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075B1 - 에어컨 실외기의 베리어 구조 - Google Patents

에어컨 실외기의 베리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075B1
KR100593075B1 KR1020040000337A KR20040000337A KR100593075B1 KR 100593075 B1 KR100593075 B1 KR 100593075B1 KR 1020040000337 A KR1020040000337 A KR 1020040000337A KR 20040000337 A KR20040000337 A KR 20040000337A KR 100593075 B1 KR100593075 B1 KR 100593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heat exchanger
outdoor
fan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1936A (ko
Inventor
정인화
진심원
이정우
배성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0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075B1/ko
Publication of KR20050071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62J2001/085Seat pillars having mechanisms to vary seat height, independently of the cy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2015/001Frames adapted to be easily dismant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가 고정되는 기계부와, 실외팬 및 실외 열교환기가 고정되는 열교환부로 구획되도록 에어컨 실외기 내에 설치되는 베리어 하단의 소정위치 즉, 상기 압축기 하단의 지지부가 돌출되는 상기 베리어 하단 소정위치에 지지부 덮개를 일체로 성형하되, 상기 지지부 덮개가 열교환기 쪽에서 유입되는 공기 유로와 동일한 유선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상기 베리어의 열교환기 측부와 직선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베리어를 거쳐 실외팬으로 이어지는 공기 유로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공기 유로의 유동저항 감소에 따른 팬의 회전속도가 저하되고, 상기 팬 회전속도의 저하에 따른 팬의 구동 소음 역시 감소되면서 이로 인한 팬의 효율 및 전체적인 에어컨 효율이 향상되게 되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에어컨 실외기, 베리어, 유선

Description

에어컨 실외기의 베리어 구조{The barrier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도 1a 는 일반적인 에어컨 실외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b 는 도 1a에 도시된 에어컨 실외기의 정단면도.
도 2 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종래 베리어의 사시 상태도.
도 3 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종래 베리어의 또 다른 사시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베리어가 적용된 에어컨 실외기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베리어의 사시 상태도 및 상세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베리어의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베리어에 의해 형성된 실외기 전체의 공기 유로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베이스 플레이트 20. 압축기
21. 압축기 지지부 30. 어큐뮬레이터
40. 실외 열교환기 50. 실외팬
60. 모터 70. 케이스
71. 송풍구 80. 방진고무
90, 190. 베리어 91. 홈
92, 192. 지지부 덮개
본 발명은 에어컨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 실외기 내부에 설치되어 압축기가 고정되는 기계부와, 실외팬 및 실외 열교환기가 고정되는 열교환부로 상호 구획되게 하는 베리어 하단의 소정위치에 지지부 덮개를 일체로 성형하되, 상기 지지부 덮개가 열교환기 쪽에서 유입되는 공기 유로와 동일한 유선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열교환기 방면의 베리어와 직선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베리어를 거쳐 실외팬으로 이어지는 공기 유로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이로 인한 실외팬의 효율 및 팬 소음 역시 개선하여 전체적인 에어컨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에어컨 실외기의 베리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Air-conditioner)은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모세관,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는 냉동 사이클 장치가 내부에 장착되어 있어, 실내 열교환기에서 형성되는 냉기와 실외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온기를 실내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내보내어 실내의 분위기를 쾌적하게 유지시켜 주는 기기이다.
상기 에어컨은 냉동 사이클 장치가 하나의 몸체내에 장착되어 창문 등에 설치되는 창문형 에어컨과, 실내기와 실외기를 분리하여 실내와 실외에 각각 설치하 는 분리형 에어컨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 때 상기 분리형 에어컨의 실외기는 보통 소음발생이 많은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실외팬(냉각팬)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실내기는 실내 열교환기와 송풍팬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컨 실외기는 도 1a 및 도 1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태의 면적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측에 냉매가스를 고온 고압 상태로 가압하는 압축기(20)가 설치되고, 상기 압축기(20)의 측부엔 연결관에 의해 어큐뮬레이터(Accumlator)(3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어큐뮬레이터(30)는 압축기(20)로 유입되는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기체 상태의 냉매와 액체 상태의 냉매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측엔 상기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를 상온 고압의 액상으로 응축시키는 실외 열교환기(40)가 연결관에 의해 압축기(20)와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40)의 측부엔 모터(60) 구동을 통해 회전하면서 실외 열교환기(40)로부터 방출된 냉매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실외팬(5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 설치된 압축기(20) 및 실외 열교환기(40), 실외팬(50)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일측면에 송풍구(71)가 형성된 케이스(70)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결합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케이스(70)의 경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실외팬(50)과 상기 케이스(70)의 일측면에 형성된 송풍구(71)가 상호 대면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압축기(20) 하측에는 압축기(20)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압축 기(2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방진고무(80)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는데, 이 때 압축기(20)의 경우 상기 방진고무(8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상승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결합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상기 에어컨 실외기는,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압축기(20)가 작동하면서 실내기에 설치된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에서 토출된 저온 저압의 기상상태인 냉매를 고온고압 상태로 가압시켜 실외 열교환기(40)로 토출시키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40)로 유입된 냉매는 외부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상온 고압의 액상상태로 상변화를 이루면서 팽창밸브(미도시)로 토출되게 되며, 팽창밸브로 유입된 액상의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를 통해 내부공기와의 열교환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저온 저압의 액상상태로 감압된 다음, 실내기에 장착된 실내 열교환기로 유입되면서 실내 열교환기에서 외부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냉기를 형성한 다음, 실내기 내에 설치된 송풍팬을 통해 실내로 냉기를 토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컨 실외기 내부를 압축기(20)가 고정되는 기계부와, 실외팬(50) 및 실외 열교환기(40)가 고정되는 열교환부로 각기 구획시키기 위한 베리어(90)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 설치되어 실외기 내부에 위치되게 되는데, 상기한 베리어(90)의 경우,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 상에 압축기(2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압축기(20) 하단에 삼발 또는 사발 형태로 형성된 압축기 지지부(21) 중 하나의 압축기 지지부(21)가 열 교환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베리어(90)의 하단으로부터 소정크기의 홈(91)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조로 형성된 베리어(90)를 실외기 내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실외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실외 열교환기(40)를 거쳐 실외기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실외팬(50)을 통해 외부로 전부 방출되지 않고, 상기와 같이 베리어(90) 하단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홈(91)을 통해 압축기(20)가 고정되어 있는 기계부 쪽으로 새어나감과 동시에, 상기 기계부 쪽으로 유입된 더운 공기에 의해 압축기(20) 및 압축기(20) 주위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서 이에 따른 냉매의 가압작용이 저하되게 되며, 상기한 작용이 실외 열교환기(40)에까지 영향을 미쳐 전체적으로 실외 열교환기(40)의 열교환 효율이 크게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과 함께, 상기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40)의 면적을 증가시켜야 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베리어(90) 하단에 형성된 홈(91)을 통해 외부공기가 기계부 쪽으로 유입됨에 따라 실외팬(5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풍량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외팬(5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이 실외팬(5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에어컨의 소비전력이 증가함은 물론, 상기 실외팬(50)의 고속회전으로 인한 소음이 증가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도 있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 지지부(21)가 돌출되는 베리어(90) 하단의 홈(91)부에 압축기 지지부(21)를 막기 위한 별도의 지지부 덮개(92)를 설치 구성함에 따라 상기 압축기(20)가 고정 되어 있는 기계부로 풍량이 새는 것을 막을 수는 있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압축기 지지부(21)가 설치된 베리어(90)의 경우, 단지 상기 기계부로 풍량이 새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베리어(90) 하단의 홈(91)부에 지지부 덮개(92)를 설치하였을 뿐, 상기 실외 열교환기(40)로부터 베리어(90)를 거쳐 실외팬(50)으로 이어지는 전체 공기 유로를 감안하여 상기 지지부 덮개(92)를 상기 베리어(90) 하단의 홈(91)부에 설치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베리어(90) 하단의 홈(91)부에 설치된 지지부 덮개(92)에 의해 실외기 전체의 공기 유로에 대한 유선이 급변하게 되면서 유동저항이 크게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과 함께, 이로 인한 전체적인 에어컨 효율이 크게 저하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베리어(90) 하단의 홈(91)부에 설치된 지지부 덮개(92)에 의해 실외기 전체의 공기 유로가 급변해지면서 유동저항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동저항이 적어지는 구조 형태로 지지부 덮개(92)의 형상을 변경하였으나, 이와 같은 지지부 덮개(92)의 형상 변경은 복잡한 공기 유로를 감안하여 가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따른 지지부 덮개(92)의 가공이 매우 난해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상기 지지부 덮개(92)의 가공이 난해함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압축기가 고정되는 기계부와, 실외팬 및 실외 열교환기가 고정되는 열교환부로 구획되도록 에어컨 실외기 내에 설치되는 베리어 하단의 소정위치 즉, 상기 압축기 하단의 지지부가 돌출되는 상기 베리어 하단 소정위치에 지지부 덮개를 일체로 성형하되, 상기 지지부 덮개가 열교환기 쪽에서 유입되는 공기 유로와 동일한 유선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열교환기 방면의 베리어와 직선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베리어를 거쳐 실외팬으로 이어지는 공기 유로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공기 유로의 유동저항 감소에 따른 팬의 회전속도 저하로 팬의 구동 소음 역시 감소되면서 이로 인한 팬의 효율 및 전체적인 에어컨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외기 내부를 압축기가 고정되는 기계부와, 실외팬 및 실외 열교환기가 고정되는 열교환부로 구획되게 하는 베리어 하단의 소정위치에 지지부 덮개를 열교환기 쪽에서 유입되는 공기 유로와 동일한 유선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열교환기 방면의 베리어와 직선을 이루도록 일체로 성형시킨 본 발명의 베리어 구조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베리어가 적용된 에어컨 실외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베리어의 사시 상태도 및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베리어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인 에어컨 실외기의 베리어 구조는, 베리어를 통해 그 내부가 압축기(20)가 고정되는 기계부와, 실외팬(50) 및 실외 열교환기(40)가 고정되는 열 교환부로 구획되는 에어컨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190)에는 상기 베리어(190)의 하측에서 돌출되는 상기 압축기(20)를 지지하기 위한 압축기 지지부(21)를 차폐하기 위한 지지부 덮개(19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 덮개(192)는 상기 베리어(190)의 열교환기 측부(190a)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직선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지지부 덮개(192)는 상기 베리어(190)의 열교환기 측부(190a)와 ±20°범위 내에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인 에어컨 실외기의 베리어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베리어 구조는, 실외 열교환기(40)로부터 베리어(190)를 거쳐 실외팬(50)으로 이어지는 공기 유로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공기 유로의 유동저항 감소에 따른 팬(50)의 회전속도 저하로 팬(50)의 구동 소음 역시 감소되면서 이로 인한 팬의 효율은 물론, 전체적인 에어컨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하여, 실외기 내부를 압축기(20)가 고정되는 기계부와, 실외팬(50) 및 실외 열교환기(40)가 고정되는 열교환부로 구획되게 하는 베리어(190) 하단의 소정위치에 지지부 덮개(192)를 일체로 성형하되, 상기 실외 열교환기(40) 쪽에서 유입되는 공기 유로와 동일한 유선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열교환기(40) 방면의 베리어(190)와 직선을 이루도록 성형시킨 것으로써, 이에 대한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적용된 에어컨 실외기와 전술한 종래 에어컨 실외기의 동일 구 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적용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에어컨 실외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이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종래 에어컨 실외기의 전체적 구성과 상호 동일한 구성으로서,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 일측에 고정되며, 저온 저압의 냉매를 고온 고압상태로 압축시키는 압축기(20)와; 상기 압축기(20) 측부에 연결되어 실내 열교환기(미도시)로부터 압축기(20)로 유입되는 냉매를 기체상태와 액체상태로 분리시키는 어큐뮬레이터(30)와; 냉동 사이클에 의해 압축기(20)로부터 가압 토출된 냉매와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매열을 방출하는 실외 열교환기(40)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40) 측부에 고정되어 실외 열교환기(40)로부터 방출된 열을 실외기 외부로 방출되도록 모터(60)에 의해 구동되는 실외팬(50)과; 일측에 송풍구(71)가 형성되며, 상기 압축기(20) 및 실외 열교환기(40), 실외팬(50) 등을 감싸 보호하는 케이스(70)와; 상기 압축기(20)가 설치 고정된 상태로 케이스(70)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70)를 밀폐시키는 베이스 플레이트(1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에어컨 실외기 내부엔 압축기(20)가 고정되는 기계부와, 실외팬 및 실외 열교환기(40)가 고정되는 열교환부로 구획하도록 소정형상의 베리어(19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외기 내부를 각각의 기계부와 열교환부로 구획하도록 상기 실외기 내에 설치된 베리어(190)의 경우, 도 5 및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리어(190)의 일측 즉, 열교환기(40) 방면 쪽에 위치하는 상기 베리어(190)의 열교환기 측부(190a)는 압축기(20) 쪽으로 소정각도 경사져 있고, 상기 베리어(190)의 중앙측은 수직면을 이루며, 상기 베리어(190)의 타측 즉, 실외팬(50) 방면 쪽에 위치하는 베리어(190)의 타측 역시 압축기(20) 쪽으로 소정각도 경사져 있는 등, 전체적으로 활궁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리어(190) 하단 소정위치엔 상기 압축기(2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압축기(20) 하단에 삼발 또는 사발 형태로 형성된 압축기 지지부(21)가 기계부로부터 실외팬(50) 및 실외 열교환기(40)가 고정되어 있는 열교환부로 돌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지지부 덮개(192)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지지부 덮개(192)의 경우, 실외 열교환기(40) 쪽에서 유입되는 공기 유로와 동일한 유선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상기 베리어의 열교환기 측부(190a)와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지지부 덮개(192)의 경우, 상기 베리어의 열교환기 측부(190a)를 기준선으로 하여 상기 베리어(190) 각도로부터 ±20°범위 내에서 성형되는데, 상기와 같이 상기 베리어(190) 각도로부터 ±20°범위 내에서 성형될 경우, 상기 베리어의 열교환기 측부(190a)로부터 지지부 덮개(192)까지의 길이가 거의 직선형태를 이루게 되면서 상기 열교환기(40)로부터 베리어(190)를 거쳐 실외팬(50)으로 이어지는 공기 유로가 도 7 에 도시된 유선과 같은 상태의 유로를 형성함에 따라 종래에 비해 공기 유로의 유동저항이 크게 감소하게 되고, 상기 공기 유로의 유동저항 감소에 따른 팬(50)의 회전속도 저하로 팬(50)의 구동 소음 역시 감소하게 되면서 팬(50)의 효율은 물론, 전체적인 에어컨 효율까지도 향상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7 은 본 발명의 베리어에 의해 형성된 실외기 전체의 공기 유로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베리어(190)가 설치된 상태에서 실외기 작동에 따른 실외팬(50)이 구동되면, 외부공기가 실외팬(50)의 흡입력에 의해 실외기 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유입된 외부공기는 실외 열교환기(40)를 통과하면서 냉매와의 열교환 작용을 거쳐 상기 베리어(190) 쪽으로 유동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베리어(190) 쪽으로 유동된 외부공기 중 일부는 실외팬(50) 쪽으로 직접 유동하고, 일부는 실외 열교환기(40) 쪽에서 유입되는 공기 유로와 동일한 유선을 갖도록 형성된 상기 베리어(190)의 외측면을 타고 유동한 다음 상기 실외팬(50) 쪽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베리어(190)의 외측면을 타고 실외팬(50) 쪽으로 유동하는 외부공기의 유동과정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활궁과 같은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베리어(190) 하단 소정위치 즉, 상기 압축기 지지부(21)가 돌출되는 위치의 베리어(190) 하단에 지지부 덮개(192)가 일체로 성형된 베리어(190)의 외측면으로 상기 실외 열교환기(40)를 통과한 외부공기의 일부가 유입될 경우,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 열교환기(40) 쪽에서 유입되는 공기 유로와 동일한 유선을 갖도록 형성된 베리어(190)의 외측면을 타고 외부공기가 유동함에 따라 전체적인 외부공기의 유동저항이 크게 감소하게 되며, 특히 전체적인 외부공기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킴에 있어, 베리어(190)의 전체 구조 중 상기 열교환기 측부(190a)를 기준으로 하여 연장되는 연장선상에 지지부 덮개(192)의 일측면이 접선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부 덮개(192)를 베리어(190)의 중앙부에 일체로 돌출 성형시키는 등, 상기 실외 열교환기(40) 방면 쪽에 위치하는 베리어(190) 일측부와 상기 베리어(190)의 중앙부에 일체로 돌출 성형된 지지부 덮개(192)가 상호 일직선상을 이루는 구조 자체가 전술한 전체 외부공기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키는데 대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베리어(190)를 통해 실외기의 전체 공기 유로 즉, 실외 열교환기(40)로부터 베리어(190)를 거쳐 실외팬(50)으로 이어지는 공기 유로의 유동저항이 감소된 상태로 실외기의 실외팬(50) 쪽으로 유동된 외부공기는 상기 실외팬(50)을 통해 실외기 외부로 방출되므로써, 이에 따른 실외기 전체의 공기 유로를 거쳐 외부로 방출되는 외부공기의 유동과정이 종료되게 된다.
본 발명인 에어컨 실외기의 베리어 구조는, 압축기가 고정되는 기계부와, 실외팬 및 실외 열교환기가 고정되는 열교환부로 구획되도록 에어컨 실외기 내에 설치되는 베리어 하단의 소정위치 즉, 상기 압축기 하단의 지지부가 돌출되는 상기 베리어 하단 소정위치에 지지부 덮개를 일체로 성형하되, 상기 지지부 덮개가 열교환기 쪽에서 유입되는 공기 유로와 동일한 유선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상기 열교환기 방면의 베리어와 직선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 로부터 베리어를 거쳐 실외팬으로 이어지는 공기 유로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공기 유로의 유동저항 감소에 따른 팬의 회전속도가 저하되고, 상기 팬 회전속도의 저하에 따른 팬의 구동 소음 역시 감소되면서 이로 인한 팬의 효율 및 전체적인 에어컨 효율이 향상되게 되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Claims (2)

  1. 베리어를 통해 그 내부가 압축기가 고정되는 기계부와, 실외팬 및 열교환기가 고정되는 열교환부로 구획되는 에어컨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에는 상기 베리어의 하측에서 돌출되는 상기 압축기를 지지하기 위한 압축기 지지부를 차폐하기 위한 지지부 덮개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 덮개는 상기 베리어의 열교환기 측부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직선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의 베리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덮개는 상기 베리어의 열교환기 측부의 접선을 기준선으로 하여 상기 기준선으로부터 ±20°범위 내에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의 베리어 구조.
KR1020040000337A 2004-01-05 2004-01-05 에어컨 실외기의 베리어 구조 KR100593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337A KR100593075B1 (ko) 2004-01-05 2004-01-05 에어컨 실외기의 베리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337A KR100593075B1 (ko) 2004-01-05 2004-01-05 에어컨 실외기의 베리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936A KR20050071936A (ko) 2005-07-08
KR100593075B1 true KR100593075B1 (ko) 2006-06-26

Family

ID=3726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337A KR100593075B1 (ko) 2004-01-05 2004-01-05 에어컨 실외기의 베리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0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596B1 (ko) 2007-10-22 2015-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3268A (ja) * 1983-09-30 1985-04-25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10185246A (ja) * 1996-12-18 1998-07-14 Funai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030008602A (ko) * 2001-07-19 200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의 실외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3268A (ja) * 1983-09-30 1985-04-25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10185246A (ja) * 1996-12-18 1998-07-14 Funai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030008602A (ko) * 2001-07-19 200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의 실외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596B1 (ko) 2007-10-22 2015-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936A (ko) 200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31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593075B1 (ko) 에어컨 실외기의 베리어 구조
KR100749656B1 (ko) 저소음형 실외기
KR100512240B1 (ko) 에어컨 실외기용 베이스 플레이트의 포밍구조
KR200213719Y1 (ko)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
KR100512112B1 (ko) 에어컨 실외기의 모터 마운트 구조
KR200334432Y1 (ko) 에어컨 실내기의 컨트롤 박스
KR100582303B1 (ko) 에어컨 실외기
KR20090034523A (ko) 증발열을 이용한 에어컨
KR20040063253A (ko) 공기조화기기용 케이스의 흡입구 차폐 장치
KR200178068Y1 (ko) 패키지 에어콘
KR19990025689U (ko) 배열구를 갖는 에어컨용 실외기
KR20040039961A (ko) 일체형 에어컨
KR200232367Y1 (ko) 패키지에어콘의흡입구조
KR0115219Y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밸브 설치구조
KR100598218B1 (ko) 에어컨 실외기의 송풍팬 배치 구조
KR200232359Y1 (ko) 패키지에어콘의송풍기고정장치
KR100498366B1 (ko) 일체형 에어컨
KR2004002134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냉각장치
KR200146179Y1 (ko) 창문형 에어컨용 일체형케이싱
KR200212811Y1 (ko) 에어컨 실외기의 흡입 및 토출파이프 진동 절연구조
KR200296840Y1 (ko) 에어컨의 흡입구조
KR200356783Y1 (ko) 창문형 에어컨
KR200175101Y1 (ko)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기 냉각공기 순환구조
KR200155275Y1 (ko) 에어컨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