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261B1 - 롤러망창에 있어 가요성 메시상망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롤러망창에 있어 가요성 메시상망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261B1
KR100593261B1 KR1020040040761A KR20040040761A KR100593261B1 KR 100593261 B1 KR100593261 B1 KR 100593261B1 KR 1020040040761 A KR1020040040761 A KR 1020040040761A KR 20040040761 A KR20040040761 A KR 20040040761A KR 100593261 B1 KR100593261 B1 KR 100593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storage case
flexible mesh
roller
guide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2910A (ko
Inventor
남창완
Original Assignee
남창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창완 filed Critical 남창완
Priority to KR1020040040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261B1/ko
Publication of KR20040062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2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에 응하여 가용성 메시상망을 자유롭게 장설하게 한 롤러망창에 있어 가요성 메시상망연(網緣)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롤러망창에 있어서는 수납케이스와 이 수납케이스의 상하단에 고정된 상하 가이드레일 및 이 상하 가이드레일 사이를 이동운동하며 상하 가이드레일 단부의 캡에 걸림되는 이동종간으로 구성된 방형(方形)상 망창틀의 트임부에 장설된 가요성(可撓性) 메시(mesh)상망에 대하여 면외 방향의 풍압이 가해지면 가요성 메시상망은 면외 방향으로 인장되어 수납케이스 내에 권회 수납되어 있는 망롤러에서 가요성 메시상망을 인출하려고 한다.
그 결과 수납 케이스 내에 있어서는, 중공 단면 권취 축에 권회되어 있던 망롤러에서 가요성 메시상망이 인출되어 해 방형상 망창틀의 거의 중앙부가 크게 면외 방향으로 팽창되어짐과 동시에 해 가요성 메시 상망의 상하단부가 가이드레일에서 이탈되어 틈새가 생겨 방충기능을 할 수 없는 결점이 생겼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이의 발명 요지는 콤팩트 한 치수를 변경하지 않고 롤러망창 상하 단부(端部)의 말려짐을 방지하여 방충기능을 얻고자 한 것으로 이의 발명요지는 방형상 망창틀(2)에 장설됨과 동시, 면외 방향에 돌출된 돌기(12)를 배설한 가요성 메시상망판(9)의 상하 단부(端部)(9')(9")을 상하 가이드레일(4)(5)에 헐겁게 끼움(遊嵌)시킨 상하 슬라이딩 슈(13)(14)에 형성된 수납케이스 방향에 그 일부를 확대시킨 박스형 공간(16)(16')을 형성하여 이때 단부가 돌출된 슬러트(15)에 삽통시킴으로서, 상기 돌기와 상하 슬라이딩 슈의 슬러드의 박스형 공간이 걸림함에 따라 가요성 매시상망과 상하 슬라이딩 슈(13)(14)가 일체화되어 상기 가요성 매시상망은 방형상(方形狀) 망창틀의 상하 좌우에서 확실히 고정 지지되어 심한 풍압을 받아 면외 방향으로 팽창되어도 상하 단부가 권상되어 방충기능을 저하시키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롤러망창에 있어 가요성 메시상망연 고정장치

Description

롤러망창에 있어 가요성 메시상망연 고정장치{flexible mesh fixing devices of roller mesh wind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비한 롤러망창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 하부 가이드레일에 헐겁게 끼움된 하부 슬라이딩 슈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있어 하부 가이드레일에 헐겁게 끼움된 하부 슬라이딩 슈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요성 매시망창의 하단부의 돌자와 하부 슬라이딩 슈와의 관계를 표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비한 하부 가이드레일의 별도실시예의 요부 확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롤러망창 2-방형(方形)상 망창틀 3-수납케이스
4-상부 가이드레일 5-하부 가이드레일
5'-변형된 하부 가이드레일 5"- 수직벽 6-상단부 캡
7-하단부 캡 8-이동종간 9-가요성 메시상망
9'-가요성 메시상망 상단부 9"-가요성 메시상망 하단부
10-롤러망창의 망단부 고정장치 11-폴리에스텔 테이프
12-돌기 13-상부 슬라이딩 슈
14-하부 슬라이딩 슈 15-슬러트(slotter) 16-박스형 공간
16'-선단부 16a-트임부 17, 17'-스토퍼
본 발명은 필요에 응하여 가요성 메시상망을 장설 자유하게 하는 롤러망창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필요에 의하여 장설 자유되게 한 롤러망창은 도션 스프링을 내접 격납하는 중공 단면 권취 축에 가요성 메시(mesh)상망의 일단을 고정하고 권회하여 망롤러를 형성하고, 타단을 망을 옆으로 당겨서 확개하기 위하여 이동종간에 망을 고정함과 동시에 이 망롤러를 슬러트가 있는 중공단면의 수납케이스 내에 내접 수납되게 하고 이 수납케이스의 상하단에 고정된 상하 가이드레일 사이에 있어서는 이동종간을 상하 가이드레일 단부에 걸림게 끼움함에 따라 이 수납케이스에서 가요성 메시상망을 인출하여 수납케이스와 연통된 상하 가이드레일 및 이동종간으로 형성된 장방형상 망창틀에 장설한 것으로, 상기한 이동종간을 트임부의 종지지틀에 고정시킨 다음 인출 자유되게 한 망롤을 내접 수납하는 수납케이스 자체를 이동 운동시킬 수 있게 가요성 메시상망을 상기한 트임부에 장설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롤러망창에 있어서는 수납케이스와 이 수납 케이스의 상하단부에 고정된 상하 가이드레일 및 이상 하 가이드레일 사이를 이동 운동하여 상하 가이드레일 단부의 캡에 걸림되는 이동종간에 형성된 방형상 망창틀의 트임부에 장설된 가요성 메시상망에 대하여서는 망창에 풍압이 가해지면 가요성 메시상망은 면외 방향으로 인장되어 수납케이스 내에 권회 수납되어 있는 망롤러로부터 가요성 메시상망을 다시 인출하게 된다.
그 결과 수납케이스 내에는 중공 단면 권취축에 권회되어 있던 망롤러에서 가요성 메시상망이 인출되어 방형상 망창틀의 거의 중앙부에서 크게 면외 방향으로 팽창됨과 동시 이 가요성 메시상망의 상하 단부가 가이드레일에서 이탈되어 간격이 생겨 방충작용을 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해 방형상 망창틀에 장설되어 있는 가요성 메시상망의 상하 단부는 상하 가이드레일에서 이탈되면 방형상 망창틀에 장설된 가요성 메시상망을 수납케이스 내에 다시 권회 수납하고자 할 때는 이탈된 가요성 메시상망의 상하 단부는 상하 가이드레일과 간섭하여 원활한 수납을 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발명 요지는 망롤러의 외형을 변경하지 않고 콤팩트한 치수를 유지한 상태에서 장설된 가요성 메시상망이 면외 방향으로 풍압을 받아서 변형되어도 이 가요성 메시상망의 상하 단부가 상하 가이드레일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여 충분한 방충작용을 확보하며, 또한 원활한 장설 수납이 가능할 수 있게 함에 있어 롤러망창에 있어서는 이 수납케이스 내에 권회 수납되는 가요성 메시상망의 장설 상태에 있는 폭방향 거의 중간부 상하단부에 망창 면외 방향에 돌출되는 돌기를 매설함과 동시에 그의 일부를 확폭시켜서 넓은 트임부를 가진 박스형 공간을 형성한 슬러트를 상하 가이드레일 방향에 요설(凹設)하여서 된 상하 슬라이딩 슈를 그 상하 가이드레일에 자유로 슬라이드할 수 있게 헐겁게 끼움하고, 이 상하 슬라이딩 슈 내에 가요성 메시상망의 상하 단부가 각각 끼움하여 가요성 메시상망의 상하 단부에 매설되는 상기한 체결핀 돌기와 상하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 자유하게 헐겁게 끼움된 상하 슬라이딩 슈가 걸림 자유하게 한 것이다.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비한 롤러망창이고 이 롤러망창(1)은 수납케이스(3)와 이 수납케이스(3)의 상하단에 상하단부 캡(6)(7)을 취부하고 있는 상하 가이드레일(4)(5)을 서로 평행되게 고정함과 동시에 상하단부 캡(6)(7)에 걸림 자유이고, 상하 가이드레일(4)(5) 사이에 이동 운동 자유하게 헐겁게 끼움된 이동종간(8)에 의해 방형상 망창틀(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수납케이스(3) 내에 있어서 일단을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미도시)을 내접 격납하는 중공 단면 권취축(미도시)에 고정함과 동시에 권회하여 망롤러(미도시)로 되게 하고 이 망롤러(미도시)의 타단을 상기 수납케이스(3)의 상하단에 고정하는 상하 가이드레일(4)(5)의 축 측면에 내부와 연동될 수 있게 상하 방향으로 뚫림된 슬러트(미도시)를 통해 이동종간(8)에 고정시킨다.
해 방형상(方形狀) 망창틀(2)을 형성함에 있어 해 이동종간(8)의 섭동 및 상하 단부 캡(6)(7)에의 걸림 고정에 의하여 상기 방형(方形)상 망창틀(2)에 대한 수납케이스(3) 내의 망롤러에서 인출되어 장설되어 있는 가요성 메시상망(9)으로 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롤러망창에 있어서, 망단부 고정장치(1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수납케이스(3) 내에 있어서 망롤러로서는 권회 수납되는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 단부(9')(9")에 연하여 표면과 이면에 상기한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단부(9')(9")를 보강하는 폴리에스텔 테이프(11)를 접착함과 동시에 면외 방향에 돌출된 스테이플 등의 돌기(12)를 가요성 메시상망(9)의 장설 상태에 있어서는 거의 중간부이고, 전기한 폴리에스텔 테이프(11)에 의해 보강된 상하단부에 설치된다.
한편 수납케이스(3) 방향에 그의 일부를 확대시켜 넓은 트임부(16a)를 가진 박스형 공간(16)을 형성한 슬러트(15)를 상하 각 가이드레일(4)(5) 방향에 구설(溝設)하여서 된 상하 슬라이딩 슈(13)(14)를 해 상하 가이드레일(4)(5)에 자유롭게 슬라이드 할 수 있게 헐겁게 끼움시킨다..
수납케이스(3) 내에 있어서는 망롤러로서의 권회, 수납되는 가요성 메시상망(9)의 일단은 상기 상하 슬라이딩 슈(13)(14)의 슬러트(15) 내에 해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 단부(9')(9")을 각각 삽통시켜서 이동종간(8)에 고정시킨다. 그리하여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 단연(9')(9")에 배설되는 상기한 체결판 돌기(12)와 상하 가이드레일(4)(5)에 슬라이드 자재하게 헐겁게 끼움된 해 상하 슬라이딩 슈(13)(14)의 슬러트(15)와 걸림 자재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하 가이드레일(4)(5)의 중앙 위치에는 상하 슬라이딩 슈(13)(14)와 계합 걸림되는 스토퍼(17)(17')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비한 롤러망창(1)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먼저 이의 롤러망창(1)을 장설하고자 할 경우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즉, 이동종간(8)을 수납케이스(3)의 상하단에 서로 평행되게 고정된 상하 가이드레일(4)(5)간에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수납케이스(3) 내에 있어 권회 수납되어 망롤러를 형성하고 있는 가요성 메시상망(9)을 인출함과 동시에 해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단부(9')(9")는 상하 가이드레일(4)(5) 내에 자유로 슬라이드 할 수있게 헐겁게 끼움되어 있는 상하 슬라이딩 슈(13)(14) 내의 슬러트(15)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단부(9')(9")의 표면과 이면에는 폴리에스텔 테이프(11)가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단부(9')(9")는 보강됨과 동시에 이의 점착된 폴리에스텔 테이프(11)의 표면은 매끄럽기 때문에 상기 상하 슬라이딩 슈(13)(14) 내의 슬러트(15)를 보다 원활히 통과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단연(9')(9")이 상하 가이드레일(4)(5) 내에 슬라이드 자유하게 헐겁게 끼움되어 있는 상하 슬라이딩 슈(13)(14) 내의 슬러트(15)를 통과할 때는 상기 가요성 메시상망(9)에는 그의 장설상태에 있는 푹 방향 거의 중간부의 상하단연(9')(9")에 예컨데 스테이플 등의 돌기(12)가 면외 방향에 돌출 배설되어 있음에 대하여 상하 슬라이딩 슈(13)(14)에 있어서는 상하 각 가이드레일(4)(5) 방향에 요설된 슬러트(15) 내에 형성된 박스형 공간(16)에 수납케이스(3) 방향에 그의 일부가 확대된 넓은 트임부(16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돌자(12)가 박스형 공간(16) 내에 용이하게 인입됨과 동시에 해 박스형 공간(16)의 선단면(16')에 당접되거나 해 박스형 공간(16) 내에서 상하 및 가요성 메시상망(9)의 장설 방향 어느것이나 걸림되기 때문에 상기 가요성 메시상망(9)과 해 상하 슬라이딩 슈(13)(14)의 슬러트(15)에 의한 면외 방향에의 걸림이 서로 일치되어 상기 가요성 메시상망(9)은 상하 슬라이딩 슈(13)(14)와도 일체로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단부(9')(9")와 일체화 된 상하 슬라이딩 슈(13)(14)는 상기 이동종간(8)의 섭동에 동반 인출되는 가요성 메시상망(9)과 함께 상하 가이드레일(4)(5) 내를 슬라이드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요성 메시상망(9)과 상하 슬라이딩 슈(13)(14)는 상기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 슬라이딩 슈(13)(14)와는 상기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 단부(9')(9")의 돌기(12)에 대한 상하 슬라이딩 슈(13)(14)의 슬러트(15)의 박스형 공간(16) 내의 걸림에 의해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종간(8)의 상하 단부 캡(6)(7)과의 걸림 고정과 동시에 상기 상하 슬라이딩 슈(13)(14)를 장설한 상기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단부(9')(9")의 돌기(12)의 위치에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하기 때문에 이동종간(8)을 상하 단부 캡(6)(7)에 걸림 고정할 수가 있게 형성된 방형상망창틀(2)에 있어, 장설된 가요성 메시상망(9)은 이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단부(9')(9")의 돌기(12)의 위치 즉, 해 가요성 메시상망(9)의 장설상태에 있어 폭방향 거의 중간부의 위치에서 면외 방향에 상하 슬라이딩 슈(13)(14)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즉, 방형상망창틀(2)에 장설된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단부(9')(9")는 좌우방향에는 이동종간(8)의 상하 가이드레일(4)(5)의 단부 캡(6)(7)에의 걸림 고정과 도션스프링의 수축력에 의한 인장과 동시에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단연(9')(9")의 돌기(12)의 위치에 있어서는 면외 방향에 상하 슬라이딩 슈(13)(14)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풍압등을 받아서 면외 방향에 상기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단부(9')(9")가 권상(捲上)되어 상하 가이드레일(4)(5)에서 이탈되어 공격 등을 형성하여 방충효과가 저하되거나 또한 원활한 조작을 방해하는 폐단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표시된 본 발명의 별도실시예를 구비한 롤러망창(1)에 있어서는 해 상하 가이드레일(4)(5)의 중앙 위치에 상하 슬라이딩 슈(13)(14)와 걸림 자유되는 스토퍼(17)(17')를 설치한 것으로, 상기 상하 슬라이딩 슈(13)(14)가 상하 가이드레일(4)(5) 내에서 과잉으로 슬라이드하되 소정의 위치를 넘거나 해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단부(9')(9")의 돌기(12)와 해 상하 슬라이딩 슈(13)(14)의 슬러트(15)와의 걸림이 해지되지 않게 하고, 해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단부(9')(9")의 돌기(12)와 상기 상하 슬라이딩 슈(13)(14)의 슬러트(15)에 있어 형성되는 박스형 공간(16)의 선단연(16')과의 걸림을 확실히 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돌기(12)는 상하 가이드레일(4)(5) 내를 슬라이드 자재하게 헐겁게 끼움되는 상하 슬라이딩 슈(13)(14)의 슬러트(15)와 자유롭게 걸림될 수 있게 면외 방향에 돌출되어 있으면 족하기 때문에 파손된 경우에는 예컨데, 스테이플 침(스테이플)을 소정 위치에 타입시킴으로서 확실한 수리가 되는 것이다.
또한 이의 방형상망창틀(2)에 확개 장설된 가요성 메시상망(9)을 절첩하여 수납케이스(3) 내에 권회 수납하고자 할 때는 아래와 같이 한다.
즉, 상기 방형상망창틀(2)을 형성함에 있어 상하 가이드레일(4)(5)의 단부에 취부되어 있는 단부캡(6)(7)에 걸림되어 있는 이동종간(8)과 해 상하 단부 캡(6)(7)과의 걸림 고정을 해지시키면 상기 이동종간(8)은 이 이동종간(8)에 고정되어 장설되어 있는 가요성 메시상망(9)의 일단에 고정되는 수납케이스(3) 내에 수납되는 중공단면 권취 축(미도시)의 내부에 내접 격납하는 토션 스프링(미도시)의 수축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납케이스(3) 방향으로 상하 가이드레일(4)(5) 사이를 섭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하 가이드레일(4)(5) 내에 있어서는 서로 걸림되어 있는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단부(9')(9")의 돌기(12)와 상하 슬라이딩 슈(13)(14)의 슬러트(15)의 박스형 공간(16)과의 사이에는 슬러트(15) 내의 상기 박스형 공간(16)은 수납케이스(3) 방향에 그 외 일부를 확대하여 넓은 트임부(16a)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박스형 공간(16)의 선단연(16')에 있어서는 고정되어 있던 상기 돌기(12)가 해 가요성 메시상망(9)의 수납케이스(3) 내에로 권회 수납에 수반됨에 따라 용이하게 이탈하기 때문에 상기 가요성 메시상망(9)은 상하 슬라이딩 슈(13)(14)의 슬러트(15)와 걸림됨이 없이 신속하게 수납케이스(3) 내에 수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요성 메시상망(9)과의 고정이 해지된 상하 슬라이딩 슈(13)(14)는 상하 가이드레일(4)(5) 내에 있어서 자유가 되어 있으나, 같은 가이드레일(4)(5) 내를 주행하여 오는 이동종간(8)에 압압되게 하여 수납케이스(3) 방향에 슬라이드 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방형상망창틀(2)에 장설되어 있던 가요성 메시상망(9)은 수납케이스(3) 내에 있어서 망롤러를 형성하여 수납됨과 동시에 이동종간(8) 및 상하 슬라이딩 슈(13)(14)는 수납케이스(3) 방향의 일방향에 치우치게 된다.
더욱이 도 5에 있어 표시된 "5'"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비한 롤러망창(1)의 방형상 망창틀(2)을 형성하는 가이드레일의 별도실시예이다.
상기 별도실시예 변형 하부에 있어서 가이드레일(5')은 그의 하부에 있어서 하부 가이드레일(5') 내벽과 물림되게 함으로서 상기 변형 하부 가이드레일(5')에 슬라이트 자유하게 헐겁게 끼움되는 하부 슬라이딩 슈(14)를 슬라이드 방향의 좌우에서 규제하고 있는 상기 수직벽(5")을 생략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하기 때문에 하부 가이드레일(5')에 슬라이드 자유하게 헐겁게 끼움된 하부 슬라이딩 슈(14)는 방형상 망창틀(2)에 가요성 메시상망(9)을 장설한 경우에는 노출되는 것이나, 상하 가이드 레일(4)(5) 자체의 전체 높이를 낮게할 수가 있기 때문에 롤러망창(1)의 절첩시에는 통행의 장애가 되는 일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롤러망창의 망단부 고정장치(10)는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 단부(9')(9")의 돌기(12)와 상하 가이드레일(4)(5) 내에 슬라이드 자유하게 헐겁게 끼움된 슬라이딩 슈(13)(14)와의 고정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에 의해 방형상 망창틀(2)에 장설된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 단부(9')(9")를 확실히 고정할 수 있어, 종래의 콤팩트(compact) 한 치수를 유지하는 범용성을 확보하면서도 상기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단부(9')(9")는 상하 가이드레일(13)(14)에 밀착된 상태에서 공격(틈새)을 형성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방충작용을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가요성 메시상망(9)의 확개 장설 또는 권회 수납을 원활히 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수납케이스(3)와 이 수납케이스(3)의 상하단에 있어 그 타단에 단부 캡(6)(7)을 취부하여서 된 상하 가이드레일(4)(5)을 서로 평행할 수 있게 설치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상하 가이드레일(4)(5) 사이에 섭동 자유하게 헐겁게 끼움되는 이동종간(8)으로 상기 상단부 캡(6)에 걸림되는 방형상망창틀(2)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 가요성 메시상망(9)의 일단을 도션 스프링을 내접 격납하는 중공 단면 권취 축에 고정함과 동시에 권회하여 망롤러로 되게 하고, 이 망롤러의 타단을 상기 수납케이스(3)의 상하단에 고정하는 상하 가이드레일(4)(5) 측면에 내부와 연통할 수 있게 상하 방향으로 천설된 슬러트(15)를 통해 이동종간(8)에 고정하고 상기 수납케이스(3) 내에 권회 수납되는 가요성 메시상망(9)의 장설 상태에 있어 폭방향 거의 중간부의 상하단부에 망창의 면외 방향으로 돌기(12)를 설치하고, 상기 수납케이스(3) 방향에 일부를 확대시켜 넓은 트임부로 가진 박스형 공간(16)을 형성한 슬러트(15)를 상하 가이드레일 방향에 형성된 상하 슬라이딩 슈(13)(14)를 상기 상하 가이드 레일(4)(5)에 슬라이드 자유하게 헐겁게 끼움하고 상기 상하 슬라이딩 슈(13)(14)의 슬러트(15) 내에는 폴리에스텔 테이프(11)를 접착한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단부를 각각 끼움하되 이 가요성 메시상망(9)의 상하단부에 설치되는 상기한 돌기(12)와 상하 가이드 레일(4)(5)에 슬라이드 자유하게 헐겁게 끼움된 상하 슬라이딩 슈(13)(14)의 슬러트(15)가 걸림 자유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망창에 있어 가요성 메시상망연(단부)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 상하 가이드레일(4)(5)의 거의 중앙 위치에 상하 슬라이딩 슈(13)(14)와 걸림 자유되는 스토퍼(17)(17')를 설치하여 서 된 롤러망창에 있어 가요성 메시상망연(단부) 고정장치.
KR1020040040761A 2004-06-04 2004-06-04 롤러망창에 있어 가요성 메시상망연 고정장치 KR100593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761A KR100593261B1 (ko) 2004-06-04 2004-06-04 롤러망창에 있어 가요성 메시상망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761A KR100593261B1 (ko) 2004-06-04 2004-06-04 롤러망창에 있어 가요성 메시상망연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910A KR20040062910A (ko) 2004-07-09
KR100593261B1 true KR100593261B1 (ko) 2006-06-26

Family

ID=37354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761A KR100593261B1 (ko) 2004-06-04 2004-06-04 롤러망창에 있어 가요성 메시상망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2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910A (ko) 200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8820B2 (en) Sliding screen door
KR100715208B1 (ko) 권취식 스크린 장치
US11384598B2 (en) Screen device
US20060162871A1 (en) Screen device
KR20180012452A (ko) 미세먼지 차단망이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방충망 조립체
KR20130104388A (ko) 슬라이딩 창호용 롤 방충망 장치
CN108775221A (zh) 具备可替换的微尘阻隔用过滤网的防虫网组装体
JP2005009097A (ja) ロール網戸における網端縁固定装置
JP6126898B2 (ja) サッシ
KR100593261B1 (ko) 롤러망창에 있어 가요성 메시상망연 고정장치
JP4179936B2 (ja) 可収納張設面部材の端部ガイド
JP6803147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KR200457717Y1 (ko) 롤방충망 장치
JP4174207B2 (ja) スクリーン装置
JP4588475B2 (ja) 開閉装置
JP4732906B2 (ja) スクリーン装置
JP4411182B2 (ja) スクリーン装置
KR100474246B1 (ko) 방충망장치용 안내레일
KR101608150B1 (ko) 좌우 유동기능을 갖는 허니콤 블라인드
KR101221932B1 (ko) 지지체 기립 디바이스, 그를 구비하는 레일 조립체 및 방충망 조립체
JP3673209B2 (ja) 両開きスクリーン装置
JP7471181B2 (ja) 防水板装置
KR102439710B1 (ko) 록킹 해제 수단이 구비된 방충망 장치
JP5243732B2 (ja) 開閉装置
JP3949410B2 (ja) 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