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786B1 -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상태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상태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786B1
KR100585786B1 KR1020040097656A KR20040097656A KR100585786B1 KR 100585786 B1 KR100585786 B1 KR 100585786B1 KR 1020040097656 A KR1020040097656 A KR 1020040097656A KR 20040097656 A KR20040097656 A KR 20040097656A KR 100585786 B1 KR100585786 B1 KR 100585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s
characteristic
user
sho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8570A (ko
Inventor
이명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7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786B1/ko
Publication of KR20060058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상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촬영 모드에서는 메모리 상태를 확인할 수 없어 촬영 후 저장 버튼을 누를때에만 저장여부를 알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영상을 저장하기 전 촬영모드가 아닌 다른 메뉴를 통해 남은 메모리를 확인할 경우에도 남은 메모리가 용량으로만 표시되어 저장공간이 조금 남아있을 경우, 저장하고자 하는 영상이 차지할 용량을 알기 힘들기 때문에 저장 여부가 확실치 않아 중요한 순간의 영상을 저장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잔류 메모리가 작은 경우 촬영 수준을 얼마나 조절해야 영상 저장이 가능할 것인지도 시도해보기 전에는 알 수 없어 반복적인 조작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촬영할 영상 특성에 따른 파일 크기 테이블과 사용자가 설정하는 순차적인 영상 특성 순위를 이용하여 촬영 모드에서 촬영 가능한 영상의 수를 표시하도록 하고, 현재 설정한 촬영 영상 특성에 따른 파일 크기 보다 작은 메모리만 남은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특성 순위를 기반으로 각 특성 레벨을 낮추어 저장 가능한 최선의 영상 특성을 찾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 전에 영상 저장 가능성을 알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메모리 잔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상태 관리 방법{PHOTOGRAPHING STATUS MANAGEMEN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FUNCTION}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전체 동작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수동모드 동작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자동모드 동작 과정을 보인 순서도.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상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영시 촬영 가능한 영상의 양을 표시하며, 현재 촬영 설정에 비해 잔류 용량이 작은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순서에 맞추어 영상 특성 수준을 낮추도록 하여 잔류 용량을 이용할 수 있는 최적의 촬영 상태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상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성능 및 기능 개선 역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 두드러지는 이동통신 단말 기의 개선 방향은 보다 화려한 표시부와,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생성 및 재생 기능의 개발이다.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모두 수만 칼라 이상의 색 표현 특성을 가지는 대형 화면을 가지고 있고, 카메라등이 내장되어 메가 픽셀 이상의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으며,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상기 화면을 통해 촬영한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 기능은 멀티미디어 관련 기능을 강조하는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본 기능으로 부가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대단히 높은 수준의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여 이동통신 기능이 부가된 카메라로 간주될 정도가 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이러한 카메라 기능은 그 태생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가되는 기능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카메라 자체의 성능은 수백만 화소급으로 폭발적인 개선을 보였지만 이를 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은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미흡한 카메라 기능 어플리케이션의 문제점은 현재 촬영되는 영상의 저장 가능성을 사용자가 미리 알기 어렵다는 점이다. 즉, 촬영 모드로 진입한 경우에는 영상 저장이 가능한 메모리의 정보를 확인할 수 없으며, 영상 저장에 할당된 총 메모리와 사용 메모리, 사용 가능한 메모리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촬영 모드를 벗어나야만 한다. 그리고, 이러한 단순한 용량으로 제공되는 메모리 정보로는 대략적인 촬영 가능성만을 알 수 있을 뿐, 현재 설정된 촬영 상태로 몇장의 사진을 더찍을 수 있는지를 알 수 없다.
종래의 카메라 기능 동작에 의한 영상 저장 과정은 대단히 단순히 구성되어 있는데, 이동단말기로 영상촬영 후 저장을 하면 방금 저장한 영상이 차지하는 메모리만큼 사용한 메모리가 늘어나게 되고 그만큼 사용 가능한 메모리가 줄어들게 된다. 사용자가 영상 촬영 후 저장 동작을 여러 번 하게 될 경우 사용 가능한 메모리는 점점 줄어들게 되어 어느 시점에서는 사용자가 해상도, 흑백 또는 칼라, 화질설정, 연속촬영 등의 촬영 상태를 설정한 후 영상 저장버튼을 누르게 되면 메모리가 부족하다는 메시지가 나타나고 원하는 영상을 저장하지 못하게 된다.
즉, 이동단말기의 촬영모드에서는 남은 저장 용량을 알 수 없어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의 저장공간이 부족할 경우 영상을 촬영한 후 저장버튼을 눌렀을 때에만 그 사실을 알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당황할 수 있으며, 좋은 장면을 촬영할 기회를 상실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가능한 메모리가 조금 남았을 경우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영상들을 지우지 않고 새로운 영상을 저장하고 싶을 때 영상의 어떠한 특성(해상도, 흑백 또는 칼라, 화질설정, 연속촬영)의 수준을 얼마나 변경해야 저장할 수 있을지 모르기 때문에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겪은 후에 저장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저장될 영상의 특성 수준을 변경할 때마다 메모리 절약효과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특성을 가진 영상과 최대한 근접한 영상을 저장하기가 힘들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촬영이 실패하면, 대략적으로 대단히 낮은 수준으로 촬영 상태를 변경한 후 촬영을 재 시도하기 때문에 해상도를 약간 낮추면 칼라 사진이 저장될 수 있는데도 흑백으로 촬영하거나, 흑백으로 촬영하면 높은 해상도로 저장할 수 있는데도 아주 낮은 해상도로 촬영을 실시하게 되어 마지막 사진의 품질이 극히 나빠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촬영 모드에서는 메모리 상태를 확인할 수 없어 촬영 후 저장 버튼을 누를때에만 저장여부를 알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영상을 저장하기 전 촬영모드가 아닌 다른 메뉴를 통해 남은 메모리를 확인할 경우에도 남은 메모리가 용량으로만 표시되어 저장공간이 조금 남아있을 경우, 저장하고자 하는 영상이 차지할 용량을 알기 힘들기 때문에 저장 여부가 확실치 않아 중요한 순간의 영상을 저장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잔류 메모리가 작은 경우 촬영 수준을 얼마나 조절해야 영상 저장이 가능할 것인지도 시도해보기 전에는 알 수 없어 반복적인 조작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촬영할 영상 특성에 따른 파일 크기 테이블과 사용자가 설정하는 순차적인 영상 특성 순위를 이용하여 촬영 모드에서 촬영 가능한 영상의 수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촬영 전에 영상 저장 가능성을 알 수 있도록 하고, 가장 크기가 작은 영상 특성의 파일 크기 이상이며 현재 설정한 촬영 영상 특성에 따른 파일 크기 보다 작은 메모리만 남은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특성 순위를 통해 저장 가능한 최선의 영상 특성을 선택하여 메모리 잔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하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상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촬영 영상의 특성에 따른 파 일 크기 정보가 저장되는 제 1단계와; 사용자가 자신의 촬영 기호에 맞추어 선호하는 영상 특성 순위를 지정하여 저장시키는 제 2단계와; 촬영 모드 진입시와 매 촬영 실시후 사용 가능한 영상 메모리의 양을 현재 설정된 촬영 영상 특성에 따른 파일 크기로 나누어 촬영 가능한 영상의 수를 산출하여 표시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촬영 가능한 영상의 수가 0보다 크다면 촬영을 실시한 후 다시 3단계로 복귀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사용 가능한 영상 메모리의 양이 촬영 영상의 특성에 따른 파일 크기 정보 중 가장 작은 크기 미만인 경우 메모리 부족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제 5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사용 가능한 영상 메모리의 양이 현재 설정된 촬영 영상 특성에 따른 파일 크기보다는 작고 촬영 영상의 특성에 따른 파일 크기 정보 중 가장 작은 크기 이상인 경우라면 상기 영상 특성 순위에 따라 자동적으로 최적의 영상 특성이 결정되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한 영상 특성이 선택된 후 상기 제 3단계로 진행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단계에서 사용 가능한 영상 메모리의 양이 현재 설정된 촬영 영상 특성에 따른 파일 크기보다는 작고 촬영 영상의 특성에 따른 파일 크기 정보 중 가장 작은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영상 특성 순위에 따라 영상 품질을 한단계 낮추어 영상 특성을 재설정 한 후 상기 사용 가능한 영상 메모리에 저장 가능한 영상의 수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의 결과 저장 가능한 영상의 수가 0인 경우 저장 가능한 영상의 수가 0보다 큰 수가 될때까지 상기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순서도로서,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촬영 모드에서 현재 설정된 영상 특성으로 몇장의 영상을 더 저장할 수 있는지 표시하는 기능과, 현재 영상 특성으로 촬영하는 경우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 자동적으로(혹은 수동으로) 사용자가 기 설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 영상 특성을 조절하여 현재 남은 메모리에 사용자 취향에 따른 최적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인 것에 주의한다.
이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 기능 을 통해 촬영할 영상의 특성을 사용자가 지정하는 경우, 해당 영상 특성을 가지는 촬영 결과 영상을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표준적인 파일 크기(혹은 최대 파일 크기) 테이블이 단말기에 구비되어야 한다. 즉,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에서 설정 가능한 해상도, 흑백/컬러, 화질, 연속 촬영 등의 영상 특성으로 촬영 상태를 설정한 경우 그 결과 영상이 차지할 파일크기 테이블(각각의 특성마다 복수의 설정 단계들을 가지므로 이들의 모든 조합에 대한 영상 파일 크기를 구해 테이블 화함)을 단말기에 저장하여, 영상 저장용 메모리의 저장 가능한 메모리 공간에 현재 설정된 영상 특성으로 몇장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을 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남은 메모리 용량이 현재 설정한 영상 특성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기에는 모자란 경우, 상기 영상 특성을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하는 본 발명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어떠한 특성의 설정 단계를 낮추어 사용자의 취향 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저장 용량을 줄이도록 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을 마련한다. 이는 카메라 메뉴에 새로운 메뉴를 부가하여 사용자가 소정의 특성에 대한 우선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예를 들어, 해상도, 흑백/칼라, 화질, 연속촬영등에 대해서 우선권을 설정할때, 해상도를 가장 높은 우선 순위로 두고, 흑백/칼라, 화질, 연속촬영 순으로 우선권을 설정했다면, 먼저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 연속촬영 모드인지 확인하여 연속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수를 줄이는 동작을 할 수 있다. 만일 연속촬영 모드가 아니라면 화질을 낮추어 사용 색상을 줄이거나 압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렇게 낮은 우선권의 특성 단계들을 줄여나가다가 한계에 이르면 다음 특성을 선택하여 해당 특성의 단계들을 줄여나가면서 그때 필요한 저장 공간과 남은 메모리 저장 용량을 비교하여 저장이 가능해지는 최적의 영상 특성을 찾을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두가지 기본적인 설정을 이용하여 도 1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고자 할 때 촬영모드를 선택하여 해상도, 흑백 또는 칼라, 화질설정, 연속촬영 등 저장하고자 하는 영상의 특성을 설정한다(S10). 그리고, 상기 설정한 영상특성에 따른 예상 저장 파일 크기를 전술했던 바와 같이 단말기에 저장해 둔 영상 특성에 따른 파일크기 테이블에서 찾아 현재 가용메모리를 상기 파일크기로 나누어 저장 가능한 영상의 수를 계산한다(S20). 이때, 저장 가능한 영상의 수를 확인(S30)하여 그 수가 0보다 클 때는 연속촬영 모드인지를 확인(S40)하고, 0일 때는 영상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모든 특성의 레벨을 최하로 낮추었을 때의 저장크기(영상이 저장되기위한 최소 크기, 영상 특성에 따른 파일크기 테이블에서 가장 작은 크기)와 현재 남은 메모리의 크기를 비교(S80)한다. 상기 단계(S80)에서, 영상 특성에 따른 파일크기 테이블에서 가장 작은 파일크기가 현재 남은 메모리 크기보다 크면 메모리 부족을 알리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영상 특성 변경 자동여부(S90)에 따라 수동모드나 자동모드를 실행하여 저장한다. 상기 수동 모드와 자동 모드는 이후 도 2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할 것이다.
상기 단계 S40의 판단 결과, 현재 모드가 연속촬영 모드인 경우 현재 저장 가능한 영상 수와 설정된 연속 촬영 수를 비교(S50)하여 저장 가능한 영상 수보다 연속 촬영 수가 클 경우에는 특성변경 자동 여부(S60)에 따라 수동모드로 다시 해상도, 흑백 또는 칼라, 화질설정, 연속촬영 등을 변경하거나 자동모드로 미리 지정해 놓은 특성 순서대로 레벨들을 낮추어 원하는 영상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설정한다. 이후 이전 단계(S30)로 진행하여 상기 판단 과정을 다시 거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저장 가능한 영상 수가 연속 촬영 수보다 클 경우에는 정상적인 설정이기 때문에 연속 촬영을 통해 설정된 연속 촬영 수 만큼의 영상을 저장한다(S70).
저장 가능한 영상의 수가 0보다 크면서, 연속촬영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촬영할 영상을 정상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상태이므로 촬영되는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을 간추린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카메라로 영상 촬영 시 사용자가 선택한 해상도, 흑백 또는 칼라, 화질설정, 연속촬영여부 특성을 가지는 영상의 저장 가능한 개수를 영상특성에 따른 파일크기 테이블을 참고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선택한 특성을 가지는 영상을 촬영 시 저장공간이 부족할 경우 저장 가능한 영상의 개수에 0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영상 특성에 따른 파일크기 테이블에서 가장 작은 파일크기보다 남은 저장공간이 작을 경우 메모리 부족 메시지를 알린다(이때는 기존 영상을 지우는 등의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하지만, 영상 특성에 따른 파일크기 테이블에서 가장 작은 파일크기보다 남은 저장공간이 큰 경우라면, 사용자가 직접 영상의 특성 레벨을 변경하거나 자동 특성변경 모드를 사용한다. 수동 변경 모드일 때에는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임의로 영상의 특성레벨을 변경하여 저장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며, 자동 특성변경 모드일 경우에는 미리 저장한 특성변경 우선 순위대로 저장할 공간이 생길 때 까지 특성의 레벨들이 자동적으로 변경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저장을 선택하기 전에 특성 설정을 바꾼다면, 그때마다 남은 영상 저장 개수를 업데이트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한 특성으로 영상을 촬영 후 저장버튼을 선택하면 저장한다.
위와 같은 전체적인 동작 설명 중 사용되는 수동 모드와 자동 모드는 현재 저장 가능한 영상의 수는 0이지만, 영상 특성에 따른 파일크기 테이블에서 가장 작은 파일크기보다 남은 저장공간이 큰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영상 특성을 적절히 변경하도록 하여 저장 가능한 영상의 수를 0 이상이 되게 하는 기능이다. 여기서, 수동 모드는 수동적인 특성 조작 후 저장 가능한 영상의 수를 표시하는 기능을 사용자가 확인하여 저장 가능한 영상 특성을 찾아내는 모드이다.
도 2는 상기 도1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저장하기에는 메모리공간이 부 족할때, 영상의 특성의 레벨을 사용자가 직접 변경하는 수동모드의 동작 과정을 보인 것이다. 도1에서 설정한 해상도, 흑백 또는 칼라, 화질, 연속촬영 특성에 맞는 영상을 저장하기에는 저장공간이 부족한 상태이므로 해상도, 흑백 또는 칼라, 화질, 연속촬영 등을 사용자가 수작업을 통해 재설정(S100)한다. 변경한 특성을 가지고있는 영상의 크기를 영상특성에 따른 파일크기 테이블에서 찾아 현재 사용 가능한 메모리를 찾은 크기로 나눈다(S110). 그리고, 저장 가능한 영상의 수를 파악(S120)하여 그 값이 0일 때에는 영상의 특성을 다시 설정해주는 단계(S100)로 가고, 0이 아닐 때에는 연속촬영 모드여부를 확인(S130)하여 연속촬영 모드가 아닐 때에는 영상을 촬영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며, 연속촬영 모드일 경우에는 저장 가능한 영상의 수와 연속촬영 수를 비교(S140)하여 연속촬영 수보다 저장 가능한 영상의 수가 클 경우에는 연속 촬영 수만큼 영상을 저장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영상의 특성을 다시 설정(S100)한다. 이는 사용자의 수동적인 조작이 요구되는 경우이다.
도3은 상기 도1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저장하는 공간이 부족하여 영상의 특성 레벨을 변경할 때 미리 설정해놓은 우선순위에 따라 특성의 레벨들을 자동으로 변경해주는 자동모드에 대한 동작 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평소에 해상도, 흑백 또는 칼라, 화질, 연속촬영 등과 같은 특성들 중에서 중요시 여기는 순서대로 우선 순위를 설정해야 한다. 만일, 사용자가 도1에서 설정한 영상 특성에 맞는 영상의 남은 저장 개수가 0이며, 최저 특성 수준의 영상 파일크기보다 남은 메모리가 작을 경우에는 메모리 부족을 알리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특성 레벨 변경을 자동으로 실시하는 다음 과정이 수행된다.
우선, 최하 우선순위 특성에 대해 설정된 현재 레벨이 최하 레벨인지를 확인하고(S200) 현재 설정이 해당 특성에 대해 최하 레벨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역순으로 영상 특성 레벨을 확인하여 최하 레벨이 아닌 특성을 찾아 현재 레벨보다 한 단계 낮추고(S210) 최하우선순위의 특성에 대한 현재 레벨이 최하 레벨이 아닌 경우에는 그 특성의 레벨을 한단계 낮춘다(S220). 즉, 우선 순위가 낮은 특성부터 설정 레벨을 줄여나가며, 최하 레벨인 경우 현재의 특성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특성의 설정 레벨을 줄여나가는 순이다.
상기 과정을 통해 변경한 특성의 레벨을 만족하는 영상의 크기를 영상 특성에 따른 파일크기 테이블에서 찾아 현재 사용 가능한 메모리 영역을 찾은 크기로 나눈다(S230). 만일 저장 가능한 영상의 수를 판단(S240)하여 그 수가 0일 때에는 최근 변경한 특성의 레벨이 최저 레벨인지를 확인(S270)하고 0보다 클 경우에는 연속 촬영모드(S250)여부를 확인하여 연속 촬영모드가 아닐 경우에는 현재 영상 특성 설정으로 촬영을 실시하여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단계 S250에서 연속 촬영모드로 판단되면, 저장 가능한 영상의 수와 연속 촬영 수를 비교(S260)하여 저장 가능한 영상 수가 연속촬영 수보다 클 경우에는 연속촬영 수만큼 현재 영상 특성 설정으로 영상을 연속 촬영 및 저장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최근 변경한 특성의 레벨을 확인(S270)하여 특성 변경한 우선순위보다 한단계 높은 특성의 레벨을 한단계 낮추거나(S280) 최근 변경한 특성의 레벨을 한단계 낮춘 후(S290) 영상 저장 개수를 계산하는 단계(S230)로 가서 저장 가능한 영상 수를 확인한다. 저장 가능한 영상의 수가 0보다 크고 연속 촬영모드 조건 등을 만족할 때까지 상기 과정들을 반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특성을 가진 영상에 최대한 근접하게 하도록 촬영할 영상의 특성을 결정하고, 촬영을 실시한 후 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촬영모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특성 즉, 원하는 해상도, 흑백 또는 칼라영상, 화질, 연속촬영 여부 등을 기준으로 하여 앞으로 저장 가능한 영상의 개수를 표시함으로써 선택한 특성을 가지는 영상을 저장할 공간이 부족할 경우 파일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영상의 특성을 변경하거나 기존의 저장된 영상을 삭제하여 원하는 영상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영상의 저장공간이 부족하여 영상의 특성 변경 시 자동 특성변경 기능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덜 선호하는 특성의 레벨부터 자동으로 변경하고 최하 레벨까지 변경하며, 저장공간이 부족할 경우 그 다음으로 덜 선호하는 특성의 레벨을 바꾸는 동작을 반복하여 사용자가 평소 원하는 특성을 가진 영상과 최대한 근접한 영상을 저장할 수 있게 되므로 영상 저장용 메모리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상태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영상 촬영 시 저장 가능한 영상의 개수를 미리 앎으로써 영상 저장 공간이 부족할 경우 저장버튼을 누른 후에만 알던 기존의 방법보다 빨리 기존의 저장공간을 정리하거나 영상의 특성을 변경하여 원하는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촬영모드에서 영상을 저장하기 전에 남은 영상저장 개수가 0일 경우 기존의 저장했던 영상들을 삭제하거나 해상도 낮춤, 흑백 전환, 저화질, 1회 촬영 등의 모드로 바꾸어 영상저장 공간을 확보한 후 저장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해상도, 흑백 또는 칼라, 화질설정, 연속촬영 등 우선순위를 미리 설정하여 그러한 설정을 이용하게 될 경우 메모리 부족 시 이동단말기가 자동으로 사용자가 최하순위로 설정한 특성의 레벨부터 변경하여 영상이 저장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촬영 영상의 특성에 따른 파일 크기 정보가 저장되는 제 1단계와;
    사용자가 자신의 촬영 기호에 맞추어 선호하는 영상 특성 순위를 지정하여 저장시키는 제 2단계와;
    촬영 모드 진입시와 매 촬영 실시후 사용 가능한 영상 메모리의 양을 현재 설정된 촬영 영상 특성에 따른 파일 크기로 나누어 촬영 가능한 영상의 수를 산출하여 표시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촬영 가능한 영상의 수가 0보다 크다면 촬영을 실시한 후 다시 3단계로 복귀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사용 가능한 영상 메모리의 양이 촬영 영상의 특성에 따른 파일 크기 정보 중 가장 작은 크기 미만인 경우 메모리 부족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제 5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사용 가능한 영상 메모리의 양이 현재 설정된 촬영 영상 특성에 따른 파일 크기보다는 작고 촬영 영상의 특성에 따른 파일 크기 정보 중 가장 작은 크기 이상인 경우라면 상기 영상 특성 순위에 따라 자동적으로 최적의 영상 특성이 결정되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한 영상 특성이 선택된 후 상기 제 3단계로 진행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상태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저장 가능한 영상의 수가 0보다 크다면, 촬영 모드가 연속 촬영 모드인지를 판단하여 아닌경우 촬영되는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다시 3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촬영 모드가 연속 촬영 모드인 경우 연속 촬영을 실시할 영상의 수보다 촬영 가능한 영상의 수가 많거나 같으면 연속 촬영을 실시한 후 다시 3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연속 촬영을 실시할 영상의 수보다 촬영 가능한 영상의 수가 작으면 상기 영상 특성 순위에 따라 자동적으로 최적의 영상 특성이 결정되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한 영상 특성이 선택된 후 상기 제 3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상태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사용 가능한 영상 메모리의 양이 현재 설정된 촬영 영상 특성에 따른 파일 크기보다는 작고 촬영 영상의 특성에 따른 파일 크기 정보 중 가장 작은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영상 특성 순위에 따라 영상 품질을 한단계 낮추어 영상 특성을 재설정 한 후 상기 사용 가능한 영상 메모리에 저장 가능한 영상의 수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의 결과 저장 가능한 영상의 수가 0인 경우 저장 가능한 영상의 수가 0보다 큰 수가 될때까지 상기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상태 관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특성 순위에 따라 영상 품질을 한단계 낮추어 영상 특성을 재설정 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 순위 중 최하위 순위를 가지는 특성의 설정 레벨을 한단계씩 낮추고, 해당 특성의 설정 레벨이 최하위인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 이전 순위보다 한단계 높은 순위의 특성을 선택한 후 해당 특성의 설정 레벨을 한단계씩 낮추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상태 관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특성 순위에서 순위가 결정되는 특성들은 해상도, 흑백/칼라, 화질, 연속 촬영의 수를 포함하며, 각각의 특성마다 복수의 설정 레벨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상태 관리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단계를 통해 저장 가능한 영상의 수가 0보다 큰 경우, 연속 촬영 모드인지 판단하여 연속 촬영 모드가 아니거나, 연속 촬영 모드인 경우라도 연속 촬영을 실시할 영상의 수보다 저장 가능한 영상의 수가 많거나 같으면 제 4단계로 진행하여 촬영을 실시하고, 연속 촬영 모드이며 연속 촬영을 실시할 영상의 수보다 촬영 가능한 영상의 수가 작으면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영상 특성 순위를 한단계 낮추어 가용한 영상 메모리에 저장가능한 영상의 수를 계산하는 과정을 연속 촬영을 실시할 영상의 수보다 저장 가능한 영상의 수가 많거나 같을 때까지 반복한 후 제 4단계로 진행하여 촬영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상태 관리 방법.
KR1020040097656A 2004-11-25 2004-11-25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상태 관리방법 KR100585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656A KR100585786B1 (ko) 2004-11-25 2004-11-25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상태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656A KR100585786B1 (ko) 2004-11-25 2004-11-25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상태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570A KR20060058570A (ko) 2006-05-30
KR100585786B1 true KR100585786B1 (ko) 2006-06-07

Family

ID=37153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656A KR100585786B1 (ko) 2004-11-25 2004-11-25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상태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7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725B1 (ko) 2005-12-05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동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4547A (ko) 2013-04-17 2014-10-2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KR102182419B1 (ko) 2013-06-28 2020-11-2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CN110032421B (zh) * 2019-04-18 2021-09-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内存中图集的管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725B1 (ko) 2005-12-05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동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570A (ko) 200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04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igh dynamic range image
JP4972579B2 (ja) 電子機器および再生装置
US20020171747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control thereof
US201503415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image resolution
US8587693B2 (en) Determination of storage availability for files to be stored at one or more device quality parameter settings
US697063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9692971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switching from reproduction mode to shooting mode and displaying live view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717424B (zh) 图像处理设备、摄像设备及其控制方法
JP2003274280A (ja) 電子カメラ
US20060274180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585786B1 (ko)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상태 관리방법
JP2004012655A (ja) 携帯型画像表示装置
JP2003274268A (ja) シーン選択機能を有する撮像装置
CN110300268A (zh) 摄像头切换方法及设备
US8441555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with electronic zoom and recording size setting,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for
US7483054B2 (en) Image unsharpness test method for a camera device
US20050134708A1 (en) Control method of digital camera
JP2001197347A (ja) 情報記録装置、情報取得方法、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US20120327266A1 (en) Extending a digital camera focus range
KR10061089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영상을 촬영하는 방법
CN114979493A (zh) 用于拍照app的存储空间节省平台
JP2000217022A (ja) 電子スチルカメラおよびその画像デ―タ記録再生方法
JP2003324651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8083243A (ja) 撮影装置及び露出制御方法
CN114915851A (zh) 一种视频录制及播放方法、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