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839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839B1
KR100591839B1 KR1020040007318A KR20040007318A KR100591839B1 KR 100591839 B1 KR100591839 B1 KR 100591839B1 KR 1020040007318 A KR1020040007318 A KR 1020040007318A KR 20040007318 A KR20040007318 A KR 20040007318A KR 100591839 B1 KR100591839 B1 KR 100591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torage area
priority
stor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9160A (ko
Inventor
권택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07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839B1/ko
Publication of KR20050079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사진영상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영상 관리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사진영상의 저장명령 수신시 영상저장영역의 존재여부를 검색하는 단계와; 영상저장영역 존재시 지정된 우선 순위와 함께 촬상된 사진영상을 저장하는 단계와; 영상저장영역 부족시 미리 저장된 사진영상들 중 우선 순위가 낮은 사진영상을 검색하여 선택하는 단계와; 영상저장영역의 확보를 위해 상기 선택된 영상을 우선 순위에 따라 소거하거나 압축 저장하는 단계와; 확보된 영상저장영역에 촬상된 사진영상정보와 지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사진영상, 우선 순위, 웨이블릿.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 A PICTURE IMAGE IN A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사진영상 관리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영상을 웨이블릿 변환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사진영상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폰은 일반 휴대폰에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부가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사용자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한 사진 영상들을 카메라 폰의 액정을 통해 직접 확인하거나, 혹은 PC상에 업로드하여 기호에 맞게 편집 및 가공할 수 있고, 촬영된 사진영상들을 전자 메일 등 편리한 수단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보급이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폰에서 사진영상이 저장될 때 만약 메모리 공간이 부족하다면 경고창을 표시하여 기 저장된 사진영상을 사용자가 소거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기 저장된 사진영상들을 일일이 검색하여 소거하고자 하는 사진을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만약 검색시의 조작 오류로 지워서는 안될 중요한 사진을 소실할 우려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되는 사진영상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우선 순위가 낮은 영상이 우선적으로 자동 소거되거나 자동 압축되도록 하여 새로운 사진영상의 저장영역을 자동 확보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장치는,
사진영상 저장명령 수신시 저장수단내에 영상저장영역의 존재여부를 검색하는 저장영역 검색부와;
영상저장영역 부족시에 미리 저장된 사진영상들 중 우선 순위가 낮은 영상을 선택하는 저장영상 선택부와;
선택된 사진영상을 소거하여 영상저장영역을 확보하는 선택영상 소거부와;
지정된 우선 순위 정보와 촬상된 사진영상을 영상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저장영상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사진영상을 압축하기 위한 선택영상 압축부;를 더 포함함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사진영상의 저장명령 수신시 영상저장영역의 존재여부를 검색하는 단계와;
영상저장영역 존재시 지정된 우선 순위와 함께 촬상된 사진영상을 저장하는 단계와;
영상저장영역 부족시 미리 저장된 사진영상들 중 우선 순위가 낮은 사진영상을 검색하여 선택하는 단계와;
영상저장영역의 확보를 위해 상기 선택된 영상을 우선 순위에 따라 소거하거나 압축 저장하는 단계와;
확보된 영상저장영역에 촬상된 사진영상정보와 지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사진영상은 사용자 혹은 디폴트값에 의해 우선 순위 지정되어 영상저장영역에 저장되며, 만약 영상저장영역이 부족하면 미리 저장된 사진영상중 우선 순위가 낮은 사진영상을 찾아 자동 소거하거나 압축 저장함으로서, 새로운 사진영상이 저장될 수 있는 영역을 자동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RF부(100)는 기지국과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RF신호를 다운 컨버젼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 출력하고, 제어부(23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업 컨버젼한후 이를 RF신호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모리(110)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10)는 플래쉬 메모리, 스태틱 램, EEPRO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키패드(120)는 사용자에 의한 각종 명령 입력이나 다이얼링, 우선 순위 지정 등을 위한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며 그 키 입력에 따른 키 데이터들을 발생하여 폰 제어부(130)로 전송하여 준다.
폰 제어부(130)는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폰 제어부(130)는 우선 순위, 사진영상 저장명령과 같이 사진영상 관리를 위해 필요한 사용자 명령이 키패드(120)를 통해 입력되면 이를 후술할 영상신호 처리부(150)로 전송하여 준다.
송수화부(140)는 마이크, 스피커 및 통화를 위해 필요한 음성회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전기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 출력하거나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카메라(160)는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 출력한다. 이러한 카메라(260)는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Sensor)센서 칩으로 불리우는 CCD센서와, 상기 CCD센서를 통해 출력되는 촬상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Y,U,V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DSP를 포함한다.
영상신호 처리부(150)는 기본적으로 상기 카메라(160)로부터 출력되는 혹은 메모리(180)에서 독출된 사진영상 데이터를 n비트 컬러 표시 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부(170)로 출력하여 준다. 또한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50)는 사용자 혹은 디폴트값에 의해 지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사진영상과 함께 후술할 메모리(180)에 저장함은 물론, 만약 상기 메모리(180)내 영상저장영역이 부족하면 미리 저장된 사진영상중 우선 순위가 낮은 사진영상을 찾아 자동 소거하거나 압축 저장함으로서 새로운 사진영상이 저장될 수 있는 영역을 자동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영상신호 처리부(15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영역 검색부(151), 저장영상 선택부(153), 선택영상 소거부(155), 영상 저장부(157), 선택영상 압축부(159) 및 컬러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들(컬러 표시데이터 변환부, 영상신호 입출력부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영역 검색부(151)는 폰 제어부(130)로부터 영상 저장명령이 수신되 면 메모리(180)에 사진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영상저장영역이 존재하는가를 검색한다.
저장영상 선택부(153)는 영상저장영역 부족시에 메모리(180)에 미리 저장된 사진영상들 중 우선 순위가 낮은 사진영상을 선택하되, 우선 순위에 따라 후술할 선택영상 소거부(155)와 선택영상 압축부(159)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저장영상 선택부(153)는 하나의 사진영상을 선택함에 있어서 동일한 우선 순위를 갖는 사진영상이 복수개이면 오래된 사진 영상이 우선 선택되도록 한다.
선택영상 소거부(155)는 상기 저장영상 선택부(153)에 의해 선택된 사진영상을 소거하여 영상저장영역을 확보하여 준다. 이러한 선택영상 소거부(155)는 또한 폰 제어부(130)를 통해 소거명령이 수신되면 선택된 사진영상을 메모리(180)에서 소거하여 준다.
영상 저장부(157)는 사용자 혹은 디폴트값에 의해 지정된 우선 순위 정보와 촬상된 사진영상을 메모리(180)내에 확보된 영상저장영역에 함께 저장한다. 또한 영상 저장부(157)는 후술할 선택영상 압축부(159)에 의해 압축된 사진영상을 메모리(180)에 저장하기도 한다.
상술한 저장영역 검색부(151), 저장영상 선택부(153), 선택영상 소거부(155), 영상 저장부(157)는 메모리(180)를 액세스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제어부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선택영상 압축부(159)는 상기 저장영상 선택부(153)에 의해 선택된 사진영상을 압축하는 것으로서 선택된 사진영상을 웨이블릿 변환하여 압축한다.
한편 표시부(170)는 LCD 구동부와 컬러 LCD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50)로부터 출력되는 n비트 컬러 표시 데이터를 LCD상에 표시하여 준다.
메모리(180)는 사진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으로서 영상신호 처리부(150)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오디오 처리부(190)는 영상신호 처리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160)를 통해 촬상된 사진영상들이 관리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사진영상 관리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영상을 웨이블릿 변환하여 압축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를 촬상하고 촬상된 사진영상의 저장을 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진영상 저장명령이 키패드(120)를 통해 수신되면 폰 제어부(130)는 이러한 사진영상 저장명령을 영상신호 처리부(150)로 전송한다.
따라서 영상신호 처리부(150)내의 저장영역 검색부(151)는 사진영상의 저장명령이 수신(200단계)되면 그에 응답하여 메모리(180)내 영상저장영역이 존재하는가, 즉 메모리 풀(full)인가를 검색(210단계)한다. 검색결과 메모리 풀이 아니면 저장영역 검색부(151)는 그 검색결과를 폰 제어부(130)와 영상저장부(157)로 전송 함으로서, 폰 제어부(130)는 220단계에서 단말기 사용자에게 우선 순위 입력을 요구할 수 있는 것이다.
220단계의 우선 순위 입력요구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가 우선 순위를 지정하여 입력하면, 입력된 우선 순위는 폰 제어부(130)로부터 영상신호 처리부(150)로 전달됨으로서, 영상신호 처리부(150)내의 영상 저장부(157)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우선 순위와 카메라(160)를 통해 촬상된 사진영상을 메모리(180)에 저장(230단계)한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카메라(160)를 통해 촬상된 사진영상은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우선 순위가 지정되어 메모리(180)에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우선 순위가 미 지정되는 경우라면 디폴트값에 의해 하나의 우선 순위가 지정되는 것으로 한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우선 순위를 4가지로 분류하여 운영한다. 예를 들면, 우선 순위 a는 절대 지워져서는 안될 사진영상을 지정하는데 이용되며, 우선 순위 b는 비교적 중요한 사진이나 지워질 수 있는 사진을 지정하는데 이용된다. 그리고 우선 순위 c는 영상저장영역의 확보를 위해 미리 저장된 사진을 리사이징(resizing)하여 재 저장하기 위한 사진을 지정하는데 이용되며, 우선 순위 d는 영상저장영역의 확보를 위해 우선 소거되어야 하는 사진을 지정하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리 저장된 사진을 리사이징하는데 웨이블릿 변환 기법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미 공지된 다양한 정지영상 압축기법을 사용하여 리사이징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우선 순위 지정된 다수의 사진영상들이 메모리(180)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사진영상 저장명령에 따라 메모리의 풀 여부를 검색한 결과 영상저장영역이 부족한 것으로 판명되면, 저장영역 검색부(151)는 그 결과를 저장영상 선택부(153)로 전달한다.
이에 저장영상 선택부(153)는 메모리(180)에 미리 저장된 사진영상들 중 우선 순위가 낮은 사진영상을 검색하여 하나를 우선 선택한다. 우선 순위가 낮은 사진영상을 검색하여 선택하는 방법은 우선, 최하위 우선 순위를 가지는 사진영상이 존재하는가를 검색(240단계)하는 것이다. 만약 240단계의 검색결과 최하위 우선 순위인 우선 순위 d를 가지는 사진영상이 존재한다면 저장영상 선택부(153)는 최하위 우선 순위를 갖는 사진영상을 선택한 후 그 사진영상이 소거되도록 선택영상 소거부(155)를 활성화시킨다. 이에 따라 활성화된 선택영상 소거부(155)는 상기 저장영상 선택부(153)에 의해 선택된 사진영상을 소거(250단계)함으로서 영상저장영역을 확보하여 줄 수 있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최하위 우선 순위를 가지는 사진영상이 다수개라면 가장 먼저 저장된 사진영상이 선택되도록 하면 된다.
한편 250단계의 수행결과로 영상저장영역이 확보되면 220단계와 230단계의 수행에 따라 메모리(180)에는 우선 순위 지정된 새로운 사진영상이 자동 저장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기 저장된 사진영상을 선택하여 소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240단계의 검색결과 최하위 우선 순위를 가지는 사진영상이 존재하지 않으면 저장영상 선택부(153)는 그 보다 한 단계 높은 우선 순위, 즉 우선 순위 c를 가지는 사진영상이 존재하는가를 검색(260단계)한다. 검색결과 우선 순위 c를 가지는 사진영상이 존재한다면 저장영상 선택부(153)는 우선 순위 c를 가지되 가장 먼저 저장된 사진영상을 선택한 후 그 사진영상이 압축되도록 선택영상 압축부(159)를 활성화시킨다. 이에 따라 활성화된 선택영상 압축부(159)는 상기 저장영상 선택부(153)에 의해 선택된 사진영상을 압축하게 되고, 압축된 사진영상은 다시 영상 저장부(157)에 의해서 저장(270단계)됨으로서, 결과적으로는 사진영상의 압축에 의해 영상저장영역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미리 저장된 사진영상의 사이즈를 축소하기 위해 선택영상 압축부(159)에서 채용되고 있는 웨이블릿 변환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우선 웨이블릿 변환은 원 영상의 저주파 성분만을 이용하여 영상을 새로 구성함으로서 크기의 감소, 연산량의 감소, 효율적인 저장공간의 관리 등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론이다. 이러한 웨이블릿 변환에서는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소정의 영상신호가 주파수 특성에 따라 다수개의 대역으로 분할된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대역으로 분할된 사진영상의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참조부호 D 영역은 영상신호중 고주파의 대각선 에지(edge) 성분을, H 영역은 고주파의 수평신호 에지성분을, V 영역은 고주파의 수직신호 에지성분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LH는 영상신호중 저주파의 수평신호 에지성분을, LV는 저주파의 수직신호 에지성분을, LD는 저주파의 대각선 에지성분을 나타내고 있으며, LL은 에지성분이 없는 저주파 성분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대역으로 분할된 사진영상들의 각 성분들은 DCT 변환 및 양자화 처리된 다음 스캐닝 처리되어 부호화된다. 만약 256*256 사이즈를 갖는 원 사진영상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2단계 웨이블릿 변환이 이루어진다면 H, V, D는 128*128 해상도의 영상을 갖게 되고 LL, LV, LH, LD 영상은 64*64 해상도를 갖게 된다. 따라서 미리 저장된 사진영상에 대해 웨이블릿 변환을 수행하게 되면 아주 낮은 해상도를 가지는 압축 영상이 생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사진영상의 압축에 의해 영상저장영역이 확보되면 220단계와 230단계의 수행에 따라 메모리(180)에는 우선 순위 지정된 새로운 사진영상이 자동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단말기 사용자는 기 저장된 사진영상을 선택하여 소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260단계의 검색결과 우선 순위 c를 가지는 사진영상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저장영상 선택부(153)는 280단계로 진행하여 우선 순위 b를 가지는 사진영상이 존재하는가를 검색한다. 앞서 정의하였듯이 우선 순위 b는 비교적 중요한 사진이나 지워질 수 있는 사진이므로 단말기 사용자에게 우선적으로 압축 동의를 물어본 후 사용자 지시에 따라 압축하거나 소거할 수 있다.
즉, 우선 순위 b인 사진영상이 존재하면 저장영상 선택부(153)는 표시부(170)를 통해 단말기 사용자에게 해당 사진영상의 압축동의여부를 질의하고, 그 질의에 응답하여 사진영상의 압축요구가 있으면(290단계) 상술한 270단계로 되돌아가 해당 사진영상을 압축함으로서 영상저장영역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 290단계의 검사결과 사진영상 압축 동의가 없으면 사용자 소거모드(310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단말기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소거하고자 하는 사진을 찾아 해당 사진을 소거하도록 한다.
아울러 우선 순위 b를 가지는 사진영상이 메모리(180)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즉, 메모리(180)에 저장된 모든 사진영상이 우선 순위 a를 갖는 경우라면 저장영상 선택부(153)는 300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 풀(full)상태를 표시하여 주고 310단계로 진행한다.
310단계는 사용자 소거모드로서 단말기 사용자는 영상저장영역의 확보를 위해서 미리 저장된 사진영상들중 하나 이상의 영상을 선택하여 수동 소거함으로서 일반 단말기에서와 같이 영상저장영역을 확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사진영상 저장시에 영상저장영역이 부족하다면 미리 저장된 사진영상 중 우선 순위가 낮은 사진영상을 찾아 자동 소거하거나 압축 저장함으로서, 새로운 사진영상이 저장될 수 있는 영역을 자동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진영상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저장하고, 사진영상이 저장된 메모리 풀(full)시에 우선 순위가 낮은 영상이 우선적으로 자동 소거되거나 자동 압축되도록 함으로서, 새로운 사진영상의 저장영역을 자동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는 저장된 사진들을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워져서는 안 되는 주요 사진에 높은 우선 순위가 지정되도록 유도함으로서 주요 사진이 사용상 부주의로 소거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장치에 있어서,
    사진영상 저장명령 수신시 상기 저장수단내에 영상저장영역의 존재여부를 검색하는 저장영역 검색부와;
    상기 저장영역 검색부의 검색결과 영상저장영역 부족시에 미리 저장된 사진영상들 중 우선 순위가 낮은 영상을 선택하는 저장영상 선택부와;
    상기 저장영상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사진영상을 소거하여 영상저장영역을 확보하는 선택영상 소거부와;
    상기 선택영상 소거부에 의해 영상저장영역이 확보되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우선 순위 정보와 촬상된 사진영상을 영상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영상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사진영상을 압축하기 위한 선택영상 압축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택영상 압축부는 선택된 사진영상을 웨이블릿 변환하여 압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영상 선택부는;
    우선 순위가 낮은 사진영상이 복수개일 때 먼저 저장된 사진영상을 우선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장영상 선택부는;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사진영상들에 대해서는 소거되도록 하고 그 다음 우선 순위를 가지는 사진영상들에 대해서는 압축 저장되도록 선택영상 소거부와 선택영상 압축부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장치.
  6.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사진영상의 저장명령 수신시 영상저장영역의 존재여부를 검색하는 단계와;
    영상저장영역 존재시 지정된 우선 순위와 함께 사진영상을 저장하는 단계와;
    영상저장영역 부족시 미리 저장된 사진영상들 중 우선 순위가 낮은 사진영상을 검색하여 선택하는 단계와;
    영상저장영역의 확보를 위해 상기 선택된 사진영상을 소거하는 단계와;
    확보된 영상저장영역에 지정된 우선 순위 정보와 촬상된 사진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영상저장영역의 확보를 위해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진영상을 압축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우선 순위가 낮은 사진영상이 복수개일 때 먼저 저장된 사진영상이 우선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방법.
  9.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사용자 입력 혹은 디폴트값으로 지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선택 영상의 압축 저장시 웨이블릿 변환하여 압축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방법.
KR1020040007318A 2004-02-04 2004-02-04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장치 및 방법 KR100591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318A KR100591839B1 (ko) 2004-02-04 2004-02-04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318A KR100591839B1 (ko) 2004-02-04 2004-02-04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160A KR20050079160A (ko) 2005-08-09
KR100591839B1 true KR100591839B1 (ko) 2006-06-20

Family

ID=37266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318A KR100591839B1 (ko) 2004-02-04 2004-02-04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8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812B1 (ko) * 2004-07-27 2006-06-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정지 영상 압축 및 변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115308539B (zh) * 2021-08-16 2023-12-08 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动力系统绝缘故障定位的方法及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328A (ja) 2001-10-30 2002-11-15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撮像カメラ
JP2002354148A (ja) 2001-05-29 2002-12-06 Nec Corp 携帯端末及び画像データの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4148A (ja) 2001-05-29 2002-12-06 Nec Corp 携帯端末及び画像データの表示方法
JP2002330328A (ja) 2001-10-30 2002-11-15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撮像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160A (ko) 2005-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2605B2 (ja) 撮影画像管理装置、撮影画像管理方法及び撮影画像管理プログラム
EP1215876A1 (en) Image storage system
US7123935B2 (en) Communication device, imaging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execute communication method in computer readable state
KR20050020672A (ko) 통신기능과 촬상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 화상표시방법,화상표시프로그램
KR100617702B1 (ko) 이미지 편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이미지 편집 방법
JP4130646B2 (ja) 映像入力部付き携帯用端末機において文字を認識する方法
US7711255B2 (en) Camera-equipped portable terminal and photograph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US6980703B2 (en) Information storage apparatus and article of manufacture
US20070255571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US7486314B2 (en) Image-pickup apparatus, image recording apparatus, image-pickup control program, image recording program, image-pickup method and image recording method
US200901158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s captured using camera-equipped mobile devices
KR100690728B1 (ko) 카메라 결합형 휴대단말기의 사진파일 저장 방법
US20050134708A1 (en) Control method of digital camera
KR10059183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영상 관리장치 및 방법
KR20120026458A (ko) 데이터 관리 장치, 데이터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9035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제한 방법
KR100646890B1 (ko) 전자앨범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영상 검색방법
KR20050112998A (ko) 연속 촬영 영상의 선택 저장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4102933B2 (ja) 撮影画像管理装置、撮影画像管理方法及び撮影画像管理プログラム
KR2005007197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진 파일 관리 방법
JP2001061125A (ja) 撮像装置および方法
KR100657141B1 (ko) 녹화 시간 연장 기능을 가지는 동영상 촬영 장치 및 그방법과 그를 이용한 무선통신단말기
CA2642317C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s captured using camera-equipped mobile devices
KR100594463B1 (ko) 전화번호부 기반의 영상 촬영 및 검색 기능을 가지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CN114979451A (zh) 图像预览方法及装置、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