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666B1 -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666B1
KR100595666B1 KR1020040041163A KR20040041163A KR100595666B1 KR 100595666 B1 KR100595666 B1 KR 100595666B1 KR 1020040041163 A KR1020040041163 A KR 1020040041163A KR 20040041163 A KR20040041163 A KR 20040041163A KR 100595666 B1 KR100595666 B1 KR 100595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upply terminal
accessory
external pow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5759A (ko
Inventor
심재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1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666B1/ko
Priority to CNA2004101029234A priority patent/CN1708060A/zh
Publication of KR20050115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액세서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하여 액세서리의 크기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액세서리 줄을 걸기 위한 고리 부분에 위치하며, 배터리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외부에서 연결되고, 전원을 필요로 하는 액세서리로 공급하는 외부 전원 공급 단자와; 상기 배터리의 전압 레벨 및 외부에서 연결된 액세서리 결함 여부에 따라 상기 외부 전원 공급 단자로 상기 배터리의 전원 출력을 제어하는 외부 전원 공급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전원 공급이 필요한 액세서리의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가 액세서리의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MOBILE TERMINAL WITH POWER SUPPLY PORT}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외부 전원 공급 단자의 위치를 도시한 일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배터리 20:단말기
21:외부 전원 공급 단자 22:외부 전원 공급 제어부
30:액세서리
본 발명은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액세서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하여 액세서리의 크기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단말기에 휴대폰 줄이나 인형 등과 같은 기능적인 요소가 없는 액세서리들 뿐만 아니라 소형 건전지를 내장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액세서리들도 달고 다닌다. 예컨대, 손전등과 같은 기능을 보유한 액세서리는 소형 건전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빛을 온/오프 시킨다. 또한, 1화음 단말기에 연결하는 40화음 인형과 같은 액세서리들도 자체 전력을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건전지 등을 장착한다. 이렇듯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액세서리들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건전지 등을 장착하기 때문에 액세서리의 부피와 무게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단말기 하부에 구비된 통신 포트를 통해 액세서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이 있었다. 하지만, 이 방법도 통신 포트에 액세서리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휴대 단말기는 통신 포트를 통해 액세서리의 전원을 공급하였기 때문에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액세서리 줄을 연결하는 고리 부분에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에서 연결하는 액세서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전원 공급이 필요한 액세서리의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외부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 단자와, 상기 입력된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 단자로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으로써, 기능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액세서리 기능의 확장성까지 고려되는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전원 공급 단자가 고리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액세서리의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세서리 줄을 걸기 위한 고리 부분에 위치하며, 배터리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외부에서 연결되고, 전원을 필요로 하는 액세서리로 공급하는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전원 공급 단자에 액세서리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외부 도체에 의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지 캡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의 전압 레벨 및 외부에서 연결된 액세서리 결함 여부에 따라 상기 외부 전원 공급 단자로 상기 배터리의 전원 출력을 제어하는 외부 전원 공급 제어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전원 공급 제어부는 배터리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전압 레벨보다 낮거나 상기 액세서리 불량에 의해 단락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원 공급 단자로 출력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액세서리 연결을 도시한 일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20)는 배터리(10)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외부에 서 연결된 액세서리(30)로 공급하는 외부 전원 공급 단자(21)와, 상기 배터리(10)의 전압 레벨 및 외부에서 연결된 액세서리(30) 상태에 따라 상기 외부 전원 공급 단자(21)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외부 전원 공급 제어부(2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외부 전원 공급 단자(21)에 액세서리(30)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외부 도체에 의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지 캡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전원 공급 단자(21)는 도2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액세서리(30)의 줄을 거는 고리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 전원 공급 제어부(22)는 배터리(10)의 전압 레벨을 체크하여 배터리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전압 레벨(단말기 생산업체 또는 이동 통신 사업자가 결정)보다 낮거나 연결된 액세서리 불량에 의해 단락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원 공급 단자(21)로 출력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즉, 상기 외부 전원 공급 제어부(22)는 배터리(10)의 전원이 여유가 있을 경우에만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외부 전원 공급 단자(21)로 공급하고, 배터리의 전원이 단말기(20)에서만 사용할 정도(예를 들어, 충전이 요구되는 상황)이거나 상기 외부 전원 공급 단자(21)로 연결된 액세서리(30)에 문제가 있을 경우, 예를 들어, 액세서리 불량에 의해 내부 회로가 단락된 경우 또는 단말기(20)와 액세서리(30)의 접촉 불량과 같이 배터리 또는 단말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 전원 공급 단자(21)와 배터리(10)의 연결을 끊어버린다.
그리고, 상기 외부 전원 공급 단자(21)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수행하여 모든 액세서리 제품들과 호환할 수 있도록 하고, 단말기(20)와 연결된 액세서리(30)의 분리를 막기 위해 액세서리의 줄을 고리에 거친 후 장착하거나 상기 외부 전원 공급 단자(21)와 액세서리(30)의 연결 부분을 스크류(screw) 방식으로 만들어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액세서리(30)를 외부 전원 공급 단자(21)에 연결하면, 외부 전원 공급 제어부(22)를 통해 배터리(10)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고, 그 입력된 전원을 이용하여 액세서리 기능을 동작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액세서리 줄을 거는 고리 부분에 구비된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통해 기능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액세서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단말기 기능의 확장성까지 고려하여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손전등, 알람, 미니 전자수첩 등의 부수적인 기능들이 액세서리를 통해 구현이 가능해진다.
또한, 액세서리의 전원을 단말기에 구비된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통해 입력받기 때문에 액세서리의 무게 및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더 나아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면 듀얼 액정 단말기가 아닌 경우 데이터 교환에 의한 외부 액정 기능을 하는 액세서리 또는 16화음 단말기에 장착하여 40/64화음 또는 그 이상의 음질을 제공하는 액세서리 등을 개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세서리 줄을 연결하는 고리 부분에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에서 연결하는 액세서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전원 공급이 필요한 액세서리의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전원 공급 단자가 고리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액세서리의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배터리로부터 발생한 전력을 외부에 공급하기 위한 외부 전원 공급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 전원 공급단자가 액세서리 줄을 걸기 위한 고리부분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 공급 단자에 액세서리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외부 도체에 의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지 캡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 레벨 및 외부에서 연결된 액세서리 결함 여부에 따라 상기 외부 전원 공급 단자로 상기 배터리의 전원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의 전압 레벨이 기 설정된 전압 레벨보다 낮거나 상기 액세서리 불량에 의해 단락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원 공급 단자로 출력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 공급 단자는
    스크류 방식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6. 배터리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외부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 단자와;
    상기 입력된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 단자로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단자는
    단말기에 액세서리 줄을 걸기 위한 고리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단자는
    스크류 방식으로 장착 및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 레벨을 체크하여 상기 체크된 전압 레벨이 단말기에 기 설정된 전압 레벨보다 낮거나 상기 전원 공급 단자에 연결된 액세서리의 접촉 불량에 의해 단락되면 상기 전원 공급 단자로 출력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40041163A 2004-06-05 2004-06-05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595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163A KR100595666B1 (ko) 2004-06-05 2004-06-05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NA2004101029234A CN1708060A (zh) 2004-06-05 2004-12-30 带有外部供电端子的便携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163A KR100595666B1 (ko) 2004-06-05 2004-06-05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759A KR20050115759A (ko) 2005-12-08
KR100595666B1 true KR100595666B1 (ko) 2006-07-03

Family

ID=3558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163A KR100595666B1 (ko) 2004-06-05 2004-06-05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95666B1 (ko)
CN (1) CN170806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5432B (zh) 2009-01-27 2016-08-24 株式会社久保田 管接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08060A (zh) 2005-12-14
KR20050115759A (ko)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6293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rechargeable battery
US9984844B2 (en) Switch device and power supply control system
US9112958B2 (en) Wireless headset and battery status indication method thereof
US20090061957A1 (en) Solar operated battery headset
CN104506993A (zh) 多功能蓝牙音响装置
EP0607038A1 (en) Portable telephone
KR100595666B1 (ko) 외부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7933633B2 (en) Wireless control apparatus for web phones
WO2017202176A1 (zh) 一种带有来电提醒功能的箱包
US6580929B1 (en) Mobile phone charger also functioning as a remote sound monitoring device
CN112073079B (zh) 一种基于蓝牙技术的防丢失对讲机
US6926451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light accessory port
JP2001274744A (ja) 充電器内蔵携帯電話機
KR200399141Y1 (ko) 휴대용 충전장치
KR102229758B1 (ko)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
JPH11265601A (ja) 通信機能付き非常灯装置
CN213690183U (zh) 一种手机壳的发光装置及手机壳
KR200299274Y1 (ko) 휴대폰 배터리 충전용 커넥터
KR200176394Y1 (ko) 차량장착 휴대폰용 무선 핸드프리킷
KR200210704Y1 (ko) 휴대폰용 비상 충전기
KR100208945B1 (ko)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착신/충전상태 표시램프 겸용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4475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온/오프정보 표시방법
KR200307137Y1 (ko) 손전등으로 사용가능한 휴대폰 밧데리 및 휴대폰 밧데리충전기
KR20200097908A (ko) 모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안경
KR0168003B1 (ko) 무선전화기의 로우밧데리 경고후 통화유지를 위한 휴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