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6499B1 -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6499B1
KR100586499B1 KR1020050103958A KR20050103958A KR100586499B1 KR 100586499 B1 KR100586499 B1 KR 100586499B1 KR 1020050103958 A KR1020050103958 A KR 1020050103958A KR 20050103958 A KR20050103958 A KR 20050103958A KR 100586499 B1 KR100586499 B1 KR 100586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nting
water
floating
flo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택
임보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진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진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진기업
Priority to KR1020050103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저수지 또는 댐 등에 부유용 플레이트를 개재하여 수생식물이 식재 되는 식재용 플레이트 설치하여, 이를 연결용 로프를 이용하여 다수개 연결토록 함으로 인하여, 수질 정화능력이 우수한 미나리등과 같은 수생식물을 사전에 논 및 밭등과 같은 재배지에서 일정기간 상기 식재용 플레이트 내부에 식재하여 생장 및 적응되어, 상기 식재용 플레이트를 부유용 플레이트의 내부로 옮겨 저수지 또는 댐등에 위치시켜 식재하여 생장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식재용 플레이트가 탑재된 부유용 플레이트를 다수개 로프로 연결하여 자유롭게 이동 및 설치,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며, 이에 따라 식재 식물의 성장속도와 품종에 따라 간편하게 들어올려 줄기부분과 뿌리부분을 손쉽게 잘라내어 과다한 줄기와 뿌리로 인한 수질 오염을 극소화 시키며, 상수도 원수의 부영양화 현상인 녹조와 질소, 중금속등을 상기 수생식물을 통하여 환경 친화적으로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사각형 보강부재(110) 내부에 수생식물(120)이 식재토록 망상(網狀)으로 형성되는 식재판(130)이 일체로 착설되는 식재용 플레이트(140)는, 상기 식재판(130)의 저부에 다수의 지지구(150)가 설치되어 수생식물(120)이 식재 가능토록 설치되며, 중공상의 사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유용 플레이트(160)의 저부에는 가로 지지판(170) 및 세로 지지판(180)이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부유용 플레이트(160)의 양측면에는 연결구(190)가 다수개 돌출 설치되어 내 부에 수생식물 식재용 플레이트(140)가 내부에 안치토록 저수지 또는 댐등에 식재장치 본체부(200)가 설치되고, 상기 식재장치 본체부(200)의 부유용 플레이트(160) 양측면에 돌출 설치되는 연결구(190)에는, 상기 부유용 플레이트를 다수개 연결 설치하여 이동 및 설치, 해체가 용이하게 연결 로프(210)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식재판, 식재용 플레이트, 부유용 플레이트, 연결구, 연결 로프

Description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A Cultivation Device of Underwater Pla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수지 또는 댐등에 설치되는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의 설치상태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의 부유용 플레이트의 개략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유용 플레이트 내부에 내장되는 식재용 플레이트의 평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인 부유용 플레이트 내부에 내장되는 식재용 플레이트의 정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생식물이 식재된 식재용 플레이트의 정단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보강부재 120...수생식물
130...식재판 140...식재용 플레이트
150...지지구 160...부유용 플레이트
170...가로 지지판 180...세로 지지판
190...연결구 200...식재장치 본체부
210...연결 로프
본 발명은 상수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저수시설인 저수지 또는 댐의 수면에 미나리 또는 창포 등과 같은 수질 정화능력이 좋은 식물을 식재하여 식수원의 오염을 예방하면서, 환경 친화적으로 맑고 깨끗한 물을 정수시설로 보내기 위한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상수도 원수를 공급하기위한 저수지 또는 댐등에 부유용 플레이트를 개재하여 수생식물이 식재 되는 식재용 플레이트 설치하여, 이를 연결용 로프를 이용하여 다수개 연결토록 함으로 인하여, 수질 정화능력이 우수한 미나리등과 같은 수생식물을 사전에 논 및 밭등과 같은 재배지에서 일정기간 상기 식재용 플레이트 내부에 식재하여 생장 및 적응되어, 상기 식재용 플레이트를 부유용 플레이트의 내부로 옮겨 저수지 또는 댐등에 위치시켜 식재하여 생장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식재용 플레이트가 탑재된 부유용 플레이트를 다수개 로프로 연결하여 자유롭게 이동 및 설치,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며, 이에 따라 식재 식물의 성장속도와 품종에 따라 간편하게 들어올려 줄기부분과 뿌리부분을 손쉽게 잘라내어 과다한 줄기와 뿌리로 인한 수질 오염을 극소화 시키며, 상수도 원수의 부영양화 현상인 녹조와 질소, 중금속등을 상기 수생식 물을 통하여 환경 친화적으로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한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은, 상수원으로 사용되는 저수지등에 곧바로 수생식물을 이식하거나, 또는 씨를 뿌려 설치장소인 저수지등에 설치함으로 수생식물이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게 되고, 많은 시간이 경과한 후에야 수생식물의 성장에 의해 녹조등을 제거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은 이를 저수지등에 설치후 수년이 경과한 후에야 녹조등을 제거하는 것이나, 수생식물이 과다하게 성장하여 상기 수생식물의 성장한 줄기나 뿌리로 인하여 상수원의 제3의 오염원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와같이 과다하게 성장한 수생식물의 줄기나 뿌리는 이를 손쉽게 제거할 수 없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수도 원수를 공급하기위한 저수지 또는 댐등에 부유용 플레이트를 개재하여 수생식물이 식재 되는 식재용 플레이트 설치하여, 이를 연결용 로프를 이용하여 다수개 연결토록 함으로써, 수질 정화능력이 우수한 미나리등과 같은 수생식물을 식재용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저수지 또는 댐등에 용이하게 식재하여 생장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식재용 플레이트가 탑재된 부유용 플레이트를 다수개 로프로 연결하여 자유롭게 이동 및 설치,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며, 이에 따라 식재 식물의 성장속도와 품종에 따라 간편하게 들어올려 줄기부분과 뿌리부분을 손쉽게 잘라내어 과다한 줄기와 뿌리로 인한 수질 오염을 극소화 시키며, 상수도 원수의 부영양화 현상인 녹조와 질소, 중금속등을 상기 수생식물을 통하여 환경 친화적으로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사각형 보강부재 내부에 수생식물이 식재토록 망상(網狀)으로 형성되는 식재판이 일체로 착설되고, 상기 식재판 저부에는 다수의 지지구가 설치되어 수생식물이 식재 가능토록 설치되는 식재용 플레이트와, 주연에 중공상의 사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유용 플레이트의 저부에 가로 지지판 및 세로 지지판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부유용 플레이트의 양측면에는 연결구가 다수개 돌출 설치되어 수생식물 식재용 플레이트가 내부에 안치토록 저수지등에 설치되는 식재장치 본체부;
삭제
상기 식재장치 본체부의 부유용 플레이트 양측면에 돌출 설치되는 연결구에 연결 설치되어 다수의 부유용 플레이트를 이동 및 설치, 해체가 용이하게 연결 설치되는 연결 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삭제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수생식물 식재용 플레이트와 부유용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상기 식재용 플레이트가 부유용 플레이트의 내부에 안치토록 저수지 등에 설치되는 식재장치 본체부는, 수면에 부유토록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밀폐된 중공상의 스테인레스 스틸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유용 플레이트 내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식재용 플레이트가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수지 또는 댐등에 설치되는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의 설치상태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의 부유용 플레이트의 개략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유용 플레이트 내부에 내장되는 식재용 플레이트의 평면 구조도 및 도 4는 본 발명인 부유용 플레이트 내부에 내장되는 식재용 플레이트의 정단면 구성도로서, 사각형 보강부재(110) 내부에 수생식물(120)이 식재토록 망상(網狀)으로 형성되는 식재판(130)이 일체로 착설되는 식재용 플레이트(140)는, 상기 식재판(130)의 저부에 다수의 지지구(150)가 설치되어 수생식물(120)이 식재 가능토록 설치된다.
또한, 주연에 중공상의 사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유용 플레이트(160)는, 그 저부에는 가로 지지판(170) 및 세로 지지판(180)이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부유용 플레이트(160)의 양측면에는 연결구(190)가 다수개 돌출 설치되어 내부에 수생식물 식재용 플레이트(140)가 내부에 안치토록 저수지 또는 댐등에 식재장치 본체부(2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식재장치 본체부(200)의 부유용 플레이트(160)는, 수면으로 부유토록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용접등에 의해 밀폐된 중공상의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식재장치 본체부(200)의 부유용 플레이트(160) 양측면에 돌출 설치되는 연결구(190)에는, 상기 부유용 플레이트를 다수개 연결 설치하여 이동 및 설치, 해체가 용이하게 연결 로프(210)가 연결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수도 원수를 공급하는 저수지 또는 댐등에 부유식으로 형성된 중공상의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폴리에틸렌등의 항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밀폐상태를 유지하는 식재장치 본체부(200)의 부유용 플레이트(160)가 수위에 따라 항상 수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부유용 플레이트(160)의 저부에는 가로 지지판(170) 및 세로 지지판(180)가 일체로 설치한 후, 그 내부에 식재용 플레이트(140)를 안치시켜 연결 로프(210)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이동 및 설치, 해체가 용이하게 한다.
이때, 상기 식재용 플레이트(140)는 도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각형 보강부재(110) 내부에 수생식물(120)이 식재되어 원활하게 생장할 수 있도록 망상(網狀)으로 형성되는 식재판(130)이 일체로 착설되는 상태에서, 상기 식재판(130)의 저부에 다수의 지지구(150)가 설치되어 수생식물(120)이 식재됨으로써, 식재판(130) 내부에 미나리등과 같은 수질정화능력이 우수한 수생식물(120)을 곧바로 설치장소인 저수지 또는 댐등에 이식하지 않고, 논 또는 밭등과 같은 재배지에서 수개월간 상기 식재용 플레이트(140) 내부에 식재하여 생장 및 적응시킨 후, 상기 식재용 플레이트(140)를 부유용 플레이트(160)의 내부로 옮겨 저수지 또는 댐등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수생식물을 저수지 또는 댐등에 곧바로 이식하여 고사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식재용 플레이트(140)의 식재판(130)에서 생장하는 수생식물(120)은, 그 줄기부분과 뿌리부분을 매년 1회 이상 잘라내어 과다한 줄기와 뿌리가 수질 오염원이 등장하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원수내의 부영양화 현상인 녹조와 질소, 중금속등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수질 정화능력이 우수하게 이루어질 수 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같이 식재판(130)에 식재된 수생식물(120)이 과다하게 성장할 경우, 상기 식재용 플레이트(140)가 안치된 부유용 플레이트(160)는 연결구(190)와 연결된 연결 로프(210)에 의해 다수개 연결 설치됨으로써, 상기 연결 로프(210)를 이용하여, 선박등을 이용하거나 저수지 및 댐의 가장자리로 이동시켜 부유용 플레이트(160)에 탑재되어있는 식재용 플레이트(140)을 들어올려 과다하게 성장한 수생식물(120)의 줄기 및 뿌리등을 칼이나 낫을 이용하여 적당히 절단한 후, 재차 상기 부유용 플레이트(160)를 연결 로프(210)를 이용하여 녹조등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으로 손쉽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에 의하면, 상수도 원수를 공급하기위한 저수지 또는 댐등에 부유용 플레이트를 개재하여 수생식물이 식재 되는 식재용 플레이트 설치하여, 이를 연결용 로프를 이용하여 다수개 연결토록 함으로 인하여, 수질 정화능력이 우수한 미나리등과 같은 수생식물을 사전에 논 및 밭등과 같은 재배지에서 일정기간 상기 식재용 플레이트 내부에 식재하여 생장 및 적응되어, 상기 식재용 플레이트를 부유용 플레이트의 내부로 옮겨 저수지 또는 댐등에 위치시켜 식재하여 생장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식재용 플레이트가 탑재된 부유용 플레이트를 다수개 로프로 연결하여 자유롭게 이동 및 설치,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며, 이에 따라 식재 식물의 성장속도와 품종에 따라 간편하게 들어올려 줄기부분과 뿌리부분을 손쉽게 잘라내어 과다한 줄기와 뿌리로 인한 수질 오염을 극소화 시키며, 상수도 원수의 부영양화 현상인 녹조와 질소, 중금속등을 상기 수생식물을 통하여 환경 친화적으로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4)

  1. 사각형 보강부재(110) 내부에 수생식물(120)이 식재토록 망상으로 형성되는 식재판(130)이 일체로 착설되고, 상기 식재판(130) 저부에는 다수의 지지구(150)가 설치되어 수생식물(120)이 식재 가능토록 설치되는 식재용 플레이트(140)와, 주연에 중공상의 사각형 파이프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유용 플레이트(160)의 저부에 가로 지지판(170) 및 세로 지지판(180)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부유용 플레이트(160)의 양측면에는 연결구(190)가 다수개 돌출 설치되어 상기 수생식물 식재용 플레이트(140)가 내부에 안치토록 저수지등에 설치되는 식재장치 본체부(200);
    상기 식재장치 본체부(200)의 부유용 플레이트(160) 양측면에 돌출 설치되는 연결구(190)에 연결 설치되어, 다수의 부유용 플레이트(160)를 이동 및 설치, 해체가 용이하게 연결 설치되는 연결 로프(21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생식물 식재용 플레이트(140)와 부유용 플레이트(160)로 구성되어, 상기 식재용 플레이트(140)가 부유용 플레이트(160)의 내부에 안치토록 저수지 등에 설치되는 식재장치 본체부(200)는, 수면에 부유토록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밀폐된 중공상의 스테인레스 스틸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용 플레이트(160) 내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식재용 플레이트(140)가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
KR1020050103958A 2005-11-01 2005-11-01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 KR100586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958A KR100586499B1 (ko) 2005-11-01 2005-11-01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958A KR100586499B1 (ko) 2005-11-01 2005-11-01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6499B1 true KR100586499B1 (ko) 2006-06-07

Family

ID=3718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958A KR100586499B1 (ko) 2005-11-01 2005-11-01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64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359B1 (ko) * 2011-09-22 2013-11-20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조름나물의 생육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283A (ja) * 1995-07-24 1997-02-04 Takushin:Kk 水生植物による水浄化用装置
KR100289084B1 (ko) 1999-03-10 2001-04-16 권오병 수변 식물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KR20020074911A (ko) * 2001-03-22 2002-10-04 고려특수화학주식회사 하천과 담수의 수질정화용 부유구조물
KR20030075471A (ko) * 2002-03-19 2003-09-26 김종욱 수질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283A (ja) * 1995-07-24 1997-02-04 Takushin:Kk 水生植物による水浄化用装置
KR100289084B1 (ko) 1999-03-10 2001-04-16 권오병 수변 식물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KR20020074911A (ko) * 2001-03-22 2002-10-04 고려특수화학주식회사 하천과 담수의 수질정화용 부유구조물
KR20030075471A (ko) * 2002-03-19 2003-09-26 김종욱 수질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359B1 (ko) * 2011-09-22 2013-11-20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조름나물의 생육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560B1 (ko) 수질정화 폭기처리 인공식물섬
US20140075841A1 (en) Hydroponic growing system
KR101459622B1 (ko) 식생용 포트와 이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
JP2010035420A (ja) 海藻育成具及びこれを用いた藻場造成方法
KR101478411B1 (ko) 농업용암면패널을 이용한 수직녹화방법 및 장치
KR100586499B1 (ko) 상수원 정화용 수생식물 재배장치
KR101383112B1 (ko) 부력장치가 구비된 화분
KR101146786B1 (ko) 육묘 트레이를 이용한 식물 식재 및 이식방법 및 그 육묘 트레이
KR100264091B1 (ko) 수상식물 재배장치
CN203855455U (zh) 一种沉水植物种植装置
KR100863673B1 (ko) 수생식물 종근블록 및 그 식재방법
CN212035078U (zh) 一种林业专用育苗装置
JPH07136689A (ja) 水の浄化方法
KR20150127326A (ko) 어류의 배설물을 비료로 이용하는 수평 구조의 양어 및 수경재배 수조
CN212065036U (zh) 一种环净化水生态湖园林景观花草栽培设备
KR20210078469A (ko) 벽면 설치용 식물 포트의 적층 설치 구조
CN206570092U (zh) 一种适用于农田排水沟净化生态浮床
CN202340520U (zh) 节水花盆
KR101900934B1 (ko) 녹조류 증식을 방지하기 위한 수생식물 수경재배설비
KR20160101403A (ko) 부유성 작물 재배 장치
CN109168763A (zh) 一种农业苗木种植用育苗装置
KR20090019599A (ko) 수생식물의 식재장치
KR20140087546A (ko) 배수완급조절이 가능한 도로화분
KR102090395B1 (ko) 이중구조를 가지는 걸이식 화분
CN219269731U (zh) 一种育苗的移栽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