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0419B1 - 일회용 종이컵 반자동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일회용 종이컵 반자동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0419B1
KR100590419B1 KR1020040101197A KR20040101197A KR100590419B1 KR 100590419 B1 KR100590419 B1 KR 100590419B1 KR 1020040101197 A KR1020040101197 A KR 1020040101197A KR 20040101197 A KR20040101197 A KR 20040101197A KR 100590419 B1 KR100590419 B1 KR 100590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up
roller
paper
open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2377A (ko
Inventor
김우주
박철환
허건의
민세준
양근용
현상진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연세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연세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연세대학교
Priority to KR1020040101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0419B1/ko
Publication of KR20060062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3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separating from the bottom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bottom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20Belt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1Rack-and-pinion, cogwheel in cog rail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2Spur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1/00Means for control to be used by operator; User interfaces
    • B65H2551/10Command input means
    • B65H2551/15Push buttons;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용 종이컵의 입구가 벌려진 상태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종이컵 반자동 인출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과, 종이컵 지지부와, 상기 종이컵 지지부의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종이컵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인출롤러와, 상기 종이컵 지지부 전방에 설치되고 종이컵을 전방으로 재차 이동시키는 계수부와, 상기 계수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전달된 종이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서로 상이한 크기의 마찰력을 부여하여 상기 종이컵의 입구를 벌려줌과 동시에 전방으로 배출시키는 개봉부와, 상기 개봉부로부터 전달된 종이컵이 최종 안착되는 종이컵 수취부와, 인출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시동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 한번의 버튼 조작으로 종이컵을 한장씩 인출할 수 있고, 종이컵의 입구가 벌려진 상태로 인출되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종이컵을 인출하여 입구를 개봉해야하는 수고를 덜 수 있으며, 모터등 전기적인 부품을 채용하지 않고 순수하게 기계적으로 반자동 작동되므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며, 전기료등 추가 부담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비용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종이컵, 종이컵 지지부, 계수부, 개봉부, 시동부

Description

일회용 종이컵 반자동 인출장치{SEMI-AUTOMATED DEVICE FOR EJECTING DISPOSABLE PAPER CUP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 인출장치의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 인출장치의 내부 사시도,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개봉롤러의 상세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 인출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20: 계수부
22: 종이컵 지지부 24: 인출롤러
26: 이송롤러 30: 개봉부
32: 개봉롤러 33: 고무패킹
34,35: 기어 40: 종이컵 수취부
42: 미끄럼판 44: 수취구
50: 시동부 52: 푸쉬버튼
54: 래크 56: 탄성스프링
58: 지지판 60: 피니언
70: 누름판 100: 종이컵
본 발명은 일회용 종이컵의 반자동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기 근처에 설치하여 정수기용 종이컵을 채워 넣은뒤 사용자가 버튼을 아래로 단지 한번 눌러줌에 의해 종이컵의 입구가 벌려진 상태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종이컵 반자동 인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종이컵 보관대는 단순히 많은 종이컵이 담긴 종이박스에 아랫부분에 종이컵의 긴 길이 쪽의 치수에 맞도록 가느다란 구멍을 내어 사람이 직접 손을 대고 마찰력을 이용하여 종이컵을 뽑도록 되어 있는 종이컵 보관대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종이컵 보관대로부터 종이컵을 인출하여 사용하는 경우, 종이컵이 한번에 여러장 뽑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뿐만 아니라, 종이컵을 뽑아서 정수기의 물을 담으려고 할 때에는, 납작하게 포개진 종이컵의 입구 영역을 손으로 마찰하여 펼친 다음 입으로 바람을 불거나 손가락을 집어넣어 강제적으로 입구를 벌려주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997-0042181 호에는 냉온수기의 종이컵 공급장치가 공지되는데, 상기 종이컵 공급장치는 본체 전방 일측으로 형성되어 종이컵이 다단으로 적층되고 하단에 인출구가 형성된 컵보관부와, 상기 컵보관부의 내측 하단에 형성된 구멍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최하단의 종이컵과 접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구동시켜 최하단이 종이컵을 상기 인출구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인출수단을 구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이컵 공급장치는 종이컵을 한장씩 자동으로 인출해준다는 점에서 유용하지만, 상기 롤러가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자동 작동 센서등을 구비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단가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전기료등이 추가 부담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출된 종이컵의 입구를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벌려주어야 하는 불편은 여전히 개선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종이컵 공급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종이컵이 한장씩 인출될 뿐만 아니라, 종이컵의 입구가 벌려진 상태로 인출되고, 모터등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부품 없이 기계적으로 반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면에서 효과적인 종이컵 인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종이컵 인출장치 내부를 둘러싸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후방에 설치되고 그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된 종이컵이 지지되며 그 중앙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종이컵 지지부와, 상기 종이컵 지지부의 하방으로부터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최하단 종이컵의 하부면과 접하며 회전운동에 의한 마찰력으로 최하단 종이컵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인출롤러와, 상기 종이컵 지지부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인출롤러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어 상기 종이컵을 전방으로 재차 이동시키는 상하 한쌍의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계수부와; 상기 계수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전달된 종이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서로 상이한 크기의 마찰력을 부여하여 상기 종이컵의 입구를 벌려줌과 동시에 전방으로 배출시키도록 서로 상이한 속도로 회전되는 상하 한쌍의 개봉롤러를 포함하는 개봉부와; 상기 개봉부로부터 전달된 종이컵이 최종 안착되는 종이컵 수취부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며 전체 인출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시동부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 반자동 인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 반자동 인출장치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 반자동 인출장치의 내부 측면도 및 사시도가 각각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 반자동 인출장치는 계수부(20)와, 개봉부(30), 종이컵 수취부(40), 그리고 시동부(50)로 구성된다.
상기 계수부(20)는, 하우징(10) 내부에 적층된 종이컵(100)을 한장씩 인출하여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부분으로서, 종이컵 지지부(22), 인출롤러(24), 그리고 이송롤러(26)를 포함한다.
상기 종이컵 지지부(22)는, 하우징(10) 내부의 후방 내벽으로부터 전방부로 길게 돌출되는 편평한 판형상 지지부로서, 이 위에는 정수기등에 사용되는 납작한 형태의 일회용 종이컵(100)이 다단으로 적층되어 보관된다. 상기 종이컵 지지부(22) 상부의 하우징(10) 천장부에는 적층된 종이컵(100) 최상단과 접하며 상기 적층된 종이컵(100)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누름판(7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판(70)은 스프링(71)에 의해 하우징(10)의 천장부에 고정된다. 스프링(71)에 의해 탄력성이 부여되는 상기 누름판(70)은, 종이컵을 계속적으로 인출 사용하여 종이컵 최상단의 높이가 줄어드는 경우, 또는 상기 종이컵을 다시 새로 채워넣는 경우에도, 상기 스프링(71)의 작용으로 인하여, 적층된 종이컵을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어, 종이컵의 지지작용 및 후술하는 종이컵 인출과정에서 마찰력을 더욱 증가시킴으로서 종이컵의 인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종이컵 지지부(22)의 중앙부에는 개구부(23)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23)에는 하방으로부터 인출롤러(24)가 삽입된다. 상기 인출롤러(24)는 상기 종이컵 지지부(22) 상에 다단으로 적층된 종이컵의 최하단 종이컵 하부면과 접하며, 회전운동에 의한 마찰력으로 최하단 종이컵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인출롤러(24)는 종이컵 지지부(22)의 개구부(23)를 통하여 최하단 종이컵 하부면과 접하게 되는데, 인출롤러(24)가 개구부(23)를 통하여 종이컵 지지부(22) 평면보다 너무 높게 돌출되면 적층된 종이컵층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므로, 인출에 필요한 적절한 마찰을 종이컵 하부면에 부여할 수 있을 정도의 적절한 높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이컵 지지부(22)의 전방에는 이송롤러(26)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롤러(26)는 인출롤러(24)에 의해 종이컵 지지부(22)로부터 전달되는 종이컵을 재차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중간 전달매개체로서 작용한다. 상기 이송롤러(26)는 상하 1 쌍의 롤러, 즉, 상부이송롤러(26a) 및 하부이송롤러(26b)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인출롤러(24)에 의해 전방으로 전달된 종이컵은 일정한 유격을 가지고 수직방 향으로 배열되어 돌아가는 상부이송롤러(26a)와 하부이송롤러(26b) 사이에 맞물리면서 재차 전방으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롤러(26)의 회전 속도는 상기 인출롤러(24)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동되는 종이컵은 인출롤러(24)로부터 이송롤러(26)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속도로 안전하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이송롤러(26a)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종이컵 지지부(22)에 다단으로 적층된 종이컵이 인출롤러(24)에 의한 마찰력으로 이송롤러(26)로 전달되는 경우, 최하단 종이컵 상층에 적층된 종이컵들도 전방으로 인출되려는 힘을 받게 되기 때문에, 여러장의 종이컵이 동시에 인출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이송롤러(26a)가 고정롤러로 구성되면, 최하단 종이컵 상층의 종이컵들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벽으로서 작용하여 단지 1 개의 최하단 종이컵만이 상부이송롤러(26a)와 하부이송롤러(26b)의 유격을 통하여 이송되게 된다.
상기 계수부(20)의 전방에는 개봉부(30)가 형성된다. 상기 개봉부(30)는 계수부(20)로부터 전달된 종이컵의 입구를 벌려주는 부분이다. 도 3 에는 상기 개봉부(30) 세부 구성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봉부(30)는 서로 상이한 속도로 회전되는 상하 한쌍의 롤러, 즉, 상부개봉롤러(32a)와 하부개봉롤러(32b)를 포함한다. 상기 종이컵의 입구는 납작하게 압착되어 서로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입구를 벌려주기 위해서는 종이컵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기 또는 작용 방향이 서로 상이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마찰력 크기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종이컵을 벌려주게 되는데, 이러한 마찰력의 차 이는 상기 상부개봉롤러(32a)와 하부개봉롤러(32b)의 회전 속도차에 의해 달성된다. 즉, 종이컵이 상부개봉롤러(32a)와 하부개봉롤러(32b) 사이에 맞물려서 이동되는 경우, 종이컵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각각 상부개봉롤러(32a)와 하부개봉롤러(32b)에 접하면서 마찰되고 이때 각 롤러를 상이한 속도로 회전시키면 각 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종이컵의 상부면 및 하부면이 밀리는 정도가 달라지므로 입구가 개방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개봉롤러(32a)와 하부개봉롤러(32b)의 속도차는 상기 각 롤러 외측에 연결되는 한쌍의 기어(34,35)에 의해 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34,35)는 서로 상이한 갯수의 나사산을 구비하며, 이것들이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개봉롤러(32a)와 하부개봉롤러(32b)가 상이한 속도로 회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개봉롤러(32a)와 하부개봉롤러(32b)의 외주면은 각각 종이컵의 상하부면에 서로 접하면서 마찰력을 부여하는데, 보다 효율적인 마찰력의 제공을 위해, 상부개봉롤러(32a)와 하부개봉롤러(32b)의 외주면에는 고무패킹(3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패킹(33)은 각 롤러의 외주면에 상기 고무패킹(33)의 두께에 상응하는 깊이의 홈을 파고 상기 홈 내에 설치되어 인접 표면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종이컵이 상부개봉롤러(32a)와 하부개봉롤러(32b) 사이로 통과되는 경우, 각 롤러의 고무패킹(33)으로 인해 종이컵의 상하부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기가 더욱 커지므로 종이컵 입구가 잘 벌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개봉부(30)에서 입구가 벌려져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종이컵은 최종적으 로 종이컵 수취부(40)에 안착된다. 상기 종이컵 수취부(40)는 미끄럼판(42)과, 수취구(44)로 구성된다. 상기 미끄럼판(42))은 개봉부(3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경사판이다. 개봉부(30)로부터 빠져나오는 종이컵은 상기 경사판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이렇게 슬라이딩되어 내려온 종이컵은 하우징(10) 내부 바닥면에 안착된다. 상기 수취구(44)는 하우징(10)의 전면 하단에 형성되고, 사용자는 상기 수취구(44)로 손을 집어넣어 하우징(10) 내부 바닥면에 안착된 종이컵을 수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체 인출장치는 하우징(10)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는 시동부(50)에 의해 동력이 부여된다. 상기 시동부(50)는 푸쉬버튼(52), 래크(54), 피니언(60) 그리고 탄성스프링(56)으로 구성된다.
상기 푸쉬버튼(52)은 전체 인출장치를 시동시키는 작동버튼으로 하우징(10)의 외부 전면에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푸쉬버튼(52)은 하향 푸쉬 방식으로 조작된다. 즉, 상기 푸쉬버튼(52)이 장착되는 하우징(10) 전면부에는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홈을 구비하여 이 홈에 푸쉬버튼(52)이 삽입되며, 사용자가 푸쉬버튼(52)을 하향으로 눌러주면 버튼이 상기 횡방향 홈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푸쉬버튼(52) 후방에는 푸쉬버튼(52)과 연동되는 래크(54)가 결합된다. 상기 래크(54)는 하우징(10)의 내부로 돌출되며, 상기 푸쉬버튼(52)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푸쉬버튼(52)의 이동에 따라 동시에 함께 이동된다. 상기 래크(54)는 'ㄱ' 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래크(54)는 전방의 푸쉬버튼(52)에 연결되는 가로방향 연장부와 상기 가로방향 연장부의 말단으로부터 하 방으로 꺾어지는 세로방향 연장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크(54)의 'ㄱ' 자 형상부 내측에는 탄성스프링(56)이 설치된다. 상기 탄성스프링(56)은 하우징(10) 내벽에 고정되는 지지판(58)에 하방으로부터 지지된다. 상기 탄성스프링(56)은 상기 래크(54)의 가로방향 연장부의 하방을 지지하며, 상기 푸쉬버튼(52)의 하향 푸쉬 조작에 따라 수축되고, 푸쉬 조작이 종료되면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래크(54)의 후방면, 즉, 상기 푸쉬버튼(52)의 반대편을 향하는 면(세로방향 연장부)에는 나사산이 구비되며, 상기 래크(54)의 나사산은 후방에 설치되는 피니언(60)과 맞물린다. 상기 래크(54)와 피니언(60)의 결합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푸쉬버튼(52)의 수직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준다.
상기 시동부(50)에 의한 전체 인출장치로의 동력 전달은 전동벨트에 의해 달성된다. 즉, 상기 인출롤러(24)의 외측, 하부이송롤러(26b)의 외측, 그리고 하부개봉롤러(32b)의 외측에는 각각 벨트풀리가 형성되고, 상기 각 벨트풀리에 전동벨트가 연결되어 각 롤러들이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동벨트는 치형벨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푸쉬버튼(52)을 누르면 래크(54)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60)이 회전한다. 이때, 피니언(60)은 제 1 전동벨트(62)에 의해 하부개봉롤러(32b)와 연결되어, 피니언(60)의 회전에 따라 하부개봉롤러(32b)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하부개봉롤러(32b)의 회전에 따라, 이와 맞물리는 상부개봉롤러(32a)도 함께 회전된다. 상기 하부개봉롤러(32b)는 다시 타측에서 하부이송롤러(26b)와 제 2 전동벨트(64)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하부개봉롤러(32b)가 회전되면 하부이송롤러(26b)도 함께 회전된다. 또한, 상기 하부이송롤러 (26b)는 타측에서 인출롤러(24)와 제 3 전동벨트(66)로 연결되고, 하부이송롤러(26b)의 회전에 따라 인출롤러(24)도 동일한 속도로 회전된다. 이렇게 각 구성요소들이 전동벨트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사용자가 푸쉬버튼(52)을 누르면 전체 인출장치가 작동된다.
도 4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여기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롤러를 양측에 평행하게 두개씩 설치하여, 한번의 버튼 조작으로 양쪽에서 2 개의 종이컵이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 인출장치의 전체 작동 메카니즘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푸쉬버튼(52)은 하향으로 누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전체 구성요소들에 동력이 전달되어 각 롤러가 회전하게 되며, 종이컵 지지부(22)에 적층된 최하단 종이컵이 인출롤러(24)의 회전에 따른 마찰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고, 전달된 종이컵은 하부이송롤러(26b)의 회전에 따라 상부이송롤러(26a)와 하부이송롤러(26b) 사이에 맞물리며 재차 전방으로 이송되고, 상부이송롤러(26a)와 하부이송롤러(26b) 사이에 맞물려서 마찰에 의해 입구가 개봉되어 빠져나온뒤, 미끄럼판(42))을 타고 슬라이딩되어 하우징(10) 바닥면에 안착된다. 사용자는 하우징(10)의 전방에 형성된 수취구(44)를 통하여 손을 집어넣어 상기 종이컵을 꺼내 정수기등의 물을 담아 먹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 한번의 버튼 조작으로 종이컵을 한장씩 인출할 수 있고, 종이컵의 입구가 벌려진 상태로 인출되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종이컵을 인출하 여 입구를 개봉해야하는 수고를 덜 수 있으며, 모터등 전기적인 부품을 채용하지 않고 순수하게 기계적으로 반자동 작동되므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며, 전기료등 추가 부담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비용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일회용 종이컵 인출장치로서,
    상기 종이컵 인출장치 내부를 둘러싸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후방에 설치되고 그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된 종이컵(100)이 지지되며 그 중앙부에 개구부(23)가 형성된 종이컵 지지부(22)와, 상기 종이컵 지지부(22)의 하방으로부터 상기 개구부(23)에 삽입되어 최하단 종이컵의 하부면과 접하며 회전운동에 의한 마찰력으로 최하단 종이컵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인출롤러(24)와, 상기 종이컵 지지부(22)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인출롤러(24)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어 상기 종이컵을 전방으로 재차 이동시키는 상하 한쌍의 롤러(26a,26b)로 구성된 이송롤러(26)를 포함하는 계수부(20)와;
    상기 계수부(20)의 전방에 설치되고 전달된 종이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서로 상이한 크기의 마찰력을 부여하여 상기 종이컵의 입구를 벌려줌과 동시에 전방으로 배출시키도록 서로 상이한 속도로 회전되는 상하 한쌍의 롤러(32a,32b)로 구성된 개봉롤러(32)를 포함하는 개봉부(30)와;
    상기 개봉부(30)로부터 전달된 종이컵이 최종 안착되는 종이컵 수취부(40)와;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며 전체 인출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시동부(50)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종이컵 반자동 인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26)의 상부이송롤러(26a)는 최하단 종이컵의 상층에 적층된 종이컵이 인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회전되지 않는 고정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컵 반자동 인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롤러(32)의 상하부 롤러(32a,32b) 간의 회전 속도차는 상기 각 롤러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서로 상이한 갯수의 나사산을 구비하는 기어(34,35)가 서로 맞물리며 회전됨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컵 반자동 인출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롤러(32)의 상하부 롤러(32a,32b)에는 각각 그 외주면을 따라 고무패킹(3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컵 반자동 인출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 수취부(40)는 상기 개봉롤러(32)로부터 빠져나오는 종이컵이 슬라이딩되는 경사진 미끄럼판(42))과,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종이컵을 수취할 수 있는 수취구(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컵 반자동 인출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부(50)는, 하우징(10)의 전면 일측에 형성되고 하향 푸쉬 방식으로 조작되는 푸쉬버튼(52)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푸쉬버튼(52)과 연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푸쉬버튼(52)의 반대편을 향하는 면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ㄱ' 자 형상의 래크(54)와, 상기 래크(54)의 'ㄱ' 자 형상부의 내측에서 상기 래크(54)의 가로방향 연장부의 하방을 지지하며 상기 푸쉬버튼(52)의 하향 푸쉬 조작후 상기 래크(54)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56)과, 상기 탄성스프링(56)을 하방에서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10)의 내벽에 고정되는 지지판(58)과, 상기 래크(54)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피니언(60)으로 구성되고, 상기 개봉롤러(32)의 하부개봉롤러(32b) 와 상기 시동부(50)의 피니언(60), 상기 개봉롤러(32)의 하부개봉롤러(32b)와 상기 이송롤러(26)의 하부이송롤러(26b), 그리고 상기 이송롤러(26)의 하부롤러(26b)와 상기 인출롤러(24) 간에는, 각각, 전동벨트(62,64,66)로 연결되어 상기 시동부(50)의 푸쉬버튼(52)의 하향 푸쉬 조작에 의해 전체 종이컵 인출장치에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컵 반자동 인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 지지부(22) 상부의 하우징(10) 천장부에는 스프링(71)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71) 하부에는 적층된 종이컵 최상단과 접하며 상기 적층된 종이컵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누름판(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컵 반자동 인출장치.
KR1020040101197A 2004-12-03 2004-12-03 일회용 종이컵 반자동 인출장치 KR100590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197A KR100590419B1 (ko) 2004-12-03 2004-12-03 일회용 종이컵 반자동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197A KR100590419B1 (ko) 2004-12-03 2004-12-03 일회용 종이컵 반자동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377A KR20060062377A (ko) 2006-06-12
KR100590419B1 true KR100590419B1 (ko) 2006-06-19

Family

ID=37158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197A KR100590419B1 (ko) 2004-12-03 2004-12-03 일회용 종이컵 반자동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04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306B1 (ko) * 2020-07-03 2022-04-06 (주)그랜드벨 라벨부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715Y1 (ko) * 1991-07-31 1994-06-07 함영태 1회용 위생티슈 자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715Y1 (ko) * 1991-07-31 1994-06-07 함영태 1회용 위생티슈 자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377A (ko)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9542B2 (ja) 自動ナプキンディスペンサ
CN110193184B (zh) 扑克机及其扑克牌整理方法
EP1679669B1 (en) Automatic flat-article dispensing apparatus
AU754534B2 (en) Card dispenser
WO2012082243A1 (en) Belt drive for dispensing cutlery and related methods
CN1286067A (zh) 含水毛巾自动供给装置
US6102248A (en) Card type structures
CN109350955B (zh) 扑克牌桌、扑克机及其扑克牌整理方法
KR100590419B1 (ko) 일회용 종이컵 반자동 인출장치
EP1220046A3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jected sheet stacking device for use therewith
US6889972B2 (en) Banknote dispenser
CN100370488C (zh) 游戏机之间的代币分发装置
CN112586960A (zh) 一种转动式错位下料结构及其餐具取用器
ES2959794T3 (es) Distribuidor de productos de hojas y procedimiento de funcionamiento
US6250499B1 (en) Tam box
KR200202654Y1 (ko) 카드 디스펜서
US6916237B2 (en) Coin sorting apparatus
CN215708352U (zh) 一种自动推动物品的存放箱
CN216211286U (zh) 一种湿纸巾售卖机的机芯
JP3811577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投出装置
KR200327360Y1 (ko) 서랍식 담배 인출장치
CN214803990U (zh) 一种转动式错位下料结构及其餐具取用器
KR102660050B1 (ko) 숟가락 공급장치
KR940003715Y1 (ko) 1회용 위생티슈 자판기
KR200287637Y1 (ko) 자동판매기용 호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