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9523A - 냉장고용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9523A
KR19990049523A KR1019970068481A KR19970068481A KR19990049523A KR 19990049523 A KR19990049523 A KR 19990049523A KR 1019970068481 A KR1019970068481 A KR 1019970068481A KR 19970068481 A KR19970068481 A KR 19970068481A KR 19990049523 A KR19990049523 A KR 19990049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plate
cap
lever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8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강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68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9523A/ko
Publication of KR19990049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9523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급수장치를 제공한다. 그 급수장치는, 저수조와 급수패널 사이를 개폐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장착되며, 주둥이의 내주면에 그 외주면이 결합되는 캡, 캡의 하부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그 하단은 일부 개방된 유동공을 갖는 출구관, 캡의 상단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다수의 제1유출공을 갖는 고정판, 캡과 출구관 사이에 고정설치되고 다수의 제2유출공을 갖는 연결판, 연결판의 상부면에서 상하로 왕복이동함으로써 그 제2유출공을 개폐하는 얇은 판상이고 또한 그 하부면에서 출구관내로 수직으로 돌출설치되고 그 단부는 경사진 형상을 한 캠돌기부를 갖는 가동판, 가동판과 고정판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판이 연결판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밸브조립체; 그리고 급수패널의 도어 외측부에 장착되며, 가동판의 캠돌기부를 측면에서 가압하여 상향운동하도록 하는 캠형상을 포함하는 레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시간 청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이 간편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냉장고 도어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용 급수장치
본 발명은 냉장고용 급수장치(water dispens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조립체의 구조를 단순하게 구성하여 사용하기 간편하며 내구성이 큰 냉장고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수장치(water dispenser) 또는 음료 분배기(beverage dispenser)는 식수 또는 음료를 자동으로 분배하는 장치이며, 가정이나 사무실 및 또는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가정용 또는 상업용으로 이용된다.
냉장고는 다양한 식료품을 냉동 또는 냉장 상태로 오랜 기간 동안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저장하는 장치로서, 음식을 저장하는 저장실을 구비한다. 저장실은 음식물을 냉동 상태로 저장하는 냉동실과 냉장 상태로 저장하는 냉장실을 구비한다. 냉동실 및 냉장실에는 증발기에 의해 발생된 냉기가 각각 공급된다.
그 냉기는 팬에 의해 증발기로 부터 상기 냉동실 내부로 직접 공급되고, 일부 냉기는 내부에 형성되는 덕트를 통하여 유동하면서 온도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냉장실 내부로 공급된다. 냉동실 및 냉장실은 전면에 도어가 설치되어 내부의 음식물을 안착 및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 내부에는 식수가 저장될 수 있는데 식수는 보통 용기에 충전된 상태로 냉장실 내부에 저장된다. 냉장실에 저장되는 식수를 마시기 위해서는 도어를 열고 식수가 담겨진 용기를 냉장실로부터 꺼내어야 한다. 그러나, 냉장고의 도어가 자주 개방되면 냉장고의 냉각 효율이 저하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냉장고의 도어(10)를 열지 않고 식수만을 인출할 수 있는 급수장치가 다수 제안되어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급수장치 중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1997년 6월 30일자(특허출원번호 1997-28958)로 특허출원된 냉장고용 급수장치(100)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냉장고용 급수장치(100)는 도어(10) 내측의 포켓부분에 위치하며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110), 저수조(110)를 지지하는 홀딩부재(120), 홀딩부재(120)를 지지하는 급수패널(150), 저수조(110)에 결합되어 저수조(110)를 개폐하는 연결부(130)와 밸브콕(140)로 구성된 밸브조립체, 그리고 밸브콕(140)을 작동시키는 레버(160)를 포함한다. 저수조(110)는 물을 저장하며, 밸브조립체(130, 140)가 결합된 상태에서 뒤집혀 홀딩부재(120)에 삽입 및 장착된다.
연결부(130)는 저수조(110)에 나사 결합되는 캡(132), 캡(132) 중심을 관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저수조(110)내부의 물이 흘러나오는 출구관(134), 캡(132)의 저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출구관(13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동심원을 형성하는 안내관(136)을 구비한다.
또한, 연결부(130)의 캡(132)의 내주면에는 저수조(1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출구관(134) 내측에는 밸브로드(144)가 삽입되는 간막이가 설치되며, 밸브로드(144)의 주변으로 그 간막이에는 다수의 제1유출공(137)이 형성된다. 저수조(110)로부터 유출되는 물은 출구관(134)의 상부에서 유입되고 중간에 설치된 다수의 제1유출공(137)들을 통하여 하부로 떨어질 수 있다.
밸브콕(140)은 내주면이 출구관(134)의 외주면과 안내관(136)의 내주면을 활주하는 한 쌍의 가이드실린더(146), 제1위치(폐쇄위치)에서 출구관(134)의 상단부를 폐쇄하고 제2위치(개방위치)에서 출구관(134)의 상단부를 개방하는 패킹부재(142), 패킹부재(142)가 상단에 삽입 및 고정되며 하단에서는 가이드실린더(146)에 연결되어 패킹부재(142)를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상하이동시키는 밸브로드(144), 그리고 가이드실린더(146)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밸브로드(144)의 하단이 고정되고 제2유출공(149)이 형성되는 고정리브(147)를 포함한다.
그리고 스프링(148)이 출구관(134)에 외삽되어 밸브콕(140)에 탄성력을 작용시킨다. 따라서, 밸브콕(140)은 스프링(148)의 탄성력에 의하여 그 패킹부재(142)가 폐쇄위치로 유지되도록 가압된다.
급수패널(150)은 저수조(110)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공급받는 컵(20)이 놓이는 급수공간을 제공한다.
레버(160)의 일측에는 밸브조립체(130, 140)를 개방시키는 연결로드(164)가 연결된다. 연결로드(164)의 일단부상에는 밸브콕(140)의 밸브로드(144)를 개방위치로 상승시키는 한 쌍의 가압돌기(166)가 형성된다. 한 쌍의 가압돌기(166)사이에는 개공이 형성되어 물이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 레버(160)의 측면에는 힌지(163)가 형성되고, 일단에는 버튼(162)이 연결된다. 힌지(163)에는 복귀스프링(165)이 외삽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하는 종래의 냉장고용 급수 장치(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버튼(162)을 아래로 누르면, 레버(160)는 복귀스프링(165)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힌지(163)를 중심으로 선회한다. 이때, 가압돌기(166)에 의해 밸브콕(140)은 상승됨으로써 저수조(110)를 개방한다. 저수조(110)의 물은 출구관(134)의 상단부에서 유입되어 제1유출공(137)을 지나 하단부로 유출되고, 이것은 다시 제2유출공(149)를 지나 가압돌기(166) 사이의 개공을 통하여 아래로 낙하하여 컵(20)에 담겨질 수 있다.
버튼(162)을 놓으면, 밸브콕(140)은 스프링(148)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한다. 밸브콕(140)의 하강에 따라서, 레버(162)는 복귀스프링(165)의 탄성에 의한 복귀력에 의해 선회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온다. 결국 패킹부재(142)는 폐쇄위치로 하강하고 출구관(134)의 상단부는 폐쇄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래의 급수장치(100)는 그 연결부(130) 및 밸브콕(140)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캡(132)과 저수조(110)가 접속되는 부분에는 항상 물이 고여있기 때문에 위생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수조(110)의 물이 고여있는 공간을 제거하여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고, 밸브의 개폐가 단순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의 공간 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냉장고용 급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용 급수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급수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냉장고 도어 20 : 컵
100 : 급수장치(종래) 110 : 저수조
120 : 홀딩부재 130 : 연결부
140 : 밸브콕 150 : 급수패널
160 : 레버 200 : 급수장치(본발명)
210 : 저수조 212 : 주둥이
220 : 밸브조립체 221 : 캡
222 : 출구관 223 : 연결판
224 : 고정판 225 : 스프링
226 : 가동판 226a : 캠돌기부
227 : 제1유출공 228 : 제2유출공
229 : 유동공 230 : 급수패널
232 : 급수부 234 : 지지부
236 : 홀딩부재 240 : 레버
242 : 버튼 244 : 고정레버
245 : 복귀스프링 246 : 가동레버
248 : 가압돌기 248a : 캠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 내측에 설치되어 물을 저장하며, 그 하단에 개방된 주둥이를 갖는 저수조; 저수조를 도어 내측에서 지지하며 도어 외측으로 개방되어 컵을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급수패널; 저수조와 급수패널 사이를 개폐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장착되며, 주둥이의 내주면에 그 외주면이 결합되는 캡, 캡의 하부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그 하단은 일부 개방된 유동공을 갖는 출구관, 캡의 상단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다수의 제1유출공을 갖는 고정판, 캡과 출구관 사이에 고정설치되고 다수의 제2유출공을 갖는 연결판, 연결판의 상부면에서 상하로 왕복이동함으로써 그 제2유출공을 개폐하는 얇은 판상이고 또한 그 하부면에서 출구관내로 수직으로 돌출설치되고 그 단부는 경사진 형상을 한 캠돌기부를 갖는 가동판, 가동판과 고정판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판이 연결판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밸브조립체; 그리고 급수패널의 도어 외측부에 장착되며, 가동판의 캠돌기부를 측면에서 가압하여 상향운동하도록 하는 캠형상을 포함하는 레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급수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스프링의 주위를 밀폐하도록 그 상하단이 고정판 및 가동판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가요성의 박막인 스프링밀폐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판은 고무재질의 상부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레버는,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된 버튼, 버튼에 일단이 고정되어 연장된 가동레버, 가동레버의 수평운동을 안내하는 고정레버, 가동레버를 고정레버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유지되도록 가압하는 복귀스프링, 그리고 가동레버의 다른 일단에 수직으로 돌출설치되고 그 단부는 캠부를 이루어 상기 캠돌기부를 수평으로 가압하면 캠돌기부가 상승하도록 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캡의 상단부에는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의 단부가 그 장착홈에 장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급수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의 급수장치(100)와 같이, 냉장고 도어(10) 전면에서 식수만을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장치로서, 도어(10) 내측에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210)와 도어(10) 내외측을 연결하며 외측면에 컵(20)을 장착할 수 있는 급수공간을 제공하는 급수패널(230)을 포함하며, 또한 개폐구조인 밸브조립체(220) 및 이를 작동시키는 레버(240)를 포함한다.
저수조(210)는 냉장고 도어(10) 내측에 설치되어 물을 저장하며, 그 하단에 개방된 주둥이(212)를 갖는다. 저수조(210)는 냉장고 도어(10)를 개방한 후 그 상단부로부터 식수 등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밖에 공지되어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물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저수조(2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주둥이(212)는 그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수조(210)는 도어(10) 내측의 수납포켓에 의하여 지지될 수도 있으며, 다른 식으로는 별도의 홀딩부재를 사용하여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급수패널(230)은 저수조(210)를 도어(10) 내측에서 지지하며 도어(10) 외측으로 개방되어 컵(20)을 장착할 수 있는 급수공간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급수패널(2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210)를 지지하는 홀딩부재(236)와 그 저수조(210)의 주둥이(212)로부터 흘러내리게 될 물이 급수공간내에 장착되어 있는 컵(20)으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급수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급수패널(230)은 도어(10)의 내외부가 단열된 채 밀폐할 수 있도록 하며, 레버(240) 등이 장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234)도 포함할 수 있다.
밸브조립체(220)는 저수조(210)로부터 물이 아래로 떨어질 수 있도록 그 주둥이(212) 부분을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는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조립체(220)의 구조에 있어서는 저수조(210) 내에 있는 물이 고여있는 부분이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밸브조립체(220)는 저수조(210)와 급수패널(230) 사이를 개폐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장착되는데, 캡(221)과 출구관(222)과 연결판(223)과 고정판(224)와 스프링(225)과 가동판(226) 및 캠돌기부(226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캡(221)과 그 하단에 연결되는 출구관(222)은 저수조(210)의 주둥이(212)와 급수부(232)를 연결하는 통로가 된다. 캡(221)과 출구관(222)은 대체로 원통형의 형상을 할 수 있다. 즉, 캡(221)은 주둥이(212)의 내주면에 그 외주면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캡(221)의 외주면에는 주둥이(212)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형상에 대응하도록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하여 캡(221)과 주둥이(212)는 나사결합으로 연결되어 그 연결부위에서 물이 새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구관(222)은 캡(221)보다는 직경이 작은 원통형이며 그 하단부에는 개공인 유동공(229)이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캡(221)과 그 하부의 출구관(222)에 의하여 형성되는 통로는 고정판(224)과 연결판(223)에 의하여 구획된다. 즉, 고정판(224)은 캡(221)의 상단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연결판(223)은 캡(221)과 출구관(222) 사이에 고정설치된다. 고정판(224)에는 다수의 제1유출공(227)을 갖고, 또한 연결판(223)에도 다수의 제2유출공(228)이 설치된다. 따라서, 저수조(210)에 저장되어 있는 물은 고정판(224)의 제1유출공(227)을 통하여 아래의 캡(221)부분으로 자유롭게 유입될 수 있으며, 계속해서 연결판(223)의 제2유출공(228)을 통하여 출구관(222)내로 유입될 수 있다. 출구관(222) 내로 유입된 물은 출구관(222)의 하단부에 개방되어 있는 유동공(229)을 통하여 급수부(232)로 자유롭게 낙하하게 된다.
한편, 고정판(224)과 캡(221)과 연결판(223)과 출구관(222)으로 연결되는 통로는 가동판(226)에 의하여 개폐된다. 즉, 가동판(226)은 연결판(223)의 상부면에서 상하로 왕복이동함으로써 그 제2유출공(228)을 개폐하는 장치로서, 얇은 판상을 하면 연결판(223)의 상부면에 밀착함으로써, 그 제2유출공(228)을 폐쇄할 수 있다.
이 때, 연결판(223)은 고무재질의 상부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가동판(226)이 연결판(223)과 밀착되는 것을 더욱 신뢰성있게 함으로써, 폐쇄시에는 그 제2유출공(228)을 통하여 물이 새지 않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캡(221)의 상단에 고정판(224)을 조립하는 경우에 장탈착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캡(221)의 상단부에는 그 내주면의 일부에 장착홈(221a)이 형성되며, 고정판(224)의 단부가 그 장착홈(221a)에 장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를 할 수 있다.
이 가동판(226)의 상부에는 스프링(225)이 설치된다. 즉, 스프링(225)은 가동판(226)과 고정판(224)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판(226)이 연결판(223)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가동판(226)의 하부면에서 출구관(222)내로 수직으로 돌출설치되고 그 단부는 경사진 형상을 한 캠돌기부(226a)가 설치된다. 이 캠돌기부(226a)를 상승시키면 가동판(226)이 스프링(225)의 탄성력을 거슬러서 상승될 수 있어서, 연결판(223)의 제2유출공(228)이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스프링(225)의 주위를 밀폐하여 스프링(225)에 물이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스프링밀폐부재(250)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스프링밀폐부재(250)는 가요성의 박막으로 이루어지며, 그 상하단이 고정판(224) 및 가동판(226)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스프링(225)이 압축되거나 신장되는 것에 따라 신축적으로 압축 또는 신장될 수 있다.
레버(240)는 상술한 가동판(226)을 상승시켜 제2유출공(228)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로서, 가동판(226)과 연결되어 있는 캠돌기부(226a)를 상승시킨다. 즉, 레버(240)는 급수패널(230)의 도어(10) 외측부에 장착되며, 가동판(226)의 캠돌기부(226a)를 측면에서 가압하여 상향운동하도록 하는 캠형상을 하는 캠부(248a)를 단부로 하는 가압돌기(24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240)는 버튼(242)과 가동레버(246)와 고정레버(244)와 복귀스프링(245)와 가압돌기(24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버튼(242)은 도어(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버튼(242)의 수평운동은, 버튼(242)에 일단이 고정되어 연장된 가동레버(246)에 전달되며, 이 가동레버(246)의 수평운동은 고정레버(244)의하여 지지되고 안내된다. 가동레버(246)의 단부측에는 수직으로 돌출설치된 가압돌기(248)가 있어서, 버튼(242)의 수평운동은 가압돌기(248)의 수평운동으로 연결된다.
가압돌기(248)는 출구관(222) 내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데, 이때 출구관(222)의 하단부의 유동홈(229)을 통하여 삽입설치될 수 있다. 가압돌기(248)의 수평운동은 그 유동홈(229)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유동홈(229)은 가압돌기(248)가 수평운동을 할 수 있는 크기를 가져야 한다.
가압돌기(248)의 단부는 캠부(248a)를 이루고 있다. 그리하여 캠부(248a)가 수평운동을 하면, 고정판(226)과 연결되어 있는 캠돌기부(226a)와 서로 접촉되면서 캠돌기부(226a)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판(226)이 상승하고 밸브조립체(220)가 개방되어 물이 낙하할 수 있다.
그리고 복귀스프링(245)은 가동레버(246)를 고정레버(244)에 대하여 소정 위치 즉 버튼(242)을 누르기 전 위치에 유지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버튼(242)을 누르면 가동레버(246)는 복귀스프링(245)의 탄성력을 거슬러서 수평운동을 하게 되며, 버튼(242)을 놓으면 복귀스프링(245)의 탄성력에 의하여 가동레버(246)는 본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면 캠부(248a)가 복귀하게 되고 캠돌기부(226a)가 하강하며 가동판(226)은 스프링(225)의 탄성력에 의하여 연결판(223)의 상부면에 밀착됨으로써 밸브조립체(220)가 폐쇄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200)의 작용을 요약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급수장치(200)를 사용하여 물을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급수패널(230)에 의해 마련되는 도어(10) 외측면의 급수공간에 컵(20)을 배치한다. 그런다음 버튼(242)을 가압하고 계속 그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면, 이 힘은 복귀스프링(245)의 탄성력을 거슬러 가동레버(246)을 통하여 가압돌기(248)로 전달되고, 가압돌기(248)의 단부인 캠부(248a)가 캠돌기부(226a)를 수평으로 밀면서 상승시키게 된다.
캠돌기부(226a)의 상승에 의하여 가동판(226)은 스프링(225)의 탄성력을 거슬러 상승되며, 연결판(223)의 제2유출공(228)이 개방된다. 그러면, 캡(221)내의 물이 제2유출공(228)을 통해 하강하며, 뒤따라서 저수조(210)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제1유출공(227)과 제2유출공(228)을 통해 하강한다. 그리하여 유동공(229)과 급수부(232)를 통하여 낙하한 물은 컵(20) 내부를 채울 수 있다.
컵(20)에 적당한 양의 물이 채워지면, 사용자는 버튼(242)을 놓는다. 그러면, 가동레버(246)는 복귀스프링(245)의 탄성력에 의하여 본래위치로 돌아오며, 상술한 바와 같이, 캠부(248a)가 복귀하게 되고 캠돌기부(226a)가 하강하게 된다. 그러면 가동판(226)은 스프링(225)의 탄성력에 의하여 연결판(223)의 상부면에 밀착됨으로써 밸브조립체(220)가 폐쇄되어 물이 나오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급수장치에 따르면, 저수조(210)에 저장된 물이 고여있는 공간이 없으므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청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이 간편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냉장고 도어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냉장고 도어(10) 내측에 설치되어 물을 저장하며, 그 하단에 개방된 주둥이(212)를 갖는 저수조(210);
    저수조(210)를 도어(10) 내측에서 지지하며 도어(10) 외측으로 개방되어 컵(20)을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급수패널(230);
    저수조(210)와 급수패널(230) 사이를 개폐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장착되며, 주둥이(212)의 내주면에 그 외주면이 결합되는 캡(221), 캡(221)의 하부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그 하단은 일부 개방된 유동공(229)을 갖는 출구관(222), 캡(221)의 상단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다수의 제1유출공(227)을 갖는 고정판(224), 캡(221)과 출구관(222) 사이에 고정설치되고 다수의 제2유출공(228)을 갖는 연결판(223), 연결판(223)의 상부면에서 상하로 왕복이동함으로써 그 제2유출공(228)을 개폐하는 얇은 판상이고 또한 그 하부면에서 출구관(222)내로 수직으로 돌출설치되고 그 단부는 경사진 형상을 한 캠돌기부(226a)를 갖는 가동판(226), 가동판(226)과 고정판(224)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판(226)이 연결판(223)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225)을 구비하는 밸브조립체(220); 그리고
    급수패널(230)의 도어(10) 외측부에 장착되며, 가동판(226)의 캠돌기부(226a)를 측면에서 가압하여 상향운동하도록 하는 캠형상을 포함하는 레버(2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급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225)의 주위를 밀폐하도록 그 상하단이 고정판(224) 및 가동판(226)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가요성의 박막인 스프링밀폐부재(250)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급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223)은 고무재질의 상부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급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240)는, 도어(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된 버튼(242), 버튼(242)에 일단이 고정되어 연장된 가동레버(246), 가동레버(246)의 수평운동을 안내하는 고정레버(244), 가동레버(246)를 고정레버(244)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유지되도록 가압하는 복귀스프링(245), 그리고 가동레버(246)의 다른 일단에 수직으로 돌출설치되고 그 단부는 캠부(248a)를 이루어 상기 캠돌기부(226a)를 수평으로 가압하면 캠돌기부(226a)가 상승하도록 하는 가압돌기(24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급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221)의 상단부에는 장착홈(221a)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224)의 단부가 그 장착홈(221a)에 장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급수장치.
KR1019970068481A 1997-12-13 1997-12-13 냉장고용 급수장치 KR19990049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481A KR19990049523A (ko) 1997-12-13 1997-12-13 냉장고용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481A KR19990049523A (ko) 1997-12-13 1997-12-13 냉장고용 급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523A true KR19990049523A (ko) 1999-07-05

Family

ID=66088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8481A KR19990049523A (ko) 1997-12-13 1997-12-13 냉장고용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95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283B1 (ko) * 2004-12-21 2006-05-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식수 디스펜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283B1 (ko) * 2004-12-21 2006-05-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식수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9479B2 (en) Refrigerator with a water and ice dispenser having an improved ice chute air seal
US5857596A (en) Water dispenser of a refrigerator
US6026988A (en) Liquid dispenser with tapping stem
JP3043286B2 (ja) 冷蔵庫用飲料供給装置
KR100187284B1 (ko)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US6186361B1 (en) Liquid dispenser
US5743106A (en) Water dispenser of a refrigerator
US2777304A (en)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US5862952A (en) Water dispenser of a refrigerator
CA2562454C (en) Refrigeration apparatus for cooling pressurized beverages
KR101474013B1 (ko) 냉장고의 물공급 장치
US20040040977A1 (en) Beverage supply system
KR19990049523A (ko) 냉장고용 급수장치
AU2007285171B2 (en) Ice tray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KR19990049522A (ko) 냉장고용 급수장치
US11584629B2 (en) Refrigerator for drinks
JPH11304323A (ja) 自動製氷機の給水装置
WO2006043246A1 (en) Beverage dispenser
KR0122425Y1 (ko)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CN219511122U (zh) 饮水机组件及具有其的冰箱
CN218480806U (zh) 冰箱及其饮水装置
KR100217048B1 (ko) 냉장고용 급수 장치
TW305922B (ko)
CN219776074U (zh) 冰箱
KR100217047B1 (ko) 냉장고용 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