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689B1 - 전화 호출을 이용한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 호출을 이용한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689B1
KR100595689B1 KR1020040089404A KR20040089404A KR100595689B1 KR 100595689 B1 KR100595689 B1 KR 100595689B1 KR 1020040089404 A KR1020040089404 A KR 1020040089404A KR 20040089404 A KR20040089404 A KR 20040089404A KR 100595689 B1 KR100595689 B1 KR 100595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terminal
video
descriptor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0170A (ko
Inventor
박계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9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689B1/ko
Publication of KR20060040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거리에 있는 카메라형 단말기에 전화를 걸어 카메라를 제어함으로써, 원격으로 사진 및 비디오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 호출을 이용한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 B를 이용해 단말기 A를 호출하여 호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B는 카메라 또는 비디오 제어 명령을 해당하는 기술자로 인코딩하여 통신 채널(CS)을 통해 단말기 A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A는 상기 기술자를 파싱하여,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그 결과에 대한 기술자를 단말기 B로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화 호출을 이용한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REMOTE CONTRO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PHONE CALL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를 위한 기술자 포맷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 방법을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거리에 있는 카메라형 단말기에 전화를 걸어 카메라를 제어함으로써, 원격으로 사진 및 비디오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 호출을 이용한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화 통화 기능 이외에, 카메라, MP3 플레이어, 인터넷 기능,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아울러, 단말기의 모양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디자인 요소를 많이 고려하여 설계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카메라 기능은 사용자들이 단말기 구입을 결정하는 대단히 중요한 요소가 되었으며, 단말기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단순한 부가 기능을 넘어서 점차 메인 기능이 됨으로써, 이제는 카메라 기능과 관련된 부가 기능을 개발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현재 이동 통신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를 제어하는 방법은, 카메라 촬영 모드에서 뷰파인더 대신 엘시디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지정된 촬영 버튼(예 : 통화 버튼, 선택 버튼 등)을 직접 누름으로써 촬영이 이루어지고 있다. 물론, 비디오 촬영의 경우에도 모드만 다를 뿐 동일한 방법으로 촬영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촬영 버튼을 눌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 자신을 포함하는 원거리 사진의 촬영이 어렵고, 기존의 일반 카메라에 있는 타이머 기능은 시간 제약이 있기 때문에 포즈를 취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더욱이 비디오 촬영의 경우에는 타이머 기능조차도 없기 때문에 촬영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원거리에 있는 카메라형 단말기에 전화를 걸어 카메라를 제어함으로써, 원격으로 사진 및 비디오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 호출을 이용한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 B를 이용해 단말기 A를 호출하여 호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B는 카메라 또는 비디오 제어 명령을 해당하는 기술자로 인코딩하여 통신 채널(CS)을 통해 단말기 A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A는 상기 기술자를 파싱하여,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그 결과에 대한 기술자를 단말기 B로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 채널(CS : Communication Service)의 예약 패킷(reserved packet)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CS 채널의 예약 패킷을 통해, 전화 호출 시 카메라의 원격 제어를 위한 기술자(Descriptor)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상기 전화 호출(Call)을 받은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술자를 파싱(Parsing) 함으로써, 그 기술자에 따라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이나 비디오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제공을 요지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 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를 위한 기술자 포맷을 보인 예시도로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술자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도1을 참조하면, 카메라 원격 제어를 위한 기술자임을 나타내는 16비트의 기술자 정의 필드(Descriptor_tag)와, 상기 원격 제어용 기술자의 길이를 나타내는 16비트의 길이 필드(Descriptor_length)와, 상기 기술자의 동작 제어 대상이 카메라임을 나타내기 위한 4비트의 카메라 아이디 필드(Camera_Control_id)와, 카메라의 동작 제어 신호를 위한 3비트의 카메라 제어 신호 필드(Camera_signal) 및 1비트의 예약 필드(Reserved)와, 상기 기술자의 동작 제어 대상이 비디오임을 나타내는 4비트의 비디오 아이디 필드(Video_control_id)와, 비디오의 동작 제어 신호를 위한 3비트의 비디오 제어 신호 필드(Video_signal) 및 1비트의 예약 필드(Reserved)와, 사용자가 정의한 각종 데이터를 포함하기 위한 16비트의 사용자 데이터 필드(User_data)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정의된 기술자는 기존 CS 패킷 안에 포함되며, 기술자 태그(TAG 또는 ID)에 의해 이 기술자가 전화 호출(Call)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을 제어하는 정보인 지, 아니면 그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 정보인지를 아래와 같이 나타내도록 한다.
Discriptor_tag : RemoteControlRequest = 0xff70,
RemoteControlResponse = 0xff71,
다음,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 및 비디오 제어 신호는 아래와 같이 그 기능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Camera_signal : 0x00=default,
0x01=카메라 설치,
0x02=카메라 촬영준비 완료,
0x03=사진촬영,
Video_signal : 0x00=default,
0x01=비디오 설치,
0x02=비디오 촬영준비 완료,
0x03=비디오 촬영 시작,
0x04=비디오 촬영 멈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는 사진촬영(0x03) 명령이 내려지면 한번의 촬영만 이루어지지만, 비디오 제어 신호는 촬영 시작 명령과 촬영 정지 명령을 내려줄 수 있도록 명령을 구비한다. 물론, 연속 촬영 기능이 있는 카메라의 경우 연속 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 방법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거리에서 사진을 촬영하고자 하 는 경우, 사용자는 다른 단말기(B)를 이용하여 원거리에 있는 카메라형 단말기(A)에 전화를 건다.
이때, 상기 제어되는 카메라형 단말기(A)는 미리 카메라 원격 제어모드로 설정되어야 하며, 해당 모드에서 전화가 수신되면 자동으로 수신을 하고,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파싱하여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카메라형 단말기(A)를 제어하는 단말기(B)에서도 일반 전화 통화가 아니라, 카메라 원격 제어모드에서 카메라형 단말기(A)를 '호출'한 후, 지정된 메뉴(사용자 UI)를 선택함으로써 자동으로 상기 기술자가 전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술자에 대해 전혀 모르더라도 카메라의 원격 제어에는 어려움이 없게 된다.
따라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카메라 원격 제어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메라 설치 메뉴를 선택하면, 단말기 B는 해당 기술자로 변환하여 단말기 A에 카메라 설치를 요청하는 기술자를 전송하고, 단말기 A는 통신 채널(CS)에 포함된 그 기술자를 수신하여 파싱한다.
그리고, 상기 파싱된 기술자에 따라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카메라, 비디오 등)을 구동하고, 기술자의 요청대로 카메라를 설치(구동)하고 준비 완료되었음을 단말기 B로 자동 응답한다.
이에 따라, 단말기 B는 상기 카메라 설치 요청을 한 후 그 응답을 대기하고 있다가, 단말기 A로부터 응답을 받으면 마찬가지로 통신 채널(CS)에 포함된 그 기술자를 파싱 카메라 촬영 준비가 완료되었으면, 단말기 B의 사용자 메뉴에 카메라 촬영 버튼을 활성화 시켜, 사용자가 촬영 버튼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촬영 버튼(비디오의 경우 비디오 촬영 시작 버튼)을 누르면, 단말기 B는 해당 기술자로 변환하여 단말기 A에 카메라 촬영을 요청하는 기술자를 전송하고, 단말기 A는 통신 채널(CS)에 포함된 그 기술자를 파싱한 후, 이미 카메라 기능이 구동되어 있으므로 즉시 카메라를 촬영하고, 실행 결과를 다시 기술자로 정의하여 단말기 B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 촬영 동작은 이미 두 단말기 A,B 간에 호가 연결된 상태이므로, 기술자가 전송됨과 거의 동시에 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도2의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촬영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비디오 촬영의 경우에도 기술자의 내용이 다를 뿐, 동일한 과정을 통해 비디오 촬영을 시작하고 멈추게 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전화 호출을 이용한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은 원거리에 있는 카메라형 단말기에 전화를 걸어 원격으로 사진 및 비디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단말기 B를 이용해 단말기 A를 호출하여 호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B는 카메라 또는 비디오 제어 명령을 해당하는 기술자로 인코딩하여 통신 채널을 통해 단말기 A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A는 상기 기술자를 파싱하여,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그 결과에 대한 기술자를 단말기 B로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호출을 이용한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B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절차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명령 메뉴를 단계별로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호출을 이용한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A는,
    카메라 원격 제어모드에서 전화를 자동으로 수신하여 호를 연결하고, 호 연결 후 단말기 B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파싱하여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호출을 이용한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자는,
    기술자 정의 필드(Descriptor_tag)와; 상기 원격 제어용 기술자의 길이를 나타내는 길이 필드(Descriptor_length)와; 상기 기술자의 동작 제어 대상이 카메라임을 나타내기 위한 카메라 아이디 필드(Camera_Control_id)와; 카메라의 동작 제어 신호를 위한 카메라 제어 신호 필드(Camera_signal) 및 예약 필드(Reserved)와; 상기 기술자의 동작 제어 대상이 비디오임을 나타내는 비디오 아이디 필드(Video_control_id)와; 비디오의 동작 제어 신호를 위한 비디오 제어 신호 필드(Video_signal) 및 예약 필드(Reserved)와; 사용자가 정의한 각종 데이터를 포함하기 위한 사용자 데이터 필드(User_data)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호출을 이용한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자 정의 필드는,
    이 기술자가 전화 호출(Call)을 이용한 카메라 촬영을 제어하는 정보(Remote Control Request) 또는 그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 정보(Remote Control Response)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호출을 이용한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Camera_signal)는,
    카메라 설치, 카메라 촬영준비 완료, 사진촬영 명령에 대한 정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호출을 이용한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제어 신호(Video_signal)는,
    비디오 설치, 비디오 촬영준비 완료, 비디오 촬영 시작, 비디오 촬영 멈춤 명령에 대한 정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호출을 이용한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KR1020040089404A 2004-11-04 2004-11-04 전화 호출을 이용한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제어 방법 KR100595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404A KR100595689B1 (ko) 2004-11-04 2004-11-04 전화 호출을 이용한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404A KR100595689B1 (ko) 2004-11-04 2004-11-04 전화 호출을 이용한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170A KR20060040170A (ko) 2006-05-10
KR100595689B1 true KR100595689B1 (ko) 2006-07-03

Family

ID=37147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404A KR100595689B1 (ko) 2004-11-04 2004-11-04 전화 호출을 이용한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6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4148A (ja) 2002-12-13 2004-07-08 Nec Corp 遠隔操作システム
JP2004222216A (ja) 2003-01-14 2004-08-05 Hagiwara Sys-Com:Kk 遠隔画像撮影方法および遠隔画像撮影装置
KR20040075547A (ko) * 2003-02-21 2004-08-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파를 이용한 휴대용 통신기기의 카메라 기능 원격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040082152A (ko) * 2003-03-18 200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카메라 촬영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4148A (ja) 2002-12-13 2004-07-08 Nec Corp 遠隔操作システム
JP2004222216A (ja) 2003-01-14 2004-08-05 Hagiwara Sys-Com:Kk 遠隔画像撮影方法および遠隔画像撮影装置
KR20040075547A (ko) * 2003-02-21 2004-08-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파를 이용한 휴대용 통신기기의 카메라 기능 원격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040082152A (ko) * 2003-03-18 200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카메라 촬영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89404 - 62273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170A (ko)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2961B2 (ja) ビデオコンテンツを取得する方法及び機器
US8619767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US8085310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for
EP1955536A1 (en) Remote control of an image captioning device
CN108920120B (zh) 一种信息显示控制方法及装置
US82745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sting video data and audio data to web during video telephon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11212306A (zh) 连麦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030078765A (ko) 화상배신방법
KR100736898B1 (ko) 원격 카메라 서비스 제공 영상전송 이동통신 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영상전송 서비스 제공방법
CN112261453A (zh) 一种传输字幕拼接图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070113578A (ko) 화상통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화상처리 방법
KR100595689B1 (ko) 전화 호출을 이용한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제어 방법
CN104702845A (zh) 一种终端间互动拍摄的方法、装置及相关设备
JP4692138B2 (ja) 携帯端末からのパン&チルト機能搭載型ネットワークカメラ画像の閲覧方法及びパン&チルト機能搭載型ネットワークカメラ
KR100625376B1 (ko) Tv 전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상 전화 서비스 방법
CN113691790A (zh) 多媒体数据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030418B1 (ko) 미리 준비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화상통화 방법
US2014002000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KR10063167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 전송 방법
JP2002057935A (ja) 携帯電話を用いてカメラを制御する方法
KR20060089539A (ko) 휴대폰의 프라이버시 정보 처리방법
KR100513053B1 (ko) 영상데이터 프리뷰 자동 제어 방법
KR20180136054A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2101327A (ja) 撮像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並びに通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CN114465990A (zh) 通信方法、系统、工作终端及网络摄像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