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240B1 - 광픽업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광픽업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240B1
KR100591240B1 KR1020040076633A KR20040076633A KR100591240B1 KR 100591240 B1 KR100591240 B1 KR 100591240B1 KR 1020040076633 A KR1020040076633 A KR 1020040076633A KR 20040076633 A KR20040076633 A KR 20040076633A KR 100591240 B1 KR100591240 B1 KR 100591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ircuit
tracking
focusing
bobbin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7718A (ko
Inventor
조두희
송기봉
서정대
김기출
이재광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76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240B1/ko
Publication of KR20060027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for focusing and track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2Mirr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물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액츄에이터를 움직이게 하는 포커싱 코일을 구비하는 포커싱 자기회로부; 디스크의 레디얼 방향으로 액츄에이터를 움직이게 하는 트래킹 코일을 구비하는 트래킹 자기회로부; 상기 포커싱 자기회로부, 트래킹 자기회로부 및 대물렌즈 홀더를 구비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일부를 베이스에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을 구비하되, 상기 포커싱 자기회로부와 상기 트래킹 자기회로부는 상기 보빈을 중심으로 좌우로 독립하여 분리된 구조인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휴대용 초소형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핵심 부품으로 응용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에 광 디스크 드라이브가 사용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기록 용량을 가지면서 크기가 작고 두께가 얇아야 한다.
광픽업 액츄에이터, 광 디스크, 대물렌즈, 트래킹, 포커싱

Description

광픽업 액츄에이터{Actuator for Optical Pick-up}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킹 자기회로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커싱 자기회로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픽업 액츄에이터가 적용가능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들은 본 발명의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대한 전산모사에서 각종 특성들을 도시한 그래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d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자기회로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커싱과 트래킹 방향의 2축 직선운동을 하고 초박형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구동장치에 사용할 목적으로 제조된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모바일 일렉트로닉스에서 광 디스크 드라이브는 널리 이용되고 있다.( M. Tokashi et. al., "Miniaturized Optical Pickup and Mechanism for Mobile Optical Disc Drive" ISOM2003 We-F-19 참조).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모델링 시 광픽업용으로 많은 기계적 파트들이 이용되고 있어 특히 두께 면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두께를 줄이기 위한 노력들이 보고되어 있다. 한국특허공개번호 1998-4437호에는 그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 개시된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포커싱 코일과 트래킹 코일을 동일 형상으로 하고 영구자석의 착자 패턴을 수직 중앙선에 대치되게 배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디스크면에 수직한 코일을 채택하여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물 렌즈 와 광로를 중심으로 좌우에 독립된 포커싱 자기회로부와 트래킹 자기회로부를 분리하여 액츄에이터의 전체 높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다른 목적은 대물 렌즈와 반사경 홀더 부위의 체적을 최소화 하고 보빈의 중심에서 디스크 내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초박형 광 디스크 드라이브 내부 즉 스핀들 모터 스테이터와 디스크 하부면 사이의 비좁은 공간으로 레이저 광이 통과한 후 디스크 면 내주 측에 입사할 수 있도록 하여 초소형 광 디스크의 기록 면적으로 극대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대물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액츄에이터를 움직이게 하는 포커싱 코일을 구비하는 포커싱 자기회로부; 디스크의 레디얼 방향으로 액츄에이터를 움직이게 하는 트래킹 코일을 구비하는 트래킹 자기회로부; 상기 포커싱 자기회로부, 트래킹 자기회로부 및 대물렌즈 홀더를 구비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일부를 베이스에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을 구비하되, 상기 포커싱 자기회로부와 상기 트래킹 자기회로부는 상기 보빈을 중심으로 좌우로 독립하여 분리된 구조인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대물렌즈 홀더는 디스크 내주측으로 소정 거리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대물렌즈 홀더가 구비된 보빈; 상기 대물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액츄에이터를 움직이게 하는 포커싱 코일을 구비하는 포커싱 자기회로부; 디스크의 레디얼 방향으로 액츄에이터를 움직이게 하는 트래킹 코일을 구비하는 트 래킹 자기회로부; 및 보빈의 일부를 베이스에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을 구비하되, 대물렌즈 홀더는 디스크 내주측으로 소정 거리 돌출된 형상을 갖는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은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광픽업 액츄에이터(1)는 대물렌즈 홀더(10)가 구비된 보빈(22)과 대물렌즈(30)를 중심으로 좌우로 분리된 트래킹 자기회로부(100)와 포커싱 자기회로부(200)를 포함하고 보빈(22)의 일부가 탄성 지지부재인 서스펜션(12)에 의해 베이스(미도시)에 연결된다. 보빈(22)은 트래킹 자기회로부(100)와 포커싱 자기회로부(200), 그리고 각종 코일과 광학 부품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서스펜션(12)은 보빈(22)을 지지하고 보빈(22)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한다. 바람직하게는, 보빈(22)은 대물렌즈 홀더(10)가 디스크 내주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고 대물렌즈 중심에 수직한 면은 보빈(22)의 무게 중심을 포함한다. 보빈(22)을 지지하는 서스펜션은 4개, 6개 또는 8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트래킹 자기회로부(100)는 디스크 표면과 평행한 면에 감긴 한 쌍의 트래킹 코일(26)을 포함하고 디스크 표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트래킹 코일(26)의 일부에 자속이 집중되는 형태의 자기회로이다.
바람직하게는, 포커싱 자기회로부(200)는 디스크 표면과 평행한 면에 감긴 한 개의 포커싱 코일(20)을 포함하고 디스크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포커싱 코일(20)의 일부에 자속이 집중되는 형태의 자기회로이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된 대물렌즈 홀더(10)에 있어 대물렌즈(30) 및 홀더, 반사경을 포함하는 총 높이가 1.5 mm 이하이고, 돌출부위의 길이는 4 mm 이하, 보빈과 자기회로부를 포함한 총 높이는 2.7 mm 이하이다.
한편, 대물 렌즈(30) 중심에 수직한 면에는 보빈(22)의 무게 중심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트래킹 자기회로부(100)는 디스크 표면과 평행한 면에 감긴 한 쌍의 트래킹 코일(26)을 포함하고 디스크 표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트래킹 코일(26)의 일부에 자속이 집중되는 형태일 수 있고, 포커싱 자기회로부(200)는 디스크 표면과 평행한 면에 감긴 한 개의 포커싱 코일(20)을 포함하고 디스크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포커싱 코일(20)의 일부에 자속이 집중되는 형태일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트래킹 자기회로부(100)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트래킹 자기회로부는 상하에 영구자석이 마주 보도록 요오크를 설치하여 자속방향이 디스크 면에 수직하게 위에서 아래로 향하게 하고, 트래킹 코일을 그 영구자석과 하부 요오크 사이에 디스크 면과 나란한 면 상에 감은 형태로 두었다. 도 3a 및 도 3b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생략한 구성들이 있음을 밝혀둔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자속방향이 지면 아래로 들어가는 방향(상부 영구자석에서 하부 영구자석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향으로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액츄에이터는 플레밍 왼손 법칙에 의하여 레디얼 내주 방향으로 움직이려는 로렌쯔 힘을 받게 된다. 한편, 전류가 도 3b와 같이 반대 방향으로 흐르면 액츄에이터는 레디얼 외주 방향으로 로렌쯔 힘을 받게 되어 트래킹 방향의 동작을 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포커싱 자기회로부(200)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포커싱 자기회로부는 디스크에 수직한 방향으로 뚫린 보빈의 사각홀 내부에 포커싱 코일을 감고 그 홀 내외측에 영구자석을 설치하고 요오크를 세워 자속이 디스크 면과 나란한 탄젠셜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포커싱 동작의 원리는 도 4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빈 홀 외측의 영구자석으로부터 자속이 나오고 포커싱 코일을 관통하여 내측의 영구자석으로 들어간다고 하였을 때, 포커싱 코일에 지면 아래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포커싱 코일은 플레밍 왼손 법칙에 의해 위로 올라가려는 로렌쯔 힘을 받게 된다.
또한 도 4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포커싱 코일에 지면 위로 나오는 방향을 전류가 흐르면 포커싱 코일은 아래로 내려가려는 로렌쯔 힘을 받게 되어 포커싱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고안된 VCM 액츄에이터의 자기회로부는 종래기술의 대칭형 VCM 액츄에이터 자기회로에 비해 큰 전자기력(로렌쯔 힘)을 나타낼 수 있다.
트래킹 자기회로부는 높이 제한으로 인하여 초소형 광드라이브에 비교예와 같은 액츄에이터 형태(도 9 참조)를 적용할 경우, 실제로 로렌쯔 힘을 발생시키는 부위, 즉, 트래킹 코일의 자속 투과 부위를 1.5 mm 미만으로 짧게 할 수 밖에 없고, 또 트래킹 코일의 길이를 영구 자석 높이 밖으로 연장할 수 없어 불필요한 회전력이 발생하는데 비해,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는 디스크 면과 평행하게 트래킹 코일을 설치하므로, 트래킹 코일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만들 수 있고, 영구자석을 필요한 코일 직선 부위에만 설치할 수 있어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포커싱 자기회로부에 있어서도 영구자석과 포커싱 코일과의 간격을 트래킹 코일의 폭만큼 줄일 수 있어 코일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광디스크 드라이브 내부에는 여러가지의 구동 부품이 설치되게 된다. 우선 광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DC 스핀들 모터가 있고 광 픽업을 레디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레드와 슬레드 구동 모터가 있다. 또한 광디스크를 장착하기 위한 턴테이블과 구동 및 서보 IC가 필수적으로 장착되어야 한다. 그 외에 광 신호를 읽어내기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 포토 다이오드, 대물 렌즈를 비롯한 각종 광학 부품들이 포함된다.
이런 각종 부품을 두께 5 mm의 초소형 광 디스크 드라이브 내부에 모두 설치하는 것은 종래의 구동 부품을 가지고는 불가능하다. 모든 구동 부품을 소형화 박형화 해야 한다. 특히 광픽업을 미세 구동하는 액츄에이터의 경우는 단순히 소형화 박형화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스핀들 모터는 외주를 감싸고 있는 스테이터와 영구자석과 베어링 등이 들어 있는 허브로 나눌 수 있는데 허브 부위는 턴 테이블과 직접 연결되어 디스크를 장착하게 된다. 직경 30 mm, 두께 0.6 mm 정도의 광 디스크를 허용 범위 내의 런-아웃 값을 가지고 3600 rpm 이상의 고속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최소한 높이 4 mm 이상의 스핀들 모터가 필요하고 이 때 허브 부위는 직경 10 mm 이하로 줄일 수 있으나 스테이터 부위는 직경 18 mm 이하로 줄이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스테이터의 높이는 최소한 2 mm 정도가 필요하므로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광 디스크와 스핀들 모터 사이에는 높이 a와 b를 가지는 계단형의 공간만이 존재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픽업 액츄에이터가 적용 가능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높이가 a와 b 사이의 값을 가지면 광 디스크에 사용 가능한 기록면의 폭은 c 값을 넘지 못한다. 만약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높이가 a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기록면의 폭은 d 값으로 증가하게 되나 상기한 각종 치수 제한 사항을 고려하면 a는 1.5 mm를 넘지 못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디스크 회전 속도와 런-아웃 값을 고려한 액츄에이터의 작동 범위를 100 μm 이상으로 보면 일반적 VCM(Voice Coil Motor) 액츄에이터로는 높이 1.5 mm 이하의 광 픽업 액츄에이터를 제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이 대물렌즈(30)와 반사경 장착부위를 박형화 하고 VCM(Voice Coil Motor)이 설치된 액츄에이터 중심부에서 디스크 중심측으로 돌출시키는 구조를 택하였다. 즉 광픽업 액츄에이터 중심부의 높이는 a와 b 사이의 값을 가져 충분한 동작 특성이 나오는 VCM 액츄에이터를 제작 가능케 하고, 돌출 부위의 높이는 a 이하의 값을 갖도록 하여 대물렌즈(30)의 광축이 디스크 내주에 깊숙하게 들어 갈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광 디스크 하부면과 스테이터 상부면 사이로 들어 간 대물렌즈와 반사경을 통해 디스크의 외주와 허브 사이에 있는 디스크 기록면에 광픽업 유니트에서 발진한 레이저를 포커싱하여 투사하고 디스크의 기록면에서 나오는 광 정보를 다시 광픽업 유니트로 전달하여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에서 서보 및 정보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전산모사)
4개, 6개 및 8개의 서스펜션 와이어를 갖는 액츄에이터를 제작하여 FEM(finite elecment method)에 의해 전산모사를 실시하였다. FEM 다이내믹 분석에서는 상용화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다. 보빈 크기는 10.0 X 3.0 X 2.5 mm3 이었고, 돌출된 렌즈 홀더의 길이는 3.6 mm이다, 바이브래이션 특성들은 y(트래킹)와 z(포커싱) 병진 모드들, 피칭 모드(도 6a), 및 다수의 고주파 모드에 의해 표현된다. 4개와 6개 서스펜션 타입의 액츄에이터에서 3kHz 근처에서의 롤링 모드(도 6b)가 나타났다. 도 6a와 도 6b는 각각 피칭 모드와 롤링모드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8개 서스펜션 타입에서는 롤링 모드가 나타나지 않았다. 보빈으로부터 돌출된 대물렌즈 홀더의 길이는 바이브래이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도 7a 및 도 7b는 자기회로부와 전산모사된 자기 플럭스 라인들을 도시하고 있는 그래프이다. 자기 분석에는 FEM의 상업 소프트웨어가 이용되었다. 이동 중인 코일에 인가되는 결과적인 힘들과 자기 플럭스 밀도 분포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계산되었다. 도 8a 내지 도 8d는 자기 FEM 분석에 의해 계산된 결과적인 힘들이 포커싱과 트래킹 코일과 접촉한 보빈 표면들에 인가될 때를 가정한 모달 하모닉 분석(modal harmonic analysis)의 결과로 대물렌즈의 중심에서 변위에 대한 주파수 특성과 위상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8a는 포커싱 방향 변위 주파수 특성, 8b는 트래킹 방향 변위 주파수 특성, 8c는 포커싱 방향 위상에 대한 주파수 특성, 8d는 트래킹 방향 위상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다. 가장 큰 변위는 중심으로부터 50um 이상되는 것으로 계산되었고, 초기 가속도는 2.5m/s2 이었다. 포커싱, 트랙킹 및 피칭 모드용 공진 주파수(natural frequency)는 각각 120, 123, 260 Hz이었고, 고주파 2차 모드들은 5.6kHz 이상의 영역에서 나타났다.
(비교예)
도 9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코일에 로렌쯔 힘을 유발할 수 있도록 자속을 인가하는 자기 회로와 코일과 광학 부품을 고정하는 보빈(132) 및 보빈(132)을 지지하고 보빈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하는 와이어 서스펜션(112)과 서보 시스템(미도시)의 입출력 신호를 전달하고 코일에 전기를 공급하는 연결 부위인 PCB 보드(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자기 회로는 다시 요오크 플레이트와 내측 요오크, 외측 요오크 및 요오크 내면에 부착된 영구자석으로 구성되어 있고 보빈에 부착되는 광학 부품은 제조사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나 디스크 면에 레이저 광을 집속하는 대물렌즈(130)와 레이저 다이오드, 포토 다이오드 등이 포함 된다.
코일(117,120,127,140)은 디스크 면에 수직한 방향 즉 대물렌즈(130)의 광축 방향으로 액츄에이터를 움직이게 하는 포커싱 코일(120,140)과 디스크의 레디얼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트래킹 코일(117,127)로 나뉘어져 있다.
이런 방식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대물렌즈 장착 부위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의 직육면체 형태를 갖는다. 그 외주면에 포커싱 코일(120,140)이 감기고 트래킹 코일(117,127)이 부착되며 코일의 내외측에 영구자석(126)과 요오크를 배치한다. 일반적으로 4개의 와이어 서스펜션이 베이스에서 나와 보빈(132)에 연결되어 보빈(132) 및 코일을 지지하는 코일 동작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도 9의 액츄에이터의 포커싱 및 트래킹 동작의 원리를 살펴 보면 도 10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디스크 면에 나란한 면 상에 감아 놓은 포커싱 코일은 코일 면과 수직하게 세워 놓은 영구자석 사이에서 나온 자속이 도 10a에 표시한 방향으로 코일을 통과하는 상태에서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전류를 흘려 보냈을 때 지면의 위쪽 방향으로 움직이려는 로렌쯔 힘을 받게 된다.
도 10b와 같이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반대로 지면에서 들어가는 방향으로 흐르면 코일은 지면의 아래쪽으로 움직이려는 로렌쯔 힘을 받게 된다. 트래킹 동작 원리는 도 10c에 나타낸 것과 같이 트래킹 코일은 디스크 면에 수직한 면을 따라 감겨 있고 사각의 한 변을 구성하는 부분의 코일만을 사용해야 하므로 트래킹 방향 로렌쯔 힘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보통 한 쌍의 코일을 사용한다.
트래킹 동작에 필요한 자속을 얻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포커싱과 동일한 영구자석으로 사용한다. 도 10c와 같은 방향으로 트래킹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플레밍 왼손 법칙에 의해 디스크와 나란한 면의 레디얼 외주 방향의 로렌쯔 힘을 받게 되고 도 10d와 같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레디얼 내주 방향의 로렌쯔 힘을 받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교예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디스크면에 수직한 코일을 채택하여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에 의한 액츄에이터는 휴대용 초소형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핵심 부품으로 응용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에 광 디스크 드라이브가 사용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기록 용량을 가지면서 크기가 작고 두께가 얇아야 한다.
이러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광학계를 구동하는 구동장치의 초소형화와 초박형화는 필수적이며 본 발명에 의한 초소형 VCM 액츄에이터는 두께 5 mm 이하를 요구하는 초소형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구동 장치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Claims (10)

  1. 대물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액츄에이터를 움직이게 하는 포커싱 코일을 구비하는 포커싱 자기회로부; 디스크의 레디얼 방향으로 액츄에이터를 움직이게 하는 트래킹 코일을 구비하는 트래킹 자기회로부; 상기 포커싱 자기회로부, 트래킹 자기회로부 및 대물렌즈 홀더를 구비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의 일부를 베이스에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을 구비하되,
    상기 포커싱 자기회로부와 상기 트래킹 자기회로부는 상기 보빈을 중심으로 좌우로 독립하여 분리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 홀더는 디스크 내주측으로 소정 거리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 중심에 수직한 면에는 상기 보빈의 무게 중심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자기회로부는 디스크 표면과 평행한 면에 감긴 한 쌍의 트래킹 코일을 포함하고 디스크 표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트래킹 코일의 일부에 자속이 집중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자기회로부는 디스크 표면과 평행한 면에 감긴 한 개의 포커싱 코일을 포함하고 디스크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포커싱 코일의 일부에 자속이 집중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대물렌즈 홀더에 있어서 대물렌즈 및 홀더, 반사경을 포함하는 총 높이가 1.5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형상의 길이는 4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과 상기 포커싱 자기회로부 및 상기 트래킹 자기회로부를 포함한 총높이가 2.7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팬션은 4개, 6개 또는 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애이터.
KR1020040076633A 2004-09-23 2004-09-23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591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633A KR100591240B1 (ko) 2004-09-23 2004-09-23 광픽업 액츄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633A KR100591240B1 (ko) 2004-09-23 2004-09-23 광픽업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718A KR20060027718A (ko) 2006-03-28
KR100591240B1 true KR100591240B1 (ko) 2006-06-19

Family

ID=37138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633A KR100591240B1 (ko) 2004-09-23 2004-09-23 광픽업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2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6961A (ko) * 1989-04-29 1990-11-15 강진구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의 광픽업 구동장치
JPH0428025A (ja) * 1990-05-24 1992-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100548246B1 (ko) 2003-06-13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렌즈 돌출형 액츄에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6961A (ko) * 1989-04-29 1990-11-15 강진구 광학적 정보기록 재생장치의 광픽업 구동장치
JPH0428025A (ja) * 1990-05-24 1992-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100548246B1 (ko) 2003-06-13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렌즈 돌출형 액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718A (ko) 200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8601B2 (en) Position control unit for lens of optical pickup device
JP4852580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US4782476A (en) Objective lens-driving unit
KR100591240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JP4537126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5522812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のための読み取り/書き込みヘッド及びかような読み取り/書き込みヘッドを有する光ディスクドライブ
KR100569915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CN100590718C (zh) 物镜驱动装置
JPH0887764A (ja) 対物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KR100370250B1 (ko)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
KR100548246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렌즈 돌출형 액츄에이터
KR100624860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KR100624850B1 (ko) 광 픽업 장치
JP3111407U (ja) 光ピックアップ用アクチュエータ
JP2897090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100690595B1 (ko)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JP3984148B2 (ja) 光学系駆動装置
KR20040091156A (ko) 회전가능한 광 디스크의 정보면에 대해 정보를 기록및/또는 재생하는 광 디스크 장치
KR100569919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JPH08335325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US20030112719A1 (en) Optical pickup actuator
KR100569921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KR101002373B1 (ko) 초점 심도 조절용 마이크로 액츄에이터
JPH0887762A (ja) 対物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JPH04310637A (ja) 光学式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