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915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915B1
KR100581915B1 KR1020040039284A KR20040039284A KR100581915B1 KR 100581915 B1 KR100581915 B1 KR 100581915B1 KR 1020040039284 A KR1020040039284 A KR 1020040039284A KR 20040039284 A KR20040039284 A KR 20040039284A KR 100581915 B1 KR100581915 B1 KR 100581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upply
display panel
standby
plasm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4082A (ko
Inventor
송유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9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915B1/ko
Publication of KR20050114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using surface discharge pa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6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booting a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62Circuit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기전압을 공급하는 대기전원 공급부;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기전압과는 다른 복수개의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메인전원 공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기전원 공급부의 출력과 메인전원 공급부의 출력이 중복되지 않는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회로 간략화를 실현함으로써, 부품수의 감소, 비용감소, 전원회로가 차지하는 공간의 감소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고전압과는 별도로 로직전원 및 스위칭전원 등의 저전압을 인가/차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ower supply device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통상적인 3-전극 면방전 방식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통상적인 구동 장치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널의 구동 신호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4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3-전극 면방전 방식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통상적인 면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의 앞쪽 및 뒤쪽 글라스 기판들(100, 106) 사이에는, 어드레스 전극 라인들(A1, A2, ... , A m), 유전층(102, 110), Y 전극 라인들(Y1, ... , Yn), X 전극 라인들(X1, ... , Xn), 형광층(112), 격벽(114) 및 보호층으로서 예컨대 일산화마그네슘 (MgO)층(104)이 마련되어 있다. 방전 공간(108)에는 플라즈마 형성용 가스가 밀봉된다.
도 2는 도 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반적인 구동 장치를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의 통상적인 구동 장치는 영상 처리부(200), 제어부(202), 어드레스 구동부(206), X 구동부(208) 및 Y 구동부(204)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부(200)는 외부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내부 영상 신호 예를 들어, 각각 8 비트의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영상 데이터, 클럭 신호, 수직 및 수평 동기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제어부(202)는 영상 처리부(200)로부터의 내부 영상 신호에 따라 구동 제어 신호들(SA, SY, SX)을 발생시킨다. 어드레스 구동부(206)는, 제어부(202)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들(SA, SY, SX)중에서 어드레스 신호(SA)를 처리하여 표시 데이터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표시 데이터 신호를 어드레스 전극 라인들에 인가한다. X 구동부(208)는 제어부(202)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들(SA, SY, SX)중에서 X 구동 제어 신호(SX)를 처리하여 X 전극 라인들에 인가한다. Y 구동부(204)는 제어부(202)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들(SA, SY, SX)중에서 Y 구동 제어 신호(SY)를 처리하여 Y 전극 라인들에 인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의 구동방법으로, 주로 사용되는 어드레스-디스플레이 분리 구동방법이 미국특허 제5541618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널의 구동 신호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로서, AC PDP의 ADS 구동방식에서 한 서브필드(SF)내에 어드레스 전극(A), 공통전극(X) 및 주사전극(Y1~Yn)에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서브필드(SF)는 리셋기간(PR), 어드레스 기간(PA) 및 유지방전기간(PS)를 구비한다.
리셋기간(PR)은 모든 그룹의 주사라인에 대해 리셋펄스를 인가하여, 강제로 기입방전을 수행함으로써, 전체 셀의 벽전하 상태를 초기화한다. 어드레스 기간(PA)에는, 공통전극(X)에 바이어스 전압(Ve)이 인가되고, 표시되어야 할 셀 위치에서 주사전극(Y1~Yn)과 어드레스 전극(A1~Am)을 동시에 턴온시킴으로써, 표시 셀을 선택한다. 어드레스 기간(PA)이 수행된 후에, 공통전극(X)과 주사전극(Y1~Yn)에 유지펄스(Vs)를 교대로 인가하여, 유지방전 기간(PS)이 수행된다. PDP에서 휘도는 유지방전 펄스수에 의하여 조정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Y구동부(204)는, 로직전원, 리셋전원(Vs, Vset), 주사전원(VSC-H, VSC-L), 유지전원(VS) 등을 필요로 한다. X구동부(208)는, 로직전원, X 바이어스 전원(Ve), 유지전원(VS) 등을 필요로 한다. 또한 어드레스 구동부(206)는 어드레스 전원(Va)을 필요로 한다.
도 4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전원공급부는 크게 메인전원 공급부(500)과 대기(standby)전원 공급부(502)로 나뉜다.
메인전원 공급부(500)는 PDP 모듈(506)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전압(V1...Vn, 506)을 공급한다. 메인전원 공급부(500)의 출력전압에는 로직전원(5V, 3.3V), 스위칭전원(12V)과 같은 저전압과, 리셋전압(VSET), 어드레스 전압(VA), 주사전압(V_ SC), 유지방전 전압(VS) 등의 전극 구동전압과 같은 고전압이 포함된다. 영상처리부(504)의 전원(506) 역시 저전압이다.
대기전원 공급부(502)는 AC 전원이 연결되어 있고, 메인전원 공급부(500)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 즉 대기상태(standby state)에서 영상처리부(504)에 전원을 공급한다.
영상처리부(504)는 도 2의 영상처리부(200)와 같은 동작을 하며, 대기상태에서 리모콘(remote control) 신호(510)를 센싱하는 리모콘 센싱부(512) 및 영상처리부(504) 내의 제어기(micom) 등을 항상 동작시키기 위한 대기전원(508) 예컨대 5V 가 항상 입력될 것을 요구한다.
전술한 종래의 전원공급부 구조는, 메인전원 공급부(500)의 로직전원 출력(5V)과 대기전원 공급부(502)의 대기전원 출력(5V)이 중복되므로, 부품수의 증가에 따른 비용상승, 회로의 복잡화, 전원회로가 차지하는 공간의 증대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회로 간략화를 실현한 새로운 구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기전압을 공급하는 대기전원부;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대기전압과는 다른 복수개의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메인전원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기전압 공급부는 상기 대기전압을 출력하는 두 개의 출력단을 구비하고, 둘 중 하나의 출력단에 제1스위칭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전원부는, 입력된 교류전압을 직류의 제1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변환부; 및 상기 제1전압을 복수개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변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AC/DC 변환부는, 상기 입력된 교류전압을 정류된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된 전압을 역률 보상된 제1전압으로 변환하는 역률 보상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대기전원부는, 상기 정류된 전압을 상기 대기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대기전원부는, 상기 정류된 전압 또는 상기 제1전압을 상기 대기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기전압 및 저전압을 공급하는 대기전원부;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대기전압 및 저저압과는 다른 복수개의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메인전원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기전압 공급부는 상기 대기전압을 출력하는 두 개의 출력단을 구비하고, 둘 중 하나의 출력단에 제1스위칭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저전압의 출력을 스위칭하는 제2스위칭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전압은, 12V 및 3.3V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전원부는, 입력된 교류전압을 직류의 제1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변환부; 및 상기 제1전압을 복수개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변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AC/DC 변환부는, 상기 입력된 교류전압을 정류된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된 전압을 역률 보상된 제1전압으로 변환하는 역률 보상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대기전원부는, 상기 정류된 전압을 상기 대기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대기전원부는, 상기 정류된 전압 또는 상기 제1전압을 상기 대기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대기전원부(910)와 메인전원부(900, 902, 904), 제1스위칭부(922)를 구비한다.
대기전원부(91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기전압(907, VSB)을 공급한다. 대기전원부(912)는 AC 전원이 연결되어 있고, 메인전원부(500)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 즉 대기상태(standby state)에서 영상처리부(908)에 대기전원(907, VSB)을 공급한다. 여기서 VSB는 예컨대 5V 이다.
영상처리부(908)는 도 2의 영상처리부(200)와 같은 동작을 하며, 대기상태에서 리모콘(remote control) 신호(918)를 센싱하는 리모콘 센싱부(920) 및 영상처리 부(908) 내의 제어기(micom) 등을 항상 동작시키기 위한 대기전원(907, VSB) 예컨대 5V가 항상 입력될 것을 요구한다.
PDP 모듈(906)은, 도 1의 전극들이 구비된 패널과,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구동부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논리제어부 등을 구비한다. 논리제어부는 대기전원과 동일한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PDP 모듈(906)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논리제어부의 제어신호들은 다른 구동신호들보다 먼저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는 메인전원부의 DC/DC 변환부(904) 출력전압과는 별개로, PDP 모듈(906)에 대기전압(907, VSB)을 인가/차단하는 제1스위칭부(9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스위칭부(922)는 리모콘 센싱부(920)에 의해 센싱된 PDP 모듈 턴온/턴오프 신호(916)에 의해 대기전원(907, VSB)을 PDP 모듈(906)에 인가/차단한다.
메인전원부(900, 902, 904)는 PDP 모듈(906)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전압(V1...Vn, 905) 및 영상처리부(908)에서 요구하는 전압들을 공급한다.
메인전원부는, 입력된 교류전압을 직류의 제1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변환부 및 제1전압을 복수개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변환부(90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AC/DC 변환부는 정류부(900) 및 역률보상부(902)를 구비할 수 있다.
정류부(900)는 브리지 다이오드 등의 정류회로를 구비하여, 입력 AC 전압을 정류된 전압(901)으로 변환한다.
역률보상부(902)는 소비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인덕터, 다이오드, 캐패시터, 및 스위치를 구비한 역률보상회로(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를 구비한다. 또한 통상 역률보상부(902)는 전압을 안정되게 부스팅한 역률보상전압(903)을 DC/DC 변환부(904)에 공급한다.
DC/DC 변환부(904)는 PDP 모듈(906)에서 필요로 하는 여러개의 DC 전원(V1,V2,..,Vn)을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서로 다른 변환비를 갖는 여러개의 DC/DC 변환기를 구비할 수 있다.
DC/DC 변환부(904)의 출력전압에는 대기전압(907, VSB)을 제외한 다른 전압들, 즉 로직전원(3.3V), 스위칭전원(12V)과 같은 저전압과, 도 3의 리셋전압(VS, VSET), 어드레스 전압(VA), 주사전압(VSC-H, VSC-L), 유지방전 전압(VS), 리셋기간(PR)에서 X전극에 인가되는 소거전압(Ve), 어드레스 기간(PA)에서 X전극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Vb, 도 3에서는 Vb=Ve) 등의 전극 구동을 위한 고전압이 포함된다. 또한 메인전원부의 DC/DC 변환부(904)는 영상처리부(908)에서 필요로 하는 저전압(12V, 3.3V 등)을 공급한다.
한편 대기전원부(910)는 정류된 전압(901) 또는 역률보상된 제1전압(903)을 공급받음으로써, 순시정전(DIP)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대기전원부(910)와 메인전원부(900, 902, 904), 제1스위칭부(922), 제2스위칭부(912)를 구비한다.
도 6의 대기전원부(91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기전압(907, VSB)및 저전압(VL1:VLm)을 공급한다. 대기전원부(912)는 AC 전원이 연결되어 있고, 메인전원부(500)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 즉 대기상태(standby state)에서 영상처리부(908)에 대기전원(907, VSB)을 공급한다. 여기서 VSB는 예컨대 5V 이다. 또한 대기전원부(910)는 메인전원부(500)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PDP 모듈(906)과 영상처리부(908)에 저전압(VL1:VLm) 예컨대 15V, 12V, 3.3V를 공급한다.
영상처리부(908)는 도 2의 영상처리부(200)와 같은 동작을 하며, 대기상태에서 리모콘(remote control) 신호(918)를 센싱하는 리모콘 센싱부(920) 및 영상처리부(908) 내의 제어기(micom) 등을 항상 동작시키기 위한 대기전원(907, VSB) 예컨대 5V가 항상 입력될 것을 요구한다.
PDP 모듈(906)은, 도 1의 전극들이 구비된 패널과,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구동부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논리제어부 등을 구비한다. 논리제어부는 대기전원과 동일한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PDP 모듈(906)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논리제어부의 제어신호들은 다른 구동신호들보다 먼저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뿐만이 아니라, PDP 모듈(906) 및 영상처리부(908)에서 필요로 하는 저전압을 다른 고전압보다 먼저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는 메인전원부의 DC/DC 변환부(904) 출력전압과는 별개로, PDP 모듈(906)에 대기전압(907, VSB)을 인가/차단하는 제1스위칭부(922), 및 PDP 모듈(906) 및 영상처리부(908)에 저전압(914, VL1:VLm)을 인가/차단하는 제2스위칭부(9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스위칭부(922)는 리모콘 센싱부(920)에 의해 센싱된 PDP 모듈 턴온/턴오프 신호(916)에 의해 대기전원(907, VSB)을 PDP 모듈(906)에 인가/차단한다.
제2스위칭부(912)는 리모콘 센싱부(920)에 의해 센싱된 PDP 모듈 턴온/턴오프 신호(916)에 의해 저전압(914, VL1:VLm)을 PDP 모듈(906) 및 영상처리부(908)에 인가/차단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스위칭부(922) 및 제2스위칭부(912)에 의해 고전압과는 별도로 로직전원 및 스위칭전원(5V, 3.3V, 12V, 15V) 등의 저전압을 인가/차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메인전원부(900, 902, 904)는 PDP 모듈(906)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전압(VH1:VHn, 909)을 공급한다. DC/DC 변환부(904)의 대기전원부(910) 출력전압(V SB, VL1:VLm)을 제외한 다른 전압들(VH1:VHn, 909)을 공급한다.
한편 대기전원부(910)는 정류된 전압(901) 또는 역률보상된 제1전압(903)을 공급받음으로써, 순시정전(DIP)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술한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예컨대 도 2의 구성의 구동장치 및 도 1의 구조의 패널을 구비한 것 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대기전원부의 출력과 메인전원부의 출력이 중복되지 않는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회로 간략화를 실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로 간략화에 따른 부품수의 감소, 비용감소, 전원회로가 차지하는 공간의 감소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고전압과는 별도로 로직전원 및 스위칭전원 등의 저전압을 인가/차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을 구동하는 고전압과는 별도로, 각종 제어신호들을 발생하기 위한 저전압을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 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르침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5)

  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기전압을 공급하는 대기전원부;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대기전압과는 다른 복수개의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메인전원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원부는
    상기 대기전압을 출력하는 두 개의 출력단을 구비하고, 둘 중 하나의 출력단에 제1스위칭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전원부는,
    입력된 교류전압을 직류의 제1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변환부; 및
    상기 제1전압을 복수개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C/DC 변환부는,
    상기 입력된 교류전압을 정류된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된 전압을 역률 보상된 제1전압으로 변환하는 역률 보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원부는,
    상기 정류된 전압을 상기 대기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원부는,
    상기 정류된 전압 또는 상기 제1전압을 상기 대기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기전압 및 저전압을 공급하는 대기전원부;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대기전압 및 저저압과는 다른 복수개의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메인전원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원부는
    상기 대기전압을 출력하는 두 개의 출력단을 구비하고, 둘 중 하나의 출력단에 제1스위칭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원부는
    상기 저전압의 출력을 스위칭하는 제2스위칭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은,
    15V, 12V 및 3.3V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전원부는,
    입력된 교류전압을 직류의 제1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변환부; 및
    상기 제1전압을 복수개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C/DC 변환부는,
    상기 입력된 교류전압을 정류된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된 전압을 역률 보상된 제1전압으로 변환하는 역률 보상부를 구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원부는,
    상기 정류된 전압을 상기 대기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원부는,
    상기 정류된 전압 또는 상기 제1전압을 상기 대기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40039284A 2004-05-31 2004-05-3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284A KR100581915B1 (ko) 2004-05-31 2004-05-3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284A KR100581915B1 (ko) 2004-05-31 2004-05-3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082A KR20050114082A (ko) 2005-12-05
KR100581915B1 true KR100581915B1 (ko) 2006-05-23

Family

ID=3728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284A KR100581915B1 (ko) 2004-05-31 2004-05-3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9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231B1 (ko) * 2006-05-03 2008-04-17 이상복 액정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082A (ko) 2005-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191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4575120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駆動装置
KR10055376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1415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033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1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2270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7315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dc/dc 변환장치,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964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KR10060334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공급장치,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전원공급장치의 제어장치
KR100553766B1 (ko) 효과적으로 전위들이 차단되는 방전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5376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2270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089271A (ko) 디스플레이 패널구동방법
KR2007009176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KR100581912B1 (ko) 효율적으로 전위들이 발생되는 방전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22710B1 (ko) 순간적 전원 변동에 대처하는 방전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8189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장치
KR100515848B1 (ko)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0336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537625B1 (ko) 효과적으로 전위들이 차단되는 방전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112574A (ko)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9575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력회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KR10068367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100581917B1 (ko) 효율적으로 전위들이 발생되는 방전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