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944B1 -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 - Google Patents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944B1
KR100592944B1 KR1020050023694A KR20050023694A KR100592944B1 KR 100592944 B1 KR100592944 B1 KR 100592944B1 KR 1020050023694 A KR1020050023694 A KR 1020050023694A KR 20050023694 A KR20050023694 A KR 20050023694A KR 100592944 B1 KR100592944 B1 KR 100592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main
sub
separator
multiple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현준
Original Assignee
문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현준 filed Critical 문현준
Priority to KR1020050023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944B1/ko
Priority to US11/909,445 priority patent/US20100145381A1/en
Priority to PCT/KR2006/000572 priority patent/WO200610130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812Surgical forceps with a single pivotal connection
    • A61B17/282J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85Surgical forceps combined with cutt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02Inspecting ty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01N3/52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measuring extent of rebound of a striking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78Operations on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25Forceps, specially adapted for performing or assisting anastomosis

Abstract

본 발명은 포유동물의 관상기관과 주위 조직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는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손잡이를 갖는 제1 아암과, 제1 아암과 피벗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손잡이를 갖는 제2 아암으로 구성된다. 제1 아암과 제2 아암 각각의 선단에 메인클램프가 형성되어 있고, 메인클램프는 그 내측에 포유동물의 관상기관과 그 주위 조직을 동시에 집어 위치시킬 수 있는 메인영역을 갖는다. 메인클램프의 말단에 제1 아암과 제2 아암이 닫힌 상태에서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라운드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아암과 제2 아암에 메인클램프와 연속하도록 서브클램프가 형성되어 있고, 서브클램프는 포유동물의 관상기관과 그 주위 조직을 분리하여 위치시킬 수 있는 서브영역을 갖는다. 메인영역과 서브영역은 스로트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목표하는 관상기관과 그 주위 조직 등을 동시에 정확하고 안전하게 집어 피부 밖으로 간편하고 안전하게 꺼낼 수 있게 하며, 피부와 관상기관 사이에 존재하는 신경 및 혈관을 포함한 수 겹의 근막, 근육, 그리고 그 주위의 연조직 등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관상기관과 그 주위 조직을 메인영역과 서브영역에 간편하고 정확하게 각각 격리하여 위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MULTI-RINGED SEPARATOR FOR TUBULAR ORGA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의 일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관상기관 분리기에서 클램프들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관상기관 분리기를 피부절개창에 넣어 정관과 주위 조직을 피부 밖으로 꺼내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관상기관 분리기에 의하여 정관과 주위 조직을 피부 밖으로 꺼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관상기관 분리기에 의하여 피부 밖으로 꺼내진 정관과 주위 조직을 박리하기 위하여 거상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관상기관 분리기에서 메인영역과 서브영역에 정관과 주위 조직을 분리하여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관상기관 분리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 20, 120: 제1 아암
22, 122: 손잡이 24: 로커
30, 130: 제2 아암 32, 132: 손잡이
34: 로커 40, 42, 140, 142: 메인클램프
40a, 42a: 라운드 접촉부 44, 144: 메인영역
50, 52: 서브클램프 50a, 52a: 융기
54: 서브영역 56: 스로트
58: 리세스 150, 152: 제1 서브클램프
154: 제1 서브영역 160, 162: 제2 서브클램프
164: 제2 서브영역 W: 피부절개창
V: 정관 T: 주위 조직
본 발명은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유동물의 관상기관을 수술할 때 관상기관을 둘러싸면서 붙어있는 주위 조직과 막들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는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포유동물의 신체를 구성하는 혈관(血管, Blood vessel), 신경(神經, Nerve), 요관(尿管, Ureter), 담도관(膽道管, Bile duct), 그리고 정관(精管, Vas) 등과 같은 관상기관은 그 주위로 적지 않은 연조직(軟組織, Soft tissue), 즉 근육(筋肉)이나 여러 겹의 근막(筋膜), 또한 그 주위를 주행하는 신경이나 혈관들과 같은 주위 조직(Surrounding tissue)에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관상기관의 수술을 위해서는 피부절개창을 만들기 위한 피부의 절개부터 시작하여 목표로 하는 관상기관을 찾아 본래 의도된 수술에 이르는 과정에서 주위 조직의 박리(剝離)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관상기관의 색출(索出)과 그 주위를 겹겹이 둘러싼 주위 조직의 박리와 분리 과정에서 각 조직들의 손상은 물론, 불규칙하게 주행하는 혈관의 손상 시엔 세심한 지혈작업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이 애초에 수술하고자 하는 관상기관을 찾아 분리하기에 이르기까지 피부절개부터 다양한 조직의 박리와 손상된 혈관의 지혈과 피부의 봉합 등의 어렵고 복잡한 과정이 수행되는데, 이때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고,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수술기구들이 필요하게 된다. 관상기관의 대표적인 수술에는 정관절제술(Vasectomy)과 정관복원술(Vasectomy reversal)이 있다.
정관절제술의 예로 전통적인 절개 정관절제술(Conventional incisional vasectomy)의 경우에는, 정관이 지나가는 음낭의 부위를 국소 마취한 후, 음낭의 피부를 외과용 메스(Scalpel)나 전기 메스에 의하여 정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내지 두개 정도 절개하여 피부절개창을 만든다. 그리고, 정관의 직경보다는 훨씬 큰 구경을 갖는 집게고리형의 알리스 조직 집게(Allis tissue forceps) 또는 클램프(Clamp)의 말단을 피부절개창에 넣어 정관과 주위 조직을 함께 집어 피부 밖으로 꺼내고, 외과용 메스에 의하여 주위 조직을 절개하면서 구부러진 지혈겸자(止血鉗 子, Curved mosquito hemostat) 등을 이용하여 정관이 노출되도록 벗긴다. 그리고, 정관의 절제(切除, transection), 결찰(結紮, Ligation) 또는 전기소작(燒灼), 근막간치(筋膜間置, Fascial interposition), 피부절개창의 봉합 및 소독 등 수술자의 의도에 따라 일련의 수술을 실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통적인 절개 정관절제술에 있어서는, 수술 중에 정관으로부터 박리된 주위 조직이 제자리로 돌아와 정관을 다시 은폐하지 못하도록 별도의 타월 클램프(Towel clamp) 등을 사용하여 다시금 클램핑해야 한다. 특히, 타월 클램프와 같은 별도의 기구를 사용시 주위 조직과 혈관이 추가로 손상될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다. 또한, 알리스 조직 집게는 비교적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정관과 주위 조직을 클램핑하여 피부 밖으로 꺼내기 위한 피부절개창의 크기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해야 하고, 주위 조직의 절개에 의하여 손상을 최소화하기엔 매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피부절개창이 큰 만큼 그에 따른 피부절개창의 봉합도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며, 봉합에 사용되었던 봉합사는 추후 발사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수반되고 있다.
정관절제술의 다른 예로 중국에서 시작되어 한국, 미국 등지에 일부 보급되어 수술되고 있는 이른 바 무도정관술(No-scalpel vasectomy)이 있다. 이 무도정관술은 정관을 찾아 음낭정중선의 피부 가까이 정관을 위치시킨 후, 피부와 그 이하 주위 조직과 정관에 국소마취제를 충분히 주사하여 마취한다. 그 후 무도정관수술만을 위하여 별도로 제작된 링드 클램프(Ringed clamp)로 피부, 피하, 주위 조직과 정관을 한꺼번에 잡아당겨서 올린다. 그리고, 날카로운 해부용 집게(Dissecting forceps)의 한쪽 끝을 이용하여 피부를 찔러서 구멍을 뚫는 펑처링(Puncturing) 후에 해부용 집게의 양쪽 끝을 이용하여 피부와 피하를 벗기는 스트립핑(Stripping)을 실시한다. 그 후, 정관을 싸고 있는 여러 겹의 주위 조직을 하나하나 벗겨내어 정관을 분리한다. 이때, 일부 수술자는 피부, 피하, 주위 조직의 절개를 외과용 메스, 전기 메스에 의하여 실시하기도 한다.
한편, 정관이 주위 조직과 분리되면, 링드 클램프의 클램핑력(Clamping force)을 해제하면서 해부용 집게의 한쪽 끝을 이용하여 정관을 피부 밖으로 꺼낸다. 이때, 피부 밖으로 노출된 정관의 주위 조직을 더 완전하게 박리하기 위하여 링드 클램프에 의하여 정관의 일부를 다시 잡고, 정관 주위의 혈관을 피해 해부용 집게로 주위 조직을 조심히 세밀하게 벗긴다. 그리고, 정관의 절제, 결찰 또는 전기소작, 근막간치, 피부절개창의 봉합 및 소독 등 수술자의 의도에 따라 일련의 수술을 실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무도정관술에 있어서는, 링드 클램프에 의하여 피부, 피하, 주위 조직과 정관을 한꺼번에 클램핑하기 때문에 정관을 정확히 잡지 못하여 쉽게 놓칠 우려가 높고, 정관이 일부만 잡히면서 찢어지는 손상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수술자가 링드 클램프의 클램핑력을 약간 해제하면서 해부용 집게의 한쪽 끝에 정관을 걸어 피부 밖으로 꺼낼 때 정관이 미끄러져 놓치거나 해부용 집게의 날카로운 면에 정관이 찢기거나 잘려 박리된 정관이 음낭 속으로 빠져 들어가 찾기 힘든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해부용 집게가 너무 깊이 들어가 정관 자체를 찔러 손상시키거나 찌르는 방향이 조금만 틀려도 자칫 혈관 및 주위 조직을 쉽게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보통 환자와 달리 선천적으로 정관이 음낭의 깊은 곳에 위치한 경우, 음낭 피부가 얇지 않고 두껍거나 음낭자체의 크기가 작거나 수축된 경우, 그리고 복부가 비만인 체형을 가진 환자의 경우엔 앞에서 설명한 링드 클램프에 의하여 피부, 피하, 주위 조직과 정관을 한꺼번에 클램핑하기는 매우 곤란하며, 오히려 혈관이나 근막 등을 정관으로 잘못 식별하여 시행 착오를 일으킬 위험성이 높아 모든 환자에게 시술하기엔 어렵다. 따라서, 무도정관술의 수술자에게는 착오 수술이나 주위 혈관 및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교육이나 훈련과 함께 많은 경험이 꾸준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의 피부절개창을 통하여 관상기관과 그 주위 조직을 동시에 집어 피부 밖으로 간편하고 안전하게 꺼내 혈관, 신경 및 주위 조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상기관을 여러 겹의 주위 조직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영역과 서브영역이 연속하는 구조에 의하여 관상기관으로부터 분리되는 다양한 주위 조직을 메인영역과 서브영역에 간편하고 정확하게 각각 격리할 수 있는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후단에 손잡이를 갖는 제1 아암과; 제1 아암과 피벗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후단에 손잡이를 갖는 제2 아암과; 제1 아암과 제2 아암 각각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에 포유동물의 관상기관과 그 주위 조직을 집어 위치시킬 수 있는 메인영역을 가지고, 제1 아암과 제2 아암이 닫힌 상태에서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말단에 라운드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클램프와; 제1 아암과 제2 아암에 메인클램프와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 포유동물의 관상기관과 그 주위 조직을 구별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는 서브영역을 가지며, 메인영역과 서브영역을 연결하는 스로트가 형성되어 있는 서브클램프로 이루어지는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에 대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10)는 길이가 긴 한쌍의 제1 아암(20)과 제2 아암(30)을 구비하며, 제1 아암(20)과 제2 아암(30)은 피벗(Pivot: 12)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제1 아암(20)과 제2 아암(30)의 선단은 피벗(12)을 중심으로 시소운동(Seesaw motion)하여 열리고 닫힌다. 도 1에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10)는 피벗(12)이 제1 아암(20)과 제2 아암(30)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중앙과 선단의 대략 1/2 지점에 위치되는 선지점형(先支點型)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피벗(12)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제1 아암(20)과 제2 아암(30)의 후방에 수술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 이(22, 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22, 32)는 제1 아암(20)과 제2 아암(30)의 후단에 수술자가 손가락을 넣어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고리형 손잡이(22a, 32a)와 고리형 손잡이(22a, 32a)의 전방에 길게 연장되어 있는 레버형 손잡이(22b, 32b)로 구성되어 있다. 고리형 손잡이(22a, 32a)와 근접하는 레버형 손잡이(22b, 32b)에는 서로 겹쳐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는 톱니를 갖는 로커(Locker: 24, 3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아암(20)과 제2 아암(30)의 선단에 원호형 메인클램프(40, 4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메인클램프(40, 42)의 전방은 선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부리형(Beak shape)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클램프(40, 42)의 말단은 라운드 접촉부(Round contact portion: 40a, 4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로커(24, 34)가 결합되어 제1 아암(20)과 제2 아암(30)이 닫히면, 메인클램프(40, 42)의 라운드 접촉부(40a, 42a)도 서로 맞닿아 메인영역(Main zone: 44)을 형성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라운드 접촉부(40a, 42a)는 메인클램프(40, 42)를 피부절개창(W)에 넣어 관상기관, 예를 들어 정관(V)과 그 주위 조직(T)을 집을 때, 정관(V), 주위 조직(T), 혈관 등이 찔려 절제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메인클램프(40, 42)의 외면(40b, 42b)은 볼록한 원호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면(40c, 42c)은 볼록한 원호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외면(40b, 42b)은 곡률이 큰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면(40c, 42c)은 외면(40b, 42b)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은 갖는 만곡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외면(40b, 42b)과 내면(40c, 42c)의 형상과 곡률은 예시적인 것으로, 외면(40b, 42b)은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내면(40c, 42c)은 작은 곡률에 의하여 거의 평탄하게 보이는 원호면으로 형성할 수 있는 등 외면(40b, 42b)과 내면(40c, 42c) 각각의 곡률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원형 외면(40b, 42b)은 메인클램프(40, 42)를 피부절개창(W)에 넣어 정관(V)과 그 주위 조직(T)을 집을 때, 피부절개창(W)의 주위 조직, 혈관 등에 접촉하는 메인클램프(40, 42)의 면적을 감소시켜 손상을 방지한다. 도 6, 도 7과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만곡형 내면(40c, 42c)은 메인클램프(40, 42)에 의하여 정관(V)과 주위 조직(T)을 집어 당긴 후, 정관(V)과 각 조직들을 각각 격리하면서 분리할 때, 정관(V)과 주위 조직(T)에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한다. 따라서, 정관(V)과 주위 조직(T)에 작용하는 메인클램프(40, 42)의 집는 힘이 분산되어 정관(V)과 주위 조직(T)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메인클램프(40, 42)의 후방에 원호형 서브클램프(50, 52)가 연속해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서브클램프(50, 52)는 제1 아암(20)과 제2 아암(30)이 닫히면 서브영역(Subzone: 54)을 형성하게 된다. 메인영역(44)의 단면적은 서브영역(54)보다 많은 양의 관상기관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서브영역(54)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메인영역(44)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관(V)과 그 주위 조직(T)을 함께 집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브영역(54)에 의해서는 정관(V)으로부터 박리되는 주위 조직(T)을 이동시켜 격리할 수 있다. 도 2에 메인영역(44) 은 대략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서브영역(54)은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메인영역(44)과 서브영역(54)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 메인영역(44)과 서브영역(54)의 형상과 단면적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 도 2와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메인영역(44)과 서브영역(54)은 메인클램프(40, 42)와 서브클램프(50, 52)의 경계에 형성되어 있는 융기(Ridge: 50a, 52a)에 의하여 구획되며, 융기(50a, 52a) 사이에는 메인영역(44)과 서브영역(54)을 연결하는 스로트(Throat: 56)가 형성되어 있다. 스로트(56)의 폭은 정관(V)으로부터 벗긴 주위 조직(T)만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정관(V)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기(50a, 52a)의 말단은 주위 조직(T)을 이동 중에 손상 없이 자연적으로 박리할 수 있을 정도의 예리한 팁(Tip: 50b, 52b)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융기(50a, 52a)의 팁(50b, 52b)은 메인영역(44)에서 정면으로 볼 때 볼록한 원호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팁(50b, 52b)은 선단부로 갈수록 점차 얇아져 그 최선단부가 각진 부분없이 둥근 대략 반원판형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융기(50a, 52b) 사이의 스로트(56)를 통하여 주위 조직(T)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팁(50b, 52b)에 의하여 박리와 격리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주위 조직이나 혈관 등 다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브영역(54)을 향하는 융기(50a, 52a)의 내면에 서브영역(54)에서 메인영역(44)으로 주위 조직(T)이 다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팁(50b, 52b)으로부터 연장되는 평탄한 사면(50c, 5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서브클램프(50, 52)의 외면(50d, 52d)과 내면(50e, 52e)은 메인클램프(40, 42)의 외면(40b, 42b)과 내면(40c, 42c)과 마찬가지로 원호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브영역(54)의 후방에는 리세스(Recess: 58)가 형성되어 있다. 리세스(58)는 제1 아암(20)과 제2 아암(30)이 닫힌 상태에서 서브영역(54)에 수용되는 주위 조직(T)의 일부를 수용하는 여유 공간으로 되며, 또한 주위 조직(T)이 제1 아암(20)과 제2 아암(30) 사이의 틈새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의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는 앞에서 설명한 관상기관 분리기(10)와 기본적인 구성 및 작용이 거의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110)는 피벗(11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고 닫을 수 있는 제1 아암(120)과 제2 아암(130)을 구비한다. 제1 아암(120)과 제2 아암(130)의 후단에 고리형 손잡이(122a, 132a)와 레버형 손잡이(122b, 132b)를 갖는 손잡이(122, 13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아암(120)과 제2 아암(130)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하여 연속해서 형성되는 메인클램프(140, 142), 제1 서브클램프(150, 152)와 제2 서브클램프(160, 162)를 구비한다. 제1 아암(120)과 제2 아암(130)이 닫히면, 메인클램프(140, 142), 제1 서브클램프(150, 152)와 제2 서브클램프(160, 162)에 의하여 메인영역(144)과 제1 및 제2 서브영역(154, 164)이 각각 형성된다. 메인영역(144)과 제1 서브영역(154)은 제1 스로트(15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제1 서브영역(154)과 제2 서브영역(164)은 제2 스로트(16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2 서브영역(164)의 후방에는 리세스(168)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영역(144)의 단면적은 제1 서브영역(154)보다 많은 양의 관상기관을 집을 수 있도록 제1 서브영역(154)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서브영역(154)의 단면적은 제2 서브영역(164)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제2 서브영역(164)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도 9에는 두 개의 서브영역들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서브영역들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추가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며, 관상기관의 수술에 대한 일례로 정관절제술을 설명한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수술자는 환자를 누인 후 음낭의 진찰, 소독, 마취 등 일련의 수술 준비를 실시한 후, 음낭의 피부를 아이리스 시저(Iris scissors), 외과용 메스 등으로 찌르는 방식으로 길이 대략 0.5cm, 깊이 대략 1~1.5cm 절개하여 피부절개창(W)을 만든다.
계속해서, 수술자는 한쪽 손으로 피부절개창(W)을 중심으로 피부를 잡아당겨 올린 후, 피부절개창(W)을 통하여 작고 곧은 지혈겸자(Small straight mosquito homostat)를 수직하게 세워 대략 5cm 깊이로 밀어 넣은 후 빼낸다. 이 지혈겸자를 빼낸 자리에는 음낭 피부로부터 정관(V)과 주위 조직(T)에 가깝게 연결되는 통로가 형성된다.
수술자는 다른 손으로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10)의 손잡이(22)를 잡 고 메인클램프(40, 42)를 닫은 상태에서 수직하게 세워 피부절개창(W)을 통하여 통로에 밀어 넣는다. 이때, 수술자는 한 손으로 정관(V)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메인클램프(40, 42)를 정관(V)에 최대한 근접시킨다. 메인클램프(40, 42)를 조금 벌리면서 정관(V)을 메인영역(44)에 밀어 넣어 위치시킨 후, 메인클램프(40, 42)를 닫는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술자는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10)를 당겨 메인클램프(40, 42)에 집혀 있는 정관(V)과 그 주위조직(T)을 피부 밖으로 꺼내고, 정관(V)의 존재를 확인한다.
이와 같이 메인클램프(40, 42)를 정관(V)에 최대한 근접시켜 정관(V)을 집은 후 피부 밖으로 꺼내 수술하기 때문에 피부와 정관(V) 사이에 위치하는 피하, 육양근막(Dartos fascia), 외부고환근막(External spermatic fascia), 내부고환근막(Internal spermatic fascia), 고환거근막(cremaster fascia), 고환거근(Cremaster muscle)과 그 연조직 등의 불필요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정관(V)이 음낭의 깊숙이 위치하고 있는 환자나 정관(V)이 비교적 가는 환자의 경우에도 피부 밖으로 정관(V)을 간편하게 꺼내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정관(V)의 확인에 의하여 정관(V)과 유사한 직경의 혈관이나 신경을 정관으로 오인하여 절제하는 의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술자는 수직하게 세워져 있던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10)를 환자에 대하여 거의 수평하게 위치시켜 메인클램프(40, 42)에 집혀져 있는 정관(V)을 상방향으로 노출시킨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관(V)과 함께 집혀져 있는 주위 조직(T)은 작고 굽은 지혈겸자 (Small curved hemostat)를 이용하여 정관(V)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박리하고, 박리되는 주위 조직(T)은 스로트(56)를 통하여 메인영역(44)에서 서브영역(54)으로 옮긴다. 스로트(56)를 통하여 주위 조직(T)을 옮기는 과정에서 융기(50a, 52a)의 예리한 팁(50b, 52b)에 주위 조직(T)이 접촉하면서 자연스럽게 박리된다. 따라서, 외과용 메스나 전기 메스를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을 최소화하여 주위 조직(T)을 박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과용 메스나 전기 메스를 사용하여 주위 조직(T)을 절제 및 박리하여 정관(V)을 분리하는 것에 비하여 주위 조직(T)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결과, 수술 시간과 수술 상처의 회복기간을 단축하고, 수술 후 후유증, 합병증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서브클램프(50, 52)의 서브영역(54)에 주위 조직(T)이 완전히 옮겨져 메인클램프(40, 42)의 메인영역(44)에 정관(V)만 남으면, 정관(V)의 절제, 결찰 또는 전기소작, 근막간치, 피부절개창의 봉합 및 소독 등 수술자가 의도한 일련의 수술을 실시하여 정관절제술을 완료한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110)에 있어서는, 메인클램프(140, 142)의 메인영역(144)에 관상기관과 주위 조직을 집어 위치시킨 후, 관상기관으로부터 박리되는 주위 조직과 기타 혈관이나 신경 등을 제1 서브클램프(150, 152)의 제1 서브영역(154)과 제2 서브클램프(160, 162)의 제2 서브영역(164)에 나누어 격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 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정관에 해당되는 관상기관의 수술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정관 이외의 신경계나 다른 관상기관 수술에도 동일하게 채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링드 관상기관 분리기에 의하면, 최소의 피부절개창을 통하여 관상기관과 그 주위 조직을 동시에 집어 피부 밖으로 간편하고 안전하게 꺼내 피부와 관상기관 사이의 연조직, 혈관, 관상기관, 주위 조직 등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메인영역과 서브영역이 연속하는 구조와 그 사이에 위치하는 예리한 융기에 의하여 영역들간 주위 조직의 이동만으로도 안전한 주위 조직의 박리와 격리가 이루어지므로, 관상기관으로부터 분리되는 주위 조직을 메인영역과 서브영역 각각에 간편하고 정확하게 격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상기관으로부터 주위 조직을 별 다른 수술도구나 추가 과정 없이 간편하게 분리하여 주위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수술에 소요되는 시간과 수술 상처의 회복기간을 단축하고, 수술 후 후유증, 합병증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10)

  1. 후단에 손잡이를 갖는 제1 아암과;
    상기 제1 아암과 피벗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후단에 손잡이를 갖는 제2 아암과;
    상기 제1 아암과 제2 아암 각각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에 포유동물의 관상기관과 그 주위 조직을 집어 위치시킬 수 있는 메인영역을 가지고, 상기 제1 아암과 제2 아암이 닫힌 상태에서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말단에 라운드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클램프와;
    상기 제1 아암과 제2 아암에 상기 메인클램프와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 상기 포유동물의 관상기관과 그 주위 조직을 구별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는 서브영역을 가지며, 상기 메인영역과 서브영역을 연결하는 스로트가 형성되어 있는 서브클램프로 이루어지는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영역과 서브영역은 상기 메인클램프와 서브클램프의 경계를 이루도록 상기 스로트의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융기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융기의 말단은 상기 주위 조직을 상기 관상기관과 자연스럽게 박리할 수 있도록 예리한 팁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트의 폭은 상기 관상기관으로부터 박리되는 상기 주위 조직만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관상기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융기의 내면에 상기 서브영역에서 상기 메인영역으로 상기 주위 조직이 다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평탄한 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영역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영역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영역의 단면적은 상기 서브영역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영역의 후방에 여유 공간으로 되는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의 팁은 상기 메인영역에서 정면으로 볼 때 볼록한 원호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클램프와 서브클램프 각각의 외면과 내면은 볼록한 원호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면의 곡률은 상기 외면의 곡률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과 제2 아암에 상기 서브클램프의 서브영역과 연속해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서브영역을 갖도록 하나 이상의 다른 서브클램프가 더 형성되어 있는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
KR1020050023694A 2005-03-22 2005-03-22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 KR100592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694A KR100592944B1 (ko) 2005-03-22 2005-03-22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
US11/909,445 US20100145381A1 (en) 2005-03-22 2006-02-21 Multi-ringed separator for tubular organs
PCT/KR2006/000572 WO2006101309A1 (en) 2005-03-22 2006-02-21 Multi-ringed separator for tubular org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694A KR100592944B1 (ko) 2005-03-22 2005-03-22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2944B1 true KR100592944B1 (ko) 2006-06-26

Family

ID=37023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694A KR100592944B1 (ko) 2005-03-22 2005-03-22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145381A1 (ko)
KR (1) KR100592944B1 (ko)
WO (1) WO20061013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7049B2 (en) 2009-05-06 2013-02-19 National Cancer Center Surgical instru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6249A1 (en) * 2005-07-14 2007-01-18 Reznik Alan M Suture device
US9428254B1 (en) 2010-09-24 2016-08-30 Katalyst Surgical, Llc Microsurgical handle and instrument
US9237899B2 (en) * 2010-12-02 2016-01-19 Stephen Paul Ray Tissue grasping forceps and localizing needle holder
US8821444B2 (en) 2011-10-03 2014-09-02 Katalyst Surgical, Llc Multi-utility surgical instrument
US9138346B2 (en) 2012-01-26 2015-09-22 Katalyst Surgical, Llc Surgical instrument sleeve
US20140012314A1 (en) * 2012-06-29 2014-01-09 Invivo Therapeutics Corporation Cupped forceps
US9629645B2 (en) 2012-10-30 2017-04-25 Katalyst Surgical, Llc Atraumatic microsurgical forceps
US9226762B2 (en) 2012-11-07 2016-01-05 Katalyst Surgical, Llc Atraumatic microsurgical forceps
JP6424389B2 (ja) * 2012-12-27 2018-11-28 ディーブイエックス株式会社 外科手術用器具
US20150088193A1 (en) * 2013-09-24 2015-03-26 Katalyst Surgical, Llc Membrane removing forceps
US10022267B2 (en) 2014-04-21 2018-07-17 Katalyst Surgical,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 microsurgical instrument tip
US9775943B2 (en) 2014-10-10 2017-10-03 Katalyst Surgical, Llc Cannula ingress system
KR20160130638A (ko) * 2015-05-04 2016-11-14 국립암센터 흉강경 수술용 고정기
EP3471673A1 (en) 2016-06-16 2019-04-24 Katalyst Surgical, LLC Reusable instrument handle with single- use tip
KR20190128160A (ko) * 2017-02-07 2019-11-15 옥소젠 코포레이션 조직 크기측정 및 절단용 수술 도구
US10441304B2 (en) * 2017-02-07 2019-10-15 Axogen Corporation Surgical tool for tissue sizing and transection
US10695043B2 (en) 2017-02-21 2020-06-30 Katalyst Surgical, Llc Surgical instrument subcomponent integration by additive manufacturing
US10849640B2 (en) 2018-05-23 2020-12-01 Katalyst Surgical, Llc Membrane aggregating forceps
US11291581B2 (en) * 2018-12-03 2022-04-05 Robert A. Van Wyk Vasectomy devices and methods for their use
US11291493B2 (en) 2018-12-03 2022-04-05 Robert A. Van Wyk Simplified methods for non-invasive vasectomy
US11723680B2 (en) 2018-12-03 2023-08-15 Signati Medical Inc. Bipolar coagulating devices and vasectomy kits associated therewith
US20210393257A1 (en) * 2020-06-23 2021-12-23 Max Michalski Clamp including apertur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7823A (en) * 1941-02-12 1946-04-02 Carl W Walter Forceps
US2668538A (en) * 1952-01-30 1954-02-09 George P Pilling & Son Company Surgical clamping means
US4286598A (en) * 1978-11-06 1981-09-01 Kapitanov Nikolai N Forceps for isolation of part of blood vessel during anastomosis
KR850002903Y1 (ko) * 1983-12-21 1985-12-09 조봉영 금속판으로 맥관을 결박하는 겸자
US4821719A (en) * 1984-12-03 1989-04-18 Fogarty Thomas J Cohesive-adhesive atraumatic clamp
US5618305A (en) * 1993-07-21 1997-04-08 Lolagne; Fritz Forceps with v-shaped grasping tips
US5865835A (en) * 1993-07-21 1999-02-02 Lolagne; Fritz Forcep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7049B2 (en) 2009-05-06 2013-02-19 National Cancer Center Surgical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01309A1 (en) 2006-09-28
US20100145381A1 (en)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2944B1 (ko) 다수 고리형 관상기관 분리기
US6083241A (en) Method of use of a circular stapler for hemorrhoidal procedure
US6102271A (en) Circular stapler for hemorrhoidal surgery
US6142933A (en) Anoscope for hemorrhoidal surgery
US6527753B2 (en) Endoscopic treatment system
EP1614392B1 (en) Electrosurgical partially circumferential hemorrhoid repair device
US5788716A (en)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for fallopian tube ligation and biopsy
JP3232938U (ja) 牽引装置及び牽引装置用の牽引リング
US20090259234A1 (en) Suture cutting method and device
EP0418255A1 (en) Surgical suturing instrument and method
BRPI0404237B1 (pt) Instrumento cirúrgico para implantar um dispositivo anastomótico
JP2013537057A (ja) トロカール先端部を有する鉗子
US20150359550A1 (en) Surgical forceps
US20060041274A1 (en) Modified laparoscopic instruments and methods of use
JP2000166936A (ja) 内視鏡治療装置
US10537228B2 (en) Endoscopic surgical device and exterior tube
US10905467B2 (en) Method for lifting mucosa
US11957370B2 (en) Simplified vasectomy methods
JPH03162845A (ja) 生検具
US20050033353A1 (en) Apparatus for use in a percutaneous vasectomy
JP4118354B2 (ja) 臓器吊り上げ装置
WO2020117663A1 (en) Vasectomy devices and methods for their use
JP4734054B2 (ja) 医療用処置装置
MXJL01000028A (es) Pinza quirurgica para traumamioplastia pilorica.
Hoznek et al.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