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671Y1 - 전자레인지 블로워팬의 송풍팬구조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 블로워팬의 송풍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671Y1
KR200337671Y1 KR20-2003-0032463U KR20030032463U KR200337671Y1 KR 200337671 Y1 KR200337671 Y1 KR 200337671Y1 KR 20030032463 U KR20030032463 U KR 20030032463U KR 200337671 Y1 KR200337671 Y1 KR 2003376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wing
blower fan
mai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2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6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6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6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 블로워팬의 송풍팬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송풍팬구조는, 공기를 내측으로 흡입함과 동시에 흡입된 공기를 외측으로 송풍하는 다수개의 주날개(130a)와; 상기 주날개부(130a)의 일측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것에 의해 팬모터를 냉각시키는 다수개의 보조날개(130b)와; 상기 주날개(130a)와 보조날개(130b) 사이에 형성되어, 그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면(15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주날개(130a)와 보조날개(130b)는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송풍팬(100)이 회전하는 동안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 블로워팬의 송풍팬구조{A structure of ventilation-fan of Blow-fan for Microwave oven}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의 블로워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로워팬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워팬의 송풍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전류의 공급에 의하여 마그네트론에서 마이크로웨이브파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파를 음식물 등의 피 가열물에 조사하는 것에 의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전자레인지는, 소형의 마그네트론을 구비하는 가정용 전자레인지와, 대형 또는 복수개의 마그네트론을 구비하는 상업용 전자레인지로 구분된다.
또한 전자레인지는 음식물을 가열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되는데, 가정용 전자레인지는 음식물이 회전하는 글라스 트레이방식이 일반적이며, 상업용 전자레인지는 주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파를 산란시키는 스티러팬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한편 상업용 전자레인지는 사용 빈도가 많은 편의점이나, 짧은 시간안에 음식물을 조리해야 하는 음식점에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가정용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출력이 요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상업용 전자레인지(이하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상업용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블로워팬의 송풍팬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자레인지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Out Case)와, 케비티(Cabity 20)와, 전장실(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비티(20)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40)가 포함된다.
아웃케이스는 전자레인지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그 내부에 설치되는 케비티(2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아웃케이스는 소정의 강도를 지닌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아웃케이스는 케비티(20)를 중심으로 설치되는데, 케비티(20)의 상면과 양측면을 동시에 커버하는 어퍼 플레이트(Upper Plate 11)와, 하면을 보호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13), 케비티(3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 (Front Plate 15), 그리고 케비티(30)의 배면을 보호하는 백 플레이트(Back Plate 17)로 구성된다.
상기 케비티(20)는 실질적으로 음식물등의 조리물이 조리되는 공간으로, 전방으로 개구된 대략 사각형의 박스로 구성된다. 즉 개구된 전방을 통해 음식물이 투입되며, 조리 완료된 음식물이 취출된다.
상기 케비티(20)의 상방, 즉 외측 상면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마그네트론에 의해 생성된 마이크로웨이브파를 케비티(20) 내부로 안내하는 도파관(2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파관(21)의 일측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스티러팬을 구동시키는 동기모터(M)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도파관(21)은 케비티(20)의 외측 상면뿐 아니라, 외측 하면에도 설치된다. 따라서 케비티(20)의 상하면에 도파관(21)이 각각 설치되면, 케비티 (20) 내부로 주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파는 상방으로부터 하방, 그리고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주사된다.
상기 전장실(30)은 상기 아웃케이스의 내부 우측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케비티(20)를 구동하는 다수개의 전장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장실(30) 내부에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 31)와 마그네트론 (Magnetron 33), 블로워팬(Blower Fan 35), 캐패시터(Capacitor 37)등 다수개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다수개의 전장 부품, 특히 트랜스포머(31)와 마그네트론(33)은 상기 케비티(20) 내부로 주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파를 생성시키는 역활을 하는데,이 과정에서 상기 전장 부품은 고온의 열을 발열하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동안 전장실(3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뜨거워진 전장실(30)을 냉각시키기 위해서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해야 하는데, 이것은 상기 블로워팬(35)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블로워팬(35)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이 팬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실질적으로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처럼 송풍팬이 회전하면 전장실(30)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트랜스포머(31) 주위를 지나 흡입되므로, 상기 트랜스포머(31)가 자연 냉각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상기 전장실(30)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블로워팬(35)의 일측에는 전장실배기덕트(39)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전장실배기덕트(39)는 상기 블로워팬(3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마그네트론(33)을 경유하여 전장실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활을 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백 플레이트(17)에는 상기 전장실배기덕트(39)에 의해 안내된 공기가 전자레인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블로워팬(35)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블로워팬(35)은 다수개의 부품을 서로 조립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본체(35a)와 상기 본체(35a)의 상하에 고정되는 상부카바(35b) 내지 하부카바(35c), 하면카바(35d), 그리고 송풍팬(35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블로워팬(35)은 고정브라켓(35f)에 의해 전장실(30) 벽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카바(35b)의 내부에는, 팬모터(도시되지는 않음)와 상기 송풍팬(35e)이 서로 축결합되도록 하는 관통공(35b')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관통공(35b')를 통해 팬모터의 회전축이 송풍팬(35e)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35b')은 상방의 공기가 상기 송풍팬(35e) 내부로 유입되는 일종의 공기유로 역활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하면카바(35d)의 내부에도, 하방의 공기가 상기 송풍팬(35e)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공기흡입구(35d')가 천공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블로워팬(35)은 다수개의 부품을 서로 조립 내지 용접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본체(35a)의 상하단에 각각 상부카바(35b)와 하부카바 (35c)를 삽입한 다음 상기 본체(35a)의 외면에서 점용접하면, 상기 본체(35a)와 상하부카바(35b,35c)가 서로 고정된다. 이후 상기 하부카바(35c)의 하방을 통해 송풍팬(35e)를 개재한 다음 하면카바(35d)를 나사체결하면, 블로워팬(35)이 완성된다.
또한 상기 송풍팬(35e)의 구조는, 주날개(35e')와 보조날개(35e'') 그리고구획면(35e''')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날개(35e')는 하면카바(35d)의 공기흡입구(35d')를 통해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흡입된 공기를 회전시켜 송풍하는 역활을 하며, 이와 같은 역활을 위해 상기 주날개(35e')는 다수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날개(35e'')는 상부카바(35b)의 관통공(35b')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회전시키는 역활을 한다. 상기 보조날개(35e'')는 상기 주날개(35e')와 마찬가지로 흡입된 공기를 회전 송풍시킨다. 특히 상기 보조날개(35e'')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상부카바(35b)의 상방에서 송풍팬(35e)을 회전시키는 팬모터(도시되지 않음) 주변의 공기를 흡입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팬모터를 냉각시키는 역활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주날개(35e')와 보조날개(35e'')는 구획면(35e''')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송풍팬(35e)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보조날개(35e')와 주날개(35e'')는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방 내지 하방으로부터 공기를 각각 흡입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때 상기 보조날개(35e')와 주날개(35e'')에 의해 각각 흡입되는 공기가 서로 부딪혀 와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와류는 소음으로 이어져, 상기 송풍팬(35e)이 회전하는 동안 전자레인지의 소음이 커져 사용자의 불만이 고조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송풍팬의 회전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상업용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송풍팬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 블로워팬의 송풍팬 구조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블로워팬 110: 송풍팬
110a: 상측프레임 110b: 하측프레임
130a: 상측날개 130a': 상측공기배출구
130b: 하측날개 130b': 하측공기배출구
150: 구획면 150a: 축결합돌기
150b: 축공 150c: 지지리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전자레인지 블로워팬의 송풍팬구조는, 공기를 내측으로 흡입함과 동시에 흡입된 공기를 외측으로 송풍하는 다수개의 주날개와; 상기 주날개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것에 의해 팬모터를 냉각시키는 다수개의 보조날개와; 상기 주날개와 보조날개 사이에 형성되어, 그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주날개와 보조날개는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날개와 보조날개는 각각 등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날개는 주날개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전자레인지 블로워팬의 송풍팬구조에 의하면, 송풍팬이 정숙한 상태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 전자레인지 블로워팬의 송풍팬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 블로워팬의 송풍팬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먼저 전자레인지는 아웃케이스와, 다수개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 그리고 조리될 조리물이 투입되는 케비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의 내부 상방에는 블로워팬이 설치되며, 상기 블로워팬의 내부에는 송풍팬(100)이 내재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송풍팬(100)은, 소정의 높이를 가진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송풍팬(100)은 상하측프레임(110a,110b)과 날개(130a,130b) 그리고 구획면(150)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하측프레임(110b)은, 상기 송풍팬(100)의 하방 선단부를 둘러서 형성되는 것으로, 대략 원형의 띠 형상으로 구성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하측프레임(110b)의 내측에는 상기 주날개(130a)의 하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주날개(130a)의 상단부는 상기 구획면(150)의 하면에 고정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주날개(130a)는 상기 하측프레임(110b)의 내주면과 상기 구획면(150)의 하면을 따라서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날개(130a) 사이에는 하측공기배출구(130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프레임(110a)은, 상기 하측프레임(110b)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측프레임(110a)의 내측에는 보조날개(130b)의 상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날개(130b)의 하단부는 상기 구획면(150)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날개(130b)는 상기 상측프레임(110a)의 내주면과 상기 구획면(150)의 상면을 따라서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구비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보조날개(130b) 사이에는 상측공기배출구(130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날개(130a)와 보조날개(130b)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구획면(150)은 상기 주날개(130a)와 보조날개(130b) 사이를 구획하는 것으로, 상기 대략 원형의 판상으로 구성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구획면(150)의 대략 중심부분에는, 송풍팬(100)이 팬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축결합되도록 하는 축결합돌기(150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결합돌기(150a)의 내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팬모터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축공(150b)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축결합돌기(150a)의 외연에는 상기 축결합돌기(150a)를 상기 구획면(150) 상면에 지지하는 지지리브(150c)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주날개(130a)와 보조날개(130b)는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된 상태이다. 즉 상기 주날개(130a)의 외측단부와 보조날개(130b)의 외측단부가 일치하지 않음은 물론,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주날개(130a) 사이의 하측공기배출구(130a')와 보조날개(130b) 사이의 상측공기배출구 (130b')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소정의 시간차를 가지고 송풍된다.
그러나 상기 주날개(130a)와 보조날개(130b)가 어긋나는 정도는 설계시의 실험결과 또는 제작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송풍팬(100)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송풍팬(100)은 합성수지물,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송풍판(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주날개(130a)와 보조날개(130b)를 가지도록 몰드를 제작한 다음, 상기 몰드에 합성수지원료를 주입한다. 이후 합성수지원료가 주입된 상태의 몰드에 소정의 압력과 열을 가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송풍팬(100)이 완성된다.
그러나 상기 송풍팬(100)의 주날개(130a)와 보조날개(130b)는 각각 제작된 다음, 서로 조립 또는 접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상기 하측프레임(110b) 내주면과 구획면(150) 사이에 주날개(130a)를 형성시키고, 상측프레임(110a) 내주면에 보조날개(130b)를 형성시킨 다음, 상기 상측프레임(110a)과 하측프레임(110b)을 서로 조립 및 접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송풍팬(100)에 의해 상방의 공기 내지 하방의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송풍팬(100)은 상기 축결합돌기(150a)의 축공(150b)에 삽입되는 팬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팬모터에 전원이 인가되고, 그 내부의 자기장에 의해 팬모터의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송풍팬(100)이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송풍팬(100)이 회전하면, 상기 송풍팬(100)의 주날개(130a)와 보조날개(130b)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주날개(130a)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팬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되는 공기흡입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공기를 상방으로 흡입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날개(130b)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송풍팬(100)이 내부에 수용되는 팬하우징 상면에 개구된 공간, 즉 상기 팬모터와 팬하우징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통구(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상방의 공기를 흡입한다. 그리고 상방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송풍팬(100)을 회전시키는 팬모터 주위의 공기를 흡입시키게 되므로, 상기 팬모터가 자연 냉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방 내지 하방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100)이 내재되는 팬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송풍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상측공기배출구(130a')와 하측공기배출구(130b)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가 서로 다른 위치 내지 소정의 시간차를 가지게 되므로, 서로 부딪히지 않음은 물론 소음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주날개와 보조날개가 서로 어긋나로록 함을 기본적인 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보다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주날개가 보조날개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주날개가 보조날개 사이의 어느 위치에 형성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전자레인지 블로워팬의 송풍팬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주날개와 보조날개가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측공기배출구에서 송풍되는 공기와 하측공기배출구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서로 부딪히지 않는다. 이와 같이되면, 상기 송풍팬의 회전시 소음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송풍팬의 소음이 방지되는 것은, 송풍팬이 설치되는 전자레인지를 정숙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되는 이점도 있다.
또한 전자레인지의 제품선호도가 높아지므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공기를 내측으로 흡입함과 동시에 흡입된 공기를 외측으로 송풍하는 다수개의 주날개와;
    상기 주날개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것에 의해 팬모터를 냉각시키는 다수개의 보조날개와;
    상기 주날개와 보조날개 사이에 형성되어, 그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주날개와 보조날개는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블로워팬의 송풍팬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날개와 보조날개는 각각 등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블로워팬의 송풍팬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날개는 주날개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블로워팬의 송풍팬구조.
KR20-2003-0032463U 2003-10-16 2003-10-16 전자레인지 블로워팬의 송풍팬구조 KR2003376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463U KR200337671Y1 (ko) 2003-10-16 2003-10-16 전자레인지 블로워팬의 송풍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463U KR200337671Y1 (ko) 2003-10-16 2003-10-16 전자레인지 블로워팬의 송풍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671Y1 true KR200337671Y1 (ko) 2004-01-03

Family

ID=4942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463U KR200337671Y1 (ko) 2003-10-16 2003-10-16 전자레인지 블로워팬의 송풍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6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6719Y1 (ko) 전자렌지
US7049568B2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US6150648A (en) Air circulation structure for microwave oven
KR20050120474A (ko) 전자렌지
KR200337671Y1 (ko) 전자레인지 블로워팬의 송풍팬구조
KR100686035B1 (ko) 컨벡션형 전자 레인지
KR200337670Y1 (ko) 전자레인지의 블로워팬구조
KR100286178B1 (ko) 전자레인지
KR100813728B1 (ko) 전자레인지
KR200344734Y1 (ko) 전자레인지
KR100582293B1 (ko) 전자레인지의 전장실배기덕트구조
KR100582294B1 (ko) 전자레인지의 전장실배기덕트어셈블리
KR101453273B1 (ko) 대류형 전자레인지
KR100603526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전장부품 냉각장치
KR20050104130A (ko) 전자 레인지
KR20040052003A (ko) 전자 레인지
KR100621253B1 (ko)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배기덕트 고정구조
KR20050036439A (ko)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하부플레이트구조
KR100373091B1 (ko) 전자렌지
KR960007560B1 (ko)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장치
KR100547694B1 (ko) 전자레인지 상부덕트의 고정구조
KR200342409Y1 (ko) 커피 메이커 겸용 전자 레인지
KR100633174B1 (ko) 전기오븐의 컨벡션커버
KR100399319B1 (ko) 냉각성능이 향상된 전자레인지
KR101012354B1 (ko) 전자 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