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247B1 -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247B1
KR0138247B1 KR1019920018404A KR920018404A KR0138247B1 KR 0138247 B1 KR0138247 B1 KR 0138247B1 KR 1019920018404 A KR1019920018404 A KR 1019920018404A KR 920018404 A KR920018404 A KR 920018404A KR 0138247 B1 KR0138247 B1 KR 0138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oral hygiene
herbal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8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669A (ko
Inventor
하재몽
김문무
정광래
서성수
Original Assignee
최근선
주식회사 럭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근선, 주식회사 럭키 filed Critical 최근선
Priority to KR1019920018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247B1/ko
Publication of KR940008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2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백 및 형개와 길경 또는 치자 엑기스로 이루어진 3종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본 발명은 치주질환예방, 치료 및 충치예방에 효과가 우수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약약재로부터 추출물 생약성분을 구강조성물에 적용함으로서 치주질환 예방, 치료 및 충치 예방 효과를 증진시킨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과 질환은 고대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었던 이집트의 미이라에서 이미 발견할 수 있었으며, 기원전 3,000년대 바빌론과 앗시리아인은 충치질환과 치주질환에 대한 예방과 치료를 위해 어떤 약재의 환이나 양치약을 사용한 기록이 있다(Ramirez; J.M. et al. Periodont, Abst, 18:139-142, 1970).
동양에서는 중국에서 기원전 2697년 황제 황화이(Hwang Fi)에 의하여 구강질환을 염증, 치주질환, 충치등으로 분류하여 이를 치료하기 위해 약초를 사용하였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치주질환과 충치(우식증)의 초기 발생원으로서의 치태가 갖는 임상적, 병리적 중요성은 널리 연구되고, 알렉산드(Alexander, A.G; F. Periodont, 42:21-28, 1971), 아쉬(Ash, M.M; J. Periodontol. 35: 424, 1964)등의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확인되었다.
이 치태의 형성양상은 치면에 부착하고 성장하는 구강세균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침의 구성성분, 매일 섭취하는 음식물의 종류, 구강위생 상태에 의하여 치아별, 개인별로 침착상태가 달라진다. 특히 치은염의 시작과 진행은 치태성장과 직결되며 이는 만성 치주질환의 중요한 요인으로 치아 상실의 가징 큰 원인이다. 그러므로 치태의 형성 및 성장억제를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고 발병한 치은염의 상태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생약 추출물을 많이 응용하고 있다.
공지된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 위생 조성물들로는 감초 추출물을 배합한 것 또는 골취보, 측백당, 지유, 연근, 얘엽등의 생약 추출물을 배합한 것(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소 55-120, 509호), 황백등에서 추출한 베르베린(Berberine)을 적용한 것(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소 57-56,415호, 동 57-85, 319호), 식물추출성분인 후라보놀(Flavonol)등을 함유한 치약조성물(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소 87-51, 613호), 월견초 종자유를 함유하는 구강위생조성물(일본국 공개특허 공보 소 87-268,613호)등이 있다.
생약성분을 사용할 경우 단순성분으로 효능이 있다하여 사용하는 예는 드물다. 이는 약물성능에 입각하여 수종의 약물을 배합시킴으로써 그 효능 효과를 높이기 때문이다. 수종의 생약성분을 배합하되 생약성분의 상승작용이 있게 하고, 부작용은 야기시키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많은 생약추출물들을 혼합사용하는 방법으로 시험을 진행한 결과 각각의 추출물로는 발견할 수 없었던 특이한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들의 혼합물질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생약추출물은 수증기 증류, 에탄올 및 메탄올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수증기 증류추출은 세말 또는 조절된 상태의 약제를 추출기에 넣고 물을 끓여서 생약성분을 추출하여 농축, 건조시키거나 물을 증류시켜 수증기가 추출기에 혼입되게 하여, 혼입된 수증기에 의해서 생약의 활성성분이 추출되게 한다. 이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이것을 감압 농축시킨 후, 건조하여 과립화 상태로 만들며,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은 퍼콜레이션법에 따라 제조하여 감압농축시킨 후 과립상태로 만들거나 틴크제 상테를 그대로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황백 및 형개와 길경 또는 치자 엑기스로 이루어진 3종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은 3종의 혼합생약성분을 조성물 총중량당 0.1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3.0중량% 함유하는 것이 좋다. 상기 추출물 성분을 0.1중량% 이하로 사용할 때는 치주질환 예방, 치료 및 충치예방 효과가 미약하였고, 5중량% 이상 사용할 때는 추출물의 특이한 맛에 의해 제품의 사용감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은 구강제품인 치약, 구강청정제, 의치세정제, 츄잉껌등의 통상적인 성분에 치주질환 예방, 치료 및 충치 예방 효과가 우수한 약용 성분의 혼합물로서 황백 및 형개와 길경 또는 치자 엑기스의 3종 생약 추출물의 일정 비율 혼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타 성분으로는 구강 조성물의 종류 및 사용목적에 따라 통상 사용하는 성분의 적당량을 사용하여 배합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통상적인 연마제, 습윤제, 결합제, 기포제, 감미제, 방부제, 약효제, 향료, PH 조정제, 증백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연마제로는 탄산칼슘 인산 일수소칼슘, 침강실리카, 함수 알루미나, 실리카겔,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지르코늄 실리게이트 등이 있다. 이들 연마제는 단독 혹은 2종이상 혼합하여 20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중량%를 사용한다.
습윤제로는 글리세린, 솔비톨액, 비결정성 솔비톨 액을 단독 혹은 2종이상 혼합하여 20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중량%를 사용한다.
결합제로는 카라기난, 잔탄껌, 카르복시 메칠 셀룰로오스 나트륨,카르복시 비닐 폴리머(상품명:카르보폴), 알간산 나트륨등을 단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0.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중량%를 사용한다.
기포제로는 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릴 사르코신산 나트륨등의 음이온 계면 활성제와 소르바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 에틸렌 폴리옥시 프로필렌계 축합고분자 물질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0.5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중량%를 사용한다.
감미제로는 삭카린 나트륨, 아스파탐, 스테비오시드, 감초산등을 들수 있으며, 이는 단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0.05 내지 0.5중량% 사용함이 좋다.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텔, 안식향산, 안식향산 나트륨을 단독 또는 2종이상 혼합 사용한다.
약효제로는 불화나트륨, 클로로 헥시딘, 트라넥사민산, 알렉토인류, 카프론산, 감초 엑기스, 산페논 등고과 같은 약효제를 사용하며, 향료로는 페파민트 오일, 스페아민트오일, 멘틀, 카르본등을 적당량 혼합하며, pH조정제로는 인산, 인산나트륨,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 호박산, 호박산 나트륨, 주석산, 주석산나트륨 등이 사용되며 적당한 pH 범위로는 5 내지 8이며 증백제로는 산화티탄을 0.1 내지 5중량%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을 실험예 및 실시예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험예 1
이 실험예는 구강내 충치질환균인 연쇄상구균 스트렙토코카즈, 뮤탄즈(S. mutans)에서 분리해낸 포도당 전이효소(glucosyltransferase)의 억제효과에 대한 시험이다.
스트렙토코카즈 뮤탄즈는 구강내에서 슈크로즈(sucrose)를 기질로 하여 프라그(plaque)를 형성하는 미생물이다. 포도당 전이효소는 스트펩토 코카즈 뮤탄즈에서 분리해 낸 것으로서 구강내에서 슈크로즈를 글루코즈(glucose)와 프락토즈(fructose)로 분해하고 이중 글루코즈를 이용하여 중합체인 글루칸(glucan)을 형성하게 한다. 이 때 생성된 글루칸은 물에 녹는 것과 녹지 않는 두가지 형태로 나누어지며, 물에 불용인 글루칸은 프라그 형성에 이용된다.
본 실험은 생약추출물을 적용하여 프라그를 형성시키는 포도당 전이효소(glucosyltransferase)를 억제시키는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실험 추출물의 종류
감국, 감초, 계지, 금은화, 대황, 도인, 맥문등, 목단피, 길경, 세신, 승마, 연고, 인진호, 초두구, 형개, 황금, 황백, 치자, 상백피 등의 각 생약 추출물 단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
실험방법
1) 덱스트란 티-10 0.2㎜에 포도당 전이효소 용액 0.2㎜(50㎛/㎖)를 첨가하고
2) 적정량의 생약추출물을 첨가하고, 인산완충용액(0.05M, pH 6.8) 0.9㎜가 되게 조절한다.
3) 슈크로즈 용액(10%) 0.5㎜ 첨가하고 37℃에서 18시간 반응시킨다.
4) 원심분리하여 불용 글루칸과 부유물을 제거한다.
5) 반응액을 1/40 내지 1/50으로 희석하여 1㎜를 시험관에 옮긴다.
6) 다음 소모기-넬슨 A용액(Somogi-Nelson A Solution) 9.6㎜와 B용액 0.4㎜를 혼합한다.
7) 혼합용액 1㎜를 희석액에 첨가한 후 20분간 가열한다.
8) 1분정도 찬물에서 식힌 후 아르세노 몰리브데이트(Arsenomolybdate) 시약 1㎜를 첨가한다.
9) 반응 완료후 7㎜의 증류수를 가하여 총 10㎜가 되도록 한다.
10)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11) 계산식으로 활성억제율을 계산한다.
계산식
실험결과
실험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주) 혼합물 Ⅰ: 황백 +길경 + 형개
혼합물Ⅱ: 황백+길경+형개+감초
혼합물 Ⅲ: 황백+형개+치자
혼합물 Ⅳ: 황백+초두구+치자
혼합물 Ⅴ: 황백+길경+초두구+형개+감초
시험결과 생약추출물의 포도당 전이효소에 대한 억제효과는 길경, 인진호, 방풍, 초두구, 형개, 황백, 치자엑기스등이 나타났으며, 황백, 길경, 형개와 황백, 형개, 치자엑기스의 일정량 혼합사용이 매우 높은 상승효과가 있음을 나타냈다.
실시예 1 내지 4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중 치약 조성물의 제조 순서는 습윤성분인 비결정성 솔비톨액에 카르복시 메탈 셀룰로오스 나트륨, 삭카린, 방부제등 분말 소량성분을 분산시키고 정제수로 묽힌 다음 혼합기에서 1차 혼합하고, 그 다음에 인산일 수소칼슘등의 연마제를 혼합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기포제인 알킬황산 나트륨, 안정제류, 향료성분등을 넣고 진공 상태하에서 3차 혼합함으로써 치약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기타의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는 통상적인 제조순서에 따라 제조 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5치약(표2)의 프라그 형성 억제 효과로 비교 시험하였다.
실시예 2
표 2의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5의 치약을 사용한 프라그 형성 억제효과 비교시험
실험방법
1. 실험군을 선별한 후 초기정밀 구강검진을 실시한다(한 실험군당 5명 무작위). 이때 프라그 지구(PHP Index)를 평가방법에 따라 점수화 한다.
2. 실험군 전치아에 대하여 스케일링을 실시한다.
3. 대조치약을 1주일 사용토록 한 후 구강검진을 실시하고 이때 치태지수를 기준치로 한다. 실시예 치약 및 비교예 치약을 각 피검자들에게 나누어주고, 치솔질은 평상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1일 3회 3주간 실시토록 하여 구강검진을 실시하고, 프라그 지수를 점수화 하였다.
4. 프라그지수의 기준치값을 100%로 환산하고, 3주후 측정 치태지수를 %로 환산한다.
5. 프라그 억제율 계산
실험결과
실험결과는 하기 표 3와 같다.
임상 실험결과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 4 내지 5에 비하여 월등히 효과가 우수함을 나타내며, 비교예 3의 경우는 과량의 생약추출물에 의한 사용감이 불량하여 피검자가 사용을 기피하였다.
실시예 5 : 구강청정제
에탄올(90%)20.0%
글리세린(98%)10.0%
폴리옥시에틸렌1.0%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황백 엑기스0.2%
형개 엑기스0.2%
길경 엑기스0.2%
삭카린 나트륨0.1%
향 료1.0%
정제수 가하여100.0%
실시예 6 : 의치세정제
탄산수소나트륨30.0%
주석산27.0%
코코일사르코신산 나트륨5.0%
라우릴 황산 나트륨5.0%
염화벤잘코니움2.0%
EDTA 나트륨5.0%
트리폴리인산나트륨14.0%
폴리에틸렌글리콜2.0%
황백 엑기스0.2%
형개 엑기스0.2%
길경 엑기스0.2%
향 료적 량
실시예 7
껌 베이스25.0%
솔비톨 44.0%
만니톨12.0%
글리세린13.0%
렉시딘0.5%
감미제2.0%
황백 엑기스0.2%
형개 엑기스0.2%
길경 엑기스0.2%
향 료적 량
실시예 1 내지 7은 공히 충치 및 치주질환 예방,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었다.

Claims (7)

  1. 황백 및 형개와 길경 또는 치자 엑기스로 이루어진 3종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3종의 생약추출물의 함량이 0.1 내지 5.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3종의 생약추출물의 함량이 0.15 내지 3.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4. 제 1, 2 또는 3항에 있어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이 치약인 조성물
  5. 제 1, 2 또는 3항에 있어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이 구강청정제인 조성물
  6. 제 1, 2 또는 3항에 있어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이 의치 세정제인 조성물
  7. 제 1, 2 또는 3항에 있어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이 츄잉껌인 조성물
KR1019920018404A 1992-10-07 1992-10-07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KR0138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8404A KR0138247B1 (ko) 1992-10-07 1992-10-07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8404A KR0138247B1 (ko) 1992-10-07 1992-10-07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669A KR940008669A (ko) 1994-05-16
KR0138247B1 true KR0138247B1 (ko) 1998-05-15

Family

ID=1934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8404A KR0138247B1 (ko) 1992-10-07 1992-10-07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2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341A (ko) * 2002-07-23 2004-01-31 남종현 치주질환에 효과가 있는 치약 및 그 제조방법
KR102173528B1 (ko) 2020-02-28 2020-11-03 주식회사 바른 섭취가 가능한 타블렛 또는 분말형 구강청결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669A (ko) 199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162035A (ja) 口腔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KR940006065B1 (ko) 충치 및 치주질환에 유효한 치약 조성물
KR102408893B1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9980013946A (ko) 구강용 액체 조성물(Oral composition of liquid type)
KR102562835B1 (ko) 금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50801A (ko) 유게놀 및 죽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위생 조성물
KR0138247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1881636B1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88978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0149483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구상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2415612B1 (ko) 과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321632B2 (ja) 口腔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KR20020082308A (ko) 귀전우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564564B1 (ko) 2-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482A (ko) 연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2830B1 (ko) 지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48925B1 (ko) 스코폴레틴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41843B1 (ko) 악틴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2829B1 (ko) 고량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8211B1 (ko) 우방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17082B1 (ko) 청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2831B1 (ko) 조협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80941B1 (ko) 쿼세틴 3-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80874A (ko) 구강용 조성물
KR20170142975A (ko) 익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30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