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9581B1 -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 및 그 보상 방법 - Google Patents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 및 그 보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9581B1
KR100589581B1 KR1020040047400A KR20040047400A KR100589581B1 KR 100589581 B1 KR100589581 B1 KR 100589581B1 KR 1020040047400 A KR1020040047400 A KR 1020040047400A KR 20040047400 A KR20040047400 A KR 20040047400A KR 100589581 B1 KR100589581 B1 KR 100589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image
data
sub
comp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2321A (ko
Inventor
윤필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47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9581B1/ko
Priority to US11/047,662 priority patent/US7656564B2/en
Priority to EP05002275.5A priority patent/EP1610324B1/en
Priority to JP2005031241A priority patent/JP3995100B2/ja
Publication of KR20050122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581B1/ko
Priority to US14/060,429 priority patent/USRE45496E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43Digital holography, i.e. recording holograms with digital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03H2001/0088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for video-holography, i.e. integrating hologram acquisition, transmission and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02Recording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2001/0428Image holography, i.e. an image of the object or holobject is recorde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8Synthesising holograms, i.e. holograms synthesized from objects or objects from holograms
    • G03H1/0808Methods of numerical synthesis, e.g. coherent ray tracing [CRT], diffraction specific
    • G03H2001/0833Look up t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삽입한 다수의 얼라인마크를 이용하여 데이터 이미지를 다수의 서브 이미지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서브 이미지 블록의 픽셀의 비매칭으로 단순화시켜 비매칭을 보상하는 1:1 픽셀 매칭 보상 방식을 통해 각 픽셀 단위로 배율 왜곡 및 전체 이미지의 선형 왜곡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왜곡이 발생한 픽셀 수만큼 데이터 이미지를 균등 분할하여 한 픽셀 단위로 왜곡 보상을 수행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기록시에 재생 이미지 프레임의 소정 영역에 삽입하여 기록한 다수의 얼라인마크를 이용하여 재생 데이터 이미지를 다수의 서브 이미지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서브 이미지 블록의 4변 에지 위치값을 찾고, 4변 에지 위치값을 이용하여 해당 서브 이미지 블록내 각 픽셀의 평균 배율 에러값을 산출하며, 기 설정된 다수의 기준 평균 배율 에러값들 중 산출된 평균 배율 에러값에 대응하는 각 픽셀의 미스얼라인 보상값들을 이용하여 분할된 서브 이미지 블록의 각 픽셀 위치를 보상함으로써, 오우버 샘플링을 사용하는 종래 방법과 비교해 볼 때, 홀로그래픽 재생 시스템의 경박단소화 및 저가격화를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전달 속도의 저하 문제 및 저장 용량의 손실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 및 그 보상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PIXEL REPRODUCED OF HOLOGRAM DATA}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를 채용한 전형적인 홀로그래픽 재생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데이터 이미지 영역과 테두리 영역 및 다수의 얼라인 마크를 갖는 한 페이지의 이상적인 이미지 프레임의 예시도,
도 3은 재생 이미지 프레임에서 전체 왜곡이 발생한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 프레임 예시도,
도 4는 얼라인 마크 픽셀과 CCD 픽셀이 비매칭되는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재생 이미지 프레임에서 추출한 재생 데이터 이미지의 서브 블록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일 예로서 재생 데이터 이미지의 서브 블록에서 확대 에러가 검출될 때, 누진적으로 배율 에러 값이 증가하는 픽셀 배율 에러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전형적인 종래의 오우버 샘플링 기법을 채용한 전형적인 홀로그래픽 재생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8은 종래 방법에 따라 3×3 오우버 샘플링을 통해 재생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재생 데이터 이미지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 : 테두리/얼라인 마크 검출 블록
1122 : 서브 블록 생성 블록
1123 : 미스얼라인 보정값 산출 블록
1124 : 픽셀 위치 결정 블록
1125 : 픽셀 배율 에러값 산출 블록
1126 : 픽셀 보상 방향 결정 블록
1127 : 픽셀 보상 블록
1128 : 룩업 테이블
본 발명은 홀로그래픽 시스템(Holographic System)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을 위해 저장매체로부터 판독한 재생 데이터 이미지에서 각 픽셀 데이터의 왜곡을 보상하는데 적합한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 및 그 보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볼륨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저장을 이용한 기술 분야는, 예를 들면 반도체 레이저, CCD(Charge Coupled Device),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도처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서 지문을 저장하고 재생하는 지문 인식 시스템 등이 실용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용량의 저장 능력과 초고속 데이터 전송 속도의 장점을 응용할 수 있는 여러 분야로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홀로그래픽 디지털 저장 및 재생 시스템은 대상 물체로부터의 신호 광과 기준 광을 서로 간섭시킬 때 발생하는 간섭 무늬를 간섭 무늬의 강도(Amplitude)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저장매체, 예를 들면 광 굴절성(photorefractive) 크리스탈(crystal) 등의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것으로, 기준광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신호광의 강도 및 위상까지도 기록함으로서, 물체의 3차원 상을 표시할 수 있고, 또한 2진 데이터로 된 페이지(page) 단위로 구성되는 수백에서 수천 개의 홀로그램을 동일 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전형적인 홀로그래픽 디지털 저장 및 재생 시스템은, 홀로그램 데이터를 저장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모드 시에, 광원에서 발생한 레이저광을 기준 광과 물체 광으로 분기시키고, 물체 광을 외부 입력 데이터(즉, 저장하고자 하는 입력 데이터)에 따라 픽셀들이 명암을 이루는 한 페이지 단위의 2진 데이터로 변조하며, 변조된 물체 광(즉, 신호 광)과 분기되어 기 설정된 편향 각으로 반사시킨 기록용 기준 광을 서로 간섭시킴으로서 얻어지는 간섭 무늬를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홀로그램 데이터로써 저장 매체에 기록한다.
다른 한편, 저장 매체로부터 판독되는 홀로그램 데이터, 즉 재생 데이터 이미지는 광학 계통의 오차, 저장 매체 표면의 상태, 재생 데이터 이미지를 집속하는 대물 렌즈의 포커싱 에러 등에 기인하여 재생 데이터 이미지의 확대, 축소 등의 배율 변형 문제와 픽셀 비매칭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형적인 종래 방법으로는 오우버 샘플링 기법이 있다.
도 7은 전형적인 종래의 오우버 샘플링 기법을 채용한 전형적인 홀로그래픽 재생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전형적인 홀로그래픽 재생 시스템은 스핀들 모터(702), 저장 매체(704), 판독 광 경로(706), 재생 광 경로(708), 이미지 검출 블록(710), 테두리 검출 블록(712) 및 오우버 샘플링 블록(714)을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형적인 홀로그래픽 재생 시스템은 스핀들 모터(70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저장 매체(704)가 구비되고, 이러한 저장 매체(704)에는 기록된 홀로그램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 필요한 판독 광이 저장 매체(704) 측으로 조사되는 판독 광 경로(706)와 판독 광의 조사를 통해 재생되는 데이터 이미지 광(즉, 2진 데이터의 바둑판 형상 무늬)이 출력되며 데이터 이미지 광을 집속하는 대물 렌즈를 포함하는 재생 광 경로(708)가 구비된다.
또한, 재생 광 경로(708) 측에는 이미지 검출 블록(710), 예를 들면 CCD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CCD 카메라에서는 재생되는 이미지 광을 구성하는 각 픽셀을 n×n 픽셀(예를 들면, 3×3 픽셀)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광전 변환하여 테두리 검출 블록(712)으로 제공한다. 이때, 저장 매체(704)로부터 판독되는 재생 이미지 프레임은 재생 데이터 이미지 영역과 테두리 영역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재생 이미지 프레임이 240×240의 해상도 사이즈를 가지며, 3픽셀의 상하좌우 테두리를 갖는다고 가정할 때, 이미지 검출 블록(710)에서는 테두리를 포함하여 1024×1024의 해상도 사이즈를 갖는 광전 변환된 재생 이미지를 생성하여 테두리 검출 블록(712)으로 제공한다.
다음에, 테두리 검출 블록(712)에서는 재생 이미지 프레임의 각 라인별 픽셀 총합 값을 이용하는 방식 등을 통해 재생 데이터 이미지의 테두리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테두리 정보에 의거하여 재생 이미지 프레임에서 재생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하며, 이와 같이 추출된 재생 데이터 이미지를 오우버 샘플링 블록(714)으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240×240의 해상도 사이즈와 3비트의 상하좌우 테두리를 갖는 재생 데이터 이미지에 대해 각 픽셀 당 3×3픽셀로 하는 이미지 촬상을 통해 1024×1024 사이즈의 데이터 이미지가 얻어진다고 가정할 때 720×720의 재생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하여 오우버 샘플링 블록(714)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오우버 샘플링 블록(714)에서는 3×3 마스크를 이용하는 오우버 샘플링을 통해 원래의 재생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 즉 일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3×3 마스크를 이용하여 720×720의 데이터 이미지에서 한 픽셀을 추출한 후에 2픽셀을 건너뛰는 방식(즉, 3×3 마스크에서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픽셀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240×240 사이즈의 원래 데이터 이미지(즉, 엔코딩된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하며, 이와 같이 추출된 원래의 데이터 이미지는 디코딩을 위해 도시 생략된 디코더로 제공된다. 도 8에 있어서, n1 내지 n4는 3×3 마스크 구간을 의미한다.
이때, 오우버 샘플링 블록(714)에서는 여러 가지 외적 요인에 기인하는 왜곡으로 인해 데이터 이미지가 증가한 경우, 예를 들어 720×720 사이즈이어야 할 데 이터 이미지가 722×722 사이즈일 때, 전체 데이터 구간(즉, 데이터 라인)을 대략 3등분하고, 두 번째 및 세 번째 등분의 시작 위치에서 두 픽셀이 아닌 세 픽셀을 건너뛰는 방식(균등 분할 보상 방식)으로 오우버 샘플링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 계통의 오차, 저장 매체 표면의 상태, 재생 데이터 이미지를 집속하는 대물 렌즈의 포커싱 에러 등에 기인하여 재생 데이터 이미지의 변형(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우버 샘플링 기법을 사용하는 종래 방법은 CCD 촬상소자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설계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홀로그래픽 재생 시스템의 경박단소화 및 저가격화를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오우버 샘플링 기법을 사용하는 종래 방법은 필요 이상으로 큰 사이즈의 재생 데이터 이미지를 처리해야만 하기 때문에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전달 속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저장 용량 측면에서 손실을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더욱이, 재생 데이터 이미지의 사이즈가 실제 데이터 이미지의 사이즈보다 증가한 경우 증가한 픽셀 수+1 만큼 라인 데이터를 등분하여 일률적으로 등분의 시작점에서 하나의 픽셀을 더 버리는 방식으로 픽셀 보정을 행하는 종래 방법은, 데이터 이미지의 모서리 최대 값이 정확하게 정수 값으로 떨어지는 것이 확률적으로 매우 낮다는 점을 고려할 때, 결국 왜곡 보상을 정확하게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결국 양질의 재생 이미지를 얻을 수 없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저장 매체로부터 재생되는 홀로그램 데이터 이미지는 광학계의 렌즈 오차(즉, 렌즈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간의 굴절율 차이에 기인하는 오차), 홀로그램 데이터의 그레이팅에 의한 오차, 저장 매체 디스크의 수평 실패에 기인하는 오차 등의 요인에 기인하여 전체 이미지가 선형적으로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오우버 샘플링 기법을 사용하는 종래 방법은, 상술한 여러 가지 요인 등에 기인하는 전체 이미지의 선형적인 왜곡을 고려하지 않은 체, 데이터 이미지의 좌상단의 첫 번째 라인 데이터의 첫 번째 픽셀을 기준 위치로 하여 이어지는 모든 라인 데이터들의 첫 번째 픽셀을 기준 위치로 정렬시켜 오우버 샘플링을 하기 때문에 이미지의 선형 왜곡이 심한 경우 오우버 샘플링을 통해 추출하는 목표 픽셀의 위치가 미스얼라인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결국 재생 이미지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미지의 왜곡을 픽셀의 비매칭으로 단순화시켜 비매칭을 보상하는 1:1 픽셀 매칭 보상 방식을 통해 각 픽셀 단위로 배율 왜곡을 보상할 수 있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 및 그 보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미지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삽입한 다수의 얼라인마크를 이용하여 데이터 이미지를 다수의 서브 이미지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서브 이미지 블록의 픽셀의 비매칭으로 단순화시켜 비매칭을 보상하는 1:1 픽셀 매칭 보상 방식을 통해 각 픽셀 단위로 배율 왜곡 및 전체 이미지의 선형 왜곡을 보상할 수 있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 및 그 보상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기준 광과 데이터 이미지를 신호 광으로 변조한 신호 광을 서로 간섭시켜 간섭무늬로서 저장 매체에 기록한 홀로그램 데이터를 재생하여 픽셀의 왜곡을 보상하는 장치로서, 재생 데이터 이미지와 테두리 및 다수의 얼라인 마크를 갖는 재생 이미지 프레임에서 재생 데이터 이미지와 소정 위치에 삽입된 상기 다수의 얼라인 마크를 추출하는 수단과, 상기 추출된 다수의 얼라인 마크에 의거하여 상기 추출된 재생 데이터 이미지를 다수의 서브 이미지 블록으로 분할하는 수단과, 상기 분할된 각 서브 이미지 블록의 각 에지 위치값을 각각 결정하고, 이 결정된 각 에지 위치값에 근거한 라인 데이터의 시작점 픽셀과 끝점 픽셀의 위치값에 의거하여 상기 각 서브 이미지 블록 내 각 픽셀의 평균 배율 에러값을 각각 산출하는 수단과, 기 설정된 다수의 기준 평균 배율 에러값들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라인 데이터 내 각 픽셀의 미스얼라인 보상값들이 저장된 테이블 수단과, 상기 기 설정된 다수의 기준 평균 배율 에러값들 중 상기 산출된 평균 배율 에러값에 대응하는 각 픽셀의 미스얼라인 보상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각 서브 이미지 블록 내 각 픽셀 위치를 각각 보상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기준 광과 데이터 이미지를 신호 광으로 변조한 신호 광을 서로 간섭시켜 간섭무늬로서 저장 매체에 기록한 홀로그램 데이터를 재생하여 픽셀의 왜곡을 보상하는 방법으로서, 재생 데 이터 이미지와 테두리 및 다수의 얼라인 마크를 갖는 재생 이미지 프레임에서 상기 재생 데이터 이미지와 소정 위치에 삽입된 상기 다수의 얼라인 마크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다수의 얼라인 마크에 의거하여 상기 추출된 재생 데이터 이미지를 다수의 서브 이미지 블록으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된 각 서브 이미지 블록의 각 에지 위치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에지 위치값에 근거한 라인 데이터의 시작점 픽셀과 끝점 픽셀의 위치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시작점 픽셀과 끝점 픽셀의 위치값에 의거하여 상기 각 서브 이미지 블록 내 각 픽셀의 평균 배율 에러값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평균 배율 에러값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각 픽셀의 미스얼라인 보상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각 서브 이미지 블록의 각 픽셀 위치를 보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핵심 기술사상은, 왜곡이 발생한 픽셀 수만큼 데이터 이미지를 균등 분할하여 한 픽셀 단위로 왜곡 보상을 수행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기록시에 재생 이미지 프레임의 소정 영역에 삽입하여 기록한 다수의 얼라인 마크를 이용하여 재생 데이터 이미지를 다수의 서브 이미지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서브 이미지 블록의 4변 에지 위치(즉, 라인 데이터 및 라인간 데이터에 대한 픽셀의 시작점과 끝점 위치)값을 찾고, 4변 에지 위치값을 이용하여 해당 서브 이미지 블록내 각 픽셀의 평균 배율 에러값을 산출하며, 기 설정된 다수의 기준 평균 배율 에러값들 중 산출된 평균 배율 에러값에 대응하는 각 픽셀의 미스얼라인 보상값들을 이용하여 분할된 서브 이미지 블록(재생 서브 이미지 블록)의 각 픽셀 위치를 보상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출된 평균 배율 에러값의 크기에 의거하여 분할된 각 서브 이미지 블록의 영역을 소정 개수로 분할한 후 보상 방향성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방식으로 분할된 서브 이미지 블록의 각 픽셀 위치를 보상하는 기술적 사상을 더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재생 이미지 프레임에서 추출한 N×N의 얼라인 마크를 이용하여 분할된 각 서브 이미지 블록 내 각 픽셀의 미스얼라인 정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미스얼라인 보정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미스얼라인 보정값에 의거하여 분할된 각 서브 이미지 블록의 픽셀 위치를 보정하고, 픽셀 위치가 보정된 서브 이미지 블록의 라인 데이터에 대한 시작점 픽셀과 끝점 픽셀의 위치값을 결정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더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를 채용한 전형적인 홀로그래픽 재생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형적인 홀로그래픽 재생 시스템은 스핀들 모터(102), 저장 매체(104), 판독 광 경로(106), 재생 광 경로(108), 이미지 검출 블록(110) 및 재생 픽셀 보상 블록(112)을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재생 픽셀 보상 블록(112)은 실질적인 본 발명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는 테두리/얼라인 마크 검출 블록(1121), 서브 블록 생성 블록(1122), 미스얼라인 보정값 산출 블록(1123), 픽셀 위치 결정 블록(1124), 픽셀 배율 에러값 산출 블록(1125), 픽셀 보상 방향 결정 블록(1126), 픽셀 보상 블록(1127) 및 룩업 테이블(128)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를 채용 가능한 전형적인 홀로그래픽 재생 시스템은 스핀들 모터(10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저장 매체(104)가 구비되고, 이러한 저장 매체(104)에는 기록된 홀로그램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 필요한 판독 광이 저장 매체(104) 측으로 조사되는 판독 광 경로(106)와 판독 광의 조사를 통해 재생되는 데이터 이미지 광(즉, 2진 데이터의 바둑판 형상 무늬)이 출력되는 재생 광 경로(108)가 구비된다.
또한, 재생 광 경로(108) 측에는 이미지 검출 블록(110), 예를 들면 CCD 카메라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CCD 카메라는, 재생되는 이미지 광을 구성하는 각 픽셀을 n×n 픽셀(예를 들면, 3×3 픽셀)로 표현하여 출력하는 전술한 종래의 홀로그래픽 재생 시스템과는 달리, 1:1 픽셀 매칭 방식으로 광전 변환된 재생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여 재생 픽셀 보상 블록(112)내의 테두리/얼라인 마크 검출 블록(1121)으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이미지 광이 240×240의 해상도 사이즈와 3비트 의 상하좌우 테두리를 가질 때 240×240의 재생 데이터 이미지와 상하좌우 3비트의 테두리를 포함하는 재생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한다.
다음에, 테두리/얼라인 마크 검출 블록(1121)은 재생 이미지 프레임의 각 라인별 픽셀 총합 값을 이용하는 방식 등을 통해 재생 데이터 이미지의 테두리를 검출하고, 예를 들면 테두리와 이미지간 경계 영역에 삽입되어 있는 다수의 얼라인 마크를 검출하며, 또한 검출된 테두리 정보에 의거하여 재생 이미지 프레임에서 재생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한다. 여기에서, 얼라인 마크들은 데이터 이미지 영역의 4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데, 이것은 얼라인 마크들을 기준으로 하여 재생 데이터 이미지를 일정한 크기의 다수 개의 서브 이미지 블록으로 분할하여 픽셀의 배율 에러 및 전체 이미지의 선형 왜곡에 기인하는 미스얼라인을 보상해 주기 위해서이다.
즉, 일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로그램 데이터를 저장 매체에 기록할 때, 예를 들면 테두리(202)와 데이터 이미지 영역(206)간의 경계 영역(204)에 일정한 간격을 갖는 다수의 얼라인 마크(AM1 내지 AM12)들을 삽입하여 기록하는데, 테두리/얼라인 마크 검출 블록(1121)에서는 다수의 얼라인 마크(AM1 내지 AM12)들과 재생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하여 서브 블록 생성 블록(1122)으로 제공한다. 도 2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SB1 내지 SB9는 각각의 얼라인 마크(AM1 내지 AM12)들에 의거하여 일정한 크기(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분할되는 서브 이미지 블록들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서브 이미지 블록(SB1 내지 SB9)들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이어서, 서브 블록 생성 블록(1122)에서는, 예를 들면 테두리와 이미지간 경계 영역(204)에서 추출한 다수의 얼라인 마크(AM1 내지 AM12)에 의거하여, 데이터 이미지를 소정 크기의 서브 이미지 블록으로 분할한다. 일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와 이미지간 경계 영역(204)에 일정한 간격으로 모두 12개의 얼라인 마크(AM1 내지 AM12)가 삽입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재생 프레임으로부터 추출된 데이터 이미지는 총 9개의 서브 이미지 블록(SB1 내지 SB9)으로 분할된다. 예를 들어, 얼라인 마크가 4×4의 사이즈를 갖는다고 가정할 때, 각 얼라인 마크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데이터 이미지를 잘라 서브 이미지 블록으로 분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 이미지를 9개의 서브 이미지 블록으로 분할하는 것을 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더 많은 개수의 얼라인 마크를 기록시의 프레임에 균일한 간격(혹은 비균일한 간격)으로 삽입함으로써, 데이터 이미지를 보다 많은 수의 서브 이미지 블록으로 분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재생 프레임에서 전체 이미지의 선형 왜곡이 전혀 발생하지 않은 경우라고 가정할 때, 재생 프레임은 일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가질 것이지만,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전체 이미지에서 선형 왜곡이 발생, 즉 일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프레임의 각 꼭지점 위치는 그대로 유지되면서 꼭지점과 꼭지점을 연결하는 면이 선형적으로 프레임 안쪽으로 들어가는 선형 왜곡(참조부호 a 및 b로서 표시된 선형 왜곡)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선형 왜곡이 발생하면, b영역의 경우 데이터 이미지가 존재해야 하는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데이터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된다. 이와 같이 선형 왜곡이 발생한 상태에서 전술한 종래 방식에 따른 오우버 샘플링 기법을 이용하여 실제 데이터 이미지를 추출하게 될 경우, 실제적인 데이터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은 영역(참조부호 b 영역)에서 픽셀을 추출하게 되는 현상이 야기될 수 있다.
한편, 전체 이미지에 선형 왜곡이 발생할 경우 얼라인 마크들 또한 데이터 이미지와 거의 동일하게 선형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얼라인 마크를 기준으로 하여 분할한 각 서브 이미지 블록들에 대해 1:1 매칭 방식으로 데이터 픽셀을 추출하기 때문에 선형 왜곡으로 인해 데이터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은 영역(참조부호 b 영역)에서 데이터 픽셀을 추출하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서브 블록 생성 블록(1122)에서는 다수의 얼라인 마크(AM1 - AM12)를 이용하여 분할한 각 서브 이미지 블록(SB1 - SB9)들을 라인 L11을 통해 순차적(즉, SB1에서부터 SB9)으로 픽셀 위치 결정 블록(1124) 및 픽셀 보상 블록(1127)으로 각각 제공한다. 또한, 서브 블록 생성 블록(1122)은 재생 이미지 프레임의 소정 위치(예를 들면, 테두리 영역과 재생 데이터 이미지 영역의 경계 영역 내 소정 위치, 테두리 영역 내 소정 위치 등)에서 추출한 얼라인 마크를 미스얼라인 보정값 산출 블록(1123)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라인 L11 상에 SB1의 서브 이미지 블록을 제공할 때 얼라인 마크 AM1, AM2, 및/또는 AM12를 선택적으로 미스얼라인 보정 값 산출 블록(1123)으로 제공하고, 라인 L11 상에 SB2의 서브 이미지 블록을 제공할 때 얼라인 마크 AM2 및/또는 AM3을 선택적으로 미스얼라인 보정값 산출 블록(1123)으로 제공하는 등의 방식으로 얼라인 마크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얼라인 마크는, 일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2의 온/오프 서브 블록이 교번하는 형태를 갖는 4×4의 블록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다음에, 미스얼라인 보정값 산출 블록(1123)은, 4×4의 얼라인 마크 픽셀과 CCD 픽셀간을 매칭시켜 그 비매칭 여부를 검출하고, 일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라인 마크 픽셀과 CCD 픽셀간에 비매칭이 발생할 때, off 픽셀 또는 on 픽셀의 미스얼라인된 얼라인 마크 주위 픽셀의 광량 정보를 이용하여 x방향 및 y방향의 미스얼라인 보정값을 산출한다. 도 4에 있어서, 미설명 참조번호 402는 CCD 픽셀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4×4의 얼라인 마크 픽셀과 CCD 픽셀간이, 일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매칭되었다고 가정할 때, 얼라인 마크(AM1) 내 대각하는 방향의 두 개의 2×2 off 픽셀 서브 블록 또는 대각하는 방향의 두 개의 2×2 on 픽셀 서브 블록을 이용하여 x방향 및 y방향의 미스얼라인 보정값을 산출할 수 있는데, 일 예로서 두 개의 2×2 off 픽셀 서브 블록을 이용하여 x방향 및 y방향의 미스얼라인 보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
즉, 도 4의 좌상단 중심에 있는 off 픽셀의 광량값은 x1l(off 픽셀의 왼쪽)과 x1r(off 픽셀의 오른쪽)의 픽셀에서 각각 검출한 광량의 합과 같으며, 또한 y1l(off 픽셀의 아래쪽)과 y1r(off 픽셀의 위쪽)의 픽셀에서 각각 검출한 광량의 합과 같다. 따라서, x1l 및 x1r의 비율(X1)과 y1l 및 y1r의 비율(Y1)을 아래의 수학식 1 및 2와 같이 각각 구함으로써 좌상단에 있는 2×2 off 픽셀 서브 블록을 이용한 x방향 및 y방향에서의 미스얼라인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4027339765-pat00001
Figure 112004027339765-pat00002
마찬가지로, 도 4의 우하단 중심에 있는 off 픽셀의 광량값은 x2l(off 픽셀의 왼쪽)과 x2r(off 픽셀의 오른쪽)의 픽셀에서 각각 검출한 광량의 합과 같으며, 또한 y2l(off 픽셀의 아래쪽)과 y2r(off 픽셀의 위쪽)의 픽셀에서 각각 검출한 광량의 합과 같다. 따라서, x2l 및 x2r의 비율(X2)과 y2l 및 y2r의 비율(Y2)을 아래의 수학식 3 및 4와 같이 각각 구함으로써 우하단에 있는 2×2 off 픽셀 서브 블록을 이용한 x방향 및 y방향에서의 미스얼라인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4027339765-pat00003
Figure 112004027339765-pat00004
그런 다음, X1과 X2의 평균을 구하고, 다시 Y1과 Y2의 평균을 구함으로써, x 방향과 y방향에서의 미스얼라인(비매칭)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미스얼라인 보정값(즉, 하나의 서브 이미지 블록에 대한 미스얼라인 보정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산출되는 미스얼라인 보정값은 라인 L12를 통해 픽셀 위치 결정 블록(1124)으로 전달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4×4의 얼라인 마크 픽셀에서 2×2의 off 픽셀 서브 블록을 이용하여 픽셀의 미스얼라인을 검출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4×4의 얼라인 마크 픽셀에서 2×2의 on 픽셀 서브 블록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off 픽셀 서브 블록을 이용하는 것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 픽셀 위치 결정 블록(1124)은 라인 L12를 통해 제공되는 해당 서브 이미지 블록의 미스얼라인 보정값(즉, x방향 및 y방향의 미스얼라인 보정값)에 의거하여, 라인 L11을 통해 제공되는 해당 서브 이미지 블록의 각 픽셀 위치를 보정(즉, 좌/우 방향으로의 픽셀 이동 및/또는 상/하 방향으로의 픽셀 이동)하고, 픽셀 위치가 보정된 서브 이미지 블록의 라인 데이터에 대한 시작점 픽셀의 위치값과 끝점 픽셀의 위치값을 각각 결정하여 다음 단의 픽셀 배율 에러값 산출 블록(1125)으로 전달한다. 즉, 일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이미지 블록(SB1)의 에지 위치값을 결정, 즉 라인 데이터의 x방향에서의 시작점 픽셀의 위치값 x_1 및 x_3과 끝점 픽셀의 위치값 x_2 및 x_4를 결정하고, 라인 데이터의 y방향에서의 시작점 픽셀의 위치값 y_1 및 y_3과 끝점 픽셀의 위치값 y_2 및 y_4를 결정한다. 이때, 서브 이미지 블록(SB1)에서 왜곡(distortion)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x_1=x_3, x_2=x_4의 조건이 성립되고, y_1=y_2, y_3=y_4의 조건이 성립될 것이다.
이어서, 픽셀 배율 에러값 산출 블록(1125)에서는 픽셀 위치 결정 블록(1124)으로부터 제공되는 에지 위치값, 즉 시작점 픽셀과 끝점 픽셀의 위치값에 의거하여 다음의 수학식 5 및 6과 같이 x방향 배율 에러값(X_mag_error)과 y방향 배율 에러값(Y_mag_error)을 각각 산출한다.
X_mag_error = (x_2 - x_1) - X_data_size
Y_mag_error = (y_1 - y_3) - Y_data_size
이어서, 다음의 수학식 7 및 8과 같이 각 픽셀당 x방향 미스얼라인 정도(△x)와 y방향 미스얼라인 정도(△y)를 산출함으로써, 각 픽셀당 평균 배율 에러값을 산출하며, 이와 같이 산출된 각 픽셀당 평균 배율 에러값은 라인 L13을 픽셀 보상 블록(1127)으로 전달된다.
△x = X_mag_error / X_data_size
△y = Y_mag_error / Y_data_size
상기한 수학식 5 내지 수학식 8에 있어서, X_data_size는 x방향의 실제 데이터 사이즈(해당 서브 이미지 블록의 데이터 사이즈)를, x1은 x방향의 시작점 픽셀 위치값을, x2는 x방향의 끝점 픽셀 위치값을 각각 의미하고, Y_data_size는 y방향 의 실제 데이터 사이즈(해당 서브 이미지 블록의 데이터 사이즈)를, y1은 y방향의 시작점 픽셀 위치값을, y3은 y방향의 끝점 위치값을 각각 의미한다.
다음에, 픽셀 보상 방향 결정 블록(1126)에서는 픽셀 배율 에러값 산출 블록(1125)으로부터 제공되는 각 픽셀당 평균 배율 에러값(즉, 미스얼라인 값), 즉 누진적으로 합산(일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2△x, 3△x, ----- )되는 미스얼라인 값의 크기에 의거하여 해당 서브 이미지 블록의 데이터 구간을 소정 개수로 분할하며, 분할된 영역(데이터 구간)별로 보상 방향성을 달리하도록 하는 보상 방향 결정신호를 발생하여 라인 L14를 통해 픽셀 보상 블록(1127)으로 제공한다.
즉, 픽셀의 미스얼라인 값이 0.5(하프 픽셀)와 0 이 되는 지점(위치)을 판단하여 데이터 구간을 분할하는데, 일 예로서 △x는 0.009 픽셀이라고 가정할 때, 첫 번째 미스얼라인 값이 0.5 픽셀보다 커지는 지점(위치)은 x_1 + n_1 * △x>0.5 이므로, n_1은 (0.5-x_1)/△x 보다 큰 최소 정수, 즉 n_1은 12(11.1111)가 된다. 또한, 두 번째로 미스얼라인 값이 0 이 되는 지점(위치)은 x_1 + n_2 * △x>1.0 이므로, n_2는 (1.0-x_1)/△x 보다 큰 최소 정수, 즉 n_2는 67(66.6666)이 된다. 또한, 세 번째로 미스얼라인 값이 0.5보다 커지는 지점(위치)이 x_1 + n_3 * △x>1.5 이므로, n_3은 (1.5-x_1)/△x 보다 큰 최소 정수, 즉 n_3은 123(123.2222)이 된다. 이때, 데이터 이미지의 사이즈가 100픽셀이라고 가정할 때 n_3은 무시한다.
따라서, 상기한 가정 값들을 고려할 때, 픽셀 보상 방향 결정 블록(1126)에 서는 1번 픽셀 지점에서부터 11번 픽셀 지점, 12번 픽셀 지점에서부터 66번 픽셀 지점, 67번 픽셀 지점에서부터 100번 픽셀 지점을 각각 하나의 데이터 구간으로 분할하며, 분할된 데이터 구간은, 보상 방향을 달리하는 선택적인 보상 방향성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1번 픽셀 지점에서부터 11번 픽셀 지점까지는 전 방향의 보상 방향을 가지고, 12번 픽셀 지점에서부터 66번 픽셀 지점까지는 후 방향의 보상 방향을 가지며, 다시 67번 픽셀 지점에서부터 100번 픽셀 지점까지는 다시 전 방향의 보상 방향을 갖게 된다.
다음에, 픽셀 보상 블록(1127)에서는 라인 L13을 통해 제공되는 각 픽셀당 평균 배율 에러값(즉, 해당 서브 이미지 블록의 픽셀당 평균 배율 에러값)이 제공될 때, 룩업 테이블(1128)을 검색하여 기 설정된 다수의 기준 평균 배율 에러값들 중 대응하는 기준 평균 배율 에러값을 결정하고, 이 결정된 기준 평균 배율 에러값들에 대응하여 설정된 각 픽셀의 미스얼라인 보상값들을 이용하여, 라인 L11을 통해 제공되는 해당 서브 이미지 블록의 각 픽셀들에 대한 위치 보상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룩업 테이블(1127)에는 기 설정된 다수의 기준 평균 배율 에러값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각 기준 평균 배율 에러값들은 순서열적으로 대응하는 각 픽셀의 미스얼라인 보상값들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오우버 샘플링 기법을 사용하지 않는, 1:1 픽셀 매칭을 통한 각 픽셀별 위치 보상을 통해 화질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을 실현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의 얼라인 마크를 이용하여 데이터 이미지를 다수의 서브 이미지 블록으로 분할하여 각 픽셀별 위치 보상을 해 줌으로 써, 전체 이미지의 선형적인 왜곡에 기인하는 재생 화질 열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왜곡이 발생한 픽셀 수만큼 데이터 이미지를 균등 분할하여 한 픽셀 단위로 왜곡 보상을 수행하는 전술한 종래 방식과는 달리, 기록시에 재생 이미지 프레임의 소정 영역에 삽입하여 기록한 다수의 얼라인마크를 이용하여 재생 데이터 이미지를 다수의 서브 이미지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서브 이미지 블록의 4변 에지 위치값을 찾고, 4변 에지 위치값을 이용하여 해당 서브 이미지 블록내 각 픽셀의 평균 배율 에러값을 산출하며, 기 설정된 다수의 기준 평균 배율 에러값들 중 산출된 평균 배율 에러값에 대응하는 각 픽셀의 미스얼라인 보상값들을 이용하여 분할된 서브 이미지 블록의 각 픽셀 위치를 보상함으로써, 오우버 샘플링을 사용하는 종래 방법과 비교해 볼 때, 홀로그래픽 재생 시스템의 경박단소화 및 저가격화를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전달 속도의 저하 문제 및 저장 용량의 손실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8)

  1. 기준 광과 데이터 이미지를 신호 광으로 변조한 신호 광을 서로 간섭시켜 간섭무늬로서 저장 매체에 기록한 홀로그램 데이터를 재생하여 픽셀의 왜곡을 보상하는 장치로서,
    재생 데이터 이미지와 테두리 및 다수의 얼라인 마크를 갖는 재생 이미지 프레임에서 재생 데이터 이미지와 소정 위치에 삽입된 상기 다수의 얼라인 마크를 추출하는 수단과,
    상기 추출된 다수의 얼라인 마크에 의거하여 상기 추출된 재생 데이터 이미지를 다수의 서브 이미지 블록으로 분할하는 수단과,
    상기 분할된 각 서브 이미지 블록의 각 에지 위치값을 각각 결정하고, 이 결정된 각 에지 위치값에 근거한 라인 데이터의 시작점 픽셀과 끝점 픽셀의 위치값에 의거하여 상기 각 서브 이미지 블록 내 각 픽셀의 평균 배율 에러값을 각각 산출하는 수단과,
    기 설정된 다수의 기준 평균 배율 에러값들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라인 데이터 내 각 픽셀의 미스얼라인 보상값들이 저장된 테이블 수단과,
    상기 기 설정된 다수의 기준 평균 배율 에러값들 중 상기 산출된 평균 배율 에러값에 대응하는 각 픽셀의 미스얼라인 보상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각 서브 이미지 블록 내 각 픽셀 위치를 각각 보상하는 보상 수단
    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픽셀 보상 장치는 상기 산출된 평균 배율 에러값의 크기에 의거하여 상기 각 서브 이미지 블록 내 각 픽셀의 보상 방향을 결정하는 데이터 구간을 구분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 수단은 상기 결정된 보상 방향에 의거하는 상기 데이터 구간별 선택적 방향성을 가지고 상기 각 서브 이미지 블록 내 각 픽셀 위치를 각각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간별 보상 방향은, 상기 산출된 평균 배열 에러값이 픽셀 위치값의 0과 0.5에 도달할 때마다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평균 배율 에러값은, x방향 평균 배율 에러값과 y방향 평균 배율 에러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얼라인 마크는, 상기 테두리와 재생 데이터 이미지의 경계 영역 의 소정 위치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얼라인 마크는, 상기 테두리 내의 소정 위치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얼라인 마크는, 4×4의 블록 사이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얼라인 마크는, 2×2의 온/오프 서브 블록이 교번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
  9. 기준 광과 데이터 이미지를 신호 광으로 변조한 신호 광을 서로 간섭시켜 간섭무늬로서 저장 매체에 기록한 홀로그램 데이터를 재생하여 픽셀의 왜곡을 보상하는 방법으로서,
    재생 데이터 이미지와 테두리 및 다수의 얼라인 마크를 갖는 재생 이미지 프레임에서 상기 재생 데이터 이미지와 소정 위치에 삽입된 상기 다수의 얼라인 마크 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다수의 얼라인 마크에 의거하여 상기 추출된 재생 데이터 이미지를 다수의 서브 이미지 블록으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된 각 서브 이미지 블록의 각 에지 위치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에지 위치값에 근거한 라인 데이터의 시작점 픽셀과 끝점 픽셀의 위치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시작점 픽셀과 끝점 픽셀의 위치값에 의거하여 상기 각 서브 이미지 블록 내 각 픽셀의 평균 배율 에러값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평균 배율 에러값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각 픽셀의 미스얼라인 보상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각 서브 이미지 블록의 각 픽셀 위치를 보상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픽셀 보상 방법은 상기 산출된 평균 배율 에러값의 크기에 의거하여 상기 각 서브 이미지 블록 내 각 픽셀 위치의 보상 방향을 결정하는 데이터 구간을 구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 픽셀 위치는 상기 결정된 보상 방향에 의거하는 상기 데이터 구간별 선택적 방향성을 가지고 보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간별 보상 방향은, 상기 산출된 평균 배열 에러값이 픽셀 위치값의 0과 0.5에 도달할 때마다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평균 배율 에러값은, x방향 평균 배율 에러값과 y방향 평균 배율 에러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배율 에러값 산출 과정은,
    아래의 수학식에 의거하여, x방향 배율 에러값(X_mag_error)과 y방향 배율 에러값(Y_mag_error)을 각각 산출하는 과정과,
    X_mag_error = (x_2 - x_1) - X_data_size
    Y_mag_error = (y_1 - y_3) - Y_data_size
    아래의 수학식에 의거하여, 각 픽셀당 x방향 미스얼라인 정도(△x)와 y방향 미스얼라인 정도(△y)를 산출하는 과정
    △x = X_mag_error / X_data_size
    △y = Y_mag_error / Y_data_size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방법.
    (상기한 수학식에서, X_data_size는 x방향의 실제 데이터 사이즈를, x1은 x방향의 시작점 픽셀 위치값을, x2는 x방향의 끝점 픽셀 위치값을, Y_data_size는 y방향의 실제 데이터 사이즈를, y1은 y방향의 시작점 픽셀 위치값을, y3은 y방향의 끝점 위치값을 각각 의미함)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각 픽셀의 미스얼라인 보상값들은, 기 설정된 다수의 기준 평균 배율 에러값들에 각각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테이블 수단에 저장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방법.
  15.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얼라인 마크는, 상기 테두리와 재생 데이터 이미지의 경계 영역의 소정 위치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방법.
  16.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얼라인 마크는, 상기 테두리 내의 소정 위치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방법.
  17.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얼라인 마크는, 4×4의 블록 사이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얼라인 마크는, 2×2의 온/오프 서브 블록이 교번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방법.
KR1020040047400A 2004-06-24 2004-06-24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 및 그 보상 방법 KR100589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400A KR100589581B1 (ko) 2004-06-24 2004-06-24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 및 그 보상 방법
US11/047,662 US7656564B2 (en) 2004-06-24 2005-02-02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pixel distortion in reproduction of hologram data
EP05002275.5A EP1610324B1 (en) 2004-06-24 2005-02-03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pixel distortion in reproduction of hologram data
JP2005031241A JP3995100B2 (ja) 2004-06-24 2005-02-08 ホログラムデータの再生時のピクセル歪みに対する補償装置及び補償方法
US14/060,429 USRE45496E1 (en) 2004-06-24 2013-10-22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pixel distortion in reproduction of hologram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400A KR100589581B1 (ko) 2004-06-24 2004-06-24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 및 그 보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321A KR20050122321A (ko) 2005-12-29
KR100589581B1 true KR100589581B1 (ko) 2006-06-14

Family

ID=37294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400A KR100589581B1 (ko) 2004-06-24 2004-06-24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 및 그 보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95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975B1 (ko) * 2006-04-25 2007-07-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광 정보 샘플링 방법, 광 정보 샘플링 장치 및 광 정보처리 방법
KR100738976B1 (ko) * 2006-04-25 2007-07-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광 정보 검출 방법, 광 정보 검출 장치 및 데이터페이지구조
KR100738980B1 (ko) * 2006-06-07 2007-07-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광 정보 기록 장치를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홀로그래픽 광 정보 재생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728819B1 (ko) * 2006-09-25 2007-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광정보 처리장치, 이를 이용한 광정보의 복호를 위한확률값 산출 방법과 광정보의 복호방법
KR100870967B1 (ko) * 2007-03-22 2008-12-01 (주)에이피앤텍 허상이 제거되는 디지털 홀로그램 기록재생장치 및기록재생방법
KR20210022228A (ko) 2019-08-19 2021-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홀로그램 표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2514A (ja) 1998-10-16 2000-04-28 Risou Kagaku Kenkyusho:Kk ホログラムパターン決定装置、その決定方法及び記録媒体
KR20030078089A (ko) * 2002-03-28 2003-10-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디지털 저장 및 재생 시스템과 데이터코딩/디코딩 방법
KR20030080487A (ko) * 2002-04-09 2003-10-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페이지 데이터의 위치 보정 방법
KR20030092473A (ko) * 2002-05-30 2003-12-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의 데이타 페이지자동 얼라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2514A (ja) 1998-10-16 2000-04-28 Risou Kagaku Kenkyusho:Kk ホログラムパターン決定装置、その決定方法及び記録媒体
KR20030078089A (ko) * 2002-03-28 2003-10-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디지털 저장 및 재생 시스템과 데이터코딩/디코딩 방법
KR20030080487A (ko) * 2002-04-09 2003-10-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페이지 데이터의 위치 보정 방법
KR20030092473A (ko) * 2002-05-30 2003-12-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홀로그래픽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의 데이타 페이지자동 얼라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321A (ko) 200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5100B2 (ja) ホログラムデータの再生時のピクセル歪みに対する補償装置及び補償方法
EP19810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data image reproduced from holographic system
CN100414621C (zh) 补偿全息图数据再现中的像素失真的装置及方法
CN100447869C (zh) 全息记录用二维调制方法和全息装置
JP4129263B2 (ja) Hddsシステムにおけるピクセル非マッチングイメージ補正方法
US6233083B1 (en) Light modulation apparatus and optic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773873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holographic data recovery
KR100589581B1 (ko) 홀로그램 데이터의 재생 픽셀 보상 장치 및 그 보상 방법
JP3841244B2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方法
JP4060815B2 (ja) ホログラフィック媒体から再生されたホログラフィックデータを処理する装置及び方法
KR100601283B1 (ko) 홀로그램 재생 시스템에서의 오우버 샘플링용 얼라인 마크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0600300B1 (ko)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시스템 및 이의 재생된이미지의 비매칭 측정 방법
KR100578206B1 (ko)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시스템의 비매칭 보정 장치
JP4812873B2 (ja) ホログラム再生像位置検出方法およびホログラム装置
KR100579627B1 (ko) 홀로그램 재생 시스템의 포커싱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578205B1 (ko)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시스템 및 이의 재생된이미지의 비매칭 보정 방법
KR100601256B1 (ko)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시스템의 재생 방법 및 재생 장치
KR100728817B1 (ko) 광 정보 검출 방법, 광 정보 검출기 및 광 정보 처리 방법
JP2008117440A (ja) デジタルイメージ位置調整装置及び方法、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2007250076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2012033212A (ja) ホログラム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