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293B1 - 전자레인지의 전장실배기덕트구조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전장실배기덕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293B1
KR100582293B1 KR1020030072129A KR20030072129A KR100582293B1 KR 100582293 B1 KR100582293 B1 KR 100582293B1 KR 1020030072129 A KR1020030072129 A KR 1020030072129A KR 20030072129 A KR20030072129 A KR 20030072129A KR 100582293 B1 KR100582293 B1 KR 100582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ir
rear cover
microwave ove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6441A (ko
Inventor
정의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2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293B1/ko
Publication of KR20050036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장실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마그네트론으로 직접 송풍함과 동시에 전자레인지 외부로 배출시키는 전장실배기덕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전장실배기덕트구조는, 블로워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115)와, 흡입된 공기가 마그네트론측으로 송풍되도록 안내하는 공기유로(110d)가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배면에 고정되어, 상기 공기흡입구(115)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전장실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면카바(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면카바(130)의 일측은 상기 본체부(110)에 걸림고정되고, 타측은 스크류(S)에 의해 상기 본체부(110)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되면, 배면카바(130)의 고정이 용이해짐은 물론 견고하게 고정되는 이점이 있다.
전자레인지, 전장실배기덕트, 걸림고정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전장실배기덕트구조{A structure of ventilation duct in electric room for Microwave oven}
도 1은 일반적인 상업용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전장실배기덕트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전장실배기덕트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를 보인 부분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전장실배기덕트 110: 본체부
110a: 외측가이드 110b: 내측가이드
110c: 저면부 110d: 공기유로
111: 상측배기덕트 113: 하측배기덕트
115: 공기흡입구 117: 공기분리가이드
130: 배면카바 200: 걸림홈
210: 체결공 300: 걸림돌기
310: 관통공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장실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마그네트론으로 직접 송풍함과 동시에 전자레인지 외부로 배출시키는 전장실배기덕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전류의 공급에 의하여 마그네트론에서 마이크로웨이브파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파를 음식물 등의 피 가열물에 조사하는 것에 의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전자레인지는, 소형의 마그네트론을 구비하는 가정용 전자레인지와, 대형 또는 복수개의 마그네트론을 구비하는 상업용 전자레인지로 구분된다.
또한 전자레인지는 음식물을 가열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되는데, 가정용 전자레인지는 음식물이 회전하는 글라스 트레이방식이 일반적이며, 상업용 전자레인지는 주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파를 산란시키는 스티러팬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한편 상업용 전자레인지는 사용 빈도가 많은 편의점이나, 짧은 시간안에 음식물을 조리해야 하는 음식점에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가정용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출력이 요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상업용 전자레인지(이하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상업용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배기덕트를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자레인지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Out Case)와, 케비티(Cabity 20) 와, 전장실(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비티(20)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40)가 포함된다.
아웃케이스는 전자레인지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그 내부에 설치되는 케비티(2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아웃케이스는 소정의 강도를 지닌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아웃케이스는 케비티(20)를 중심으로 설치되는데, 케비티(20)의 상면과 양측면을 동시에 커버하는 어퍼 플레이트(Upper Plate 11)와, 하면을 보호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13), 케비티(3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 (Front Plate 15), 그리고 케비티(30)의 배면을 보호하는 백 플레이트(Back Plate 17)로 구성된다.
상기 케비티(20)는 실질적으로 음식물등의 조리물이 조리되는 공간으로, 전방으로 개구된 대략 사각형의 박스로 구성된다. 즉 개구된 전방을 통해 음식물이 투입되며, 조리 완료된 음식물이 취출된다.
상기 케비티(20)의 상방, 즉 외측 상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마그네트론에 의해 생성된 마이크로웨이브파를 케비티(20) 내부로 안내하는 도파관(2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파관(21)의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스티러팬을 구동시키는 동기모타(M)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도파관(21)은 케비티(20)의 외측 상면뿐 아니라, 외측 하면에도 설치된다. 따라서 케비티(20)의 상하면에 도파관(21)이 각각 설치되면, 케비티 (20) 내부로 주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파는 상방으로부터 하방, 그리고 하방으로부 터 상방으로 주사된다.
상기 전장실(30)은 상기 아웃케이스의 내부 우측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케비티(20)를 구동하는 다수개의 전장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장실(30) 내부에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 31)와 마그네트론 (Magnetron 33), 블로워팬(Blower Fan 35), 캐패시터(Capacitor 37), 노이즈필터(Noise Filter 39)등 다수개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다수개의 전장 부품, 특히 트랜스포머(31)와 마그네트론(33)은 상기 케비티(20) 내부로 주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파를 생성시키는 역할을 하는데,이 과정에서 상기 전장 부품은 고온의 열을 발열하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동안 전장실(3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뜨거워진 전장실(30)을 냉각시키기 위해서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해야 하는데, 이것은 상기 블로워팬(35)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블로워팬(35)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이 팬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실질적으로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처럼 송풍팬이 회전하면 전장실(30)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트랜스포머(31) 주위를 지나 흡입되므로, 상기 트랜스포머(31)가 자연 냉각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상기 전장실(30)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블로워팬(35)의 일측에는 전장실배기덕트(5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전장실배기덕트(50)는 상기 블로워팬(3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마그네트론(33)을 경유하여 전장실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활을 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백 플레이트(17)에 는 상기 전장실배기덕트(50)에 의해 안내된 공기가 전자레인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구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장실배기덕트(50)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 도 2에 보여지는 바를 기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장실배기덕트(50)는 본체부(51)와 배면카바(53)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본체부(51)는 상기 블로워팬(35)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마그네트론으로 송풍하는 역활을 하며, 그 좌측에는 상기 블로워팬(35)과 연통되는 공기흡입구(5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51)의 내벽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입구(51a)의 우측에는 흡입되는 공기가 상측 및 하측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공기가이드(5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51)에는 그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측 및 하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상측배기덕트(51c)와 하측배기덕트(51d)가 형성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배면카바(53)는 상기 본체부(51)의 좌측 상면에 밀착되는 구성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공기흡입구(51a)와 공기가이드(51b)의 상면을 복개한다.
한편, 상기 배면카바(53)는 상기 본체부(51)의 상면에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고정된다. 즉, 상기 본체부(51)의 상면 테두리에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를 도포한 다음 상기 배면카바(53)를 부착하면, 상기 배면카바(53)가 본체부(51) 상면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면카바(53)가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본체부(51) 상면에 고정된 상태의 전장실배기덕트(50) 내부에는 전장실의 가열된 상태의 공기가 유입된다. 이러한 고온의 공기는 상기 전장실배기덕트(50)와 접하여 전장실배기덕트(50)로 열을 전달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배면카바(53)를 고정하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가 열에 의해 녹게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고정된 배면카바(53)의 고정상태가 느슨해지며, 급기야 상기 배면카바(53)가 본체부(51)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면카바(53)가 본체부(51)에 밀착 고정되지 않으면, 상기 블로워팬(35)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상측배기덕트(51c)와 하측배기덕트(51d)로 공급되지 못하고 전장실 내부로 역류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면카바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배면카바의 고정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전자레인지의 전장실배기덕트구조는, 블로워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와, 흡입된 공기가 마그네트론측으로 송풍되도록 안내하는 공기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고정되어,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전장실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면카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면카바는 카바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카바체결수단은, 상기 배면카바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면카바의 일측이 본체부에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돌기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과; 상기 배면카바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면카바의 타측이 스크류에 의해 본체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관통공과;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스크류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돌기는 다수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면카바의 관통공과 본체부의 체결공은 각각 다수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배면카바가 본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가능해지며, 전장실배기덕트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전장실 내부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전자레인지의 전장실배기덕트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전장실배기덕트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요부를 보인 부분사시도이다.
먼저 전자레인지는 아웃케이스와, 다수개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 그 리고 조리될 조리물이 투입되는 케비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의 내부에는 전장실배기덕트가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장실배기덕트(100)는 본체부(110)와 배면카바(1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실질적인 전장실배기덕트(100)를 구성하는 것으로 외측가이드(110a)와 내측가이드(110b) 및 저면부(110c)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110a,110b)는 저면부(110c)에 의해 연결된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 저면부(110c)를 기준하면, 상기 가이드(110a,110b)가 저면부(110c)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110a,110b)와 저면부(110c)는 일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기 가이드(110a,110b)와 저면부(110c)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기유로(110d)가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유로(110d)는 블로워팬(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아래에서 설명할 공기분리가이드에 의해 상측 및 하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110a,110b)는 우방으로 각각 절곡되며, 그 내부에는 상측배기덕트(111)와 하측배기덕트(113)가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상측배기덕트(111)는 아래에서 설명할 공기분리가이드에 의해 블로워팬(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상측배기덕트(111)의 출구측에는 상측마그네트론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상측배기덕트(111)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는 상측마그네트론을 향해 직접 토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측배기덕트(113)는 아래에서 설명할 공기분리가이드에 의해 블로워팬(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하방으로 안내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하측배기덕트(113)의 출구측에는 하측마그네트론이 설치되고 상기 하측배기덕트(113)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는 하측마그네트을 향해 직접 토출된다.
한편 상기 외측가이드(110a)의 대략 좌측 중간에는 블로워팬(도시되지 않음)과 연통되는 것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1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흡입구(115)의 우방,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가이드(110b)의 좌면에는 대략 삼각형의 공기분리가이드(117)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흡입구(115)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분리가이드(117)에 의해 상하로 분리되며, 상술한 상측배기덕트(111)와 하측배기덕트(113)로 각각 공급된다.
상기 내측가이드(110b)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배면카바의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20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홈(200)은 상기 내측가이드(110b)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가이드(110a)의 좌측 선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배면카바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체결공(2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체부(110)가 형성되는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부(110)는 상술한 구성요소인 가이드(110a,110b), 저면부(110c) 그 리고 공기분리가이드(117)를 각각 별도의 부재로 마련한 다음, 서로 조립 또는 접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구성요소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본체부(110)의 형상을 위한 몰드(Mold)를 제작한다. 그리고 제작된 몰드에 합성수지 원료를 주입한 다음, 소정의 고형화(固形化) 과정을 거치고 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본체부(110)가 완성된다. 물론 상기 본체부(110)를 제작하는 몰드의 일부를 수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홈(200)과 체결공(210)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걸림홈(200)은 완성된 상태의 본체부(110),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가이드(110b)의 일부를 절개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체결공(210) 또한 펀칭 또는 드릴등에 의해 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즉 상기 본체부(110)가 이루어지는 것은 몰드에 의해 한꺼번에 형성되는 것 외에도, 설계상의 편의 또는 제작공정에 따라 보다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체부(110)의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공기흡입구(115)와 공기분리가이드(117)의 상면에는 배면카바(130)가 설치된다.
상기 배면카바(130)의 우측 선단부에는 우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장부(131)는 상하에 각각 2곳에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131)의 선단부에는 하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부(133)의 하단에는 재차 우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30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걸림돌기(300)는 상술 한 본체부(110)의 상기 걸림홈(200)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배면카바(130)의 좌측 테두리에는 상기 본체부(110)의 체결공(210)과 대응되는 관통공(310)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면카바(130)는 상기 본체부(110)가 이루어지는 것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면카바(130) 형상을 가진 몰드에 합성수지원료를 주입한 다음 고형화 단계를 거치면, 상기와 같은 구조의 배면카바(130)가 완성된다. 물론 몰드에 의한 방법외에도 보다 다양한 방법에 의해 배면카바(130)가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상기 걸림돌기(300)는 배면카바(130)와 일체로 이루어지지 않고, 별도부재를 고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체부(110)와 배면카바(130)가 서로 조립되는 것에 의해 전장실배기덕트(100)로 이루어지는 것을 살펴본다.
먼저 본체부(110)를 평편한 바닥 또는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110)의 걸림홈(200)과 체결공(210)이 상면 또는 외부로 드러나야 함은 당연하다. 이후 상기 본체부(110)의 걸림홈(200)에 배면카바(130)의 걸림돌기(300)를 삽입하면, 상기 걸림돌기(300)가 내측가이드(110b)의 하면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배면카바(130)의 우측이 유동되지 않는다. 즉 걸림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배면카바(130)의 우측 하면이 상기 내측가이드(110b)의 상면에 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면카바(130)의 우측이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배면카바(130)의 좌측을 후방으로 내리면, 배면카바(130)의 좌측 하면이 상기 외측가이 드(110a)의 상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관통공(310)이 본체부(110)의 체결공(210)과 연통된다. 이후 상기 관통공(310)과 체결공(210)에 스크류(S)를 체결하면, 상기 배면카바(130)가 본체부(110) 상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물론 상기 배면카바(130)가 본체부(130)에 고정되면, 상기 본체부(110)의 공기흡입구(115)와 공기분리가이드(117)가 외부와 차단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장실배기덕트(100)의 후방에는 배기가이드가 설치되는데, 상기 배기가이드는 상측마그네트론과 하측마그네트론을 통과한 공기가 전자레인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부와 배면카바로 구성되는 전장실배기덕트에 있어서, 상기 배면카바의 일측은 걸림고정되고 타측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됨을 기본적인 사상으로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보다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전자레인지의 전장실배기덕트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배면카바의 우측은 걸림돌기에 의해 본체부에 걸림고정되고, 좌측은 스크류에 의해 본체부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되면, 별도의 외력 예를 들면 드라이브로 상기 스크류를 풀지않는 한 상기 배면카바가 본체부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배면카바의 고정이 견고해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배면카바를 본체부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 외에도 배면카바를 정위치로 맞추어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배면카바의 걸림돌기를 본체부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배면카바의 위치가 맞추어지므로, 배면카바가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는 이점과 배면카바의 고정작업이 용이해지는 이점도 있다.
한편 상기 배면카바가 본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면, 배면카바가 본체부에서 분리되지 않음은 물론 배면카바와 본체부 사이로 공기가 누설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되면, 블로워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상하측 마그네트론으로 다량 송풍되므로 마그네트론의 냉각이 확실해지는 이점도 기대된다.
또한, 전장실 내부의 가열된 공기가 전자레인지 외부로 배출되는 것도 가능해진다.

Claims (4)

  1.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와, 흡입된 공기가 마그네트론측으로 안내되도록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고정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전장실 내부로 역류방지하는 배면카바;
    상기 배면카바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면카바의 일측 본체부에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홀;
    상기 배면카바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면카바의 타측이 체결부재에의해 본체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 및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포함되는 전자 레인지의 전장실배기덕트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30072129A 2003-10-16 2003-10-16 전자레인지의 전장실배기덕트구조 KR100582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129A KR100582293B1 (ko) 2003-10-16 2003-10-16 전자레인지의 전장실배기덕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129A KR100582293B1 (ko) 2003-10-16 2003-10-16 전자레인지의 전장실배기덕트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441A KR20050036441A (ko) 2005-04-20
KR100582293B1 true KR100582293B1 (ko) 2006-05-22

Family

ID=37239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129A KR100582293B1 (ko) 2003-10-16 2003-10-16 전자레인지의 전장실배기덕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29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441A (ko)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17408B1 (en) Air circulation structure for microwave oven
KR0120669Y1 (ko) 강제대류식 전자렌지의 모터보호덮개
KR100582293B1 (ko) 전자레인지의 전장실배기덕트구조
KR20050120474A (ko) 전자렌지
KR19990062782A (ko) 가스 배출용 가이드부를 갖는 전자렌지
KR100633172B1 (ko) 빌트인 타입 전기오븐의 냉각시스템
KR100582294B1 (ko) 전자레인지의 전장실배기덕트어셈블리
KR100635661B1 (ko)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하부공기유로
KR100553046B1 (ko) 전자레인지
KR200337670Y1 (ko) 전자레인지의 블로워팬구조
KR100621253B1 (ko)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배기덕트 고정구조
KR100609174B1 (ko) 전자레인지의 베이스 플레이트 구조
KR200337671Y1 (ko) 전자레인지 블로워팬의 송풍팬구조
KR100547694B1 (ko) 전자레인지 상부덕트의 고정구조
JP7090583B2 (ja) 加熱調理器
KR100582305B1 (ko) 전자레인지의 백 플레이트구조
KR100582296B1 (ko) 전자레인지의 상부덕트
KR200337673Y1 (ko) 전자레인지 스테인리스카바의 접지구조
AU2004282479B2 (en) A microwave oven and an upper duct structure thereof
KR100633171B1 (ko) 빌트인 타입 전기오븐의 냉각시스템
KR200154065Y1 (ko) 전자렌지
KR200337675Y1 (ko) 전자레인지의 전선 연결구조
KR100996351B1 (ko) 전자레인지의 트림키트 어셈블리
KR101012354B1 (ko) 전자 레인지
KR100582295B1 (ko) 전자레인지의 백 플레이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