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6423B1 - 폴리우레탄폼 주입식 단열재 접착공법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폼 주입식 단열재 접착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6423B1
KR100586423B1 KR1020030007471A KR20030007471A KR100586423B1 KR 100586423 B1 KR100586423 B1 KR 100586423B1 KR 1020030007471 A KR1020030007471 A KR 1020030007471A KR 20030007471 A KR20030007471 A KR 20030007471A KR 100586423 B1 KR100586423 B1 KR 100586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gypsum board
heat insulating
wall
polyurethane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1483A (ko
Inventor
손태창
Original Assignee
손태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태창 filed Critical 손태창
Priority to KR1020030007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423B1/ko
Publication of KR20040071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폼 주입식 단열재 부착공법에 관한 것으로, 벽체(13)에 근접한 바닥슬라브(12)에 다수의 삼각받침대(20)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다수의 주입구멍(15)이 형성된 단열재(14)를 천장슬라브(11)와 바닥슬라브(12) 사이에 끼워 넣어 벽체(13)에 대향시키고 단열재(14)의 수직, 수평을 맞추는 단계와; 상기 단열재(14)의 주입구멍(15)에 폴리우레탄폼(17)을 주입시켜서 벽체(13)와 단열재(14) 사이의 주입공간(16)과 단열재(14)의 주입구멍(15)에 폴리우레탄폼(17)을 충진 및 팽창시켜 벽체(13)에 단열재(14)를 고정지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열재(14) 외면에 석고보드용 우레탄폼(18)을 얇게 도포하는 단계와; 석고보드(19)의 하단이 상기 삼각받침대(20) 상에 안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석고보드(19)를 석고보드용 우레탄폼(18)에 부착시켜 단열재(14)와 석고보드(19)를 밀착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폼 주입식 단열재 부착공법을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벽체(13)에 단열재(14)를 부착고정시키고 단열재(14)의 수직, 수평을 세팅시키기 위해 팽창력이 좋은 폴리우레탄폼(17)을 사용하고 단열재(14)와 석고보드(19)를 부착시키기 위해 발포성이 없는 석고보드용 우레탄폼(18)을 사용하므로 습식인 종래의 석고본드를 사용할 때와는 달리 동절기 공사가 가능하고, 단열재(14)에 석고보드(19)가 밀착고정되므로 석고보드(19)의 파손이 방지될 뿐 아니라, 종래에 비해 건물의 전체 벽면 두께가 감소되어 안목치수가 증가하며, 단열재(14) 및 석고보드(19)의 흘러 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규격화된 삼각받침대(20)를 사용하므로 작업장의 미관을 해치는 않도록 하였다.
벽체, 단열재, 주입구멍 주입공간, 폴리우레탄폼, 석고보드용 우레탄폼, 석고보드, 삼각받침대

Description

폴리우레탄폼 주입식 단열재 접착공법 {insulator the adhesion method for polyurethan foam inject}
도1은 종래 단열재 접착공법을 보이는 개략적 단면도
도2 내지 도5는 본 발명 폴리우레탄폼 주입식 단열재 접착공법을 순차적으로 보이는 단면도들
도6은 본 발명에 접착공법에 의해 다수의 단열재들이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열재를 보이는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삼각받침대를 보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벽체 14 ; 단열재
15 ; 주입구멍 16 ; 주입공간
17 ; 폴리우레탄폼 18 ; 석고보드용 우레탄폼
19 ; 석고보드 20 ; 삼각받침대
본 발명은 단열재 접착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리우레탄폼 주입식 단열재 접착공법에 관한 것이다.
수직면이 고르지 못한 벽체에 단열재(발포스티렌수지)와 석고보드를 부착시키고 석고보드의 수직면을 맞추는 작업은 다음과 같은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3)에 접착제(4)를 도포하고 이에 단열재(5)를 부착시키며 단열재(5) 외면에 스티로폼용 접착제를 바른 후 이에 석고본드(6)를 비교적 두껍게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바르게 된다.(여기서 단열재(5)에 석고본드(6)를 바르기 전에 스티로폼용 접착제를 바르는 이유는 발포스티렌수지인 단열재(5) 면에 석고본드(6)가 직접 붙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석고본드(6)에 석고보드(7)르 부착시키고 석고보드(7)가 수직면을 이루도록 나무망치나 기타 도구로 석고보드(7)의 특정부위를 적절하 두드려서 수직면을 맞추게 되며, 이와 같이 하여 석고보드(7)의 수직면이 맞춰지면 그 하단에 나무조각 등의 받침목(8)이나 벽돌 조각을 받쳐서 석고보드(7)가 하측으로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단열재 및 석고보드 접착공법은 몇가지 문제가 발생되는데, 먼저 석고보드(7)를 부착시키는데 사용되는 석고본드(6)는 분말상태의 석고본드에 일정비율의 물을 섞어 반죽하여 제작되는 습식이므로 동절기에 사용이 불가능하고, 또한 석고보드(7)의 수평, 수직 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석고본드(6)의 부착두께를 비교적 두껍게 하므로 부착된 석고본드(6)에 의해 벽체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져 안목치수가 감소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석고보드(7)가 단열재(5)에 밀착되지 못 하여 외부의 충격시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석고보드(7)의 흘러 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보통 주변에서 사용하다 남은 나무 조각이나 벽돌 조각 등의 받침목(8)을 사용하였는데 이에 따라 작업장의 미관을 해치는 요인이 되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절기 공사가 가능하고, 단열재에 석고보드가 밀착고정되도록 한 폴리우레탄폼 주입식 단열재 접착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폴리우레탄폼 주입식 단열재 접착공법은, 폴리우레탄폼 주입식 단열재 부착공법에 있어서, 벽체에 근접한 바닥슬라브에 다수의 삼각받침대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다수의 주입구멍이 형성된 단열재를 천장슬라브와 바닥슬라브 사이에 끼워 넣어 벽체에 대향시키고 단열재의 수직, 수평을 맞추는 단계와; 상기 단열재의 주입구멍에 폴리우레탄폼을 주입시켜서 벽체와 단열재 사이의 주입공간과 단열재의 주입구멍에 폴리우레탄폼을 충진 및 팽창시켜 벽체에 단열재를 고정지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열재 외면에 석고보드용 우레탄폼을 얇게 도포하는 단계와; 석고보드의 하단이 상기 삼각받침대 상에 안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석고보드를 석고보드용 우레탄폼에 부착시켜 단열재와 석고보드를 밀착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벽체에 단열재를 부착고정시키고 단열재의 수직, 수평을 세팅시키기 위해 팽창력이 좋은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하고 단열재와 석고보드를 부착시키기 위 해 발포성이 없는 석고보드용 우레탄폼을 사용하므로 습식인 종래의 석고본드를 사용할 때와는 달리 동절기 공사가 가능하고, 단열재에 석고보드가 밀착고정되므로 석고보드의 파손이 방지될 뿐 아니라, 종래에 비해 건물의 전체 벽면 두께가 감소되어 안목치수가 증가하며, 단열재 및 석고보드의 흘러 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규격화된 삼각받침대를 사용하므로 작업장의 미관을 해치는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 폴리우레탄폼 주입식 단열재 부착공법은, 벽체(13)에 근접한 바닥슬라브(12)에 다수의 삼각받침대(20)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다수의 주입구멍(15)이 형성된 단열재(14)를 천장슬라브(11)와 바닥슬라브(12) 사이에 끼워 넣어 벽체(13)에 대향시키고 단열재(14)의 수직, 수평을 맞추는 단계와; 상기 단열재(14)의 주입구멍(15)에 폴리우레탄폼(17)을 주입시켜서 벽체(13)와 단열재(14) 사이의 주입공간(16)과 단열재(14)의 주입구멍(15)에 폴리우레탄폼(17)을 충진 및 팽창시켜 벽체(13)에 단열재(14)를 고정지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열재(14) 외면에 석고보드용 우레탄폼(18)을 얇게 도포하는 단계와; 석고보드(19)의 하단이 상기 삼각받침대(20) 상에 안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석고보드(19)를 석고보드용 우레탄폼(18)에 부착시켜 단열재(14)와 석고보드(19)를 밀착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바,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벽체(13)의 외면은 보통 수직,수평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데, 벽체(13) 전체에 미장을 고르게 하기가 힘들 뿐 아니라 발라진 시멘트가 하측으로 처지면서 벽체(13)의 수평, 수직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13)에 근접한 바닥슬라브(12)에 다수의 삼각받침대(20)를 위치시키고, 다수의 주입구멍(15)이 형성된 단열재(14)를 천장슬라브(11)와 바닥슬라브(12) 사이에 끼워 넣어 벽체(13)에 대향시킨 후, 단열재(14)의 수직, 수평을 맞추게 된다.
여기서 단열재(14)는 폴리스티렌 수지를 사용하는바, 압출발포폴리스티렌 수지나 발포폴리스티렌 수지를 사용하며, 이러한 단열재(14)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주입구멍(15)이 형성된다. 이 주입구멍(15)은 가로 900mm, 세로 2400mm의 단열재(14)에 대략 9개 정도 형성될 수 있으며, 주입구멍(15)의 갯수 및 지름은 필요에 따라 더 많거나 적게, 더 크거나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벽체(13)에 단열재(14)를 위치시키고 그 수평,수직을 세팅시킨 후 도3과 같이 단열재(14)의 주입구멍(15)을 통해 폴리우레탄폼(17)을 주입시키게 된다.
이 폴리우레탄폼(17)은 제작시 원료 배합 비율을 달리하여 그 팽창 정도를 크게하거나 작게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는 팽창 정도가 비교적 큰 폴리우레탄폼(17)을 사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폴리우레탄폼(17)을 단열재(14)의 주입구멍(15)에 주입시키면 벽체(13)와 단열재(14) 사이의 주입공간(16)과 단열재(14)의 주입구멍(15)에 주입되면서 팽창되어 벽체(13)에 단열재(14)를 견고히 고정지지시키게 되므로 수직,수 평상태를 유지한 단열재(14)가 그대로 고정지지된다.
한편 삼각받침대(20)는 도8과 같은 형상을 가지며, 단열재(14) 저면에 지지되어서 단열재(14)가 하측으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삼각받침대(20)는 내부가 빈 삼각 기둥 형상이고,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다수의 삼각받침대(20)를 구비하여 단열재(14)들을 연속 지지하면 작업장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도6은 이러한 공법에 의해 다수의 단열재(14)를 부착시킨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한편 폴리우레탄폼(17)에 의해 벽체(13)에 단열재(14)가 부착고정되면 단열재(14) 외면에 석고보드용 우레탄폼(18)을 얇게 도포하는바, 이 석고보드용 우레탄폼(18)은 발포성이 없는 것을 사용한다.
즉, 석고보드용 우레탄폼(18)을 제조할시 우레탄폼의 원료 배합 비율을 조절하여서 발포성이 없게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석고보드용 우레탄폼(18)을 도4와 같이 단열재(14) 외면에 얇게 도포한 후 이에 도4와 같이 석고보드(19)를 부착시키고 도5와 같이 이를 단열재(14)에 눌러 밀착시킨다.
이때 석고보드(19)의 하단은 삼각받침대(20) 상단에 지지되므로 석고보드(19)가 하측으로 흘러 내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 폴리우레탄폼 주입식 단열재 부착공법은, 여러가지 장점을 갖는다.
먼저, 본 발명 폴리우레탄폼 주입식 단열재 부착공법은, 종래의 단열재 부착 공법에 비해 그 작업성이 매우 편리하고 효과적인바, 종래에는 넓은 벽면에 본드를 도포한 후 이에 단열재를 눌러 부착시킨 반면에, 본 발명 단열재 접착공법은, 벽체(13)에 단열재(14)를 위치시킨 후 단열재(14)의 수평,수직을 맞추고 단열재(14)의 주입구멍(15)에 팽창력이 비교적 좋은 폴리우레탄폼(17)을 주입시키면 벽체(13)와 단열재(14) 사이의 주입공간(16) 및 주입구멍(15)에서 폴리우레탄폼(17)이 팽창되면서 단열재(14)를 벽체(13)에 밀착고정시키게 하였다.
그러므로 9개의 주입구멍에 폴리우레탄폼(17) 분사노즐을 위치시키고 분사시키면 이들 사이에 폴리우레탄폼(17)이 주입되면서 벽체(13)에 단열재(14)가 고정지지되므로 작업시 작업자가 유해 성분인 접착제를 흡입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작업이 편리하며 신속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13)에 단열재(14)를 부착시키고 단열재(14)에 석고보드(19)를 부착시키기 위해 종래의 습식 석고본드가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건식인 폴리우레탄폼(17)과 석고보드용 우레탄폼(18)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동절기 공사가 가능하여 계절에 관계없이 작업할 수 있으므로 공기가 단축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 폴리우레탄폼 주입식 단열재 부착공법은, 단열재(14)가 이미 수직,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석고보드(19)를 이에 부착고정시키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석고보드의 수직,수평을 맞추기 위해 단열재와 석고보드 석고본드를 두껍게 도포하였던 종래와는 달리, 본 발명 단열재(14)에 석고보드용 우레탄폼(18) 을 얇게 도포한 다음 석고보드(19)를 단열재(14)에 밀착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단열재(14)와 석고보드(19)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석고보드(19)의 파손이 방지될 뿐 아니라, 종래에 비해 건물의 전체 벽면 두께가 감소되어 안목치수가 증가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폼 주입식 단열재 접착공법에 의하면, 벽체(13)에 단열재(14)를 부착고정시키고 단열재(14)의 수직, 수평을 세팅시키기 위해 팽창력이 좋은 폴리우레탄폼(17)을 사용하고 단열재(14)와 석고보드(19)를 부착시키기 위해 발포성이 없는 석고보드용 우레탄폼(18)을 사용하므로 습식인 종래의 석고본드를 사용할 때와는 달리 동절기 공사가 가능하고, 단열재(14)에 석고보드(19)가 밀착고정되므로 석고보드(19)의 파손이 방지될 뿐 아니라, 종래에 비해 건물의 전체 벽면 두께가 감소되어 안목치수가 증가하며, 단열재(14) 및 석고보드(19)의 흘러 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규격화된 삼각받침대(20)를 사용하므로 작업장의 미관을 해치는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폴리우레탄폼 주입식 단열재 부착공법에 있어서,
    벽체(13)에 근접한 바닥슬라브(12)에 다수의 삼각받침대(20)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다수의 주입구멍(15)이 형성된 단열재(14)를 천장슬라브(11)와 바닥슬라브(12) 사이에 끼워 넣어 벽체(13)에 대향시키고 단열재(14)의 수직, 수평을 맞추는 단계와;
    상기 단열재(14)의 주입구멍(15)에 폴리우레탄폼(17)을 주입시켜서 벽체(13)와 단열재(14) 사이의 주입공간(16)과 단열재(14)의 주입구멍(15)에 폴리우레탄폼(17)을 충진 및 팽창시켜 벽체(13)에 단열재(14)를 고정지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열재(14) 외면에 석고보드용 우레탄폼(18)을 얇게 도포하는 단계와;
    석고보드(19)의 하단이 상기 삼각받침대(20) 상에 안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석고보드(19)를 석고보드용 우레탄폼(18)에 부착시켜 단열재(14)와 석고보드(19)를 밀착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폼 주입식 단열재 부착공법.
KR1020030007471A 2003-02-06 2003-02-06 폴리우레탄폼 주입식 단열재 접착공법 KR100586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471A KR100586423B1 (ko) 2003-02-06 2003-02-06 폴리우레탄폼 주입식 단열재 접착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471A KR100586423B1 (ko) 2003-02-06 2003-02-06 폴리우레탄폼 주입식 단열재 접착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483A KR20040071483A (ko) 2004-08-12
KR100586423B1 true KR100586423B1 (ko) 2006-06-07

Family

ID=37359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471A KR100586423B1 (ko) 2003-02-06 2003-02-06 폴리우레탄폼 주입식 단열재 접착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64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829A (ko) * 2017-09-25 2019-04-03 (주)휴이스 간격유지부재와 주입기를 이용한 내벽 단열재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724B1 (ko) * 2013-04-19 2017-08-30 (주)엘지하우시스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 조성물, 패스너 및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의 설치 방법
KR102258273B1 (ko) * 2020-09-17 2021-05-28 강희준 환기구 캡
CN112160452A (zh) * 2020-10-30 2021-01-01 中国建筑第四工程局有限公司 一种外墙保温结构及其施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829A (ko) * 2017-09-25 2019-04-03 (주)휴이스 간격유지부재와 주입기를 이용한 내벽 단열재 시공방법
KR101968121B1 (ko) * 2017-09-25 2019-04-11 (주)휴이스 간격유지부재와 주입기를 이용한 내벽 단열재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483A (ko) 200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08347A1 (en) Reinforced wall structures and methods
KR200452381Y1 (ko)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US9903149B2 (en) Thermal break for use in construction
KR101023964B1 (ko) 단열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마감구조
KR101673277B1 (ko)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 및 이를 이용한 드라이비트 외벽단열공법
KR20200035815A (ko)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상하 결합구조
KR100586423B1 (ko) 폴리우레탄폼 주입식 단열재 접착공법
JP2019038236A (ja) コンクリートパネル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法並びに型枠
KR101287987B1 (ko) 건축물용 벽체의 단열재 시공방법
WO2007069826A1 (en) Coupling device for anchoring construction material onto the ceiling
JP2021059852A (ja) 建築用プラスチック板材の構造
KR20200035817A (ko)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하부 결합구조
JP2020029759A (ja) 軽量自立壁、及び軽量自立壁の施工方法
KR20130015097A (ko) 단열재 및 석고보드 고정방법
KR101498580B1 (ko) 단열 및 내진 석재 시공 및 보강방법
JP3224387U (ja) 建築用プラスチック板材の構造
KR102214758B1 (ko) 건축물의 외단열에 사용되는 pf석재패널 등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패널 시공법
KR100434865B1 (ko) 단열재 부착 석재패널의 제조방법
JPH07102655A (ja) 断熱パネル及び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098702B1 (ko) 공동주택의 칸막이벽 구조
KR100720953B1 (ko) 에이엘씨 스톤패널
KR101810768B1 (ko) 강화 eps 단열재의 제조방법, 강화 eps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보강재 부착 단열 패널
KR100729851B1 (ko) 건축물 단열 소재의 시공 방법
JP5950313B2 (ja) 建物壁の断熱化工法、断熱建物壁
JPH10237985A (ja) 構築用中空ブロックによる躯体壁・擁壁、その躯体壁・擁壁の構築に使用される中空ブロック、躯体壁・擁壁の構築方法及びその構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