 설치되는 이송롤러와 아이들롤러는 상기 이송롤러가 상대적으로 용지이송경로의 상류부측에 설치되어 용지의 후단이 하부를 향하도록 안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양단에 단부판이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고, 용지의 하면을 안내하는 하부굴곡가이드와; 상기 하부굴곡가이드와 함께 용지의 하면을 선택적으로 안내하고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어 용지가 하부로 낙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셔터와; 상기 프레임에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굴곡가이드와의 사이에 용지의 이송을 위한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는 상부굴곡가이드가 구비되는 상단가이드유니트와; 상기 상단가이드유니트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굴곡가이드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용지의 상면에 접촉되어 용지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와; 상기 굴곡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용지이송경로의 최하류부에 해당되는 상기 상단가이드유니트에 구비되어 용지의 선단을 잡아 용지의 후단 처짐과 다수매의 용지의 적층이 가능하도록 하는 선단이송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단가이드유니트를 구성하는 유니트브라켓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단이 회동가능하며, 상기 유니트브라켓에는 지지링크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링크의 타단부에 구비된 링크가이드축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슬롯의 지지부에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상단가이드유니트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이송롤러 및 선단이송롤러와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굴곡가이드의 표면으로 돌출되게 아이들롤러가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하부굴곡가이드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적어도 하나의 돌출굴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굴곡가이드에는 상기 돌출굴곡면에 대응되는 요입굴곡면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굴곡가이드는 각각 2개씩 구비되는데, 제2 하부 및 상부굴곡가이드는 용지이송경로의 상류부가 중력방향 하부인 상기 셔터의 선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 하부 및 상부굴곡가이드의 용지이송경로의 상류부에 설치되는 이송롤러와 아이들롤러는 상기 이송롤러가 상대적으로 용지이송경로의 상류부측에 설치되어 용지의 후단이 하부를 향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의 하부에는 상기 셔터에 의해 개방된 공간을 통해 용지를 안내하는 회전날개가 더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에 의하면 여러 매의 용지를 적층하여 한번에 이송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고 사용자가 수취하지 않은 경우 회수가 가능하며, 프린터의 전후폭 이 상대적으로 짧아져 자동화기기를 경박단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이송부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채용된 프린터의 측면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프린터의 구성이 평면 구성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프레임(10)은 프린터 전체의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적어도 양단에 단부판(11)이 서로 마주보게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최소한 단부판(11)으로 구성되고, 이들 단부판(11)의 연결을 위해 별도의 판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단부판(11) 자체에도 별도의 보조판(11')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는 각각 용지집적부(12)와 회수용지보관부(14)가 구비된다. 이들 용지집적부(12)와 회수용지보관부(14)는 상기 단부판(11)의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이다. 상기 용지집적부(12)에는 프린터로 공급될 용지가 집적되고, 상기 회수용지보관부(14)에는 사용자가 수취하지 않은 용지나 파손된 용지등이 회수되어 보관되는 부분이다. 상기 용지집적부(12)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대적으로 후단(도 1 기준)에 형성되고, 상기 회수용지보관부(14)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대적으로 선단에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용지집적부(12)에는 각각 2개의 제1 및 제2 지지봉(12a,12b)가 서로 직교하게 연결되어 용지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용지집적부(12)에서 나온 용지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축(16)이 상기 용지집적부(12)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축(16)은 그 양단이 상기 단부판(11)에 각각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축(16)은 상기 용지집적부(12)에서 나온 용지를 최초로 안내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축(16)의 양단에는 제1단부가이드(16')가 구비된다. 상기 제1단부가이드(16')는 상기 가이드축(1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단부가이드(16')는 공급되는 용지의 양단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축(16)을 통과한 위치에는 용지인입가이드부(18)가 구비된다. 상기 용지인입가이드부(18)는 아래에서 설명될 프린팅부(26)로 용지를 안내하는 부분이다. 상기 용지인입가이드부(18)는 상기 프레임(10)의 양측 단부판(11)에 각각 양단부가 지지된다.
상기 용지인입가이드부(18)에는 하부가이드판(20)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가이드판(20)은 용지의 하면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단부판(11)에 양단이 지지되는 평평한 판이다. 상기 하부가이드판(20)과 소정의 틈새를 유지하도록 상기 하부가이드판(20)의 상부에는 상부가이드판(21)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가이드판(21)의 선단, 즉 용지와 처음 만나는 부분은,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가이드판(20)과의 사이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게 되도록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하부가이드판(20)과 상부가이드판(21)의 사이로 용지가 보다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가이드판(21)은 상기 하부가이드판(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판(20)의 상면 선단, 즉 상기 상부가이드판(21)과 마주보지 않는 부분에는 제2단부가이드(24)가 설치된다. 상기 제2단부가이드(24)는 상기 하부가이드판(20)중 용지 이송방향 양단에 해당되는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2단부가이드(24)는 용지의 양단부를 안내하는 것으로, 양단에 구비된 제2단부가이드(24)의 사이 간격이 선단으로 갈수록 더 넓게 되도록 적어도 선단의 마주보는 부분이 경사지게 또는 뾰죡하게 형성된다.
상기 용지인입가이드부(18)를 통과한 위치에는 프린팅부(26)가 설치된다. 상기 프린팅부(26)는 용지에 필요한 정보를 프린트하는 부분이다. 상기 프린팅부(26) 역시 상기 프레임(10)의 단부판(11)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프린팅부(26)에는 헤드브라켓(28)이 설치된다. 상기 헤드브라켓(28)은 일단부를 관통하는 회전축(28')의 양단이 상기 프레임(10)의 단부판(11)에 지지된다. 즉, 상기 헤드브라켓(28)은 상기 회전축(28')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헤드브라켓(28)은 상기 회전축(28')을 중심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플레이트롤러(36)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축(28')에 중심이 위치되게 설치되는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 .
상기 헤드브라켓(28)의 하면에는 프린팅헤드(30)가 설치된다. 상기 프린팅헤드(30)는 실질적으로 용지에 프린팅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상기 프린팅헤드(30)로는 TPH(Thermal printing head)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헤드브라켓(28)의 선단, 즉 상기 회전축(28')과 반대되는 위치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편(32)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편(32)은 상기 헤드브라켓(28)의 양단, 즉 용지 진행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걸이편(32)은 진행되는 용지의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진행방향으로 연장되는데, 그 하단은 가이드단(32a)이 되고, 상단은 걸이단(32b)이 된다. 상기 가이드단(32a)은 돌출되는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이단(32b)은 요입되는 곡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32)은 양단이 상기 프레임(10)의 단부판(11)에 지지되는 걸이축(34)에 걸어진다. 상기 걸이축(34)은 상기 단부판(11)에 형성된 걸이슬롯(34') 내에서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양단이 지지된다. 상기 걸이축(34)은 그 양단이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걸이슬롯(34') 내에서 상기 걸이편(32)방향으로 이동되려는 경향을 가진다.
플레이트롤러(36)는 상기 프린팅헤드(30)와 마주보게 설치되어 프린팅헤드(30)에 의해 눌러지는 용지를 지지함과 동시에 용지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레이트롤러(36)는 그 회전축이 상기 양단의 단부판(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플레이트롤러(36)의 회전을 위해서 프린팅모터(38)가 일측 단부판(11)에 설치된다. 상기 프린팅모터(38)의 구동력은 기어열(38')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롤러(36)로 전달된다. 상기 상기 프린팅모터(38)는 상기 단부판(11)의 내면에 장착되고, 상기 기어열(38')은 상기 단부판(11)의 외면에 차례로 설치된다. 상기 기어열(38')의 최종기어는 상기 플레이트롤러(36)의 회전축의 일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프린팅헤드(30)와 플레이트롤러(36)를 통과한 용지를 안내하기 위해 용지배출가이드부(40)가 구비된다. 상기 프린팅헤드(30)와 플레이트롤러(36)를 용지이송방향으로 통과한 위치에 상기 용지배출가이드부(40)가 설치된다. 용지배출가이 드부(40)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하부가이드판(42)과 상부가이드판(43)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가이드판(42)과 상부가이드판(43)으로 용지가 인입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틈새가 넓게 형성되도록 하부가이드판(42)과 상부가이드판(43)의 선단중 적어도 어느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팅부(50)는 용지를 일정한 길이로 잘라주는 것이다. 커팅부(5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가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되는데, 프레임브라켓(51)의 양단이 상기 프레임(10)의 단부판(11)에 지지된다. 상기 프레임브라켓(51)에는 커팅모터(52)가 설치되고, 상기 커팅모터(52)의 회전축에는 워엄기어(53)가 설치된다. 상기 워엄기어(53)는 상기 프레임브라켓(51) 측에 설치된 워엄휠(54)과 치합된다.
상기 프레임브라켓(51)에는 지지블레이드(56)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블레이드(56)와 협력하여 용지를 절단하도록 상기 프레임브라켓(51)에는 절단블레이드(58)가 설치된다. 상기 절단블레이드(58)는 상기 커팅모터(52)의 구동력을 상기 워엄휠(54)을 통해 전달받아 동작된다.
용지이송부(60)는 용지를 이송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용지이송부(60)에는 제1하부굴곡가이드(62)가 용지 이송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제1하부굴곡가이드(62)는 상기 프레임(10)의 단부판(11)에 양단이 지지된다. 상기 제1하부굴곡가이드(62)는 전체가 적어도 하나의 판으로 형성된다. 물론, 다수개의 조각으로 제1하부굴곡가이드(6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하부굴곡가이드(62)는 용지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진다.
상기 제1하부굴곡가이드(62)에는 돌출굴곡면(62')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굴곡면(62')은 상기 제1하부굴곡가이드(62)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1하부굴곡가이드(62)의 상면에 소정의 곡률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굴곡면(62')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될 수도 있으나, 대략 일정한 돌출 굴곡이 형성되도록 다수회 절곡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하부굴곡가이드(62)의 용지 진행방향 선단에는 선단가이드면(63)이 형성된다. 상기 선단가이드면(63)은 용지를 아래에서 설명될 제2하부굴곡가이드(64)를 향해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단가이드면(63)은 그 이전 부분의 경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경사진다. 즉, 수평에 가깝게 형성된다.
제2하부굴곡가이드(64)는 상기 제1하부굴곡가이드(62)의 선단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용지이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64) 역시 상기 프레임(10)의 단부판(11)에 그 양단이 지지된다.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64)에도 돌출굴곡면(64')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굴곡면(64')은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64)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2하부굴곡가이드(64)의 상면에 소정의 곡률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64)의 선단에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출가이드면(65)이 소정 길이만큼 형성된다.
상기 제1하부굴곡가이드(62)와 제2하부굴곡가이드(64)의 사이에는 셔터(66)가 설치된다. 상기 셔터(66)는 상기 굴곡가이드(62,64) 사이를 통해 용지가 선택적으로 상기 회수용지보관부(14)쪽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물론 평상시에는 상기 제1하부굴곡가이드(62)에서 제2하부굴곡가이드(64)로 용지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셔터(66)의 선단부는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64)의 입구측 상부에 위치되거나, 상기 제1하부굴곡가이드(62)의 하부에 위치된다. 즉, 상기 굴곡가이드(62,64) 사이를 개폐한다. 상기 셔터(66)는 전체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몇개의 조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셔터(66)는 셔터모터(68)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셔터모터(68)는 프레임(10)의 단부판(11)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셔터모터(68)의 구동력은 기어열(68')을 통해 전달된다. 상기 기어열(68')은 상기 일측 단부판(11)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기어열(68')의 마지막 기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동레버(69)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레버(69)의 선단에는 상기 셔터(66)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용지이송부(60)에는 상단가이드유니트(70)가 구비된다. 상기 상단가이드유니트(70)는 용지의 상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용지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단가이드유니트(70)에는 유니트브라켓(72)이 구비된다. 상기 유니트브라켓(72)은 상단가이드유니트(70)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유니트브라켓(72)은 그 회전축(72') 양단이 상기 프레임(10)의 단부판(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유니트브라켓(72)은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1 및 제2 하부굴곡가이드(62,6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려는 경향을 가진다. 도면부호 74는 상기 유니트브라켓(72)을 상기 프레임(10)의 단부판(11)에 선택적으로 걸어주는 걸이손잡이이다. 상기 걸이손잡이(74)는 상기 상단가이드유니트(70)를 회전축(72')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때 작업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기도 하다.
상기 상단가이드유니트(70)가 상대적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링크(76)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링크(76)는 그 일단부가 힌지핀(76')에 의해 상기 유니트브라켓(7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양단의 단부판(11)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슬롯(78')을 관통하는 링크가이드축(78)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슬롯(78')의 일단부에는 지지부(79)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79)는 상기 가이드슬롯(78')의 다른 부분과 형성방향이 거의 직교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79)에 상기 링크가이드축(78)이 안착되면, 상기 지지링크(76)가 상기 상단가이드유니트(70)를 받쳐서 상기 제1 및 제2 하부굴곡가이드(62,64)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상단가이드유니트(70)의 유니트브라켓(72) 하부에는 제1상부굴곡가이드(80)가 설치된다. 상기 제1상부굴곡가이드(80)는 상기 제1하부굴곡가이드(62)와의 사이에 용지가 안내될 수 있는 정도의 틈새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1상부굴곡가이드(80)는 상기 제1하부굴곡가이드(6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다. 즉, 상기 제1하부굴곡가이드(62)의 돌출굴곡면(62')과 대응되는 위치에 요입굴곡면(8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상부굴곡가이드(80)는 상기 제하부굴곡가이드(62)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상부굴곡가이드(80)도 역시 전체가 하나의 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64)와 마주보도록 상기 유니트브라켓(72)의 하부에는 제2상부굴곡가이드(82)가 구비된다. 상기 제2상부굴곡가이드(82) 역시 전체가 하나의 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상부굴곡가이드(82)는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64)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여 용지를 안내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상부굴곡가이드(82)는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6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상부굴곡가이드(82)에는 요입굴곡면(8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상부굴곡가이드(82)의 선단에는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64)의 배출가이드면(65)과 대응되게 배출가이드면(8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상부굴곡가이드(82)가 형성되면, 상기 제2하부 및 상부굴곡가이드(64,82)에서 용지의 이송방향 상류부는 중력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용지의 후단이 상기 용지회수부(14)로 처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상단가이드유니트(70)에는 제1이송롤러(86)가 구비된다. 상기 제1이송롤러(86)는 다수개가 상기 단부판(11)에 양단이 지지되는 회전축(도면부호 부여않음)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는 상기 기어열(84')의 마지막 기어가 설치된다. 상기 기어열(84')의 마지막기어는 상기 기어열(84')중 상기 단부판(11)상에 설치된 기어와 상기 상단가이드유니트(70)의 설치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다. 즉, 상기 제1이송롤러(86)는 상기 용지이송모터(84)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상기 제1이송롤러(86)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아이들롤러(86')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아이들롤러(86')는 그 양단이 상기 단부판(11)에 지지되는 회전축상에 설치된다. 상기 제1이송롤러(86)는 상기 제1상부굴곡가이드(80)와 제2상부굴곡가이드(82)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제1 및 제2 상부굴곡가이드(80,82)의 표면보다 돌출된다. 상기 아이들롤러(86')는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 (64)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제2하부굴곡가이드(64)의 표면보다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롤러(86)는 상기 아이들롤러(86')에 대해 중력방향선을 기준으로 용지의 이송방향 상류부에 위치한다. 이는 상기 제1이송롤러(86)가 용지의 후단을 용지의 상면에서 눌러 상대적으로 하부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용지가 상기 셔터(66)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64)의 후단 하부로 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이송롤러(86)가 설치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기어에는 연결기어(87)가 치합된다. 상기 연결기어(87)는 상기 유니트브라켓(72)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연결기어(87)는 제2이송롤러(88)가 설치되는 회전축(도면부호 부여않음)과 동축으로 설치되는 축기어(87')에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축기어(87')가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상기 제2이송롤러(88)가 회전된다. 상기 제2이송롤러(88)와 대응되게 상기 단부판(11)의 사이에는 아이들롤러(88')가 구비된다. 상기 아이들롤러(88')는 상기 단부판(11)에 양단부가 지지된 회전축상에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아이들롤러(88')는 상기 셔터(66)가 상기 제1 및 제2 하부굴곡가이드(62,64)의 사이 공간을 차폐할 때는 셔터(66)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셔터(66)의 표면보다 돌출된다.
제3이송롤러(90)는 상기 유니트브라켓(72)에 그 양단부가 지지되는 회전축상에 다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제3이송롤러(90)는 상기 제1상부굴곡가이드(80)의 슬롯을 통해 그 표면보다 돌출된다. 상기 제3이송롤러(90)는 상기 제2이송롤러(88)를 구동시키는 회전축으로부터 벨트기구(89)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다. 즉, 상기 제2 이송롤러(88)가 설치된 회전축과 제3이송롤러(90)가 설치된 회전축에 각각 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풀리에 각각 타이밍벨트가 걸어 감아져 동력이 전달된다. 물론 기어열을 통해 이들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제3이송롤러(90)와 대응되게 상기 제1하부굴곡가이드(62)의 돌출굴곡면(62')으로 돌출되게 아이들롤러(90')가 설치된다. 상기 아이들롤러(90')는 그 양단부가 상기 단부판(11)에 지지된 회전축에 다수개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64)의 하부에는 회전날개(92)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날개(92)는 양단이 단부판(11)에 지지된 회전축상에 다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날개(92)는 고무재질로 된 다수개의 날개부(93)를 구비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날개부(93)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회전날개(92)가 사용된다. 상기 회전날개(92)는 용지를 상기 제1하부굴곡가이드(62)와 제2하부굴곡가이드(64)의 사이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날개(9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은 상기 기어열(84')에 치합된 연결기어(92')를 통해 전달받는다. 상기 연결기어(92')는 상기 회전날개(92)가 설치되는 회전축에 설치된 전달기어(94)와 치합되고, 상기 전달기어(94)는 상기 회전축과 동축으로 설치된다.
선단이송모터(96)는 상기 단부판(11)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선단이송모터(96)의 회전력은 기어열(96')을 통해 전달된다. 상기 기어열(96')중 제일 마지막 기어는 상기 유니트브라켓(72)에 설치된다. 즉, 상기 유니트브라켓(72)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의 일단에 기어열(96')중 제일 마지막 기어가 동축으로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에는 선단이송롤러(98)가 설치된다. 상기 선단이송롤러(98)는 상기 제2상부굴곡가이드(82)의 슬롯을 통해 그 표면보다 돌출된다. 상기 선단이송롤러(98)와 대응되게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64)의 표면으로 돌출되게 아이들롤러(98')가 설치된다. 상기 아이들롤러(98')는 그 양단이 상기 단부판(11)에 지지되는 회전축 상에 다수개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선단이송롤러(98)와 프린팅헤드(30)사이의 거리 또는 선단이송롤러(98)와 커팅부(50)사이의 거리는 대략 기준용지 한장의 길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롤러(86,88,90,98)은 모두 용지의 상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는 여러장의 용지를 적층하여 한번에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에 있어서는 매우 효율적인 것이다. 이는 용지 위에 용지를 적층시킬 때, 적층되어 있는 용지에 대해 중력방향 상부에 다른 용지를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도면부호 99는 회전손잡이로서, 필요한 롤러(86,98) 등을 작업자가 강제로 돌려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손잡이(99)를 사용함에 의해 이송 경로상에 걸린 용지를 강제로 배출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편의상, 프린터의 동작을 설명하면서 용지이송부의 동작도 같이 설명한다.
상기 용지집적부(12)에 집적되는 용지는 소정의 길이로 절첩되어 연속적으로 연결된 것이다. 이와 같은 용지는 상기 용지집적부(12)에서 차례로 공급된다. 최초에는 사용자가 상기 용지의 선단을 상기 용지인입가이드부(18)로 삽입한다. 상기 용지가 용지인입가이드부(18)로 삽입된 것이 별도의 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프린팅모터(38)가 동작되면서 용지를 로딩시킨다. 상기 플레이트롤러(36)가 일정 시간동안 회전하여 용지의 선단이 미리 설정된 만큼 이동되면, 상기 커팅부(50)가 동작하여 용지를 잘라낸다. 이는 용지 선단이 정확하게 일직선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용지의 선단이 잘라지는 길이는 예를 들면 기준용지 한장 길이, 2/3길이, 1/3길이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용지는 A4사이즈로 할 수 있다.
잘라진 용지의 선단부분은 상기 용지이송부(60)로 전달되어 상기 이송롤러(86,88,90)에 의해 용지이송부(60)를 따라 이송된다. 상기 용지는 그 선단이 상기 선단이송롤러(98)와 아이들롤러(98')의 사이에 끼워질 때까지 이동된다. 상기 용지가 선단이송롤러(98)와 아이들롤러(98')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셔터(66)가 제1하부굴곡가이드(62)와 제2하부굴곡가이드(64) 사이를 개방하면, 용지는 그 사이를 통해 회수용지보관부(14)로 처지기 시작한다.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6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부분은 기준용지의 대략 1/3정도의 길이이다. 이때, 상기 회전날개(92)가 회전하면서 용지가 회수용지보관부(14)쪽으로 처지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따라서, 잘라 내어진 용지의 길이가 기준용지의 1/3정도인 경우에는 셔터(66)가 개방되어 있지 않아도 용지 후단이 상기 제1이송롤러(86)에 의해 회수용지 보관부(14)를 향해 처질 수 있다. 하지만, 기준용지의 길이나 2/3 길이로 용지가 절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64)에 의해서는 기준용지의 1/3정도만 지지되므로, 나머지 부분은 상기 개방된 셔터(66)를 통해 회수용지보관부(14)로 처지게 되어야 한다.
이때에는, 상기 셔터(66)를 개방한 상태로 상기 이송롤러(86,88,90)를 구동시켜, 용지의 선단은 상기 선단이송롤러(98)와 아이들롤러(98')의 사이에 끼워져 있고,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64)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상기 회수용지보관부(14)를 향해 처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이송롤러(86)와 아이들롤러(86')사이의 위치관계는 용지의 후단이 회수용지보관부(14)로 처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용지의 후단이 완전히 회수용지보관부(14)로 전달되면, 상기 이송롤러(86)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용지를 회수용지보관부(14)로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초기 세팅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원하는 정보를 인쇄하여 내보내는 동작이 수행된다. 일단 기준용지의 길이로 용지를 배출하는 것을 설명한다.
기준용지의 길이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인쇄된 용지는 상기 이송롤러(86,88,90)와 아이들롤러(86',88',90'), 그리고 상기 제1 하부 및 상부 굴곡가이드(62,80), 제2 하부 및 상부 굴곡가이드(64,82)에 의해 용지가 안내되어 이동된다.
상기 선단이송롤러(98)와 프린팅헤드(30) 또는 커팅부(50)사이의 거리가 기준용지 한장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기준용지의 길이로 배출하는 경우에는 일단, 상기 선단이송롤러(98)와 아이들롤러(98')의 사이에 용지의 선단이 끼워지게 하고, 후단은 상기 이송롤러(86,88,90)에 의해 계속 전진시켜, 상기 제2하부 굴곡가이드(64)에 의해 가이드되지 않는 부분은 셔터(66)를 개방하여 회수용지보관부(14)로 처지게 한다.
그리고, 기준용지 한장 길이로 용지를 자르기 위해서는 기준용지 한장에 해당되는 위치를 상기 커팅부(50)에 위치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용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회수용지보관부(14)로 처지게 하여야 한다. 일단 절단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롤러(86,88,90)를 계속 회전시켜 용지가 상기 회수용지보관부(14)로 처지도록 해야 한다. 물론 상기 용지의 선단은 상기 선단이송롤러(98)와 아이들롤러(98')의 사이에 잡혀있다.
이와 같이 하여 한장의 용지에 대한 인쇄가 완료되고 절단되면, 상기 선단이송롤러(98)가 구동되어 용지를 외부로 배출한다. 즉, 상기 배출가이드면(65,83) 사이를 통해 배출하여 사용자가 수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여러매의 용지를 요청한 경우에는, 일단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쇄완료된 한 장의 용지를 선단은 상기 선단이송롤러(98)와 아이들롤러(98')의 사이에 끼워지게 하고,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64)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부분은 회수용지보관부(14)로 처지게 한 상태로 두고, 다음의 용지를 인쇄하여 먼저의 용지와 동일한 위치로 오게 한다.
즉, 선단은 이전의 용지의 선단이 끼워진 선단이송롤러(98)와 아이들롤러(98')의 사이에 삽입되게 하고, 제2하부굴곡가이드(64)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부분은 회수용지보관부(14)로 처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원하는 매수가 집적 되면, 상기 선단이송롤러(98)의 구동에 의해 용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용지를 수취하지 않으면, 상기 선단이송롤러(98)가 역회전하도록 하고, 셔터(66)를 개방시켜 용지가 회수용지보관부(14)로 전달되게 한다. 이때, 상기 회전날개(92)는 회전하면서 용지의 회수를 돕는다.
이와 같은 동작은 용지의 길이설정이 기준용지의 2/3로 된 경우에도 동일하다. 하지만, 용지의 길이설정이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64)에 의해 전체가 지지될 수 있는 정도라면 용지의 후단을 회수용지보관부(14)로 처지게 하는 동작은 필요없다.
한편, 상기 용지이송부(60)에서 용지가 걸린 경우에는 상기 걸이손잡이(74)를 단부판(11)에서 분리되게 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단가이드유니트(70)가 회전축(7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들어 올려진다. 이와 같이 되었을 때, 상기 지지링크(76)의 일단부에 연결된 링크가이드축(78)이 가이드슬롯(78')의 지지부(79)에 위치하여 상기 상단가이드유니트(70)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걸린 용지를 제거한 후에는, 상기 지지링크(76)의 링크가이드축(78)이 상기 지지부(79)에서 빠져나오도록 하여 가이드슬롯(78')의 타단부에 있도록 하고, 상기 걸이손잡이(74)가 단부판(11)에 걸어지도록 하면, 상기 상단가이드유니트(70)의 제1 및 제2 상부굴곡가이드(80,82)가 상기 제1 및 제2 하부굴곡가이드(62,64)에 소정의 틈새를 가진 상태로 마주보게 되어, 다음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지 걸림을 쉽게 해소하기 위해 상단가이드유니트(70)를 회전축 (7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면서도, 상기 상단가이드유니트(70)에 이송롤러(86,88,90,98)를 설치하여 용지를 다수장 적층해서 한번에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송롤러(86,88,90,98)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용지이송모터(84)와 선단이송모터(96)는 프레임(10)의 단부판(11)에 설치하고, 기어열(84',96') 및 벨트기구(89) 등을 통해 상기 상단가이드유니트(70)측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있다.
상기 프린팅부(26)의 프린팅헤드(30) 역시 상기 헤드브라켓(28)이 회전축(28')을 중심으로 선단이 들어올려 질 수 있어, 필요시에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걸이편(32)은 그 가이드단(32a)을 상기 걸이축(34)에 대고 눌러주면, 상기 걸이축(34)이 걸이슬롯(34')에서 후퇴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축(34)이 상기 걸이단(32b)에 안착되면 상기 헤드브라켓(28)의 선단이 들어지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프린팅헤드(30)와 플레이트롤러(36)는 용지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틈새를 가지고 마주보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정보가 인쇄된 용지를 여러장 적층하여 한번에 배출하 고 회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용지에 정보가 완전히 인쇄될 때까지 용지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용지에 인쇄가 진행되는 도중에 용지를 사용자가 당겨 용지가 손상되거나 용지에 인쇄가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여러 매의 용지를 한번에 이송시킬 수 있어 한번에 용지를 배출하고 또한 회수할 수 있게 되어, 부주의에 의해 사용자의 정보가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용지이송부가 용지의 이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수평면상에서 용지가 이송되는 것이 비해 프린터의 전후 폭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용지이송부에서 용지의 길이가 일정 이상인 경우에 후단이 하방으로 처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도 역시 프린터의 전후 폭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가 경박단소화되어 자동화기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단가이드유니트가 프레임에 대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단이 회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상단가이드유니트가 회동됨에 의해 용지가 이송되는 경로를 쉽게 노출시킬 수 있어 잼이 발생한 경우에 제거가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상단가이드유니트를 회동시킨 상태에서 지지링크를 사용하여 상단가이드유니트를 세운 상태로 작업할 수 있어 유지보수작업이 보다 편리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8)

  1. 적어도 양단에 단부판이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고, 용지의 이송을 안내하는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고 중력방향 하부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 하부 및 상부 굴곡가이드와;
    상기 제1 하부 및 상부 굴곡가이드를 통과하여온 용지의 이송을 안내하는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고 중력방향 하부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 하부 및 상부 굴곡가이드와;
    상기 상부굴곡가이드의 표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구동원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면서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굴곡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용지이송경로의 최하류부에 구비되어 용지의 선단을 잡아 용지의 후단 처짐과 다수매의 용지의 적층이 가능하도록 하는 선단이송롤러와;
    상기 제1 및 제 2 하부 굴곡가이드의 사이에 용지의 후단 처짐과 용지의 회수를 위한 공간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셔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 및 선단이송롤러와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굴곡가이드의 표면으로 돌출되게 아이들롤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 및 선단이송롤러는 용지의 상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아이들롤러는 용지의 하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하부굴곡가이드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적어도 하나의 돌출굴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굴곡가이드에는 상기 돌출굴곡면에 대응되는 요입굴곡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부 및 상부굴곡가이드는 용지이송경로의 상류부가 중력방향 하부인 상기 셔터의 선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부 및 상부굴곡가이드의 용지이송경로의 상류부에 설치되는 이송롤러와 아이들롤러는 상기 이송롤러가 상대적으로 용지이송경로의 상류부측에 설치되어 용지의 후단이 하부를 향하도록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의 하부에는 상기 셔터에 의해 개방된 공간을 통해 용지를 안내하는 회전날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8. 적어도 양단에 단부판이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고, 용지의 이송을 안내하는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고 굴곡면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중력방향 하부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 하부 및 상부 굴곡가이드와;
    상기 제1 하부 및 상부 굴곡가이드를 통과하여온 용지의 이송을 안내하는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고 굴곡면이 형성되며 중력방향 하부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 하부 및 상부 굴곡가이드와;
    상기 상부굴곡가이드의 표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굴곡가이드의 굴곡부의 근처에 설치되어 구동원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면서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굴곡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용지이송경로의 최하류부에 구비되어 용지의 선단을 잡아 용지의 후단 처짐과 다수매의 용지의 적층이 가능하도록 하는 선단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와 선단이송롤러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그 사이에서 용지를 이송시키는 아이들롤러와;
    상기 제1 및 제 2 하부 굴곡가이드의 사이에 용지의 후단 처짐과 용지의 회수를 위한 공간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셔터와;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셔터에 의해 개방된 공간으로 용지를 안내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부 및 상부굴곡가이드는 용지이송경로의 상류부가 중력방향 하부인 상기 셔터의 선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부 및 상부굴곡가이드는 용지이송경로의 상류부가 중력방향 하부인 상기 셔터의 선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부 및 상부굴곡가이드의 용지이송경로의 상류부에 설치되는 이송롤러와 아이들롤러는 상기 이송롤러가 상대적으로 용지이송경로의 상류부측에 설치되어 용지의 후단이 하부를 향하도록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12. 적어도 양단에 단부판이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고, 용지의 하면을 안내하는 하부굴곡가이드와;
    상기 하부굴곡가이드와 함께 용지의 하면을 선택적으로 안내하고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어 용지가 하부로 낙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셔터와;
    상기 프레임에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 부굴곡가이드와의 사이에 용지의 이송을 위한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는 상부굴곡가이드가 구비되는 상단가이드유니트와;
    상기 상단가이드유니트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굴곡가이드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용지의 상면에 접촉되어 용지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와;
    상기 굴곡가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용지이송경로의 최하류부에 해당되는 상기 상단가이드유니트에 구비되어 용지의 선단을 잡아 용지의 후단 처짐과 다수매의 용지의 적층이 가능하도록 하는 선단이송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가이드유니트를 구성하는 유니트브라켓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단이 회동가능하며, 상기 유니트브라켓에는 지지링크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링크의 타단부에 구비된 링크가이드축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슬롯의 지지부에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상단가이드유니트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 및 선단이송롤러와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굴곡가이드의 표면으로 돌출되게 아이들롤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하부굴곡가이드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적어도 하나의 돌출굴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굴곡가이드에는 상기 돌출굴곡면에 대응되는 요입굴곡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굴곡가이드는 각각 2개씩 구비되는데, 제2 하부 및 상부굴곡가이드는 용지이송경로의 상류부가 중력방향 하부인 상기 셔터의 선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부 및 상부굴곡가이드의 용지이송경로의 상류부에 설치되는 이송롤러와 아이들롤러는 상기 이송롤러가 상대적으로 용지이송경로의 상류부측에 설치되어 용지의 후단이 하부를 향하도록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부굴곡가이드의 하부에는 상기 셔터에 의해 개방된 공간을 통해 용지를 안내하는 회전날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KR1020050073938A 2005-08-11 2005-08-11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KR100597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938A KR100597105B1 (ko) 2005-08-11 2005-08-11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938A KR100597105B1 (ko) 2005-08-11 2005-08-11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7105B1 true KR100597105B1 (ko) 2006-07-05

Family

ID=37183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938A KR100597105B1 (ko) 2005-08-11 2005-08-11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1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777B1 (ko) 2008-11-20 2010-09-13 엘지엔시스(주)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KR101001759B1 (ko) 2006-08-22 2010-12-1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8108B1 (en) 1997-12-20 2002-06-04 Ncr Corporation Machine for dispensing media
KR20020093368A (ko) * 2001-06-08 2002-12-16 엘지엔시스(주) 현금자동 인출기의 명세표 공급장치
JP2003026363A (ja) 2001-07-16 2003-01-29 Oki Electric Ind Co Ltd 媒体処理装置
KR20030023187A (ko) * 2001-09-12 2003-03-19 엘지엔시스(주) 현금자동 인출기의 명세표 회수 보강장치
KR20040048762A (ko) * 2002-12-04 2004-06-10 엘지엔시스(주) 명세표 로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8108B1 (en) 1997-12-20 2002-06-04 Ncr Corporation Machine for dispensing media
KR20020093368A (ko) * 2001-06-08 2002-12-16 엘지엔시스(주) 현금자동 인출기의 명세표 공급장치
JP2003026363A (ja) 2001-07-16 2003-01-29 Oki Electric Ind Co Ltd 媒体処理装置
KR20030023187A (ko) * 2001-09-12 2003-03-19 엘지엔시스(주) 현금자동 인출기의 명세표 회수 보강장치
KR20040048762A (ko) * 2002-12-04 2004-06-10 엘지엔시스(주) 명세표 로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759B1 (ko) 2006-08-22 2010-12-1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KR100981777B1 (ko) 2008-11-20 2010-09-13 엘지엔시스(주)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553B1 (ko) 시트 처리 장치 및 시트 처리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EP2085347A2 (en) Printing system
EP2085235A1 (en) Decurling mechanism
US8395828B2 (en) Stack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tacking device
EP2085234A2 (en) Decurling mechanism
JP2003019845A (ja) プリンタ装置
US7303189B2 (en) System for media handling
EP2085346A2 (en) Decurling mechanism
US20130276609A1 (en) Sheet cutting device
KR100756486B1 (ko) 자동화기기의 프린터
JP5112626B2 (ja) シート排出システム
KR100597105B1 (ko) 자동화기기용 프린터의 용지이송부
WO2013102438A1 (zh) 容纸模块和具有该容纸模块的打印装置
US9643437B2 (en) Printer that avoids exposure of a star wheel
US7413180B2 (en) Sheet finish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US9079438B1 (en) Printer
US20120056366A1 (en) Printing apparatus and paper holding device
JP3879819B2 (ja) カッター装置及び該カッター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
JP4747435B2 (ja) プリンタにおける印刷媒体の積層搬送方法
JP2019052014A (ja) 画像記録装置
JP3812641B2 (ja) 排紙従動ローラ取付装置及び該排紙従動ローラ取付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
JP2022030197A (ja) カッター装置及びプリンタ装置
JP5122354B2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後処理装置並びに画像形成システム
KR100591087B1 (ko) 인쇄 장치
US20090090775A1 (en) Printer and issu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