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8881B1 - 몰딩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몰딩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8881B1
KR100588881B1 KR1020040046605A KR20040046605A KR100588881B1 KR 100588881 B1 KR100588881 B1 KR 100588881B1 KR 1020040046605 A KR1020040046605 A KR 1020040046605A KR 20040046605 A KR20040046605 A KR 20040046605A KR 100588881 B1 KR100588881 B1 KR 100588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bracket
mounting structure
vehicle panel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1466A (ko
Inventor
배승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6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881B1/ko
Publication of KR20050121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9Floor, e.g. side sills, fir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몰딩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식을 방지하고 작업성이 뛰어나며 차체 패널과의 단차 조정이 가능한 몰딩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몰딩 마운팅 구조는, 브라켓과 몰딩을 포함하는 몰딩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차량 패널의 측면은 브라켓의 위치를 규정하는 다수의 홀을 구비하고, 몰딩 체결구는 브라켓과 체결되는 걸림부와 톱니부를 구비하며, 브라켓은, 차량 패널의 측면에 형성된 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한 보스부와 몰딩 체결구에 형성된 걸림부에 체결될 수 있는 형상의 상단 걸림턱을 구비하며 접착제가 부착되어 차량 패널 측면에 접촉, 밀착되는 측벽부; 및 차량 패널의 내상면과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며 일측면에 톱니 걸림턱이 형성되어 몰딩 체결구의 톱니부와 단계적인 체결이 가능한 수직부; 및 차량 패널의 내상면과 맞닿으며 측벽부와 수직부를 연결하는 바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림부와 톱니부를 구비한 몰딩 체결부는 몰딩과 별도로 제작되어 몰딩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몰딩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브라켓의 재질은 P.E.T.일 수 있고, 접착제는 열경화성 테잎일 수 있다.

Description

몰딩 마운팅 구조{MOLDING MOUNTING STRUCTURE}
도 1은 차량의 사시도;
도 2는 글라스와 패널 사이에 체결되는 종래의 몰딩의 사시도;
도 3은 패널에 설치된 종래의 리벳 체결 방식의 브라켓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패널에 설치된 종래의 양면 접착 테잎 방식의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양면 접착 테잎 방식의 브라켓을 이용한 몰딩 마운팅 구조 적용 차량에 있어서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의 몰딩 마운팅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a는 도 6의 브라켓 및 몰딩 체결구 부위의 b-b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7b는 도 6의 브라켓 및 몰딩 체결구 부위의 c-c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8a는 도 6의 브라켓을 적용한 몰딩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b-b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8b는 도 6의 브라켓을 적용한 몰딩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c-c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몰딩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몰딩과 브라켓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서의 몰딩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몰딩과 브라켓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패널 10: A 필라
2: 글라스 3, 3': 몰딩
30: 몰딩 체결구 4, 4', 4": 브라켓
본 발명은 브라켓을 P.E.T. 재질로 만들고, 브라켓과 차체 패널과 결합시 보스부, 바닥부 및 열경화성 테잎을 사용하며, 브라켓과 몰딩을 마운팅하는데 있어서 걸림턱 구조와 톱니 걸림턱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부식에 견디고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몰딩 장착시 차체 패널과의 단차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몰딩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방 및 후방 글라스와 패널 사이에는 침수를 방지하며 글라스를 지지하기 위한 몰딩이 마운팅된다. 그리고 몰딩을 마운팅하기 위해 패널에는 브라켓이 장착된다. 패널에 브라켓을 장착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브라켓이 몰딩을 마운팅하는 방법에도 여러가지가 있다.
이하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종래의 몰딩 마운팅 구조에 대해 살펴보고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도 1은 차량의 사시도이다. 패널(1)과 글라스(2) 사 이에는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몰딩이 마운팅된다. 도 2는 글라스(2)와 패널(1) 사이에 체결되는 종래의 몰딩(3')의 사시도이다. 이 몰딩(3')의 형상은 글라스(2)에서 루프 패널(1)까지 이어지는 일체형 디자인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몰딩(3')을 마운팅하기 위해 패널(1)에는 브라켓이 장착된다.
도 3은 패널(1)의 A 필라(10)에 설치된 종래의 리벳 체결 방식의 브라켓(4')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는 스틸 재질의 브라켓(4')을 A 필라(10)에 리벳(41') 결합하는 방식이다.
도 4는 패널(1)의 A 필라(10)에 설치된 종래의 양면 접착 테잎 방식의 브라켓(4")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는 A 필라(10)와 스틸 재질의 브라켓(4") 사이에 양면 접착 테잎(41"; 도 5 참조)을 사용하여 결합을 이루는 방식이다. 도 5는 도 4의 양면 접착 테잎 방식의 브라켓(4")을 이용한 몰딩 마운팅 구조 적용 차량에 있어서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글라스(2)의 윗 부분이 차량의 외부이고, 아랫 부분이 차량의 내부가 된다. 글라스(2)와 결합된 몰딩(3')과 A 필라(10)에 결합된 브라켓(4")은 암수 구조를 가지고 있거나 걸림턱 형상을 가지고 있어, 몰딩(3')을 마운팅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지니고 있다.
첫째, 브라켓(4', 4") 재질로 인한 부식의 문제이다. 상기 재질은 스틸(특히 냉간 압연 강판)을 사용하고 있는데, 차량의 전체적인 내구성 향상을 고려해 볼 때 차량 수명이 증가하고 있는 것을 감안한다면 브라켓(4', 4")의 재질 선택에 문제가 있다. 몰딩(3')이 브라켓(4', 4")을 감싸고 있지만 빗물이 침투하여 직접적인 접촉 이 빈번하고 리벳(41')에서 발생하는 부식이 브라켓(4')으로 확산 또는 전이되기 때문이다. 리벳(41')과 브라켓(4')에서 부식이 발생하여 체결력을 상실하게 되면 몰딩이 차체에서 떨어져 나가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양면 접착 테잎(41")의 경우 브라켓(4')과 차체 패널(1)의 체결력이 리벳 결합보다 약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접촉 면적을 필요로 하여 원가 상승 요인이 된다.
둘째, 걸림턱 구조의 문제이다. 암수 구조의 단순 걸림턱 형상은 차체 패널(1)의 조립에서 발생하는 공차와 브라켓(4', 4") 장착시 발생하는 공차를 흡수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종 몰딩(3') 장착시 차체 패널(1)과 몰딩(3') 사이에서 발생하는 단차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셋째, 작업상 난제이다. 리벳(41') 결합 작업은 작업자와 리벳 건의 방향이 서로 마주보고 있어 반대 방향인 상태가 되며, 리벳 홀이 작업자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있어 리벳 홀과 리벳(41')을 맞추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브라켓(4')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리벳 작업을 완료할 때까지 브라켓(4')을 잡고 있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양면 접착 테잎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패널(1)에 브라켓(4")의 체결 위치가 나타나 있지 않아 몰딩(3')의 장착성, 체결력, 그리고 패널(1)과의 단차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브라켓을 P.E.T. 재질로 만들어 부식을 방지하고, 브라켓과 차체 패널과 결합시 보스부 및 열경화성 테잎을 사용하여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브라켓과 몰딩을 마운팅하는데 있어서 걸림턱 구조와 톱니 걸림턱을 사용함으로써 몰딩 장착시 차체 패널과의 단차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몰딩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패널의 측면 및 내상(內上)면에 부착, 고정되며 몰딩 체결구를 마운팅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의해 마운팅되며 글라스를 부착하여 지지하는 몰딩을 포함하는 몰딩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량 패널의 측면은 브라켓의 위치를 규정하는 다수의 홀을 구비하고, 상기 몰딩 체결구는 브라켓과 체결되는 걸림부와 톱니부를 구비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차량 패널의 측면에 형성된 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한 보스부와 상기 몰딩 체결구에 형성된 걸림부에 체결될 수 있는 형상의 상단 걸림턱을 구비하며 접착제가 부착되어 차량 패널 측면에 접촉, 밀착되는 측벽부; 및 차량 패널의 내상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며 일측면에 톱니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몰딩 체결구의 톱니부와 단계적인 체결이 가능한 수직부; 및 차량 패널의 내상면과 맞닿으며 상기 측벽부와 수직부를 연결하는 바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와 톱니부를 구비한 몰딩 체결부는 몰딩과 별도로 제작되어 몰딩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걸림부와 톱니부를 구비한 몰딩 체결부는 몰딩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의 재질은 P.E.T.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열경화성 테잎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몰딩 마운팅 구조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의 몰딩 마운팅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차량 전방 글라스(2)에 설치된 몰딩(3)이 A 필라(10)에 어떻게 마운팅되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는 A 필라(10)와 브라켓(4)이 분리되어 있고 몰딩(3)과 몰딩 체결구(30)가 분리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몰딩 체결구(30)와 브라켓(4)은 결합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발명의 설명상 편의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실제로 본 발명은 먼저 A 필라(10)와 브라켓(4)이 결합되고 몰딩(3)에 몰딩 체결구(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4)과 몰딩 체결구(30)를 체결하는 방식이다.
도 7a는 도 6의 브라켓(4) 및 몰딩 체결구(30) 부위의 b-b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b는 브라켓(4) 및 몰딩 체결구(30) 부위의 도 6의 c-c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A 필라(10)는 측면(11)과 내상면(12)으로 구분되어 있고 측면(11)에는 브라켓(4)의 위치를 규정하기 위한 홀(101)이 형성되어 있다. 몰딩(3)의 하부에는 글라스(2)가 부착, 고정되며, 몰딩 체결구(30)가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들어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몰딩(3)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부(33)가, 몰딩 체결구(30)의 상부 형상과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브라켓(4)은 중앙 부위에 A 필라(10)의 측면(11)과 접촉, 부착되는 측벽부(41)를 구비하고, 측벽부(41)의 양측에 A 필라(10)와 체결시 A 필라(10)의 내상(內上)면(12)에서 대략 수직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하며 몰딩 체결구(30)와 체결되는 수직부(4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41)와 수직부(42)의 하부에는 측벽부(41)와 수직부(42)를 연결시키며 A 필라(10)에 브라켓(4) 결합시 A 필라(10)의 내상면(12)에 밀착되는 바닥부(43)를 구비한다. 상기 측벽부(41), 수직부(42) 및 바닥부(43)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질은 부식 방지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하기할 열경화성 테잎의 경화조건인 140℃에서도 견딜 수 있는 P.E.T.인 것이 좋다.
도 6,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브라켓(4)의 측벽부(41)에는 A 필라(10) 측면(11)의 상기 홀(101)에 대응하는 형상의 보스부(411)가 측면(11)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고, 측면(11)에 접촉되는 보스부(411)의 주변 측벽부에는 접착제(412)가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착제(412)가 열경화성 테잎으로 되어 있다. 열경화성 테잎은 양면 접착 테잎보다 전단력 측면에서 14배 이상의 접착력을 가진다. 한편 측벽부(41)의 상부에는 몰딩 체결구(30)에 걸릴 수 있는 상단 걸림턱(413)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브라켓(4)의 수직부(42) 일측면에는 톱니 형상의 톱니 걸림턱(4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하기할 몰딩 체결구(30)의 톱니부(32)와 체결되는 부위이다. 상기한 톱니 형상은 체결을 단계적으로 가능하게 하여 몰딩(3) 장착시 차체 패널(1)과의 단차를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서 몰딩(3)의 들뜸 발생 및 과도한 단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몰딩 체결구(30)에는, 상기 브라켓(4)에 결합되었을 때 측벽부(41)의 상단 걸림턱(413)과 걸림 구조를 이루는 걸림부(31)가 상기 브라켓의 측벽부(41)와 결합되는 위치에 맞추어 몰딩 체결구(3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걸림부(31)와 상단 걸림턱(413)의 체결은 몰딩의 차량 좌우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그리고 도 6,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몰딩 체결구(30)의 양측으로서 상기 브라켓(4)의 양측에 구비된 수직부(42)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브라켓(4)의 수직부(42) 양측을 감싸는 '∩'형상을 하며 톱니 걸림턱(421)에 대응하는 톱니 형상이 구비된 톱니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톱니부(32)와 톱니 걸림턱(421)은 몰딩의 차량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며 브라켓(4)과 몰딩 체결구(30)간 체결력을 제공한다.
도 8a는 도 6의 브라켓(4)을 적용한 몰딩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b-b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6의 브라켓(4)을 적용한 몰딩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c-c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몰딩(3)은 글라스(2)를 부착, 고정하고, 수용부(33)를 통하여 몰딩 체결구(30)의 상부를 억지 끼움 방식으로 수용하고 있다.
도 8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브라켓(4)은 측벽부(41)에 형성된 보스부(411)가 A 필라(10)의 홈(101)에 끼워진 채 패널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보스부(411)는 브라켓(4)을 패널에 장착하였을 때 브라켓(4)의 차량 전후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상기 보스부(411) 주변에는, 열경화성 테잎인 접착제(412)가 측벽부(42)에 부착된 채로 작업자에 의해 A 필라(10)의 측면(11)에 부착된다. 상기 열경화성 테잎은 140℃의 고온에서 녹으면서 경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열경화성 테잎과 차체 패널 사이에는 어떤 공간도 발생하지 않고 수밀 문제가 해결된다.
브라켓(4)의 바닥부(43)는 전체적으로 A 필라(10)의 내상면(12)에 밀착된다(도 8a 및 도 8b 참조). 이는 브라켓(4)이 상기 보스부(41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보스부(411)와 바닥부(43)에 의해 브라켓(4)의 위치 규제가 정확히 이루어져 몰딩(3) 장착시 발생할 수 있는 조립성 불량 및 단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몰딩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몰딩과 브라켓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서의 몰딩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몰딩과 브라켓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에는 패널(1) 및 글라스(2)는 생략되었다. 몰딩(3)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몰딩 체결구(30)가 위치 고정되어 있으며(미도시), 그 위치에 맞추어 형성된 패널(1)의 홀(101)(미도시)에 고정된 브라켓(4)이 상기 몰딩 체결구(30)와 체결되어 몰딩의 마운팅이 이루어진다.
도 9b에서는 특히 차량의 리어 글라스를 C 필라에 마운팅할 때 바람직하게 쓰일 수 있는 구조인데, 리어 글라스 사이드 몰딩(3R)에 몰딩 체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이다. 즉, 몰딩(3R) 자체에 톱니부와 걸림부가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몰딩(3R)에 브라켓(4R)이 체결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하였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4R)은 측벽부(41R) 및 그 위에 돌출 설치된 보스부(411R)와 접착제(412R), 그 리고 수직부(42R)와 그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 걸림턱(421R), 그리고 C 필라의 상면부에 접촉하는 바닥부(43R)를 구비하고 있다. 몰딩 체결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몰딩과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고, 따로 제작한 후 억지 끼워 맞춤을 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몰딩 마운팅 구조는 플라스틱 재질과 열경화성 테잎 구성 및 브라켓의 보스부와 바닥부 구조에 의해 부식을 방지하고 브라켓의 위치를 규정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어 공구나 지그(jig)가 필요없도록 한다. 또한 상부 걸림턱 및 톱니 걸림턱 구조에 의해 단차를 수정할 수 있고 몰딩의 체결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1. 차량 패널의 측면 및 내상(內上)면에 부착, 고정되며 몰딩 체결구를 마운팅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의해 마운팅되며 글라스를 부착하여 지지하는 몰딩을 포함하는 몰딩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량 패널의 측면은 브라켓의 위치를 규정하는 다수의 홀을 구비하고,
    상기 몰딩 체결구는 브라켓과 체결되는 걸림부와 톱니부를 구비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차량 패널의 측면에 형성된 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한 보스부와 상기 몰딩 체결구에 형성된 걸림부에 체결될 수 있는 형상의 상단 걸림턱을 구비하며 접착제가 부착되어 차량 패널 측면에 접촉, 밀착되는 측벽부; 및 차량 패널의 내상면과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며 일측면에 톱니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몰딩 체결구의 톱니부와 단계적인 체결이 가능한 수직부; 및 차량 패널의 내상면과 맞닿으며 상기 측벽부와 수직부를 연결하는 바닥부;를 구비하고,
    상기 톱니부는 브라켓의 수직부 양측을 감싸는 '∩'형상을 하며 내일측면에 톱니 걸림턱에 대응하는 톱니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마운팅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와 톱니부를 구비한 몰딩 체결부는 몰딩과 별도로 제작되어 몰딩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마운팅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와 톱니부를 구비한 몰딩 체결부는 몰딩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마운팅 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재질은 P.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마운팅 구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열경화성 테잎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마운팅 구조.
KR1020040046605A 2004-06-22 2004-06-22 몰딩 마운팅 구조 KR100588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605A KR100588881B1 (ko) 2004-06-22 2004-06-22 몰딩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605A KR100588881B1 (ko) 2004-06-22 2004-06-22 몰딩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466A KR20050121466A (ko) 2005-12-27
KR100588881B1 true KR100588881B1 (ko) 2006-06-12

Family

ID=37293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605A KR100588881B1 (ko) 2004-06-22 2004-06-22 몰딩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88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207948U (zh) * 2017-09-25 2018-04-10 延锋彼欧(上海)汽车外饰系统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支架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466A (ko) 2005-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58345B (zh) 保险杠固定用具及保险杠的安装结构
US8029049B2 (en) Fender panel structure
EP1995097B1 (en) Fixing clip for interior part of vehicle
JP5846159B2 (ja) ウインドウガラスの支持構造
US20110296764A1 (en) Trim attachment structure
CN1751914B (zh) 车辆的前部结构
US9248779B2 (en) Mounting structure for automotive room lamp
KR100588881B1 (ko) 몰딩 마운팅 구조
JP5307526B2 (ja) ガラスランの取付構造
US20090165393A1 (en) Automotive Vehicle Door
JP3749003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100787889B1 (ko) 자동차 내장트림의 연결장치
JP2006192975A (ja) カバー部材のフロントフェンダー取付部構造
JP2006264551A (ja) ガラス用の仮止め装置
JP4848180B2 (ja) ガラスランのストッパ構造
JP4350971B2 (ja) 外装材取付具及び外装材取付構造
JP3681552B2 (ja) 後部排水溝部材の取付構造
JP2808607B2 (ja) 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KR100643598B1 (ko) 차량의 범퍼커버 조립구조
KR100278105B1 (ko) 자동차의도어글래스런장착구조
KR100379013B1 (ko) 자동차 선 루프용 헤드 라이닝 장착구조
JP2002205566A (ja) シフトレバーブーツ
KR100646457B1 (ko) 차량의 윈드 실드 글래스 몰딩 장착 구조
KR100820208B1 (ko) 차량용 글래스 몰딩 체결 어셈블리
JP2004306922A (ja) オーバーフェンダ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