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661B1 - 건축용 방음문 - Google Patents

건축용 방음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661B1
KR100592661B1 KR1020050101617A KR20050101617A KR100592661B1 KR 100592661 B1 KR100592661 B1 KR 100592661B1 KR 1020050101617 A KR1020050101617 A KR 1020050101617A KR 20050101617 A KR20050101617 A KR 20050101617A KR 100592661 B1 KR100592661 B1 KR 100592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soundproof
plat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남수
Original Assignee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101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지벽으로 분할된 다수개의 내부공간에 종이롤이 각각 삽입된 방음문짝부재와, 내측에는 상기 방음문짝부재가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측단에는 경첩이 안착되는 절첩구설치홈이 형성되며, 그 외측에는 방음돌부가 길게 형성되고, 좌측단에는 고정쇠 선단에 힌지축에 의해 축회동되는 탄발걸쇠가 형성된 문짝틀과, 외측 상하단에 문틀에 걸림고정되는 탄성판을 갖는 외향걸림부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손잡이설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문짝틀의 내측면을 밀폐하는 내측문짝판과, 상기 문짝틀의 외측면을 밀폐하는 외측문짝판으로 형성된 방음문짝과; 모서리부에 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코너마감부재가 삽입된 나무재질의 문틀로 이루어진 건축용 방음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실외의 소음이 집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실내의 소음이 집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생활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고, 여름철에는 냉방중 차가운 공기가, 겨울철에는 난방중 따뜻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냉난방비용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난방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방음문짝, 지벽, 종이롤, 문짝틀, 내측문짝판, 외측문짝판, 문틀

Description

건축용 방음문{Soundproofing door for architecture}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방음문의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방음문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요부절취 확대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방음문의 폐쇄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방음문의 개방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음문 2 : 방음문짝
3 : 문틀 4 : 코너마감부재
5 : 경첩 6 : 방음띠
10 : 방음문짝부재 11 : 지벽
12 : 종이롤 20 : 문짝틀
21 : 탄발걸쇠 22 : 힌지축
23 : 고정쇠 24 : 절첩구설치홈
25 : 방음돌부 30 : 내측문짝판
31 : 외향걸림부 32 : 탄성판
33 : 손잡이설치홈 40 : 외측문짝판
본 발명은 건축용 방음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의 소음이 집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실내의 소음이 집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생활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고, 여름철에는 냉방중 차가운 공기가, 겨울철에는 난방중 따뜻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냉난방비용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난방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건축용 방음문에 관한 것이다.
문(門, door)은 한 장소의 경계나 건축물의 입구 또는 사람이 드나드는 곳에 개폐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구조물로, 문은 보통 한 장소와 다른 장소를 연결시키는 접점에 위치하므로 담, 벽 등의 경계요소와 함께 있는 경우가 많다.
문의 종류는 기능, 위치, 재료, 형태, 양식에 따라 성문, 대문, 현관문, 방문, 창문, 세간문, 목재문, 철재문, 유리문 등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지역적 특성이나 문화적 성격에 따라서도 그 용도, 성격, 양식 등이 상이하게 분류될 수 있다. 집, 마을, 도시 외곽의 경계에 문을 세우는 것은 방어를 위한 목적 뿐만 아니라 권세를 과시하거나, 그 장소를 장엄화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특히 사찰이나 궁전의 문은 그 장소를 다른 장소와 구분시키고 성역화하거나 위엄을 부여하려는 전형적인 예이다.
이러한 기능과 목적에 따라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는 특수한 형태와 기능을 지닌 다양한 양식의 문이 생겨났다. 현재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문들은 개폐방법에 따라 여닫이문, 미닫이문, 미서기문, 접문, 주름문, 회전문, 셔터문, 행거문 등으로 구분하며, 구조 및 재료에 따라 띠장문, 판자문, 양판문, 플러시문, 완자문, 유리문 등으로 구분된다. 주택의 경우 외부와 통하는 문은 대문이나, 전통적으로 한국에서는 대문의 위치 및 좌향을 중시하였으며, 그것은 거주자의 수복강녕(壽福康寧)과 부귀다남(富貴多男)을 위하여 큰 의미를 지닌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한편, 그 집 주인의 계급에 따라 대문의 양식이 달랐는데, 이러한 것은 통일신라시대의 가사규제에서 계층별로, 제한을 두던 것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민이 사는 농가나 초가에는 사립문을 달았으며, 재료는 대개 문이 달린 울타리의 재료와 같았다. 기와집에서는 몸채나 행랑채와 같은 지붕 밑에 평대문 양식으로 판자문을 달았다. 사대부 주택의 솟을대문은 대문이 설치되는 행랑채보다 대문채의 지붕을 더 높이고 초헌이 드나들 수 있도록 凹형의 문턱을 설치하거나 혹은 문턱을 아예 설치하지 않았다.
오늘날 대문은 문기둥을 좌우에 세우고 문짝을 다는 것이 보통이며, 문기둥은 목조, 벽돌조, 철근 콘크리트조, 철판조 등으로 하고, 문짝은 목재나 철재로 한다. 요즈음은 주로 금속재를 사용하는데, 그것은 목재의 가격이 비싸고 잘 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여기에는 문등(門燈), 초인종, 우편물받이통, 깃발꽂이 등을 설비한다.
특히, 아파트나 상가건물과 같이 다수개 사람들이 모여서 생활하게 되는 집합건물에는 화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곳곳에 방화문의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을 뿐, 다수의 왕래시 발생되는 소음은 현관문을 통해서 내부로 손쉽게 유입되고, 내부의 소음은 다시 현관문을 통해서 외부로 쉽게 새어나가 다른 집에도 소음공해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런 종래의 현관문은 겨울철이나 여름철의 온기나 냉기가 서로 유통되어 실내의 냉방이나 난방의 효율을 저하시켜 냉난방비용을 보다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외의 소음이 집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실내의 소음이 집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생활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고, 여름철에는 냉방중 차가운 공기가, 겨울철에는 난방중 따뜻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냉난방비용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난방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건축용 방음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개의 지벽으로 분할된 다수개의 내부공간에 종이롤이 각각 삽입된 방음문짝부재와, 내측에는 상기 방음문짝부재가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측단에는 경첩이 안착되는 절첩구설치홈이 형성되며, 그 외측에는 방음돌부가 길게 형성되고, 좌측단에는 고정쇠 선단에 힌지축에 의해 축회동되는 탄발걸쇠가 형성된 문짝틀과, 외측 상하단에 문틀에 걸림고정되는 탄성판을 갖는 외향걸림부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손잡이설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문짝틀의 내측면을 밀폐하는 내측문짝판과, 상기 문짝틀의 외측면을 밀폐하는 외측문짝판으로 형성된 방음문짝과;
모서리부에 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코너마감부재가 삽입된 나무재질의 문틀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방음문의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방음문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요부절취 확대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방음문의 폐쇄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방음문의 개방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평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건축용 방음문(1)은, 내부에 종이롤(12)이 다수개 삽입되어 외부로부터의 소음을 흡수 내지 감소시키는 방음문짝부재(10)가 충진된 방음문짝(2)과, 방음문짝(2) 일단이 축회동되어 열고 닫히는 틀체인 문틀(3)로 구성된다.
상기 방음문짝(2)은 다수개의 공간에 종이롤(12)이 삽입된 판재인 종이재질의 방음문짝부재(10)와, 종이재질의 방음문짝부재(10)가 삽입되어 상하좌우측단을 보호하는 틀체인 문짝틀(20)과, 문짝틀(20)의 내측면을 밀폐고정시키는 내측문짝판 (30)과, 문짝틀(20)의 외측면을 밀폐고정시키는 외측문짝판(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방음문짝부재(10)는 종이재질의 두께를 갖는 판체로, 다수개의 지벽(11)으로 분할된 다수개의 내부공간에 종이롤(12)이 각각 삽입되어서 이루어진다.
상기 문짝틀(20)은 종이재질의 방음문짝부재(10)가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틀로서, 내측에는 상기 방음문짝부재(10)가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측단에는 경첩(5)이 안착되는 절첩구설치홈(24)이 형성되며, 그 외측에는 방음돌부(25)가 길게 형성되고, 좌측단에는 고정쇠(23) 선단에 힌지축(22)에 의해 축회동되는 탄발걸쇠(21)가 형성된다.
상기 내측문짝판(30)은 외측 상하단에 문틀(3)에 걸림고정되는 탄성판(32)을 갖는 외향걸림부(31)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손잡이설치홈(33)이 형성되어 상기 문짝틀(20)의 내측면을 밀폐하며 고정된다.
상기 외측문짝판(40)은 문짝틀(20)의 외측면을 밀폐하여 고정된다.
상기 문틀(3)은 나무재질로, 내외측 모서리부에는 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코너마감부재(4)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음문짝부재(10)의 다수개 지벽(11)으로 분할된 내부공간에 긴 종이롤(12)을 각각 삽입하고, 방음문짝부재(10)를 문짝틀(20)의 내측면에 삽입시킨다.
그 다음, 문짝틀(20)의 내측면에 내측문짝판(30)을 고정시키고, 문짝틀(20) 외측면에 외측문짝판(40)을 고정시킨다.
이때, 내측문짝판(30)의 손잡이설치홈(33)에는 손잡이(도시않음)가 장착되 고, 상하단의 외향걸림부(31)의 내측에는 탄성판(32)이 각각 삽입되어 개폐시 작동소음을 방지한다.
그 상태에서, 문짝틀(20) 우측단의 절첩구설치홈(24)에는 경첩(5) 일측을 고정시킨 다음, 문틀(3) 일측단에 경첩(5) 타측을 고정시키면 된다.
이렇게 문틀(3)에 방음문짝(2)이 장착된 본 고안의 방음문(1)은 도 3 및 4와 같이, 문틀(3)에 방음문짝(2)의 문짝틀(20) 측단에서 돌출된 탄발걸쇠(21)가 밀착되어 고정되며, 이때, 내측문짝판(30)의 상하단에 형성된 외향걸림부(31)의 탄성판(32)이 문틀(3)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소음의 유입을 차단시키게 된다.
외측문짝틀(40)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소음은 방음문짝부재(10)의 종이롤(12)과 지벽(11) 내부에서 상쇄되어 소멸되거나 감소되어 최소화된다.
또한, 방음문짝(2)의 외측문짝판(40)의 우측단 외측에는 문틀(3)에 방음띠(6)가 장착되어, 방음문짝(2)의 폐쇄시 그 틈새를 막아 방음효과를 최대화시킨다.
문틀(3)의 내외측단 모서리에는 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코너마감부재(4)가 각각 삽입고정되어 방음문짝(2)의 회동시 측단의 탄발걸쇠(21)에 의해 문틀(3)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실외의 소음이 집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실내의 소음이 집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생활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고, 여름철에는 냉방중 차가운 공기가, 겨울철에는 난방중 따뜻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냉난방비용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난방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다수개의 지벽으로 분할된 다수개의 내부공간에 종이롤이 각각 삽입된 방음문짝부재와, 내측에는 상기 방음문짝부재가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측단에는 경첩이 안착되는 절첩구설치홈이 형성되며, 그 외측에는 방음돌부가 길게 형성되고, 좌측단에는 고정쇠 선단에 힌지축에 의해 축회동되는 탄발걸쇠가 형성된 문짝틀과, 외측 상하단에 문틀에 걸림고정되는 탄성판을 갖는 외향걸림부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손잡이설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문짝틀의 내측면을 밀폐하는 내측문짝판과, 상기 문짝틀의 외측면을 밀폐하는 외측문짝판으로 형성된 방음문짝과;
    모서리부에 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코너마감부재가 삽입된 나무재질의 문틀로 이루어진 건축용 방음문.
KR1020050101617A 2005-10-27 2005-10-27 건축용 방음문 KR100592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617A KR100592661B1 (ko) 2005-10-27 2005-10-27 건축용 방음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617A KR100592661B1 (ko) 2005-10-27 2005-10-27 건축용 방음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2661B1 true KR100592661B1 (ko) 2006-06-26

Family

ID=37183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617A KR100592661B1 (ko) 2005-10-27 2005-10-27 건축용 방음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66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81779A1 (en) Reversible sliding glass door
US7810283B2 (en) Exterior pocket door
KR101201585B1 (ko) 갤러리용 회전 창호구조
CN102296917A (zh) 一种采光、通风、隔音的门窗
KR101149684B1 (ko) 한옥용 문의 이중 개폐장치
KR20140078843A (ko) 고층용 환기구조를 구비한 창호
JP3927191B2 (ja) 鋼製ドア用郵便受及びこれを有する鋼製ドア
KR100592661B1 (ko) 건축용 방음문
KR200360568Y1 (ko) 방화문의 구조
JP2007126913A (ja) 二重窓枠
KR20060054723A (ko) 도어의 방음장치
KR101277056B1 (ko) 한옥의 창호 시스템
KR20210101569A (ko) 기밀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여닫이 창호
US20200270935A1 (en) Storm Door
JP5464772B2 (ja) 建物の開口部装置
JP2003262076A (ja) 建物用ドア
KR200368017Y1 (ko) 현관방화문
JP2007016383A (ja) 断熱スクリーン
KR100704542B1 (ko) 냉난방 효율을 증대시켜줄 수 있는 공동주택용 전실보조도어
JP2001182259A (ja) 構造物躯体カバーの隙間塞ぎ構造及びその塞ぎ材
JPS5819268Y2 (ja) 全開口内障子付金属製窓
KR100469916B1 (ko) 창호용 마감패널의 직각 모서리 연결부재
KR200196848Y1 (ko) 환기창이 설치된 현관문
KR200315116Y1 (ko) 방범브라인드를 구비한 통풍도어
JPS612023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