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283B1 - 냉장고의 식수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식수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283B1
KR100582283B1 KR1020040109509A KR20040109509A KR100582283B1 KR 100582283 B1 KR100582283 B1 KR 100582283B1 KR 1020040109509 A KR1020040109509 A KR 1020040109509A KR 20040109509 A KR20040109509 A KR 20040109509A KR 100582283 B1 KR100582283 B1 KR 100582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water
lever
discharge port
valve
push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장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109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5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dispensing valves actuated by the receptacle to be fil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67D2001/0094Valve mountings in 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으로 레버를 밀어 원하는 양의 식수를 받은 후 이 컵으로 레버를 더 밀어서 간편하게 식수 토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출구 차단후 일정량 더 흘러나오는 잔량의 식수도 모두 컵에 담겨져서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고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냉장고의 식수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구성은 냉장고 안의 식수를 외부로 토출시는 토출구와, 이 토출구를 개폐하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를 닫혀지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리턴스프링과, 상기 토출구 후방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레버가 구비된 통상의 식수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는 레버 후방으로 연장된 푸시로드가 연결되며, 이 푸시로드의 후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단턱부가 구비되고, 이 단턱부의 걸림턱에는 레버의 배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밸브밀쇠의 후단부가 걸려지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레버를 밀면 푸시로드와 밸브체가 함께 후방으로 밀리면서 토출구가 개방되고, 상기 레버를 설정된 힘 이상으로 밀면 푸시로드의 걸림턱이 탄성 변형되어 밸브밀쇠의 후단부가 이 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되면서 토출구가 닫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수 디스펜서, 냉장고, 잔류 물, 토출구 개폐방식

Description

냉장고의 식수 디스펜서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도 1은 종래 식수 디스펜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수 디스펜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수 디스펜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수 디스펜서가 닫혀질 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수 디스펜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토출구 11 : 밸브체
20 : 푸시로드 23 : 걸림턱
25 : 리턴스프링 30 : 레버
40 : 밸브밀쇠
본 발명은 냉장고에 설치된 식수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컵으로 레버를 밀어 원하는 양의 식수를 받은 후 이 컵으로 레버를 더 밀어서 간편하게 식수 토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토출구 차단후 일정량 더 흘러나오는 잔량의 식수도 모두 컵에 담겨져서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고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냉장고의 식수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식수 디스펜서는 냉각된 물을 냉장고를 열지 않고도 외부에서 간편하게 받아 마실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 도어포켓에 설치된 수통(50)과, 이 수통(50)의 저면에 호스로 연결되며 냉장실 도어 외부로 노출 설치된 식수 토출구(10)와, 이 토출구(10)를 개폐시키는 레버(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토출구(10)의 중앙에는 내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11)가 구비되고, 이 밸브체(11)와 레버(30)는 푸시로드(6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서, 상기 레버(30)를 밀면 밸브체(11)가 개방되어 식수를 토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로드(60)에는 리턴스프링(25)이 장착되어서, 레버(30)에 가해지던 힘을 해제하면, 상기 밸브체(11)가 리턴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어 식수 토출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식수 디스펜서는 사용자가 컵으로 레버(30)를 밀어서 원하는 양의 식수를 받은 후, 이 컵을 레버(30)에서 이격시켜서 식수 토출을 차단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컵을 레버(30)에서 이격시켜서(즉, 컵을 토출구 아래에서 이탈시켜서) 식수 토출을 차단하게 되면, 토출구(10) 중앙의 유로가 밸브체(11)에 의해 차단된 후에도 그 아래의 토출구(10) 내부에 잔류되었던 물은 일정량 외부로 흘러나올 수밖에 없는데, 이 물에 의해 주변이 오염되므로, 깔끔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컵으로 레버를 밀어 원하는 양의 식수를 받은 후 이 컵으로 레버를 더 밀어서 간편하게 식수 토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토출구 차단후 일정량 더 흘러나오는 잔량의 식수도 모두 컵에 담겨져서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고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냉장고의 식수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로서의 본 발명은, 냉장고 안의 식수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구와, 이 토출구를 개폐하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를 닫혀지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리턴스프링과, 상기 토출구 후방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레버가 구비된 통상의 식수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는 레버 후방 으로 연장된 푸시로드가 연결되며, 이 푸시로드의 후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걸림부가 구비되고, 이 걸림부의 걸림턱에는 레버의 배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밸브밀쇠의 후단부가 걸려지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레버를 밀면 푸시로드와 밸브체가 함께 후방으로 밀리면서 토출구가 개방되고, 상기 레버를 설정된 힘 이상으로 밀면 상기 밸브밀쇠의 후단부가 푸시로드의 걸림턱에서 이탈되면서 토출구가 닫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밀쇠는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신축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밀쇠는 복귀스프링에 연결되어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수 디스펜서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식수 디스펜서는 밸브체(11)에 연결된 푸시로드(20)가 레버(30)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그 후단부에 걸림턱(23)이 형성된 걸림부(21)가 구비되고, 이 걸림부(21)의 걸림턱(23)에는 레버(30)의 배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밸브밀쇠(40)의 후단이 걸려지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레버(30)를 밀면 푸시로드(20)와 밸브체(11)가 함께 밀리면서 토출구(10)가 개방되고, 이 레버(30)를 더 밀 면 밸브밀쇠(40)의 후단이 푸시로드(40)의 걸림턱(23)으로부터 이탈되면서 토출구(10)가 닫혀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푸시로드(20)는 그 선단이 토출구(10) 내부의 밸브체(11)에 연결되며, 상기 레버(30)의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서, 그 후단부에 ㄷ자 형태로 절곡된 걸림부(21)가 형성되고, 이 걸림부(21)에는 상기 밸브밀쇠(40)의 후단이 걸려지는 걸림턱(23)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 밀쇠(40)는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 레버(20)를 통하여 정해진 힘 이상의 가압력이 작용하면 회전하여, 상기 걸림턱(23)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밸브밀쇠(40)의 일단은 레버의 후측면에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23)은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 밀쇠(40)가 상측으로 회전하며 걸림턱(23)으로부터 부드럽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밸브밀쇠(40)는 레버(30) 배면과 푸시로드(20)의 걸림턱(23) 사이에 배치되도록 레버(30) 배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설정된 힘 이하에서는 레버(30)를 미는 힘이 푸시로드(20)에 전달되어 토출구(1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며, 설정된 힘 이상에서는 푸시로드(20)의 걸림턱(23)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푸시로드(20)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턱(23)의 상부에는 소정 높이의 돌기가형성되어, 사용자가 레버를 식수가 가장 많이 나오는 설정 각도로 민 상태로 계속 물을 받기를 원하는 경우, 상기 밸브 밀쇠가 의도치 않게 걸림턱(2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사용자는 물이 많이 나오는 설정각도 보다 조금 더 큰 각도로 레버를 밀어도, 상기 돌기(23a)가 소정각도 이상으로 레버가 이동할 때 까지는 밸브 밀쇠를 지지함으로써, 의도치 않게 토출구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밸브밀쇠(40)는 레버(30)가 원상 복귀됨에 따라 자중에 의해 다시 푸시로드(20)의 걸림턱(23) 전방으로 복귀될 수도 있으나, 상기 밸브 밀쇠의 힌지축(26)에 복귀스프링(미도시)을 설치하여 하향 탄지하도록 설치하면, 레버(30) 복귀시 안정적으로 정위치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컵으로 레버(30)를 밀게 되면, 도 3에서와 같이 이 레버(30) 후방에 설치된 밸브밀쇠(40)가 푸시로드(20)의 걸림턱(23)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푸시로드(20)와 밸브체(11)를 연동시킴으로써, 토출구(10)가 개방되어 냉장고 내부의 식수가 컵으로 토출된다.
이어서, 원하는 량의 식수가 컵에 받아지게 되는 경우 사용자가 도 4에서와 같이, 컵으로 상기 레버(30)를 설정된 힘 이상으로 더 밀면, 상기 레버의 밸브 밀쇠(40)는 상측으로 회전하여 푸시로드(20)의 걸림턱(23)에서 이탈됨에 따라 푸시로드(20)와 밸브체(11)가 리턴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어 토출구(10)는 닫혀진다.
그런데, 이와 같이 밸브체(11)가 닫혀지더라도, 이 밸브체(11) 아래쪽의 토 출구(10)에 잔류된 식수는 종래와 같이 일정량 더 토출되는데, 이때 토출구(10) 아래에는 사용자의 컵이 위치되어 있으므로, 잔량의 식수가 모두 컵에 담겨져서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이어서, 식수가 담긴 컵을 레버(30)로부터 이격시키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레버(30)가 원상태로 복귀되고, 이 레버(30) 배면의 밸브밀쇠(40)도 푸시로드(20)의 걸림턱(23) 전방으로 다시 정위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수 디스펜서의 단면도이다. 본 제2실시예의 식수 디스펜서는 상기 제1실시예의 밸브밀쇠(140)를 변형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밸브 밀쇠(14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밸브밀쇠(140)는 상기 레버의 배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푸쉬바와, 상기 푸쉬바(142)가 삽입되는 삽입홈(143a)이 일측에 형성된 밸브 밀쇠 몸체(143)와, 상기 푸쉬바(142)의 후단과 상기 밸브 밀쇠 몸체(143)의 삽입홈(143a)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밸브 밀쇠 스프링(144)으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 밀쇠 스프링(144)은 상기 레버(130)가 설정 각도로 회전할 때 까지는 변형되지 아니하며, 상기 레버(130)가 설정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여 상기 밸브 밀쇠에 설정 이상의 힘을 가하는 경우에 압축을 시작한다.
상기 밸브 밀쇠 스프링(144)이 완전히 압축될 때 까지는, 사용자가 설정 힘 이상의 힘으로 레버를 회전시켜도 상기 스프링이 압출될 뿐, 상기 밸브 밀쇠(140)는 상기 걸림턱(123)에 지지된다.
한편, 상기 밸브 밀쇠 스프링이 완전 완축된 후, 사용자가 그 이상으로 상기 레버(130)를 회전시키면, 상기 밸브 밀쇠(140)는 회전하며 걸림턱(123)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에 따라, 푸쉬로드(120) 및 푸시로드(120)와 밸브체(111)가 리턴스프링(125)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어 토출구(110)는 닫혀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컵으로 레버를 밀어 원하는 량의 식수를 받은 후 이 컵을 후방으로 더 밀게 되면, 자동으로 토출구가 닫혀지게 되고, 토출구 내부에 잔류되었던 식수도 컵에 모두 담겨져서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게 되므로, 주변이 오염되지 않도록 깔끔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냉장고 안의 식수를 외부로 토출시는 토출구와, 이 토출구를 개폐하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를 닫혀지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리턴스프링과, 상기 토출구 후방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레버가 구비된 식수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서 레버 후방으로 연장되는 푸시로드와; 상기 푸쉬로드의 후단부에 형성되며, 걸림턱이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레버의 배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턱에 밸브밀쇠의 후단부가 걸려지도록 형성된 밸브 밀쇠를 포함하되, 상기 레버를 밀면 푸시로드와 밸브체가 함께 후방으로 밀리면서 토출구가 개방되고, 상기 레버를 설정된 힘 이상으로 밀면 푸시로드의 걸림턱이 탄성 변형되어 밸브밀쇠의 후단부가 이 걸림턱으로부터 이탈되면서 토출구가 닫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식수 디스펜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상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식수 디스펜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밀쇠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식수 디스펜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상측에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식수 디스펜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밀쇠는 상기 레버의 배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푸쉬바와, 상기 푸쉬바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일측에 형성된 밸브 밀쇠 몸체와, 상기 푸쉬바의 후단과 상기 밸브 밀쇠 몸체의 삽입홈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밸브 밀쇠 스프링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식수 디스펜서.
KR1020040109509A 2004-12-21 2004-12-21 냉장고의 식수 디스펜서 KR100582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509A KR100582283B1 (ko) 2004-12-21 2004-12-21 냉장고의 식수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509A KR100582283B1 (ko) 2004-12-21 2004-12-21 냉장고의 식수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2283B1 true KR100582283B1 (ko) 2006-05-23

Family

ID=3718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509A KR100582283B1 (ko) 2004-12-21 2004-12-21 냉장고의 식수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2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487Y1 (ko) 2007-07-31 2012-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275564B1 (ko) * 2006-09-08 2013-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9330316A (zh) * 2018-11-19 2019-02-15 张培亮 一种可控的饮水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836Y1 (ko) * 1995-10-20 1998-08-17 윤종용 냉장고용 급수기
KR0122731Y1 (ko) * 1995-08-21 1998-08-17 김광호 냉장고의 물 공급장치
KR19990049523A (ko) * 1997-12-13 1999-07-05 전주범 냉장고용 급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731Y1 (ko) * 1995-08-21 1998-08-17 김광호 냉장고의 물 공급장치
KR0123836Y1 (ko) * 1995-10-20 1998-08-17 윤종용 냉장고용 급수기
KR19990049523A (ko) * 1997-12-13 1999-07-05 전주범 냉장고용 급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564B1 (ko) * 2006-09-08 2013-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463487Y1 (ko) 2007-07-31 2012-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CN109330316A (zh) * 2018-11-19 2019-02-15 张培亮 一种可控的饮水装置
CN109330316B (zh) * 2018-11-19 2023-09-22 张培亮 一种可控的饮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7284B1 (ko)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US8196618B2 (en) Dispenser with an ice discharge duct in which a part of the ice discharge duct is detachably provided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8047622B2 (en) Mounting structure of storage container for refrigerator
JP2013116769A (ja) ベントを有する飲料容器クロージャ
US9988257B2 (en) Manual dispensing valve
US10775096B2 (en) Refrigerator
EP3225314B1 (en) Trigger type liquid dispenser
KR20070069001A (ko) 음료용기용 캡 및 음료용기
US7188487B2 (en) Dispenser for refrigerator
US8141747B2 (en) Dispenser related technology
KR100582283B1 (ko) 냉장고의 식수 디스펜서
EP1455631B1 (en) A dispenser of washing agents for a household washing machine, in particular a dish-washer
JP3028424U (ja) 取出し手段を備えた錠剤容器
JP6985215B2 (ja) 滴下容器
KR20110007709A (ko) 페트병에 탈장착되는 분말 조절토출기
JP4390156B1 (ja) 液体注出容器
KR20220002456U (ko) 짤주머니용 믹싱볼
KR100500320B1 (ko) 밀폐용기용 공기조절 장치
JP7423363B2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
KR200165782Y1 (ko) 냉장고용 얼음 디스펜서 레버 댐핑 구조
KR101346221B1 (ko) 홈바도어 개폐구조
KR101627688B1 (ko) 물통 뚜껑
KR20090023056A (ko) 토출유닛 및 이를 구비한 디스펜서
TWM512005U (zh) 杯蓋吸嘴一鍵式開啓結構
WO2021032311A1 (en) Lid assembly for a drinking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