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740B1 - 이어폰 잭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어폰 잭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740B1
KR100585740B1 KR1020030072787A KR20030072787A KR100585740B1 KR 100585740 B1 KR100585740 B1 KR 100585740B1 KR 1020030072787 A KR1020030072787 A KR 1020030072787A KR 20030072787 A KR20030072787 A KR 20030072787A KR 100585740 B1 KR100585740 B1 KR 100585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video
line
earphone jack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7301A (ko
Inventor
김흥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2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740B1/ko
Publication of KR20050037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를 이어폰 잭을 통해 TV에서 볼 수 있는 이어폰 잭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어폰 플러그 또는 비디오 플러그가 삽입되는 이어폰 잭과, 이어폰 모드 및 비디오 모드를 선택하는 조작 키와, 후술하는 프로세서에서 나온 스피커 라인 및 마이크 라인을 상기 이어폰 잭과 연결시키거나 오디오 라인 및 비디오 라인을 상기 이어폰 잭과 연결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조작 키의 이어폰 모드 또는 비디오 모드 선택 입력에 따라 그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치의 연결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어폰 잭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는 휴대 단말기{MOBILE PHONE FOR TRANSMITTING IMAGE THROUGH EARPHONE JACK}
도 1은 이어폰 잭 및 비디오 잭이 내장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의 평면도.
도 2(a)는 이어폰 잭, 도 2(b)는 이어폰 잭에 연결되는 이어폰 플러그의 예시도.
도 3(a)는 비디오 잭, 도 3(b)는 비디오 잭에 연결되는 비디오 연결장치의 예시도.
도 4는 종래 이어폰 잭 및 비디오 잭이 내장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잭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잭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비디오 연결장치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이어폰 잭 20 : 비디오 잭
30 : 프로세서 40 : 조작 키
50 : 스위치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를 이어폰 잭을 통해 TV에서 볼 수 있는 이어폰 잭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카메라 기능이 내장된 휴대 단말기 즉, 카메라 폰이 사용자들에게 인기를 누리고 있다. 카메라 폰으로 사진을 찍거나 동영상을 촬영하여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메인 화면에서 사진이나 동영상을 보게 되나, 휴대 단말기를 TV에 연결하여 TV 화면에서 볼 수도 있다.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를 TV에서 보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기를 TV에 연결해야 하므로, 휴대 단말기에는 TV 연결을 위한 비디오 잭이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이어폰 잭 및 비디오 잭이 내장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0은 이어폰 잭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20은 비디오 잭을 나타낸다. 이어폰 잭(10) 및 비디오 잭(20)은 각각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설치되어, 이어폰 잭(10)에는 이어폰 장치가 연결되고 비디오 잭(20)에는 휴대 단말기와 TV를 연결시키는 비디오 연결장치가 연결된다.
도 2에서 (a)는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이어폰 잭(10)의 예시도를 나타내고, (b)는 이어폰 잭(10)에 삽입되는 이어폰 플러그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이어폰 플러그는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이어폰 장치의 일부분으로서, 도 2(b)에 도시된 이어폰 플러그는 마이크 접속자(MIC), 우측 스피커 접속자(SP_R), 좌측 스피커 접속자(SP_L) 및 그라운드 접속자(GND)로 구성되어 이어폰 잭(10)의 접속구멍(11)에 삽입된다.
도 3에서 (a)는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비디오 잭(20)의 예시도를 나타내고, (b)는 비디오 잭(20)에 연결되는 비디오 연결장치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3(b)에 도시된 비디오 연결장치의 비디오 플러그는 비디오 접속자(VIDEO), 좌측 오디오 접속자(AUDIO_L) 및 우측 오디오 접속자(AUDIO_R)로 구성되어 각각 비디오 잭(20)의 접속구멍(21, 22, 23)에 삽입된다.
도 4는 종래 이어폰 잭 및 비디오 잭이 내장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 잭(10)은 프로세서(30)와 스피커 라인(SP_L, SP_R) 및 마이크 라인(MIC)으로 연결되어 있고, 비디오 잭(20)은 프로세서(30)와 비디오 라인(VIDEO) 및 오디오 라인(AUDIO_L, AUDIO_R)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도 4에 표시된 라인들의 표기를 대응하는 부분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에 표시된 접속자들의 표기와 동일하게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TV에서 휴대 단말기의 영상신호를 보기 위해서,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는 이어폰 잭(10)과 별도로 비디오 잭(20)을 설치해야 하므로 비디오 잭(20)의 부피만큼 휴대 단말기의 크기가 증가되는 문제점 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비디오 잭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이어폰 잭만을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영상신호를 TV에서 볼 수 있도록 한 이어폰 잭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어폰 플러그 또는 비디오 플러그가 삽입되는 이어폰 잭과, 이어폰 모드 및 비디오 모드를 선택하는 조작 키와, 후술하는 프로세서에서 나온 스피커 라인 및 마이크 라인을 상기 이어폰 잭과 연결시키거나 오디오 라인 및 비디오 라인을 상기 이어폰 잭과 연결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조작 키의 이어폰 모드 또는 비디오 모드 선택 입력에 따라 그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치의 연결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폰 플러그 또는 비디오 플러그가 삽입되는 이어폰 잭과, 스피커 라인, 오디오 라인, 마이크 라인 및 비디오 라인이 나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라인 및 오디어 라인은 공통 라인으로 상기 이어폰 잭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 라인 및 비디오 라인은 개별적으로 상기 이어폰 잭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이어폰 플러그가 상기 이어폰 잭에 연결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라인을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공통 라인을 스피커 라인으로 유지하고, 상기 비디오 플러그가 연결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피커 라인을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만들어 상기 공통 라인을 오디오 라인으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잭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비디오 연결장치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비디오 연결장치는 비디오 플러그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는데, 이 비디오 플러그는 기존의 이어폰 장치의 이어폰 플러그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 즉, 도 2(a)에 도시된 이어폰 플러그가 마이크 접속자(MIC), 우측 스피커 접속자(SP_R), 좌측 스피커 접속자(SP_L) 및 그라운드 접속자(GND)로 구성되어 있는 것과 대응하여, 비디오 플러그는 비디오 접속자(VIDEO), 좌측 오디오 접속자(AUDIO_L), 우측 오디오 접속자(AUDIO_R) 및 그라운드 접속자(GND)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비디오 플러그를 구성하면 종래 휴대 단말기에 별도로 설치해야 했던 비디오 잭(20)이 필요 없기 때문에 이어폰 잭(10)만으로 휴대 단말기의 영상신호를 TV에서 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잭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는 이어폰 잭(10), 프로세서(30), 조작 키(40) 및 스위치(50)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폰 잭(10)에는 이어폰 플러그 및 이어폰 플러그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비디오 플러그가 삽입된다.
스위치(50)는 프로세서(30)에서 나온 스피커 라인(SP_L, SP_R) 및 마이크 라인(MIC)을 이어폰 잭(10)에 연결하거나, 오디오 라인(AUDIO_L, AUDIO_R) 및 비디오 라인(VIDEO)을 이어폰 잭(10)에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프로세서(30)는 조작 키(40)의 입력에 따라 스위치(5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스위치(50)의 연결 동작을 제어한다.
조작 키(40)는 사용자가 이어폰 장치를 사용하거나 비디오 연결장치를 연결하여 TV에서 영상을 보려고 할 때 모드 선택용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스위치(50)는 디폴트(default)로서 평상시에는 스위치 단자(51, 52)가 스피커 라인(SP_L, SP_R)(1, 2)에 연결되고, 스위치 단자(53)가 마이크 라인(MIC)(5)에 연결되어 있다. 즉, 초기에는 휴대 단말기가 이어폰 모드에 있으므로 조작 키(40)에 의한 조작 없이 이어폰 잭(10)에 이어폰 장치를 연결하여 핸즈 프리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영상신호를 TV에서 보기 위해서는 조작 키(40)를 눌러 이어폰 모드에서 비디오 모드로 전환한다. 조작 키(40)에 의해 비디오 모드가 선택되면 프로세서(30)는 스위치(50)에 제어신호를 보낸다. 이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치(50)는 스위치 단자(51, 52)를 오디오 라인(AUDIO_L, AUDIO_R)(3, 4)에 연결하고, 스위치 단자(53)를 비디오 라인(VIDEO)(6)에 연결한다. 마찬가지로 다시 조작 키(40)를 눌러 이어폰 모드로 전환하면 스위치 단자(51, 52)가 스피커 라인(SP_L, SP_R)(1, 2)에 연결되고, 스위치 단자(53)가 마이크 라인(MIC)(5)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조작 키(40)의 조작에 따라 스위치(50) 내부의 단자들의 접속형태가 변하게 되므로 하나의 이어폰 잭을 사용하더라도 핸즈 프리 기능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의 영상신호를 TV에서 볼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6에서는 4구 이어폰 잭(10) 및 스위치(50)를 사용하고 있지만, 도 7에서는 5구 이어폰 잭(10')을 사용하고 스위치(50) 및 조작 키(40)가 생략되어 있다.
프로세서(30)에서 스피커 라인, 오디오 라인, 마이크 라인 및 비디오 라인이 모두 나오나 스피커 라인 및 오디어 라인이 공통 라인으로 이어폰 잭(10')에 연결되어 있고, 마이크 라인 및 비디오 라인은 각각 개별적으로 이어폰 잭(10')에 연결되어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이어폰 플러그와 비디오 플러그의 구성이 동일하였으나, 도 7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어폰 플러그로서 4구 플러그를 사용하고, 비디오 플러그로서 5구 플러그를 사용한다.
평상 시에 프로세서(30)에 입력되는 제어신호는 0으로서 접지 상태에 있으며 이어폰 플러그가 연결되어도 접지 상태를 유지한다.
즉, 5구 이어폰 잭(10')에 4구 이어폰 플러그를 연결하면 4구 이어폰 플러그의 접속자가 각각 이어폰 잭(10')의 잭 단자(1, 2, 3, 4)에 접속되지만 잭 단자(5)에는 접속되지 않으므로, 프로세서(30)에 입력되는 제어신호는 0(접지)을 유지한다. 제어신호가 0일 때 프로세서(30)는 오디오 라인을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만들어 오디오 신호가 이어폰 잭(10')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공통 라인이 스피커 라인이 되도록 하여 스피커 신호만이 들어가도록 한다.
다음, 이어폰 잭(10')에 5구 비디오 플러그를 연결하면 5구 비디오 플러그의 접속자가 각각 이어폰 잭(10')의 잭 단자(1, 2, 3, 4) 및 단자(5)에 접속되면서, 프로세서(30)에 입력되는 제어신호는 0(접지)에서 1(VCC)로 된다. 제어신호가 1이 되면 프로세서(30)는 스피커 라인을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만들어 스피커 신호가 이어폰 잭(10')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공통 라인이 오디오 라인이 되도록 하여 오디오 신호만이 들어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을 TV로 볼 때 휴대 단말기에 별도의 비디오 잭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이어폰 플러그 또는 비디오 플러그가 삽입되는 이어폰 잭과,
    이어폰 모드 및 비디오 모드를 선택하는 조작 키와,
    후술하는 프로세서에서 나온 스피커 라인 및 마이크 라인을 상기 이어폰 잭과 연결시키거나 오디오 라인 및 비디오 라인을 상기 이어폰 잭과 연결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조작 키의 이어폰 모드 또는 비디오 모드 선택 입력에 따라 그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치의 연결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는 휴대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플러그는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구성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는 휴대 단말기.
  3. 이어폰 플러그 또는 비디오 플러그가 삽입되는 이어폰 잭과,
    스피커 라인, 오디오 라인, 마이크 라인 및 비디오 라인이 나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라인 및 오디어 라인은 공통 라인으로 상기 이어폰 잭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 라인 및 비디오 라인은 개별적으로 상기 이어폰 잭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이어폰 플러그가 상기 이어폰 잭에 연결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라인을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공통 라인을 스피커 라인으로 유지하고, 상기 비디오 플러그가 연결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피커 라인을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만들어 상기 공통 라인을 오디오 라인으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는 휴대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잭은 5구 잭으로 되어 있고, 상기 이어폰 플러그는 4구 플러그로 되어 있으며, 상기 비디오 플러그는 5구 플러그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는 휴대 단말기.
KR1020030072787A 2003-10-18 2003-10-18 이어폰 잭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는 휴대 단말기 KR100585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787A KR100585740B1 (ko) 2003-10-18 2003-10-18 이어폰 잭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는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787A KR100585740B1 (ko) 2003-10-18 2003-10-18 이어폰 잭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301A KR20050037301A (ko) 2005-04-21
KR100585740B1 true KR100585740B1 (ko) 2006-06-07

Family

ID=3724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787A KR100585740B1 (ko) 2003-10-18 2003-10-18 이어폰 잭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7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919B1 (ko) 2004-08-13 201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아날로그 스위치를 이용한 오디오/비디오 신호와 헤드폰신호의 선택적 출력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919B1 (ko) 2004-08-13 201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아날로그 스위치를 이용한 오디오/비디오 신호와 헤드폰신호의 선택적 출력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301A (ko) 200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6996B1 (en) Transmitter-receiver
KR20060011603A (ko) 전압 분배를 이용한 다기능 이어키 장치 및 그를 이용한무선통신 단말기
US20060234771A1 (en) Headset adapter for IP or digital phone
US20070026908A1 (en) Earphone device with separabl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KR100585740B1 (ko) 이어폰 잭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는 휴대 단말기
KR101454240B1 (ko) 이어잭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JP4509315B2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電話
KR20090041000A (ko) 휴대 단말기의 이어 잭 감지 방법 및 장치
KR200239871Y1 (ko) 헤드셋 연결 키보드
KR200356181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와 음악 기기를 겸용으로 사용하기위한 다기능 이어폰 장치
CN109144933B (zh) USB Type-C接口电路及电子设备
KR10044674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4극 이어잭을 이용한 유에스비 통신장치
KR10066413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장치
KR200194028Y1 (ko) 탈착식 이어폰이 내장되어 있는 유·무선 화상전화기
KR200217174Y1 (ko) 키입력 장치를 구비한 인터넷 폰 인터페이스 장치
KR200209082Y1 (ko) 인터넷폰의 입출력 스위칭장치
KR100712899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06831B1 (ko) 이어폰 장치
KR101537697B1 (ko) 휴대 단말기
KR20040029604A (ko) 디지털 카메라의 플러그
KR200279081Y1 (ko) 스피이커와 헤드셋 절환 스위치가 부착된 컴퓨터용 키보드
KR200368159Y1 (ko) 메모리부가 구비된 이어폰 장치
KR101466026B1 (ko) 휴대 단말기
KR200208021Y1 (ko) 증폭기를 내장한 컴퓨터용 커넥터
KR200283163Y1 (ko) 다중 통화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