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928B1 - 공동주택용 물탱크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물탱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928B1
KR100591928B1 KR1020050128265A KR20050128265A KR100591928B1 KR 100591928 B1 KR100591928 B1 KR 100591928B1 KR 1020050128265 A KR1020050128265 A KR 1020050128265A KR 20050128265 A KR20050128265 A KR 20050128265A KR 100591928 B1 KR100591928 B1 KR 100591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tank
slide
fixed
lo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기
Original Assignee
(주)카스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스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카스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128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high-lev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22Large containers rigid in multiple arrangement, e.g. stackable, nestable, connected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88/027Large containers rigid in multiple arrangement, e.g. stackable, nestable, connected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single container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dditional means so as to form a cluster of containers, e.g. a battery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0Large containers rigid parallelepiped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된 물탱크의 분리/결합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한 공동주택용 물탱크구조에 관한 것으로, 레일(40)(42)의 중간에 구름롤러(50)(52)가 빠져서 걸리는 반원홈(42g)을 형성하며, 공구결합부(74)를 갖는 장볼트(70)를 슬라이드탱크(34)의 저면에 설치된 행거베어링(72)에 의해 지지하고, 장볼트(70)와 나사결합되는 웰드너트(80)를 고정탱크(32)의 플랜지(32p) 배후면 하측에 용접하여 구성된 것이다.
공동주택,건축,물탱크,분할,레일,롤러,장볼트,행거,반원홈

Description

공동주택용 물탱크구조{Water Tank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물탱크가 닫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물탱크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의 구조를 보인 부분확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물탱크가 닫힌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물탱크가 열린 상태를 보인 부분확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물탱크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탱크 하부구조를 보인 저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 슬래브 30 : 물탱크
32 : 고정탱크 34 : 슬라이드탱크
32a,34a : 체결공 32p,34p : 플랜지
36 : 다리 40,42 : 레일
42g : 반원홈 50,52 : 구름롤러
60 : 볼트 62 : 너트
70 : 장볼트 72 : 행거베어링
74 : 공구결합부 80 : 웰드너트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물탱크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된 물탱크의 분리/결합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한 공동주택용 물탱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 시설되어 있는 물탱크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슬러지 등이 내부에 침전되면서 쌓이거나 녹물에 의해 물탱크 내부를 오염시키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청소해주야 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물탱크는 작업자가 좁은 맨홀을 통해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세척작업이 매우 불편하였으며, 배수가 원활하지 않아 세척 후 인체에 해로운 세제 찌꺼기가 물탱크에 잔류하여 매우 위험하였다.
그래서 종래에는 물탱크를 좌우로 분리하고, 물탱크의 결합부위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에 의해 분리/결합이 자유롭도록 하며, 물탱크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을 물탱크에 하측에 설치한 것이 개발되었으나 물탱크 하측에 위치된 볼트와 너트를 풀거나 조일 때 작업자가 물탱크 하측으로 기어서 진입한 다음 작업에 임해야 하기 때문에 분리/결합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탱크 청소작업시 물탱크의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세척수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물탱크의 분리/결합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물탱크 내의 세척수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물탱크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레일의 중간에 구름롤러가 빠져서 걸리는 반원홈을 형성하며, 공구결합부를 갖는 장볼트를 슬라이드탱크의 저면에 설치된 행거베어링에 의해 지지하고, 장볼트와 나사결합되는 웰드너트를 고정탱크의 플랜지 배후면 하측에 용접하여 공동주택용 물탱크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30)의 중간을 2분할하여 좌우측에 고정탱크(32)와 슬라이드탱크(34)를 형성하고, 고정탱크(32)는 다리(36)에 의해 건물의 슬래브(20)에 고정하고, 슬라이드탱크(34)는 슬래브(20)에 평행하게 설치된 레일(40)(42)위에 구름롤러(50)(52)로 지지하여 좌우방향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하며, 양측의 고정탱크(32)와 슬라이드탱크(34)의 결합부위를 따라 체결공(32a)(34a)이 형성된 플랜지(32p)(34p)를 형성하여 플랜지(32p)(34p)의 상하좌우측을 볼트(60)와 너트(62)로 고정한다.
또한, 레일(40)(42)의 중간에 구름롤러(50)(52)가 빠져서 걸리는 반원홈(42g)을 형성하며, 공구결합부(74)를 갖는 장볼트(70)를 슬라이드탱크(34)의 저면에 설치된 행거베어링(72)에 의해 지지하고, 장볼트(70)와 나사결합되는 웰드너트(80)를 고정탱크(32)의 플랜지(32p) 배후면 하측에 용접한다.
그리고, 고정탱크(32)에는 유입관(35), 배수관(39), 맨홀뚜껑(37), 사다리(도시 않됨) 등의 각종 배관과 고정물을 설치한다.
삭제
또한, 레일(40)(42)은 구름롤러(50)(52)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C"형 채널구조로 형성하고, 내측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역(逆) "T"형의 리브를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드탱크(34)의 좌측면에 손잡이(38)를 설치하여 손으로 잡아당기는 것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 장볼트(70)의 두부에 형성된 공구결합부(74)는 예컨대, 사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나사부(78)는 선단에만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중간에는 환형플랜지(76)를 형성하며, 이 장볼트(70)와 결합하는 웰드너트(80)는 고정탱크(32)의 플랜지(32p)(34p) 배후면 하측에 용접한다.
상기 레일(40)(42)의 끝은 구름롤러(50)(5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폐쇄한다.
또한, 레일(40)(42)에 형성된 반원홈(42g)의 좌우측 부분에 구름롤러(50)(52)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관통구멍(90)(92)을 두 개 형성하여 구름롤러(50)(52)가 반원홈(42g)에 빠진 후 록볼트(94)(96)를 관통구멍(90)(92)에 끼운 다음 반대편에서 너트(95)(97)를 나사결합하여 슬라이드탱크(34)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탱크(32)와 슬라이드탱크(34)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32p)(34p)에는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평판형의 패킹재(100)(102)를 부착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탱크(32)와 슬라이드탱크(34)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탱크(32)에 설치되어 있는 유입관(35)을 통해 물을 공급하게 되면, 물탱크(30) 내부에 물이 채워지게 된다.
이후 물탱크(30) 내부를 청소하는 경우 고정탱크(32)와 슬라이드탱크(34)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32p)(34p)에 결합되어 있는 볼트(60)와 너트(62)를 풀어서 분리한 다음 슬라이드탱크(34)의 하측에 위치되어 있는 장볼트(70)의 두부에 복스렌치와 같은 해체공구를 결합한 다음 장볼트(70)를 풀리는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장볼트(70)가 고정탱크(32)의 플랜지(32p)(34p)에 용접되어 있는 웰드너트(80)로부터 분리된다.
즉, 슬라이드탱크(34)의 저면과 슬래브(20) 사이는 매우 좁기 때문에 작업자가 진입하여 작업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므로, 슬라이드탱크(34)의 좌측 끝으로까지 연장된 장볼트(70)를 이용해서 편리하게 고정탱크(32)와 슬라이드탱크(34)에 형성된 플랜지(32p)(34p) 하부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탱크(34)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38)를 손으로 잡고 잡아당기게 되면, 슬라이드탱크(34)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구름롤러(50)(52)가 레일(40)(42)을 따라 구르면서 슬라이드탱크(34)가 직선운동되어 고정탱크(32)로부터 분리되며, 레일(40)(42)에 형성되어 있는 반원홈(42g)에 구름롤러(50)(52)가 위치되면, 이곳으로 구름롤러(50)(52)가 빠지면서 자중에 의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반원홈(42g)의 좌우측에 위치되어 있는 관통구멍(90)(92)에 록볼트(94)(96)를 끼운 다음 반대편에서 너트(95)(97)를 나사결합하게 되면, 록볼트(94)(96)가 구름롤러(50)(52)의 좌우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슬라이드탱크(34)가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전하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이 고정탱크(32)와 슬라이드탱크(34) 사이가 크게 벌어지기 때문에 세척을 위한 장비인 고압세척기를 비롯하여 작업자가 고정탱크(32)와 슬라이드탱크(34) 내부를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게 되고, 공간이 크게 개방되기 때문에 청소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더욱이 슬라이드탱크(34)에 설치되어 있는 구름롤러(50)(52)가 레일(40)(42)에 형성되어 있는 반원홈(42g)에 빠져서 개방된 부분이 하측으로 약간 기울어지기 때문에 물청소할 때 물이 개방된 부분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려 청소작업이 더욱 편리하게 된다.
이후 청소작업을 마친 다음 록볼트(94)(96)로부터 너트(95)(97)를 분리한 다음 레일(40)(42)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90)(92)으로부터 빼낸 후 고정탱크(32)를 향해 힘껏 밀게 되면, 구름롤러(50)(52)가 반원홈(42g)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레일(40)(42)을 따라 굴러 슬라이드탱크(34)에 형성된 플랜지(32p)(34p)가 고정탱크(32)에 형성된 플랜지(32p)(34p)와 밀착된다.
이때 플랜지(32p)(34p)에 형성된 체결공(32a)(34a)을 통해 볼트(60)를 삽입하여 너트(62)와 결합하게 되면, 플랜지(32p)(34p)의 상부와 좌우측이 결합되며, 플랜지(32p)(34p)의 하측부 결합을 위해 장볼트(70)에 두부에 형성된 공구결합부(74)에 복스렌치와 같은 체결공구를 결합한 다음 장볼트(70)를 웰드너트(80)를 향해 밀면서 조이는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장볼트(70)의 선단에 형성된 나사부(78)가 웰드너트(80)에 결합되면서 장볼트(70)에 형성된 환형플랜지(76)가 플랜지(32p)(34p)를 가압하여 물탱크(3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물탱크를 개방하였을 때 레일에 형성된 반원홈에 구름롤러가 빠지면서 슬라이드탱크의 개방된 부분이 아래쪽으로 기울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청소시 자연배수가 가능하여 청소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슬라이드탱크와 고정탱크를 분리/결합할 때 슬라이드탱크 밑으로 진입할 필요없이 슬라이드탱크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장볼트의 공구결합부에 렌치나 스패너 등의 공구를 결합하여 장볼트를 돌리게 되면, 슬라이드탱크와 고정탱크의 분리/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슬라이드탱크와 고정탱크의 분리/결합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물탱크(30)의 중간을 2분할하여 좌우측에 고정탱크(32)와 슬라이드탱크(34)를 형성하고, 고정탱크(32)는 다리(36)에 의해 건물의 슬래브(20)에 고정하고, 슬라이드탱크(34)는 슬래브(20)에 평행하게 설치된 레일(40)(42)위에 구름롤러(50)(52)로 지지하여 좌우방향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하며, 양측의 고정탱크(32)와 슬라이드탱크(34)의 결합부위를 따라 체결공(32a)(34a)이 형성된 플랜지(32p)(34p)를 형성하여 플랜지(32p)(34p)의 상하좌우측을 볼트(60)와 너트(62)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공동주택용 물탱크구조에 있어서,
    레일(40)(42)의 중간에 구름롤러(50)(52)가 빠져서 걸리는 반원홈(42g)을 형성하며, 공구결합부(74)를 갖는 장볼트(70)를 슬라이드탱크(34)의 저면에 설치된 행거베어링(72)에 의해 지지하고, 장볼트(70)와 나사결합되는 웰드너트(80)를 고정탱크(32)의 플랜지(32p) 배후면 하측에 용접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물탱크구조.
  2. 삭제
KR1020050128265A 2005-12-22 2005-12-22 공동주택용 물탱크구조 KR100591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265A KR100591928B1 (ko) 2005-12-22 2005-12-22 공동주택용 물탱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265A KR100591928B1 (ko) 2005-12-22 2005-12-22 공동주택용 물탱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1928B1 true KR100591928B1 (ko) 2006-06-20

Family

ID=37183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265A KR100591928B1 (ko) 2005-12-22 2005-12-22 공동주택용 물탱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9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58090C (zh) * 2007-05-25 2009-02-04 侯茂新 混凝土大容量可移动可组合蓄水体及其制备方法
KR101073631B1 (ko) 2011-06-03 2011-10-14 장인성 개폐식 관정장옥
KR20210029630A (ko) * 2019-09-06 2021-03-16 박진원 요소수 카트리지 유닛이 형성된 요소수 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9474A (ja) * 1994-04-11 1995-10-27 Kawasaki Heavy Ind Ltd 地下式低温貯槽の構築方法
KR20010036808A (ko) * 1999-10-12 2001-05-07 이기호 스테인리스 극박판이 밀착고정된 시트 몰딩 콤파운드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물탱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9474A (ja) * 1994-04-11 1995-10-27 Kawasaki Heavy Ind Ltd 地下式低温貯槽の構築方法
KR20010036808A (ko) * 1999-10-12 2001-05-07 이기호 스테인리스 극박판이 밀착고정된 시트 몰딩 콤파운드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물탱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7279474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58090C (zh) * 2007-05-25 2009-02-04 侯茂新 混凝土大容量可移动可组合蓄水体及其制备方法
KR101073631B1 (ko) 2011-06-03 2011-10-14 장인성 개폐식 관정장옥
KR20210029630A (ko) * 2019-09-06 2021-03-16 박진원 요소수 카트리지 유닛이 형성된 요소수 공급장치
KR102302681B1 (ko) 2019-09-06 2021-09-14 박진원 요소수 카트리지 유닛이 형성된 요소수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1928B1 (ko) 공동주택용 물탱크구조
KR200452554Y1 (ko) 배수관 청소도구
JP2015507113A (ja) 洗面器用ポップアップ装置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KR100974169B1 (ko) 세면기 수전 교체용 렌치
US20030033663A1 (en) Drain lock
CN108654171B (zh) 一种双进水口污水处理水箱
JP5616685B2 (ja) 横主管用掃除口構造
CN205088761U (zh) 一种内部设有自动清理结构的下水管清洗装置
KR102102288B1 (ko) 씽크대용 수전장치
KR101024029B1 (ko) 바닥 청소용 밀대
KR100873854B1 (ko) 배수용 개폐장치
KR101208089B1 (ko) 배수트랩의 결합구조
BRMU8801631U2 (pt) desentupidor manual para pias, ralos, tanques e lavatórios
KR20090114055A (ko) 배관용 렌치
KR200477280Y1 (ko) 집수정뚜껑 손잡이 커버
KR200475926Y1 (ko) 샤워바
KR102418523B1 (ko) 싱크대용 배수호스 연결구
US20020104156A1 (en) Drain lock
KR100973538B1 (ko) 청소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배수관 연결장치
CN202355382U (zh) 拖把清洗挤干器
CN214052691U (zh) 一种电力金具清洗装置
KR20100008614U (ko) 콘크리트 기둥 형틀 조임구
CN209703629U (zh) 一种可生活污水再利用的洗手池
CN102429617A (zh) 拖把清洗挤干器
CN217119488U (zh) 一种工业废水用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