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9951B1 - 노박덩굴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조성물 - Google Patents

노박덩굴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9951B1
KR100589951B1 KR1019990008349A KR19990008349A KR100589951B1 KR 100589951 B1 KR100589951 B1 KR 100589951B1 KR 1019990008349 A KR1019990008349 A KR 1019990008349A KR 19990008349 A KR19990008349 A KR 19990008349A KR 100589951 B1 KR100589951 B1 KR 100589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givitis
toothpaste
novak
oral compositions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0218A (ko
Inventor
윤세영
김문무
안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19990008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9951B1/ko
Publication of KR20000060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7Celastraceae (Staff-tree or Bittersweet family), e.g. tripterygium or spindle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3Periodo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Abstract

본 발명은 치은염증의 치료를 위하여 프로스타글란딘(PGE2)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도록 노박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노박덩굴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조성물{Oral compositions containing Celastrus Orbiculatus Thunb extracts}
본 발명은 치은염증 치료를 위하여 프로스타글란딘(PGE2)의 생성을 억제하는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치약, 양치액, 정제 등의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주질환은 임상적으로 치은염증과 출혈, 치주낭의 형성 및 치조골의 파괴 등으로 인하여 치아의 상실을 가져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치주질환은 세균의 집락형성 및 세균의 치주조직침투, 치주조직이 파괴되는 과정으로 진행되는데, 먼저 구강내 타액중의 타액 단백질이 상아질과 백악질 표면에 흡착되면서 피막을 형성하고 이러한 피막표면에 주로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와 악티노마이시스(Actinomyces)와 같은 세균이 성장하면서 프라그를 형성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러한 프라그가 치근단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박테로이져(Bacteriodes)와 악티노바실러스(Actinobacillus)와 같은 혐기성 그람 음성균이 성장하여 이러한 세균, 세균성분, 세균산물들이 치은열구상피를 통하여 치은결합조직내로 침투하여 치주낭이 형성되고 이러한 세균의 대사결과 치주조직에 유독한 황화수소, 암모니아, 유독한 아민과 같은 세포의 독소를 분비함과 동시에 세포벽구성분인 리포폴리새커라이드(Lipopolysaccharide)와 같은 내독소에 의하여 직접 조직이 파괴된다.
이러한 치주질환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으로 치주질환균을 단시간 노출로 사멸시킬 수 있는 클로로헥시딘 글루코네이트(Chlorohexidine gluconate), 세틸피리디움 클로라이드(Cetylpyridium chloride), 상귀나린(Sanguinarine) 및 트리크로산(Triclosan)과 같은 항균제가 개발되어 양치액 및 치약과 같은 구강제품에 적용되어 왔으나, 아직까지도 치은염증의 발생은 근본적으로 예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몰약, 상백피, 승마, 녹차, 감초, 황금, 포공영, 금은화등과 같은 생약추출물을 사용하여 치은염증을 억제시키려는 노력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으나 치은염증을 유발시키는 데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억제시키지 못했으며, 대개의 경우 프라그의 형성을 억제시키거나 항균, 소염, 수렴, 지혈, 혈액순환촉진과 같은 한방약재의 작용을 통하여 치주질환의 발생을 예방한다는 정도이다.
유럽 공개 특허 제 528468 A1호에서 트리클로산(Triclosan)을 함유하는 치약 및 구강청정제를 개발하여 치은염증 유발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억제하여 치주질환을 억제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치은염증을 치료할 수 있다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상에서 소개한 약효제는 치은염증을 치료하는데 있어 치은염증 유발물질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기 어려워 치은염증을 완전히 치료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합성물질인 경우 장기간 사용할 때 여러 가지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방약재 및 식물추출물을 대상으로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효과에 대하여 수많은 연구 및 실험을 행한 결과, 노박덩굴 추출물을 구강조성물에 적용하여 치은염증을 지닌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결과 치은염증 등의 치료효과가 탁월함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노박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Thunb)은 잎지며 덩굴뻗는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길이 12m 에 이르며 타원형의 잎이 어긋나게 붙는다. 봄철에 노란풀색의 작은 꽃이 핀다. 각지의 산기슭, 낮은 산, 돌각 담 등에서 자란다. 뿌리와 잎, 열매에 알카로이드, 잎에 0.3% 의 플라보노이드인 켐페리트린, 켐페롤-3,7-디람노시드, 켐페롤-3-P-쿠마로일글루코시드가 있다. 동의치료에서 뿌리를 피순환을 잘되게 하는 약으로 쓴다. 민간에서는 씨 1∼1.5개를 허리아픔, 류마치스 때에 먹으면 진경진통작용이 있다고 한다. 또한 노박덩굴속식물의 씨는 월경이 없을 때 쓰면 성기능을 높이는 약, 염증약, 항종양약, 방부약, 열물 내기약으로 쓴다. 뿌리껍질은 마취약, 오줌내기 약, 게움 약, 땀내기약, 류산시키는 약, 설사약, 살충약으로 쓴다. 잎 즙은 아편 중독 때 독풀이약으로 쓴다. 나무껍질을 섬유원료로 쓴다. 상기와 같이 노박덩굴은 여러 방면에서 특유의 치료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구전되어 왔으나 과학적으로 검증된 바 없다. 특히 노박덩굴의 치은염 완화효과에 대해서는 과학적인 검증은 물론 민간요법에서 조차도 알려진 바 없다.
본 발명에 사용된 노박덩굴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건조 생약재를 음건 세절하고 분말화시켜 가루 50g 에 95% 에탄올 500㎖를 가하여 3 일간 침적추출한 후 1번 와트만지(Whatman No.1)를 이용하여 그 추출물을 여과시킨 다음 감암 농축시킨 후 노박덩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노박덩굴 추출물의 함량은 0.01 내지 10 중량%이다. 노박덩굴 추출물의 함량이 각각 0.01 중량% 미만인 농도에서는 치은염증에 대한 효능·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품의 안정성의 저하로 부적합하다.
연마제 성분으로는 인산일수소칼슘, 침강실리카, 실리카겔, 중조, 탄산칼슘, 함수알루미나, 불용성 메타인산타트륨, 피로인산나트륨 등을 1 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1∼90 중량% 사용되는데, 본 발명세서는 인산일수소칼슘, 함수실리카, 탄산칼슘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20∼60 중량% 사용한다.
치아의 재석회화를 촉진시켜 치아의 조직을 강화시키는 약효제인 불소화합물로는 불화나트륨, 제일불화인산나트륨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 사용하고, 그 함량은 0.01 내지 2.0 중량%가 적당하다. 함량이 0.01 중량%이하의 농도에서는 효과가 없고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인체의 안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구강용 제제로써 적합하지 못하다. 트리클로산, 세틸피리디움클로라이드, 상귀나린과 같은 살균제 노박덩굴과 함께 배합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다.
치약조성물의 상태유지 및 건조방지를 위하여 습윤제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습윤제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액,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20∼60 중량% 사용한다. 또한 치약 성분 중 액체와 고체성분을 결합시켜 치약의 형태를 유지하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결합제를 사용한다. 결합제는 주로 카르긴산나트륨, 또는 칼슘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잔탄껌, 아카시아껌 등의 천연 또는 합성 고분자물질이 사용되며 그 사용량은 0.1∼5 중량%를 사용한다. 기포제는 연마제의 세정작용을 보완하며 약효제를 칫솔이 도달하기 힘든 부위까지 침투시켜 주는 것은 물론 기포를 발생시켜 양치감을 증대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세정작용을 도와주고 약효제의 분산 및 침투를 빠르게 하고 계면장력을 감소시켜 줌으로 구강내 이물질이 쉽게 떨어지는 작용을 한다. 주로 사용되는 기포제로는 음이온 계면활성화제인 라우릴 황산나트륨이 사용되고, 보조적으로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아주까리경화유 유도체가 사용된다. 기포제의 사용량은 음이온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0.5 내지 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덥덥하거나 다소 쓴맛을 조절하기 위하여 향료와 감미제가 사용되는데 향료에는 주로 천연 향료인 페파민트와 스피아민트 오일이 많이 사용되며 치약 중에 0.1 내지 1 중량% 사용한다. 감미제는 합성 또는 천연의 비발효성 당 등이 주로 사용되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삭카린나트륨, 아스파탐, 락토오스, 말토오스, 자이리톨 등이 있으며, 적당한 감미제로는 삭카린감미제 등을 0.05 내지 1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치약 조성물의 pH를 조정하는 완충제로는 정인산의 알카리금속염, 특히 제 1 인산나트륨, 제 2 인산나트륨, 제 3 인산나트륨, 구연산 및 구연산나트륨, 인산, 염산, 수산화나트륨 그리고 피로인산나트륨 및 피로인산염 등이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치약조성물에 사용되는 완충제는 제 1 인산나트륨, 제 2 인산나트륨 및 제3 인산나트륨 중에서 2 종을 적당히 혼합하여 pH 는 5 내지 8.0 으로 조정하였다. 치약조성물의 제조 및 사용 중에 발생할 우려가 있는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식품 및 의약품에 사용이 허가되어 있는 파라옥시 안식향산메칠,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살리실산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0.01 내지 0.5 중량%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고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에 나타낸 조성성분 및 비율로 치약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500754900-pat00001
Figure 112006500754900-pat00002
Figure 112006500754900-pat00003
실험예 1. 치은염증 치료에 대한 임상실험
실시예 1 내지 6 의 치약조성물을 가지고 치은염증 치료에 대한 임상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대상자는 치열이 고르고 결손치아가 없고 치은염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연령별 35 세부터 55 세까지 10 세 간격으로 남녀 각각 20 명씩 정밀한 구강검진을 실시하여 80명의 실험대상군을 선별한 후 40 명씩 나누어 노박덩굴 추출물을 함유한 실험군 치약(실시예 1 내지 6)과 이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군 치약(비교예 1 내지 6)의 치은염증 치료효과에 대한 임상실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실험대상군을 실험군과 비교군으로 나눈 후 구강보건 교육 및 올바른 칫솔질 방법을 교습시킨 후 모든 실험대상군에게 동일한 대조칫솔을 공급하고 치면 세마를 실시하여 초기 치은염지수를 점수화하고 실험군치약과 비교군 치약을 공급하여 사용하도록 하여 1 주, 1 개월, 3 개월, 6 개월 경과 후에 구강검진을 실시하여 치은염지수를 검사하였으며, 치은염치수의 측정방법은 페리오덴탈 프로브(Periodontal probe)를 치은열구내에 삽입하여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로 각 치아주위를 연속하여 탐침하고 30 초가 지난 뒤에 출혈된 상태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점수를 기록하여 결과를 얻었다.
Figure 112006500754900-pat00004
Figure 112006500754900-pat00005
이상의 임상실험 결과에서 노박덩굴을 함유하여 치은염증을 유발시키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본 발명의 치은염증 치료효과는 1 주일에서 6개월 경시까지 노박덩굴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6)보다 그 효능이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예의 치은염지수는 1 개월 이후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되는 반면에, 본 발명의 치약을 사용할 때 치은 염증 발생이 억제되어 치은염 지수가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살균제를 병해 사용할 때 그 효과가 더욱 상승되었다.
실험예 2) 프로스타글란딘(PGE2)생성에 대한 억제 효과
실시예 7 내지 9의 치약을 가지고 치은염증 유발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에 대한 억제효과를 실시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시험방법은 치주질환 진행과정에서 치주질환원인균인 박테로이져 진지발리스(Bacteriods gingivalis)의 세포벽구성분인 리포폴리새커라이드(Lipopolysaccha ride)로 치은섬유아세포를 자극하여 유발된 프로스타글란딘(PGE2)의 생성을 항원-항체의 면역진단법으로 실험군(실시예 7 내지 9) 및 비교군치약(비교예 7 내지 13)을 증류수와 1:2의 비율로 혼합하여 완전히 균질화시켜 5,000g에서 10 분동안 원심분리시켜 상등액을 처리한 후 억제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구체적인 시험방법은 염소의 항-마우스 lgG를 부착시킨 96-웰 프레이트(96-well plate)의 블랭크(Blank)웰에 50㎕ 완충용액(0.9% NaCl, 0.1% 소혈청 알부민, 0.5% Kathon을 함유하는 0.1M 인산완충용액)을 첨가하고, 표준(0, 2.5, 5, 10, 20, 40, 80, 160, 320pg)웰에는 50㎕의 적당농도의 표준용액을 첨가한 다음 실험군 치약(실시예 7 내지 9)과 비교군 치약(비교예 7 내지 13) 50㎕를 실시예와 비교예군으로 설정된 웰에 첨가하고, 50㎕의 PGE2에 대한 항체를 블랭크웰을 제외한 모든 웰에 첨가한 후 50㎕ 의 PGE2 컨쥬게이트 퍼옥시데이즈 (conjugate peroxidase)를 블랭크 웰을 제외한 모든 웰에 첨가하고 96웰-프레이트를 덮고 25℃에서 1 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세적완충용액(0.05% 트윈 20을 함유하는 인산완충용액: pH7.5)로 4번 세척하고 상온에서 150㎕의 효소기질 (20%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된 3,3',5,5'-테트라메틸벤지딘/과산화수소)를 즉시 첨가하고 25℃에서 30 분 동안 유지시키고 1M 황산 100㎕를 첨가한 후 마이크로프레이트 판독기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실시예 혹은 비교예의 흡광도 값(T)에 블랭크의 흡광도 값(B)을 나눈 다음 100을 곱하여 %값으로 표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Figure 112006500754900-pat00006
Figure 112006500754900-pat00007
이상의 시험결과에서 노박덩굴 추출물의 함량을 0.01%(실시예 7), 0.1% (실시예 8), 3%(실시예 9)로 증가함에 따라 Blank에 비해 각각 58%, 74%, 97%의 PGE2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노박덩굴 추출물은 합성물질인 트리클로산(비교예 7-9)과 비교 시 효과가 거의 유사했으며, 감초산(비교예 10-12)보다는 확연히 우수하였다. 하지만 트리클로산은 합성물질이기 때문에 천연추출물인 노박덩굴과는 달리 부작용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조성물은 치은염증 등의 치료효과 및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억제효과가 우수하고 천연추출물을 사용함으로 부작용을 일으킬 염려도 없다.

Claims (2)

  1. 노박덩굴 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은염증 치료 및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억제용 구강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노박덩굴 추출물을 0.01 내지 10 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은염증 치료 및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억제용 구강조성물.
KR1019990008349A 1999-03-12 1999-03-12 노박덩굴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조성물 KR100589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349A KR100589951B1 (ko) 1999-03-12 1999-03-12 노박덩굴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349A KR100589951B1 (ko) 1999-03-12 1999-03-12 노박덩굴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218A KR20000060218A (ko) 2000-10-16
KR100589951B1 true KR100589951B1 (ko) 2006-06-15

Family

ID=19576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349A KR100589951B1 (ko) 1999-03-12 1999-03-12 노박덩굴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9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092B1 (ko) * 2006-12-01 2008-05-2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노박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FR3073398B1 (fr) * 2017-11-13 2020-09-11 Pf Medicament Triterpenes pentacycliques dans le traitement d'une pathologie bucco-denta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218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085B1 (ko) 구강 청결 조성물
JP2022162035A (ja) 口腔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KR100447428B1 (ko) 구강용액체조성물
JPH10152426A (ja) 漢方薬入り口腔衛生剤
KR20170141053A (ko) 치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50391B1 (ko) 치약조성물
KR101660467B1 (ko) 구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70141034A (ko)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50801A (ko) 유게놀 및 죽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위생 조성물
KR20110088978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0589951B1 (ko) 노박덩굴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조성물
KR100519477B1 (ko) 트리크로산, 우르소데스옥시콜린산계 유도체 및 유백피추출물을함유한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KR0179523B1 (ko) 치은염 치료용 유향과 창출 추출물 함유 치약조성물
KR100330924B1 (ko) 유백피추출물을함유한치주질환용조성물
KR100555038B1 (ko) 나이신과 유지피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위생증진용 조성물
KR102177066B1 (ko) 삼지구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41027A (ko)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2336B1 (ko) 팥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97684B1 (ko) 아마란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JP3140412B2 (ja) 牛膝または楡白皮抽出物を含有する口腔用組成物
KR20200041659A (ko)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 조성물
KR20180047705A (ko) 연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47703A (ko) 연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47704A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0138247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