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7517B1 -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 Google Patents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7517B1
KR100587517B1 KR1020037009190A KR20037009190A KR100587517B1 KR 100587517 B1 KR100587517 B1 KR 100587517B1 KR 1020037009190 A KR1020037009190 A KR 1020037009190A KR 20037009190 A KR20037009190 A KR 20037009190A KR 100587517 B1 KR100587517 B1 KR 100587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stream
encoding
digital signal
information
sound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9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9318A (ko
Inventor
미야사카슈지
이시카와도모카즈
사와다요시아키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16123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8751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9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8Vocoders using multiple mod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8Vocoders using multiple modes
    • G10L19/24Variable rate codecs, e.g. for generating different qualities using a scalable representation such as hierarchical encoding or layered en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z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복호화 장치(30a)는 광대역 비트스트림(S0)에 포함된 협대역 비트스트림으로부터 PCM 신호(P1)를 재생하는 협대역 복호화 수단(31), 협대역 복호화 수단(31)에 의해 재생된 PCM 신호(P1)의 주파수대역보다 넓은 주파수대역을 갖는 PCM 신호(P2)를 협대역 비트스트림 및 대역확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재생하는 광대역 복호화 수단(32), 협대역 복호화 수단(31)에 의해 재생된 PCM 신호(P1) 또는 광대역 복호화 수단(32)에 의해 재생된 PCM 신호(P2)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사운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수단(34)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AUDIO CODING AND DECODING}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및 복호화 처리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복호화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부호화 데이터의 포맷을 생성하는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 그리고 이 장치들을 활용하는 시스템에 관련된다.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음악에 대한 대중적인 요구에 의해서, 최근에, 낮은 비트율로 음성 및 음악 등의 오디오 신호에 대한 압축 부호화를 수행하고, 이 신호를 재생할 때 압축해제 복호화를 수행하는 다양한 기술이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기술의 대표적인 예는 MPEG AAC 시스템(이후, "AAC"로 한다)(M. Bosi 외: "IS 13818-7 (MPEG-2 Advanced Audio Coding, AAC)," 1997년 4월 참고)
도 1은 AAC 시스템에서 부호화되는 주파수대역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그러나, 압축률이 증가하면 재생대역의 상한 주파수가 낮아지기 때문에, 고주파는 재생될 수 없다. 압축률이 증가함에 따라 고주파대역을 부호화하기 위한 충분한 수의 비트가 할당될 수 없기 때문에 재생대역의 상한이 낮아진다.
이러한 배경에 대해, 최근에 이 고역신호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서, MPEG 버전 3의 규격화 노력의 일부로서 의사(pseudo) 광대역 표준과 같은 기술발전이 최근에 이루어졌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술한 기술은 협대역의 대역정보, 즉 저주파수의 정보를 이용하여 고주파의 신호의 부족을 보충하고, 고주파 정보를 유추하려는 것이다. 의사 광대역이 생성되는 이러한 기술의 사용에 의해 배터리로 동작하는 이동전화 등의 장치에서 고품질의 음악을 듣고 뉴스를 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고품질의 사운드를 계속 제공하는 것은 많은 경우에 무의미하게 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예를 들어 뉴스를 듣는 경우에, 의사 광대역이 생성되는 사운드를 재생하기를 요구하는 사용자는 거의 없을 것이고, 복호화 장치가 의사 광대역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비실용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는 복호화 장치를 탑재한 이동전화 및 다른 장치의 배터리 전력을 낭비하게 되고, 의사 광대역 처리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없는 경우에도 이러한 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항상 고품질의 사운드를 들어야 하는 낭비를 제거할 수 있는 복호화 장치를 제공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협대역 사운드의 디지털 신호(이하 "PCM 신호"라고도 한다)가 재생되는 경우에 소량의 배터리 에너지를 사용하는 복호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상기 제1 및 제2 목적의 달성을 용이하게 하는 부호화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복호화 장치는 부호화된 사운드 디지털신호인 제1 비트스트림 및 사운드 디지털신호의 재생대역을 확대하는 데 이용되는 부호화된 대역확대정보인 제2 비트스트림으로 구성된 부호화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장치로서, 복호화 장치는, 제1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제1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재생하는 제1 재생수단; 제1 비트스트림 및 제2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제1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되는 제1 사운드 디지털신호의 주파수대역보다 보다 넓은 주파수대역을 갖는 제2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재생하는 제2 재생수단; 및 제1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제1 사운드 디지털신호 또는 제2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제2 사운드 디지털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선택수단은, 제2 재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광대역에서의 제2 사운드 디지털신호와 제1 재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협대역에서의 제1 사운드 디지털신호 사이에서 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재생하는 것을 매우 용이하게 한다.
이 경우에, 복호화 장치는, 선택수단에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 중 하나를 특정하는 모드정보를 통지하는 모드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선택수단은, 모드설정 수단에 의해 통지된 모드정보가 제1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에 제1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제1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모드설정 수단에 의해 통지된 모드정보가 제2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에 제2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제2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특정된) 모드, 신호 타입에 따라 결정된 모 드, 및 장치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 모드에 따라서, 협대역에서의 제1 사운드 디지털신호와 광대역에서의 제2 사운드 디지털신호 사이에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재생수단은, 부호화 신호로부터 제1 비트스트림을 분리하는 제1 분리수단; 제1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제1 비트스트림을 중간신호로 변환하는 제1 변환수단; 및 제1 변환수단에서의 변환의 결과로서 획득된 중간신호를 제1 사운드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제2 변환수단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재생수단은, 부호화 신호로부터 제2 비트스트림을 분리하는 제2 분리수단을 갖고, 제2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제2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대역확대정보를 이용하며, 제1 변환 수단에서 변환된 결과로서 획득된 중간신호를 이용하여 제2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재생하며, 중간신호는, 주파수 스펙트럼을 지시하는 정보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재생수단은, 대역확대정보에 따라 제1 변환수단에 의해 획득된 주파수 스펙트럼 정보로부터 주파수 스펙트럼보다 더 넓은 주파수 스펙트럼을 생성하는 광대역 스펙트럼 생성수단; 및 생성된 주파수 스펙트럼 및 제1 변환수단에 의해 획득된 주파수 스펙트럼으로부터 광대역에서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생성하는 광대역 사운드 디지털신호 생성수단을 더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복호화 장치는, 선택수단에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 중 하나를 특정하는 모드정보를 통지하는 모드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선택수단은, 모드설정 수단에 의해 통지된 모드정보가 제1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에 제1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모드설정 수단에 의해 통지된 모드정보가 제2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에 제2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모드정보에 따라 선택을 하고 중간신호를 이용함으로써 광대역의 효과적인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복호화 장치는, 모드설정 수단은, 제2 재생수단에 모드정보를 더 통지하고, 제2 재생수단은, 모드설정 수단에 의해 통지된 모드정보가 제1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에 제2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제2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정지하며, 모드설정 수단은, 제2 재생수단에 모드정보를 더 통지하고, 제2 재생수단은, 적어도, 광대역 스펙트럼 생성수단이 주파수 스펙트럼의 생성을 정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광대역 사운드 디지털신호 생성수단이 제2 사운드 디지털신호의 생성을 정지하도록 하는 복호화 장치이다.
따라서, 제2 사운드디지털 신호가 재생되지 않는 경우에 효과적인 방식으로 불필요하게 수행되는 처리를 정지할 수 있고, 이로써 처리량이 감소하고 전력소비도 더 감소한다.
또한, 제1 비트스트림 및 제2 비트스트림은 특정 프레임마다 선택적으로 멀티플렉싱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재생수단은, 부호화 신호로부터 제2 비트스트림을 분리하는 제2 분리수단을 가지며, 대역확대정보의 부호량은 프레임마다 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부호의 크기를 지시하는 크기정보는 제2 비트스트림으로 멀티플렉싱되며, 제2 분리수단은, 제2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크기정보에 따라 부호화 신호로부터 제2 비트스트림을 분리하고, 크기정보는 제2 비트스트림의 최상위(top) 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분리수단은, 제2 비트스트림의 최상위에 포함된 크기정보에 따라 대역확대정보에 대한 부호의 크기를 특정하고, 특정된 크기에 기초하여 부호화 신호로부터 제2 비트스트림을 분리하며, 크기정보는, 대역확대정보에 대한 부호의 크기를 지시하는 N 비트 또는 (N+M) 비트이고, 제2 분리수단은, 제2 비트스트림의 최상위에 포함된 N 또는 (N+M) 비트에 따라 대역확대정보에 대한 부호의 크기를 특정하고, 특정된 크기에 따라 부호화 신호로부터 제2 비트스트림을 분리하며, (N+M) 비트의 N 비트는, N 비트가 나타낼 수 있는 최대값을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M 비트는, 대역확대정보의 부호량 중에서 최대값에 의해 지시되는 크기를 초과하는 부호의 크기를 지시한다.
따라서, 소량 비트수의 크기정보에 따라 광대역 및 협대역의 효과적인 재생이 가능해지는 한편, 고주파신호가 재생되지 않는 경우에 단지 크기정보만을 참조함으로써, 대역확대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는 것에 의한 재생 및 광대역 복호화 처리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이로써 전력소비와 처리량이 상당히 감소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호화 장치는,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부호화하는 부호화 장치로서, 입력된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부호화하는 제1 부호화 수단; 입력된 사운드 디지털신호로부터 제1 부호화 수단에 의해 부호화되는 신호의 재생대역을 확대하는 데 이용되는 대역확대정보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제2 부호화 수단; 제2 부호화 수단에 의해 획득된 부호화 신호의 크기를 연산하는 크기연산수단; 크기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 및 제2 부호화 수단에 의해 획득된 부호화 신호를 멀티플렉싱하는 제1 멀티플렉싱 수단; 및 제1 부호화 수단에 의해 획득 된 제1 비트스트림 및 제1 멀티플렉싱 수단에 의해 획득된 제2 비트스트림을 멀티플렉싱하는 제2 멀티플렉싱 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복호화 장치에서 광대역 사운드 디지털신호 및 협대역 사운드 디지털신호 사이의 선택을 매우 용이하게 하고, 협대역에서의 PCM 신호 재생시에 불필요하게 수행되는 처리를 매우 용이하게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2 멀티플렉싱 수단은, 제1 비트스트림 및 제2 비트스트림을 특정한 프레임마다 선택적으로 멀티플렉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1 멀티플렉싱 수단은,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 및 부호화 신호를,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가 제2 비트스트림의 최상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멀티플렉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는, 대역확대정보에 대한 부호의 크기를 지시하는 N 비트 또는 (N+M) 비트이도록 구성될 수 있고, 크기연산수단은, 대역확대정보에 대한 부호의 크기가 N 비트에 의해 나타나는 최대값보다 작은지 여부에 따라, N 비트 또는 (N+M) 비트 중 어느 것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며, (N+M) 비트의 N 비트는, N 비트가 나타낼 수 있는 최대값을 지시하고, M 비트는, 대역확대정보의 부호량 중에서 최대값에 의해 지시되는 크기를 초과하는 부호의 크기를 지시한다.
따라서, 소수 비트의 크기정보에 따라 광대역 및 협대역의 효과적인 재생이 복호화 장치에서 실현될 수 있는 한편, 고주파신호가 재생되지 않는 경우에 단지 크기정보만을 참조함으로써 대역확대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는 것에 의한 재생 및 광대역을 복호화하는 처리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이로써 전력소비와 처리량이 상당히 감소하는 데 기여한다.
이상의 효과는 이동전화와 같은 배터리로 동작하는 장치에서 특히 최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본 발명은 특히 편리하다. 또한, 이러한 대역확대 기술이 적용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전력소비, 청취자의 취향 등등을 고려하여, 대역확대가 수행된 제2 사운드 디지털신호와 대역확대가 수행되지 않은 제1 사운드 디지털신호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은, 전력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어 뉴스등의 음성방송을 수신하는 경우에 대역확대가 수행되지 않은 제1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발명자들을 완전히 만족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로 구성된 통신시스템으로서, 부호화 장치, 복호화 장치 및 통신시스템을 단계로서 구성하는 특징적인 수단을 갖는 부호화 방법/복호화 방법/통신방법으로서, CPU가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를 구성하는 특징적인 수단 및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부호화 프로그램/복호화 프로그램으로서, 그리고 복호화되는 신호가 저장되고, 부호화된 제1 사운드 디지털신호인 제1 비트스트림 및 제2 사운드 디지털신호의 재생대역 확대에 사용되는 부호화된 대역확대정보인 제2 비트스트림이 프레임마다 멀티플렉싱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로서 실현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본 목적들과 다른 목적, 이점, 및 특징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첨부된 도면과 결합되어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도면에서는:
도 1은 AAC 규격에 따라 부호화된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대역확대처리를 통해 확대된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의 기능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난 부호화 장치의 각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계 S13에서 연산된 부호량이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으로 멀티플렉싱되는 경우에 수행되는 처리의 세부사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5에 나타난 처리를 통해 생성된 비트스트림의 길이정보(L)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본 도면은 길이정보(L)가 단지 N 비트필드(size_of_ext)로만 구성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6B는 도 5에 나타난 처리를 통해 생성된 비트스트림의 길이정보(L)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본 도면은 길이정보(L)가 N 비트필드(size_of_ext)와 추가적인 M 비트필드(size_of_esc)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7은 부호화 장치(10)로부터 출력되는 비트스트림의 포맷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의 기능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협대역 사운드를 재생하는 경우에 주파수대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광대역 사운드를 재생하는 경우에 주파수대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의 기능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의 기능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협대역 사운드를 재생하는 경우에, 길이정보에 기초하여 분리대역 확대정보를 생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길이정보 획득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복호화처리의 세부사항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모드결정처리의 세부사항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컨텐츠 공급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이동전화의 외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이동전화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호화 장치, 복호화 장치 및 이 장치들을 이용하는 시스템의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제공된다.
(제1 실시예)
우선, 제1 및 제2 목적의 달성을 용이하게 하는 복호화 장치에 대한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설명을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속 단락에서 설명된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10)의 기능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 다.
부호화 장치(10)는 협대역 부호화 수단(11), 대역확대 부호화 수단(12), 부호량 연산수단(13), 부호량 멀티플렉싱 수단(14), 및 스트림 멀티플렉싱 수단(15)을 구비한다.
협대역 부호화 수단(11)은 입력된 PCM 신호를 프레임마다(AAC 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열에서 1024 샘플) 부호화하고, 저주파에서 협대역 비트스트림(S1)을 생성한다.
입력된 PCM 신호에 따라서, 대역확대 부호화 수단(12)은 재생되는 신호의 재생대역을 확대하는 데 사용되는 대역확대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확대정보를 프레임마다 부호화하여, 고주파에서 대역확대 정보 비트스트림(S21)을 생성한다.
부호량 연산수단(13)은, 프레임마다 대역확대 부호화 수단(12)으로부터 출력되는 대역확대 정보 비트스트림(S21)의 부호량(크기)(L)을 연산한다.
부호량 멀티플렉싱 수단(14)은, 부호량(L)에 따라 결정되는 신호 및 대역확대 부호화 수단(12)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멀티플렉싱하고, 고주파에서의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L+S21))을 생성한다.
스트림 멀티플렉싱 수단(15)은 협대역 부호화 수단(11)으로부터 출력된 협대역 비트스트림(S1)과 부호량 멀티플렉싱 수단(14)으로부터 출력된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을 프레임마다 멀티플렉싱하여, 광대역 비트스트림(S0)을 생성한다.
부호화 장치(10)와 같은 부호화 장치를 구성하는 각 수단은, CPU,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작업공간을 제공하고 입력된 PCM 신호등의 사운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에 의해 실현된다.
도 4에 나타난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을 갖는 부호화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협대역 부호화 수단(11)은 프레임마다 입력된 PCM 신호를 부호화하여 협대역 비트스트림(S1)을 생성한다(S11).
여기의 협대역 비트스트림(S1)은 MPEG AAC 시스템에서의 비트스트림 같은 것이다. 즉, 여기에서 부호화되는 신호의 주파수대역은, 예를 들어, 도 1에서 실선(α)으로 둘러싸인 부분으로 나타낼 수 있다(ISO/IEC 13818-7: 1997.).
다음으로, 대역확대 부호화 수단(12)은, 프레임마다 재생되는 신호의 재생대역을 확대하는 데 사용되는 대역확대 정보를 부호화한다(S12). 단지 도 1의 실선(α)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주파수를 재생하는 것만으로는 고주파대역에서의 신호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족을 보충하는 정보의 추출 및 부호화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도 1의 실선으로 둘러싸인 주파수대역의 신호에 따라 고주파대역에서의 정보가 예측되어,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족을 보충한다. 이 정보는 도 2의 점선(β)으로 둘러싸인 부분으로써 나타난다.
다음으로, 부호량 연산수단(13)은, 대역확대 부호화 수단(12)으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당 부호량(크기)(L)을 바이트 단위로 연산한다(S13).
도 5는, 도 4의 단계 S13에서 연산된 부호량이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으로 멀티플렉싱되는 경우에 수행되는 처리의 세부사항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나타난 처리에서 생성된 길이정보(L)의 구성 예를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길이정보(L)가 단지 N 비트필드(size_of_ext)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지만, 도 6B는 길이정보(L)가 상기 N 비트필드(size_of_ext) 및 추가 M 비트필드(size_of_esc)로 구성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2가지 경우가 제공되는 이유는, 대역확대정보의 부호량이 매 프레임을 기초로 하는 변수이기 때문에, 길이정보(부호량)(L)를 N 비트필드 (size_of_ext)만으로는 나타낼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따라서 추가 M 비트필드(size_of_esc)가 필요해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N이 4비트인 경우에, 부호량(L)이 14 바이트 이하라면 14(0x1110)는 이 4 비트필드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이 경우에, N 비트필드 (size_of_ext)가 ((1<<N)-1), 즉 "0x1111"이 아니기 때문에, 추가 비트필드 (size_of_esc)는 없다. 반면에, 부호량(L)이 15 바이트 이상인 경우에는, 부호량(L)이 15 바이트 이상이라는 것은 최대값 15(0x1111)를 4 비트필드를 이용하여 표시하고, 15를 넘는 부분은 추가 M 비트필드(size_of_esc)를 이용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부호량(L)이 20 바이트라면, N 비트필드(size_of_ext)는 "0x1111"이고, 추가 M 비트필드(size_of_esc)는 M이 8비트인 경우에 "0x00000101"이다.
N과 M 양쪽 모두 8 비트이고 크기정보의 값이 128 바이트인 경우에, N 비트필드(size_of_ext)는 b`10000000이고, size_of_ext가 ((1<<N)-1), 즉, b`11111111이 아니기 때문에 추가 비트필드(size_of_esc)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예를 들어, 크기정보의 값이 257 바이트인 경우에는, N 비트필드(size_of_ext)는 b`11111111 이고 size_of_esc의 값은 b`00000010이다.
상기 접근법에 따르면, 크기정보의 값이 255 바이트보다 작은 경우에는, 8비트 만으로 표시되고, 값이 255 바이트 이상인 경우에는, (255+r)은 추가 8비트로 표시한다.
다음으로, 부호량 멀티플렉싱 수단(14)은, 부호량(L)에 따라 결정된 신호 및 대역확대 부호화 수단(12)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멀티플렉싱하여,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을 생성한다(S14).
최종적으로, 스트림 멀티플렉싱 수단(15)은 협대역 부호화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협대역 비트스트림 및 부호량 멀티플렉싱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대역확대 비트스트림을 프레임마다 멀티플렉싱한다(S15).
따라서, 부호화 신호(광대역 비트스트림 S0)는,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나듯이 프레임마다 협대역 비트스트림(S1)과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을 멀티플렉싱하여 형성된다.
이 부호화 신호는 블록구성을 갖는다. 각 멀티플렉싱 처리에 대한 협대역 비트스트림(S1) 또는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의 데이터는 각 블록에 기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멀티플렉싱 처리에 대한 데이터가 1 프레임의 오디오 데이터로 설명되지만, 특정 수의 프레임(예를 들어, 2 프레임, 3 프레임 등)도 가능하다.
협대역 비트스트림의 프레임 데이터가 기억된 블록의 다음 블록에는, 대응하는 대역확대 비트스트림의 프레임 데이터가 기억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나듯이, 부호량 연산수단(13)에서 연산된 길이정보(L)는,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 내의 가는 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기억된다(예를 들어, 헤더 부분).
이 길이정보(L)는 대역확대 비트스트림의 데이터가 기억된 블록의 끝을 판단하기 위해 복호화 장치에 의해서 사용되는 정보이다. 그러나, 복호화 장치가 블록의 끝을 판단할 수 있는 한, 판단에 사용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시작점이 광대역 비트스트림의 최상위인 블록의 끝을 지시하는 위치정보일 수 있다. 또한, 다음 블록의 최상위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가 이를 대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길이정보(L)는 대역확대 비트스트림의 일부로서 기억되지만, 다른 스트림으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을 배제하고 협대역 비트스트림(S1)만을 복호화하는 것 뿐만 아니라 협대역 비트스트림(S1) 및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을 함께 복호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마다 입력된 PCM 신호를 부호화하는 협대역 부호화 수단(11), 프레임마다 재생되는 신호의 재생대역을 확대하는 데 사용되는 대역확대정보를 부호화하는 대역확대 부호화 수단(12), 대역확대 부호화 수단(12)으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당 부호량(길이정보 L)을 연산하는 부호량 연산수단(13), 부호량(길이정보 L)에 따라 결정된 신호 및 대역확대 부호화 수단(12)의 출력신호(대역확대정보 S21)를 멀티플렉싱하는 부호량 멀티플렉싱 수단(14), 및 프레임마다 협대역 부호화 수단(11)으로부터 출력되는 협대역 비트스트림(S1) 및 부호량 멀티플렉싱 수단(14)으로부터 출력되는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을 멀티플렉싱하는 스트림 멀 티플렉싱 수단(15)을 구비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10)에 있어서, 부호화 신호는 대역확대 비트스트림에 상술한 길이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뒤에 설명하는 복호화 장치에서, 프레임마다 협대역 비트스트림(S1)을 처리한 후에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을 생략하고, 다음 프레임의 협대역 비트스트림(S1)에 대한 처리를 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는, 광대역 신호를 듣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 모드에서 수행되는 복호화 처리의 양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30a)의 기능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복호화 장치(30a)는, 부호화 장치(10)로부터 출력된 광대역 비트스트림(S0)으로부터 협대역 비트스트림(S1)만을 분리하여 복호화하는 협대역 복호화 수단(31),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만을 분리하여 복호화하는 광대역 복호화 수단(32), 협대역 복호화 수단(31)에 의해 복호화된 협대역에서의 PCM 신호(협대역 PCM 신호) 또는 광대역 복호화 수단(32)에 의해 복호화된 광대역에서의 PCM 신호(광대역 PCM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대역확대량에 의해 협대역으로 확대하는 선택수단(34), 및 선택수단(34)에 의해 선택되는 신호 선택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 수단(33a)을 구비한다.
협대역 복호화 수단(31)은 협대역 비트스트림 분리수단(311), 제1 협대역 변 환수단(312), 및 제2 협대역 변환수단(313)을 구비한다.
광대역 복호화 수단(32)은 대역확대 비트스트림 분리수단(321), 제1 광대역 변환수단(322), 및 제2 광대역 변환수단(323)을 구비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부호화 신호(광대역 비트스트림(S0))는, 부호화 PCM 신호인 협대역 비트스트림(S1) 및 이 협대역 비트스트림(S1)의 재생대역을 고주파로 확대하는 부호화된 대역확대정보인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을 프레임마다 멀티플렉싱한 결과이다.
협대역 복호화 수단(31)의 협대역 비트스트림 분리수단(311)은 입력된 부호화 신호(광대역 비트스트림(S0))로부터 협대역 비트스트림(S1)만을 분리한다.
제1 협대역 변환수단(312)은 협대역 비트스트림(S1)을 중간신호(M1)로 변환한다.
제2 협대역 변환수단(313)은 중간신호(M1)를 PCM 신호 1로 변환한다.
광대역 복호화 수단(32)의 대역확대 비트스트림 분리수단(321)은 입력된 부호화 신호(광대역 비트스트림(S0))로부터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만을 분리한다.
제1 광대역 변환수단(322)은, 대역확대 비트스트림 분리수단(321)의 출력 및 제1 협대역 변환수단(312)으로부터 출력된 중간신호(M1)를 이용하여 이들을 중간신호(M2)로 변환한다.
제2 광대역 변환수단(323)은 중간신호(M2)를 PCM 신호 2로 변환한다.
모드설정 수단(33a)은 적어도 온/오프의 2개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선택수단(34)은, 모드가 온으로 설정된 경우에 PCM 신호 1을 출력하고, 모드 가 오프로 설정된 경우에 PCM 신호 2를 출력한다.
부호화 장치(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복호화 장치(30a)와 같은 복호화 장치를 구성하는 각 수단은, CPU,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작업공간을 제공하고 입력된 부호화 신호 등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에 의해 실현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복호화 장치(30a)의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우선, 협대역 복호화 수단(31)의 협대역 비트스트림 분리수단(311)은 입력된 부호화 신호(광대역 비트스트림(S0))를 획득하여 그로부터 협대역 비트스트림(S1)만을 분리한다. 이 때, 협대역 비트스트림(S1)은 MPEG AAC 시스템의 비트스트림 같은 것이다. 이 경우에, 입력된 부호화 신호로부터 비트스트림을 분리하는 수단으로서, MPEG AAC 시스템에 규정된 문법규칙을 준수(ISO/IEC 13818-7: 1997)하는 공지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광대역 복호화 수단(32)의 대역확대 비트스트림 분리수단(321)은 입력된 부호화 신호인 광대역 비트스트림(S0)을 획득하여, 그로부터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만을 분리한다. 이 단계에서, 협대역 비트스트림(S1)(대역확대정보 S21)을 재생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재생대역을 확대하기 위한 정보는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대역확대정보(S21)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협대역 비트스트림(S1)으로부터 생성된 주파수 스펙트럼의 일부를 고주파대역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같은 처리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이다.
다음으로, 제1 협대역 변환수단(312)은 협대역 비트스트림(S1)을 중간신호(M1)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이 중간신호는 재생되는 PCM 신호의 이전 형태인 주파수 스펙트럼 신호일 수 있다. 도 9에 일례가 제공되고, 여기에서 실선(α)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제1 협대역 변환수단(312)에서 생성된 주파수 스펙트럼 신호의 주파수대역을 표시한다. 또는, 이 중간신호(M1)는 시간영역 신호일 수 있고, 이는 재생되는 PCM 신호의 이전 형태이다. 예를 들어, 재생되는 PCM 신호가 16비트 정수에 의해 표시되는 신호라면, 이 중간신호(M1)는 32비트 부동소수점에 의해 표시되는 신호 또는 32비트 정수에 의해 표시되는 신호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광대역 변환수단(322)은, 대역확대 비트스트림 분리수단(321)을 이용하여, 즉 재생대역을 확대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주파수 스펙트럼 신호에 대해 대역확대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중간신호(M2)를 생성한다. 도 10에 일례가 제공되고, 여기에서 점선(β)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제1 광대역 변환수단(322)에 의해 보충된 주파수 스펙트럼 신호의 주파수대역을 표시한다. 이 단계에서, 일정한 규칙에 따라 협대역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생성된 주파수 스펙트럼의 일부를 고주파대역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같은 처리가 수행된다. 이 때 중간신호(M2)는 재생되는 PCM 신호의 이전 형태인 주파수 스펙트럼 신호, 또는 재생되는 PCM 신호의 이전 형태인 시간영역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되는 PCM 신호가 16비트 정수에 의해 표시되는 신호라면, 이 중간신호(M2)는 32비트 부동소수점에 의해 표시되는 신호 또는 32비트 정수에 의해 표시되는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이 중간신호(M1)가 주파수 스펙트럼 신호인 경우에, 제2 협대역 변환수단(313)은, 예를 들어 역 MDCT 처리에 의해 협대역에서 이 주파수 스펙트럼 신호를 시간영역 신호로 변환한다. 중간신호(M2)가, 재생되는 PCM 신호의 이전 형태인 시간영역 신호라면, 즉 중간신호(M2)가 예를 들어 32비트 부동소수점에 의해 표시되는 신호라면, 부동소수점 신호는 16비트 정수에 의해 표시되는 신호로 변환되고, 이는 재생되는 PCM 신호이다.
그리고, 제2 광대역 변환수단(323)은 중간신호(M2), 즉, 도 10에 나타난 주파수 스펙트럼 신호를 광대역 PCM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행하는 경우에, 역 MDCT 처리와 같이 주파수 스펙트럼 신호를 시간영역 신호로 변환하는 수단이 수행된다.
최종적으로, 모드설정 수단(33a)에서 적어도 온/오프의 2개의 값이 설정될 수 있도록 하여, 선택수단(34)은, 모드가 온으로 설정된 경우에 제2 협대역 변환수단(313)의 출력인 협대역 PCM 신호를 출력하고, 모드가 오프로 설정된 경우에 제2 광대역 변환수단(323)의 출력인 광대역 PCM 신호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호화 신호(광대역 비트스트림(S0))로부터 협대역 비트스트림(S1)을 분리하는 협대역 비트스트림 분리수단(311), 부호화 신호로부터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을 분리하는 대역확대 비트스트림 분리수단(321), 협대역 비트스트림(S1)을 중간신호(M1)로 변환하는 제1 협대역 변환수단(312), 대역확대 비트스트림 분리수단(321)의 출력(대역확대정보 S21) 및 중간신호(M1)를 이용하여 이들을 중간신호(M2)로 변환시키는 제1 광대역 변환수단(322), 협대역에서 중간신호(M1)를 협대역 PCM 신호(P1)로 변환하는 제2 협대역 변환수단(313), 중간신호(M2)를 광대역 PCM 신호(P2)로 변환하는 제2 광대역 변환수단(323), 적어도 2개의 값 온/오프로 설정할 수 있는 모드설정 수단(33), 및 모드가 온으로 설정되면 협대역 PCM 신호(P1)를 출력하고 모드가 오프로 설정되면 광대역 PCM 신호(P2)를 출력하는 선택수단(34)을 구비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30a)를 이용하여, 대역확대가 수행되는 출력 PCM 신호(P2)와 대역확대가 수행되지 않는 출력 PCM 신호(P1) 사이를 용이하게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30b)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복호화 장치(30b)에 따른 복호화 장치(30)의 기능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복호화 장치(30a)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번호를 도 11의 대응하는 요소에 할당하였고, 도 8과 다른 요소에 대해서만 상세한 설명을 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30a)에서, 선택수단(34)은 대역확대가 수행되는 PCM 신호(P2)와 대역확대가 수행되지 않는 PCM 신호(P1) 사이에서 선택할 책임이 있지만, 복호화 장치(30b)는 제어수단(35)을 더 포함함으로써, 대역확대가 수행되지 않는 PCM 신호(P1)의 출력시에 처리량을 감소시킨다.
제어수단(35)은, 모드설정 수단(33)에 의해 설정된 모드가 오프인 경우에, 제1 광대역 변환수단(322) 또는 제2 광대역 변환수단(323)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정지시키려고 한다. 예를 들어, 제2 광대역 변환수단(323)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는 제어수단(35)에 의해 정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이 처리는 대역확대가 수행되는 주파수 스펙트럼 신호를 PCM 신호(P2)로 변환하는 것이고, 상세하게는, 주파수 스펙트럼 신호 가 시간영역 신호로 변환되는 역 MDCT 처리와 같은 처리가 실제로 수행된다. 따라서, 이러한 처리는 실질적인 처리량을 수반한다. 따라서, 모드가 오프로 설정된 경우에는 대역확대가 수행되는 PCM 신호(P2)를 출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처리를 정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로 인하여 전력소비 뿐 아니라 처리량도 감소하게 된다.
한편, 제1 광대역 변환수단(322)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도 불필요하기 때문에, 이 처리 또한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광대역 변환수단(322)에 의한 처리도 정지된다면, 전력소비는 더 감소되게 된다.
(제4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30c)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30c)의 기능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의 복호화 장치(30b)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번호를 도 12의 대응하는 요소에 할당하였고, 도 11과 다른 요소에 대해서만 상세한 설명을 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30b)에서, 제어수단(35)은 모드설정 수단(33)에 의해 설정된 모드가 오프인 경우에, 제1 광대역 변환수단(322) 또는 제2 광대역 변환수단(323)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정지시키려고 의도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30c)는 대역확대가 수행되지 않는 출력 PCM 신호(P1)를 출력하는 경우에 처리량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복호화 장치(30c)는 모드설정 수단(33c)의 출력이 대역확대 비트스트림 분리수단(321)에도 입력되도록 한다.
복호화 장치(30c)의 대역확대 비트스트림 분리수단(321)은, 모드설정 수단(33c)에 의해 모드가 오프로 설정된 경우에,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의 길이를 지시하는 정보(L)에 기초하여 입력된 부호화 신호로부터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을 분리한다. 즉, 대역확대정보(S21)의 길이를 지시하는 정보(L)가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으로 멀티플렉싱 되어 있기 때문에,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에 포함된 대역확대정보(S21)의 판독은 이 길이정보(L)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3에 나타나듯이, 복호화 장치(30c)는 매 프레임마다 협대역 비트스트림(S1)을 복호화한 후에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대역확대정보 S21)의 판독 및 복호화를 생략하고, 다음 프레임의 협대역 비트스트림(S1)의 처리를 시작할 수 있어서, 처리량이 상당히 감소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나듯이, 복호화 장치(30c)의 모드설정 수단(33c)은, 대역확대 비트스트림 분리수단(321)이, 프레임마다 대역확대 비트스트림(S2)에 포함된 대역확대정보(S21)의 길이정보(L)를 획득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한다(단계 S 21).
그리고, 모드설정 수단(33c)은, 매 프레임마다 모드가 광대역 모드 인지 양립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 31). 모드가 광대역 모드인 것으로 판단된다면, 모드설정 수단(33c)은 "오프"를 출력하고(S 32), 협대역 복호화 수단(31) 및 광대역 복호 화 수단(32)을 작동시켜서(S 33) 대역확대정보(S21)를 이용하여 광대역 PCM 신호를 출력한다. 반면에, 모드가 협대역 모드라면, 모드설정 수단(33c)은 "온"을 출력하고(S 34), 대역확대정보(S21)의 획득 및 제1 광대역 변환수단(322)과 제2 광대역 변환수단(323)의 처리를 생략하고, 협대역 복호화 수단(31)만을 작동시켜서(S35) 협대역 PCM 신호를 출력한다.
단계 S 31에서의 결정처리는 도 16에 나타나는 서브루틴에 의해 수행된다.
이 모드결정 서브루틴에서, 모드설정 수단(33c)은 우선 재생되는 소스의 타입 및 속성이 어디에 속하는지, 즉 뉴스, 음악 등에서 어느 것인지에 따라 광대역 모드 또는 협대역 모드 중 어느 것으로 설정할지를 결정한다(S 311). 만일 소스가 고주파 재생을 필요로 하는 음악 등에 속한다면, 모드설정 수단(33c)은, 장치의 상태(예를 들어, 이동 전화기의 배터리 에너지 레벨 고저)에 따라 모드를 광대역 모드 또는 협대역 모드 중 어느 것으로 설정할 것인가를 더 결정한다(S 312). 배터리 에너지 레벨이 높다면, 모드설정 수단(33c)은 선택수단(34)에 대한 사용자 설정이 "오프"인지를 판단한다(S 313). 설정이 "오프"인 경우, 즉, 3가지 조건(S 311~S 313)을 모두 만족시키는 경우에만, 모드설정 수단(33c)은 모드를 광대역 모드로 설정하고(S 314) 주 루틴으로 복귀한다. 반면에, 3가지 조건 중 하나라도 만족하지 못한다면, 모드는 협대역 모드로 설정되고(S 315) 주 루틴으로 복귀한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수행되는 처리량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배터리 소비가 감소되고 배터리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10) 및 복호화 장치(30a~)는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실현되지만, 각 수단이 논리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LSI로 실현된 하드웨어에 의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협대역 비트스트림(S1)의 정보는 주파수대역에서 대역확대정보(S21)에 의해 보충되지만, 이는 시간영역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AAC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MP3 프로페셔널 시스템 등의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하다.
이하는,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서 설명된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의 적용례와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대한 설명이다.
도 17은 컨텐츠 분배 서비스를 실현하는 컨텐츠 공급시스템(ex100)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이 컨텐츠 공급시스템(ex100)은, 스트리밍 서버(ex103),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ex102), 각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ex111),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x112), 이동전화(ex114),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전화(ex115) 등의 각 장치, 스트리밍 서버(ex103)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ex102)를 연결하는 인터넷(ex101),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ex102)와 각 장치(ex111, ex112, ex114, 및 ex115)를 연결하는 전화망(ex104), 및 기지국(ex107~ex110) 등을 구비한다.
컨텐츠 공급시스템(ex100)은 상기 요소의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고, 따라서 이들 중 몇몇은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 장치는 고정된 무선국, 즉 기지국(ex107~ex110)을 통하지 않고 전화망(ex104)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호화 장치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서버(ex103)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ex102)를 통해 전송되는 뉴스, 또는 음악 등의 미리 축적된 소스와 같은 소소의 스트림 분배를 수행하는 서버로서, 이러한 소스를 부호화 장치로써 부호화한 후에 분배요청을 하는 장치(ex111, ex112, ex114, 및 ex115)로 분배한다.
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ex111, ex112, ex114, 및 ex115)는,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가 하드웨어로서 구현된 LSI(ex117)를 갖고, 스트림 분배에 의해 전송된 소스를 복호화 장치에서 복호화하여 재생한다. 이 때 이동전화(ex114 및 ex115)는 이하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PDC(개인 디지털통신) 시스템, CDMA(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 W-CDMA(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 또는 GSM(세계이동통신시스템)의 이동전화, 또는 PHS(개인 핸디폰 시스템) 등등. 이러한 장치의 예로서 이동전화를 택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8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를 사용하는 이동전화(ex115)의 외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동전화(ex115)는, 기지국(ex110)과의 사이에서 전파를 전송 하고 수신하는 안테나(ex201), 사진 및 정지 화상을 촬영할 수 있는 CCD 카메라 등의 카메라 수단(ex203), 카메라 수단(ex203)에 의해 촬영된 사진 및 복호화 데이터의 형태로 안테나(ex201)에 의해 수신된 사진이나 그 외의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ex202), 작동 키(ex204) 세트를 구비하는 본체, 음성 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같은 음성출력 수단(ex208),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로폰 같은 음성입력 수단(ex205), 촬영한 동영상/정지화상 데이터, 수신한 메일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및 정지화상 데이터와 같은 부호화 또는 복호화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매체(ex207), 기억매체(ex207)를 이동전화(ex115)에 부착시키는 슬롯 수단(ex206)을 구비한다. 기억매체(ex207)는, SD 카드처럼, 플라스틱 케이스에 비휘발성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의 일종인 플래시 메모리 장치를 보관하는 매체이다.
도 19를 참조하여 이동전화(ex115)에 대해 더 설명한다.
이동전화(ex115)는, 전원회로 수단(ex310), 작동입력 제어수단(ex304), 이미지 부호화 수단(ex312), 카메라 인터페이스 수단(ex303), LCD(액정 디스플레이) 제어수단(ex302), 이미지 복호화 수단(ex309), 디멀티플렉싱 수단(ex308), 기억재생 수단(ex307), 모뎀회로 수단(ex306), 및 음성처리 수단(ex305)이 동기버스(ex313)를 통해 상호접속되어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통합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수단(ex202) 및 작동키(ex204)를 갖는 본체의 각 수단을 제어하는 주 제어수단(ex311)을 갖는다.
통화-종료 키 및 전원 키가 사용자에 의해 온으로 설정된 경우에, 전원회로 수단(ex310)은, 카메라가 장착된 디지털 이동전화(ex115)를 활성화시켜서, 배터리 팩으로부터 각 수단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작동을 준비시킨다.
CPU, ROM, RAM 등을 구비한 주 제어수단(ex311)의 제어 하에서, 이동전화(ex115)는, 음성통화 모드인 경우에 음성입력 수단(ex205)에 의해 수집된 음성신호를 본 발명에서 설명된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를 갖는 음성처리 수단(ex305)에서 디지털 음성데이터로 변환하고, 모뎀회로 수단(ex306)에서 이 디지털 음성데이터에 대한 확산 스펙트럼 처리를 수행하여, 전송/수신 회로수단(ex301)에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처리 및 주파수 변환처리를 수행한 후에, 안테나(ex201)를 통해 이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이동전화(ex115)는, 음성통화 모드 또는 컨텐츠 수신모드에서 안테나(ex201)에 의해 수신된 수신신호를 증폭하여 주파수 변환처리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처리를 수행하고, 모뎀회로 수단(ex306)에서 역 확산 스펙트럼 처리를 수행하며, 음성처리 수단(ex305)에서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한 후에, 음성출력 수단(ex208)을 통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이메일을 송신하는 경우에, 본체상의 작동키(ex204)를 통해 입력된 이메일의 텍스트 데이터는 입력제어 수단(ex304)을 통해 주 제어수단(ex311)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주 제어수단(ex311)은, 모뎀회로 수단(ex306)에서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확산 스펙트럼 처리를 수행하고, 전송/수신 회로수단(ex301)에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처리 및 주파수 변환처리를 수행한 후에, 안테나(ex201)를 통해 기지국(ex110)으로 이를 전송한다.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카메라 수단(ex203)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는 카메라 인터페이스 수단(ex303)을 통해 이미지 부호화 수단(ex312)으로 보내진다.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는, 카메라 수단(ex203)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카메라 인터페 이스 수단(ex303) 및 LCD 제어수단(ex302)을 통해 디스플레이 수단(ex202) 상에 직접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이미지 부호화 장치에 사용되는 부호화 방법을 이용하여, 카메라 수단(ex203)으로부터 제공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압축 부호화를 수행함으로써, 이미지 부호화 수단(ex312)은 이미지 데이터를 부호화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디멀티플렉싱 수단(ex308)으로 보낸다. 이를 행하는 경우에, 카메라 수단(ex203)에 의해 이미지가 촬영되는 동안, 이동전화(ex115)는 음성입력 수단(ex205)을 통해 수집된 음성을 음성처리 수단(ex305)을 통해 디지털 음성데이터로서 디멀티플렉싱 수단(ex308)으로 보낸다.
디멀티플렉싱 수단(ex308)은, 구체적인 절차를 이용하여 이미지 부호화 수단(ex312)으로부터 제공되는 부호화 이미지 데이터 및 음성처리 수단(ex305)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데이터를 멀티플렉싱하고, 모뎀회로 수단(ex306)에서 멀티플렉싱된 데이터에 대한 확산 스펙트럼 처리를 수행하여, 전송/수신 회로수단(ex301)에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처리 및 주파수 변환처리를 수행한 후에 안테나(ex201)를 통해 이를 전송한다.
데이터 통신 모드인 동안에, 웹 페이지에 링크된 동영상 파일 데이터 등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안테나(ex201)를 통해 기지국(ex110)으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에 대해, 모뎀회로 수단(ex306)에 의해 역 확산 스펙트럼 처리가 수행되고, 멀티플렉싱된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 수단(ex308)으로 보낸다.
안테나(ex201)를 통해 수신된 멀티플렉싱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서, 디 멀티플렉싱 수단(ex308)은 이 멀티플렉싱된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스트림 및 음성데이터의 복호화 비트스트림으로 분리하고, 동기버스(ex313)를 통해 부호화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복호화 수단(ex309)으로 제공하는 한편 동시에 음성데이터를 음성처리 수단(ex305)으로 제공한다.
다음으로, 이미지 복호화 수단(ex309)은 이미지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함으로써 재생을 위한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LCD 제어수단(ex302)을 통해 디스플레이 수단(ex202)으로 이를 제공하여, 그 결과로서, 예를 들어 웹 페이지에 링크된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동영상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를 행하는 경우에, 음성처리 수단(ex305)은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음성출력 수단(ex208)으로 제공하며, 그 결과로서, 예를 들어 웹 페이지에 링크된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음성데이터는 재생될 수 있다.
상술한 시스템은 배타적인 예가 아니며, 이는 상기 실시예의 부호화 장치 또는 복호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위성/지상 디지털 방송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에서 음성신호를 부호화 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고, 저장매체의 예는 음성신호를 DVD 디스크 상에 저장하는 DVD 레코더 및 음성신호를 하드디스크 상에 저장하는 디스크 레코더 등의 다른 레코더들이다. 또한, 저장을 위해 SD 카드도 사용될 수 있다. 레코더가 상기 실시예에 나타난 부호화 장치를 갖추고 있다면, DVD 디스크 또는 SD 카드에 저장된 음성을 재생하여 듣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전화(ex114)와 같은 단말기에 대해서, 부호기와 복호기를 둘 다 갖는 전송/수신 단말기 뿐만 아니라, 부호기만을 갖는 전송 단말기 및 복호기만을 갖는 수신 단말기도 실시의 형태로 생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나타난 부호화 장치 또는 복호화 장치를 상술한 장치/시스템으로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로서,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는, 음악과 뉴스 같은 소스(컨텐츠)의 스트림 분배를 위한 통신 시스템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Claims (40)

  1. 사운드 디지털 신호를 부호화한 제1 비트스트림과 상기 사운드 디지털 신호의 재생 대역을 확대하기 위한 대역확대정보를 부호화한 제2 비트스트림으로 이루어진 부호화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장치로서,
    상기 부호화 신호로부터 상기 제1 비트스트림과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을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분리된 상기 제1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제1 사운드 디지털 신호를 재생하는 제1 재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의 선두에는, 상기 대역확대정보의 부호량의 크기를 지시하는 크기 정보가 멀티플렉싱되어 있고,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의 선두에 포함된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크기 정보에 지시된 부호량만큼, 직후의 상기 부호화 신호로부터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 장치는, 또한
    분리된 상기 제1 비트스트림 및 제2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재생수단이 재생하는 제1 사운드 디지털 신호보다도 광대역의 제2 사운드 디지털 신호를 재생하는 제2 재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 장치는, 또한
    상기 제1 재생수단에서 재생된 제1 사운드 디지털 신호 및 상기 제2 재생수단에서 재생된 제2 사운드 디지털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 장치는, 또한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모드정보를 상기 선택수단에 통지하는 모드 설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모드 설정수단으로부터 통지된 모드정보가 제1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재생수단에서 재생된 제1 사운드 디지털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제2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재생수단에서 재생된 제2 사운드 디지털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수단은, 사용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모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선택수단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수단은, 상기 제1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사운드 디지털 신호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모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선택수단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수단은, 상기 제1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사운드 디지털 신호의 타입이 음악인 경우에는, 제2 모드를 지정하는 모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선택수단에 통지하고, 상기 제1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사운드 디지털 신호의 타입이 음악이 아닌 경우에는, 제1 모드를 지정하는 모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선택수단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수단은, 해당 복호화 장치를 구비한 기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모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선택수단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수단은, 상기 기기가 구비하는 배터리의 에너지 레벨이 일정 값 이하인 경우에, 제1 모드를 지정하는 모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선택수단에 통지하고, 상기 기기가 구비하는 배터리의 에너지 레벨이 일정 값을 넘는 경우에, 제2 모드를 지정하는 모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선택수단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수단은, 또한, 상기 모드정보를 상기 제2 재생수단에 통지하고,
    상기 제2 재생수단은, 상기 모드 설정수단으로부터 통지된 모드정보가 제1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제2 사운드 디지털 신호로의 재생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생수단은,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제1 비트스트림을 중간신호로 변환하는 제1 변환부와,
    상기 제1 변환부에서의 변환에 의해 얻어진 중간신호를 제1 사운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변환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재생수단은,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제2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대역확대정보와 상기 제1 변환부에서의 변환에 의해 얻어진 중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운드 디지털 신호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신호는 주파수 스펙트럼을 지시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생수단은, 또한
    상기 제1 변환부에서 얻어진 주파수 스펙트럼 정보로부터, 상기 대역확대정보에 따라서, 해당 주파수 스펙트럼의 대역보다도 넓은 대역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생성하는 광대역 스펙트럼 생성부와,
    생성된 주파수 스펙트럼과 상기 제1 변환부에서 얻어진 주파수 스펙트럼으로부터, 상기 광대역의 사운드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광대역 사운드 디지털 신호 생성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 장치는, 또한
    상기 제1 재생수단에서 재생된 제1 사운드 디지털 신호 및 상기 제2 재생수단에서 재생된 제2 사운드 디지털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수단과,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모드정보를 상기 선택수단에 통지하는 모드 설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모드 설정수단으로부터 통지된 모드정보가 제1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재생수단에서 재생된 사운드 디지털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제2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재생수단에서 재생된 사운드 디지털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수단은, 또한, 상기 모드정보를 상기 제2 재생수단에 통지하고,
    상기 제2 재생수단은, 상기 광대역 스펙트럼 생성부에 의한 상기 주파수 스펙트럼의 생성 및 상기 광대역 사운드 디지털 신호 생성부에 의한 상기 제2 사운드 디지털 신호의 생성 중 적어도 하나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신호는 시간영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스트림과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은, 소정의 프레임마다 교대로 멀티플렉싱되고,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부호화 신호로부터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확대정보의 부호량은, 프레임마다 가변이고,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제2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크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호화 신호로부터 크기가 다른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정보는, 상기 대역확대정보의 부호량의 크기를 지시하는 N비트 또는 (N+M)비트이고,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의 선두에 포함된 상기 N 또는 (N+M)비트로부터 상기 대역확대정보의 부호량의 크기를 특정하고, 특정된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부호화 신호로부터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21.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부호화하는 부호화 장치로서,
    입력된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부호화하는 제1 부호화 수단과,
    상기 입력된 사운드 디지털신호로부터, 상기 제1 부호화 수단에 의해 부호화되는 신호의 재생대역을 확대하기 위한 대역확대정보를 생성하고, 부호화하는 제2 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2 부호화 수단에서 얻어진 부호화 신호의 크기를 산출하는 크기 연산수단과,
    상기 크기 연산수단에서 산출된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와 상기 제2 부호화 수단에서 얻어진 부호화 신호를 멀티플렉싱하는 제1 멀티플렉싱 수단과,
    상기 제1 부호화 수단에서 얻어진 제1 비트스트림과 상기 제1 멀티플렉싱 수단에서 얻어진 제2 비트스트림을 멀티플렉싱하는 제2 멀티플렉싱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멀티플렉싱 수단은, 상기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가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의 선두에 배치되도록, 상기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와 상기 부호화 신호를 멀티플렉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멀티플렉싱 수단은, 상기 제1 비트스트림과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을, 소정 프레임마다 교대로 멀티플렉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23. 삭제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대역확대정보의 부호량의 크기를 지시하는 N 비트 또는 (N+M) 비트이고,
    상기 크기 연산수단은, 상기 대역확대정보의 부호량의 크기가 N 비트에 의해 나타나는 최대값보다 작은지 여부에 기초하여, N 비트 및 (N+M) 비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N+M) 비트의 N 비트는, N 비트가 표현할 수 있는 최대값을 지시하고, 상기 M 비트는, 상기 대역확대정보의 부호량 중에서 상기 최대값이 지시하는 크기를 초과하는 부호량의 크기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26. 전송선에 의해 연결되는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로 이루어진 통신시스템으로서,
    상기 부호화 장치는,
    입력된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부호화하는 제1 부호화 수단과,
    상기 입력된 사운드 디지털신호로부터, 상기 제1 부호화 수단에 의해 부호화되는 신호의 재생대역을 확대하기 위한 대역확대정보를 생성하고, 부호화하는 제2 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2 부호화 수단에서 얻어진 부호화 신호의 크기를 산출하는 크기 연산수단과,
    상기 크기 연산수단에서 산출된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와 상기 제2 부호화 수단에서 얻어진 부호화 신호를 멀티플렉싱하는 제1 멀티플렉싱 수단과,
    상기 제1 부호화 수단에서 얻어진 제1 비트스트림과 상기 제1 멀티플렉싱 수단에서 얻어진 제2 비트스트림을 멀티플렉싱하는 제2 멀티플렉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호화 장치는,
    상기 부호화 신호로부터 상기 제1 비트스트림과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을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분리된 상기 제1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제1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재생하는 제1 재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멀티플렉싱 수단은, 상기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가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의 선두에 배치되도록, 상기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와 상기 부호화 신호를 멀티플렉싱하고,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의 선두에 포함된 크기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크기 정보에 지시된 부호량만큼, 직후의 상기 부호화 신호로부터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7. 사운드 디지털 신호를 부호화한 제1 비트스트림과 상기 사운드 디지털 신호의 재생대역을 확대하기 위한 대역확대정보를 부호화한 제2 비트스트림으로 이루어진 부호화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방법으로서,
    상기 부호화 신호로부터 상기 제1 비트스트림과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을 분리하는 분리단계와,
    분리된 상기 제1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제1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재생하는 제1 재생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의 선두에는, 상기 대역확대정보의 부호량의 크기를 지시하는 크기정보가 멀티플렉싱되어 있고,
    상기 분리단계에서는,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의 선두에 포함된 크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크기 정보에 지시된 부호량만큼, 직후의 상기 부호화 신호로부터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방법.
  28.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부호화하는 부호화 방법으로서,
    입력된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부호화하는 제1 부호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사운드 디지털신호로부터, 상기 제1 부호화 단계에 의해 부호화되는 신호의 재생대역을 확대하기 위한 대역확대정보를 생성하고, 부호화하는 제2 부호화 단계와,
    상기 제2 부호화 단계에서 얻어진 부호화 신호의 크기를 산출하는 크기 연산단계와,
    상기 크기 연산단계에서 산출된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와 상기 제2 부호화 단계에서 얻어진 부호화 신호를 멀티플렉싱하는 제1 멀티플렉싱 단계와,
    상기 제1 부호화 단계에서 얻어진 제1 비트스트림과 상기 제1 멀티플렉싱 단계에서 얻어진 제2 비트스트림을 멀티플렉싱하는 제2 멀티플렉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멀티플렉싱 단계에서는, 상기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가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의 선두에 배치되도록, 상기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와 상기 부호화 신호를 멀티플렉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방법.
  29. 전송선에 의해 연결되는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서의 통신방법으로서,
    상기 부호화 장치에서,
    입력된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부호화하는 제1 부호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사운드 디지털신호로부터, 상기 제1 부호화 단계에 의해 부호화되는 신호의 재생대역을 확대하기 위한 대역확대정보를 생성하고, 부호화하는 제2 부호화 단계와,
    상기 제2 부호화 단계에서 얻어진 부호화 신호의 크기를 산출하는 크기 연산단계와,
    상기 크기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와 상기 제2 부호화 단계에서 얻어진 부호화 신호를 멀티플렉싱하는 제1 멀티플렉싱 단계와,
    상기 제1 부호화 단계에서 얻어진 제1 비트스트림과 상기 제1 멀티플렉싱 단계에서 얻어진 제2 비트스트림을 멀티플렉싱하는 제2 멀티플렉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호화 장치에서,
    상기 부호화 신호로부터 상기 제1 비트스트림과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을 분리하는 분리단계와,
    분리된 상기 제1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제1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재생하는 제1 재생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멀티플렉싱 단계에서는, 상기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가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의 선두에 배치되도록, 상기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와 상기 부호화 신호를 멀티플렉싱하며,
    상기 분리단계에서는,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의 선두에 포함된 크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크기 정보에 지시된 부호량만큼, 직후의 상기 부호화 신호로부터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30. 사운드 디지털 신호를 부호화한 제1 비트스트림과 상기 사운드 디지털 신호의 재생대역을 확대하기 위한 대역확대정보를 부호화한 제2 비트스트림으로 이루어진 부호화 신호를 복호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상기 복호화는,
    상기 부호화 신호로부터 상기 제1 비트스트림과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을 분리하는 분리단계와,
    분리된 상기 제1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제1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재생하는 제1 재생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비트스트림에는, 상기 대역확대정보의 부호량의 크기를 지시하는 크기정보가 멀티플렉싱되어 있고,
    상기 분리단계에서는,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의 선두에 포함된 크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크기 정보에 지시된 부호량만큼, 직후의 상기 부호화 신호로부터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1.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부호화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상기 부호화는,
    입력된 사운드 디지털신호를 부호화하는 제1 부호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사운드 디지털신호로부터, 상기 제1 부호화 단계에 의해 부호화되는 신호의 재생대역을 확대하기 위한 대역확대정보를 생성하고, 부호화하는 제2 부호화 단계와,
    상기 제2 부호화 단계에서 얻어진 부호화 신호의 크기를 산출하는 크기 연산단계와,
    상기 크기 연산단계에서 산출된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와 상기 제2 부호화 단계에서 얻어진 부호화 신호를 멀티플렉싱하는 제1 멀티플렉싱 단계와,
    상기 제1 부호화 단계에서 얻어진 제1 비트스트림과 상기 제1 멀티플렉싱 단계에서 얻어진 제2 비트스트림을 멀티플렉싱하는 제2 멀티플렉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멀티플렉싱 단계에서는, 상기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가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의 선두에 배치되도록, 상기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와 상기 부호화 신호를 멀티플렉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2. 부호화 장치에 의해 부호화된 부호화 신호를 저장하는 기록매체로서,
    상기 부호화 신호는, 사운드 디지털 신호를 부호화한 제1 비트스트림과, 해당 사운드 디지털 신호의 재생대역을 확대하기 위한 대역확대정보를 부호화한 제2 비트스트림을 가지며 구성되고,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은, 상기 대역확대정보와, 해당 대역확대정보의 부호량의 크기를 지시하는 크기정보가, 상기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가 상기 대역확대정보의 선두에 배치되도록, 멀티플렉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스트림과, 상기 제2 비트스트림은, 소정의 프레임마다 교대로 멀티플렉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정보는, 상기 대역확대정보의 부호량의 크기를 지시하는 N 비트 또는 (N+M) 비트이고,
    상기 대역확대정보의 부호량의 크기는, N 비트로 나타나는 최대값보다 작은지 여부에 기초하여, N 비트 및 (N+M) 비트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N+M) 비트의 N 비트는, N 비트가 표현할 수 있는 최대값을 지시하고, 상기 M 비트는, 상기 대역확대정보의 부호량 중에서 상기 최대값이 지시하는 크기를 초과하는 부호량의 크기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N+M) 비트의 N 비트는, N 비트가 표현할 수 있는 최대값을 지시하고, 상기 M 비트는, 상기 대역확대정보의 부호량 중에서 상기 최대값이 지시하는 크기를 초과하는 부호량의 크기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
  3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 장치는, 또한
    분리된 상기 제1 비트스트림 및 제2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재생수단이 재생하는 제1 사운드 디지털 신호보다도 광대역의 제2 사운드 디지털 신호를 재생하는 제2 재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3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 방법은, 또한
    분리된 상기 제1 비트스트림 및 제2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재생단계가 재생하는 제1 사운드 디지털 신호보다도 광대역의 제2 사운드 디지털 신호를 재생하는 제2 재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방법.
  39.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 장치에서, 또한
    분리된 상기 제1 비트스트림 및 제2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재생단계가 재생하는 제1 사운드 디지털 신호보다도 광대역의 제2 사운드 디지털 신호를 재생하는 제2 재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0.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는,
    분리된 상기 제1 비트스트림 및 제2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재생단계가 재생하는 제1 사운드 디지털 신호보다도 광대역의 제2 사운드 디지털 신호를 재생하는 제2 재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37009190A 2001-11-14 2002-10-29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KR100587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48411 2001-11-14
JPJP-P-2001-00348411 2001-11-14
PCT/JP2002/011226 WO2003042981A1 (en) 2001-11-14 2002-10-29 Audio coding and deco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318A KR20040029318A (ko) 2004-04-06
KR100587517B1 true KR100587517B1 (ko) 2006-06-08

Family

ID=19161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9190A KR100587517B1 (ko) 2001-11-14 2002-10-29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7260540B2 (ko)
EP (1) EP1374230B1 (ko)
KR (1) KR100587517B1 (ko)
CN (1) CN1248194C (ko)
AU (1) AU2002343212B2 (ko)
BR (2) BR0206395A (ko)
CA (1) CA2430923C (ko)
DE (1) DE60212600T2 (ko)
ES (1) ES2268112T3 (ko)
MX (1) MXPA03005133A (ko)
MY (1) MY130392A (ko)
TW (1) TW591606B (ko)
WO (1) WO2003042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30923C (en) 2001-11-14 2012-01-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ncoding device, decod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DE602004023917D1 (de) * 2003-02-06 2009-12-17 Dolby Lab Licensing Corp Kontinuierliche audiodatensicherung
WO2004090870A1 (ja) * 2003-04-04 2004-10-21 Kabushiki Kaisha Toshiba 広帯域音声を符号化または復号化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050004793A1 (en) * 2003-07-03 2005-01-06 Pasi Ojala Signal adaptation for higher band coding in a codec utilizing band split coding
FI118550B (fi) * 2003-07-14 2007-12-14 Nokia Corp Parannettu eksitaatio ylemmän kaistan koodaukselle koodekissa, joka käyttää kaistojen jakoon perustuvia koodausmenetelmiä
KR20050027179A (ko) * 2003-09-13 2005-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 복원 방법 및 그 장치
KR100614496B1 (ko) 2003-11-13 2006-08-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변 비트율의 광대역 음성 및 오디오 부호화 장치 및방법
KR100651731B1 (ko) * 2003-12-26 2006-1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변 프레임 음성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CN1922657B (zh) * 2004-02-19 2012-04-25 Nxp股份有限公司 用于可变块尺寸信号的解码方案
US7613306B2 (en) 2004-02-25 2009-11-03 Panasonic Corporation Audio encoder and audio decoder
FI119533B (fi) * 2004-04-15 2008-12-15 Nokia Corp Audiosignaalien koodaus
US9117460B2 (en) * 2004-05-12 2015-08-25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Detection of end of utterance in speech recognition system
AU2004319555A1 (en) 2004-05-17 2005-11-24 Nokia Corporation Audio encoding with different coding models
KR100854534B1 (ko) * 2004-05-19 2008-08-26 노키아 코포레이션 오디오 코더 모드들 간의 스위칭 지원
ES2634511T3 (es) * 2004-07-23 2017-09-28 Iii Holdings 12, Llc Aparato de codificación de audio y procedimiento de codificación de audio
EP1788556B1 (en) 2004-09-06 2014-06-04 Panasonic Corporation Scalable decoding device and signal loss concealment method
KR100657916B1 (ko) * 2004-12-01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대역간의 유사도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및 방법
WO2006062202A1 (ja) * 2004-12-10 2006-06-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広帯域符号化装置、広帯域lsp予測装置、帯域スケーラブル符号化装置及び広帯域符号化方法
US8010353B2 (en) * 2005-01-14 2011-08-30 Panasonic Corporation Audio switching device and audio switching method that vary a degree of change in mixing ratio of mixing narrow-band speech signal and wide-band speech signal
EP1872364B1 (en) * 2005-03-30 2010-11-24 Nokia Corporation Source coding and/or decoding
UA94041C2 (ru) * 2005-04-01 2011-04-11 Кве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льтрации, устраняющей разреженность
JP4988717B2 (ja) 2005-05-26 2012-08-0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オーディオ信号のデコーディング方法及び装置
WO2006126843A2 (en) * 2005-05-26 2006-11-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audio signal
KR100718132B1 (ko) * 2005-06-24 2007-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비트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 그를 이용한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813259B1 (ko) * 2005-07-13 2008-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신호의 계층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US8411869B2 (en) * 2006-01-19 2013-04-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media signal
KR100878816B1 (ko) * 2006-02-07 2009-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100904437B1 (ko) * 2006-02-23 2009-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1361275B (zh) * 2006-02-23 2013-04-03 Lg电子株式会社 处理音频信号的方法和装置
EP1989707A2 (fr) * 2006-02-24 2008-11-12 France Telecom Procede de codage binaire d'indices de quantification d'une enveloppe d'un signal, procede de decodage d'une enveloppe d'un signal et modules de codage et decodage correspondants
US8331313B2 (en) 2006-06-14 2012-12-1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Efficient media independent handover protocol operation enhancements
US20090254205A1 (en) * 2006-06-28 2009-10-08 Sound Genetics Inc. Seamless switch between lower and higher quality audio streams
GB2443911A (en) * 2006-11-06 2008-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digital broadcast receivers
US8064411B2 (en) * 2007-01-31 2011-11-22 Cisco Technology, Inc. Speculative power save
JP5254983B2 (ja) 2007-02-14 2013-08-0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オブジェクトベースオーディオ信号の符号化及び復号化方法並びにその装置
EP2207166B1 (en) 2007-11-02 2013-06-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An audio decoding method and device
US8554551B2 (en) 2008-01-28 2013-10-0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ext replacement by audio level
MX2011000375A (es) * 2008-07-11 2011-05-19 Fraunhofer Ges Forschung Codificador y decodificador de audio para codificar y decodificar tramas de una señal de audio muestreada.
EP2144231A1 (en) * 2008-07-11 2010-01-1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Low bitrate audio encoding/decoding scheme with common preprocessing
JP5754899B2 (ja) * 2009-10-07 2015-07-29 ソニー株式会社 復号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749462B2 (ja) * 2010-08-13 2015-07-15 株式会社Nttドコモ オーディオ復号装置、オーディオ復号方法、オーディオ復号プログラム、オーディオ符号化装置、オーディオ符号化方法、及び、オーディオ符号化プログラム
TWI733583B (zh) * 2010-12-03 2021-07-11 美商杜比實驗室特許公司 音頻解碼裝置、音頻解碼方法及音頻編碼方法
JP5720356B2 (ja) * 2011-03-25 2015-05-20 日本電気株式会社 音声デマルチプレクサおよび音声デマルチプレクス方法
CN102522092B (zh) * 2011-12-16 2013-06-19 大连理工大学 一种基于g.711.1的语音带宽扩展的装置和方法
US9905236B2 (en) 2012-03-23 2018-02-27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Enabling sampling rate diversity in a voice communication system
CN103165135B (zh) * 2013-03-04 2015-03-25 深圳广晟信源技术有限公司 一种数字音频粗分层编码方法和装置
US9841290B1 (en) * 2015-04-30 2017-12-12 Amdocs Development Limited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intaining service continuity associated with a mobile device during travel
US10645660B2 (en) * 2017-06-09 2020-05-05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of synchronization block patterns
US11271691B2 (en) * 2018-07-09 2022-03-08 Huawei Technologies Canada Co. Ltd. Dynamic spectrum spreading of data symbols for multiple access transmiss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0828A1 (en) * 1998-03-30 1999-10-07 Voxware, Inc. Low-complexity, low-delay, scalable and embedded speech and audio coding with adaptive frame loss concealment
JP2000244384A (ja) * 1999-02-18 2000-09-08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移動通信端末装置における音声符号化レート決定方法
US20010036321A1 (en) * 2000-04-27 2001-11-01 Hiroki Kishi Encoding apparatus and encod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318B1 (ko) * 1994-01-28 1998-04-29 김광호 채널간의 마스킹특성을 고려한 비트할당장치 및 그 방법과 복호화장치
JPH07264144A (ja) * 1994-03-16 1995-10-13 Toshiba Corp 信号圧縮符号化装置および圧縮信号復号装置
DE19537338C2 (de) * 1995-10-06 2003-05-22 Fraunhofer Ges Forschu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Codieren von Audiosignalen
US5956674A (en) * 1995-12-01 1999-09-21 Digital Theater Systems, Inc. Multi-channel predictive subband audio coder using psychoacoustic adaptive bit allocation in frequency, time and over the multiple channels
WO1997029549A1 (fr) * 1996-02-08 1997-08-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deur, decodeur, codeur-decodeur et support d'enregistrement de signal audio large bande
JP3765622B2 (ja) * 1996-07-09 2006-04-12 ユナイテッド・モジュール・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ーディオ符号化復号化システム
JPH10233692A (ja) * 1997-01-16 1998-09-02 Sony Corp オーディオ信号符号化装置および符号化方法並びにオーディオ信号復号装置および復号方法
KR100261253B1 (ko) * 1997-04-02 2000-07-01 윤종용 비트율 조절이 가능한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및 장치
KR100261254B1 (ko) * 1997-04-02 2000-07-01 윤종용 비트율 조절이 가능한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복호화방법 및 장치
JP3068562B2 (ja) * 1998-06-12 2000-07-24 ホーヤ株式会社 光学部材用コーティング組成物、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薄膜層及びそれを有する光学部材
US6182031B1 (en) * 1998-09-15 2001-01-30 Intel Corp. Scalable audio coding system
SE9903553D0 (sv) * 1999-01-27 1999-10-01 Lars Liljeryd Enhancing percepptual performance of SBR and related coding methods by adaptive noise addition (ANA) and noise substitution limiting (NSL)
US6226616B1 (en) * 1999-06-21 2001-05-01 Digital Theater Systems, Inc. Sound quality of established low bit-rate audio coding systems without loss of decoder compatibility
US6704711B2 (en) * 2000-01-28 2004-03-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speech signals
US6757860B2 (en) * 2000-08-25 2004-06-29 Agere Systems Inc. Channel error protection implementable across network layer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895375B2 (en) * 2001-10-04 2005-05-17 At&T Corp. System for bandwidth extension of Narrow-band speech
CN1288626C (zh) * 2001-10-25 2006-12-0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利用减少的带宽在传输通道上传输宽带音频信号的方法
CN1288622C (zh) * 2001-11-02 2006-12-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编码设备和解码设备
CA2430923C (en) 2001-11-14 2012-01-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ncoding device, decod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US6707398B1 (en) * 2002-10-24 2004-03-16 Apple Computer,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acking bitstrea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0828A1 (en) * 1998-03-30 1999-10-07 Voxware, Inc. Low-complexity, low-delay, scalable and embedded speech and audio coding with adaptive frame loss concealment
JP2000244384A (ja) * 1999-02-18 2000-09-08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移動通信端末装置における音声符号化レート決定方法
US20010036321A1 (en) * 2000-04-27 2001-11-01 Hiroki Kishi Encoding apparatus and encod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39463A1 (en) 2007-10-11
US8311841B2 (en) 2012-11-13
KR20040029318A (ko) 2004-04-06
CA2430923C (en) 2012-01-03
MXPA03005133A (es) 2004-04-02
EP1374230A1 (en) 2004-01-02
AU2002343212A1 (en) 2003-05-26
TW591606B (en) 2004-06-11
WO2003042981A1 (en) 2003-05-22
AU2002343212B2 (en) 2006-03-09
BR0206395A (pt) 2004-02-10
US7260540B2 (en) 2007-08-21
US20030093264A1 (en) 2003-05-15
CA2430923A1 (en) 2003-05-23
BRPI0206395B1 (pt) 2017-07-04
DE60212600D1 (de) 2006-08-03
CN1248194C (zh) 2006-03-29
CN1511313A (zh) 2004-07-07
TW200300248A (en) 2003-05-16
DE60212600T2 (de) 2007-07-05
EP1374230B1 (en) 2006-06-21
ES2268112T3 (es) 2007-03-16
MY130392A (en) 200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7517B1 (ko)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US10602194B2 (en) Picture coding apparatus that codes on a macroblock basis by performing a signal conversion process
US20040247190A1 (en) Image encoding method and image decoding method
MX2008015045A (es) Decodificacion de datos codificados en forma predictiva utilizando adaptacion de memoria intermedia.
JP4063508B2 (ja) ビットレート変換装置およびビットレート変換方法
WO2006011445A1 (ja) 信号復号化装置
JP4125565B2 (ja) 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
JP3913664B2 (ja) 符号化装置、復号化装置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システム
US20080120114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erforming Stereo Adaptation for Audio Editing
JP4125739B2 (ja) 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