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601B1 -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블럭복사의 구현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블럭복사의 구현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81601B1 KR100581601B1 KR1019990048165A KR19990048165A KR100581601B1 KR 100581601 B1 KR100581601 B1 KR 100581601B1 KR 1019990048165 A KR1019990048165 A KR 1019990048165A KR 19990048165 A KR19990048165 A KR 19990048165A KR 100581601 B1 KR100581601 B1 KR 1005816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scan order
- source
- data
- upper lef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7)
- 온스크린그래픽(On Screen Graphic)기능을 갖는 장치에서,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소스블럭들간 블랜딩을 지원하여 블랜딩된 데이터를 목표블럭에 기록하는 블럭복사 구현방법에 있어서,(1) 소스블럭들과 목표블럭간의 상대적 위치에 따른 데이터 스캔순서를 결정하는 단계;(2) 상기 결정된 스캔순서에 따라 소스블럭들의 데이터를 읽어들여 블랜딩하는 단계;(3) 상기 결정된 스캔순서에 따라 상기 블랜딩된 데이터를 목표블럭에 기록하는 단계; 및(4) 소스블럭들의 모든 데이터에 대해 상기 단계 2, 3이 반복 수행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구현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두 소스블럭과 목표블럭이 겹쳐져 있지 않은 경우, 블럭의 좌측 상단을 시작주소로 하고, 수평성분에 있어서 오른쪽(어드레스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수직성분에 있어서 아래(+) 방향으로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데이터 스캔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구현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두 소스블럭중 어느 하나가 목표블럭과 겹쳐져 있는 경우, 목표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이 겹쳐지는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보다 상위에 위치하면, 블럭의 좌측상단을 시작주소로 하고, 수평성분에 있어서 오른쪽(+) 방향으로, 수직성분에 있어서 아래(+) 방향으로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데이터 스캔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구현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목표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과 겹쳐지는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이 같을 경우 목표블럭의 좌측상단의 수평성분이 겹쳐지는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평성분보다 좌측에 위치하면, 블럭의 좌측상단을 시작주소로 하고, 수평성분에 있어서 오른쪽(+) 방향으로, 수직성분에 있어서 아래(+) 방향으로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데이터 스캔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구현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목표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이 겹쳐지는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보다 하위에 위치하면, 블럭의 우측하단을 시작주소로 하고, 수평성분에 있어서 왼쪽(어드레스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수직성분에 있어서 위(-) 방향으로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데이터 스캔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구 현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목표블럭의 좌측상단의 수평성분이 겹쳐지는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평성분의 우측에 위치하면, 블럭의 우측하단을 시작주소로 하고, 수평성분에 있어서 왼쪽(-) 방향으로, 수직성분에 있어서 위(-) 방향으로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데이터 스캔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구현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두 소스블럭이 서로 떨어져서 모두 목표블럭과 겹쳐져 있고 목표블럭이 수직방향으로 두 소스블럭에 내재되지 않은 경우, 목표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이 두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보다 상위이거나 같고 두 소스블럭중 우측에 위치한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이 좌측에 위치한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보다 상위이거나 같으면, 블럭의 좌측상단을 시작주소로 하고, 수평성분에 있어서 오른쪽(+) 방향으로, 수직성분에 있어서 아래(+) 방향으로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데이터 스캔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구현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두 소스블럭중 우측에 위치한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이 좌측에 위치한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보다 상위에 위치하면, 블럭의 우측상단을 시작주소로 하고, 수평성분에 있어서 왼쪽(-) 방향으 로, 수직성분에 있어서 아래(+) 방향으로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데이터 스캔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구현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목표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이 두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보다 하위이거나 같고 두 소스블럭중 우측에 위치한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이 좌측에 위치한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보다 상위에 위치하면, 블럭의 우측하단을 시작주소로 하고, 수평성분에 있어서 왼쪽(-) 방향으로, 수직성분에 있어서 위(-) 방향으로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데이터 스캔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구현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두 소스블럭중 우측에 위치한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이 좌측에 위치한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보다 하위이거나 같으면, 블럭의 좌측하단을 시작주소로 하고, 수평방향에 있어서 오른쪽(+) 방향으로, 수직성분에 있어서 위(-) 방향으로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데이터 스캔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구현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서로 겹쳐진 두 소스블럭이 모두 목표블럭 과 겹쳐져 있고 목표블럭이 수직방향으로 두 소스블럭에 내재되지 않은 경우, 목표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이 두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보다 상위이거나 같고, 두 소스블럭중 우측에 위치한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이 좌측에 위치한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보다 하위에 위치하면, 블럭의 우측상단을 시작주소로 하고, 수평성분에 있어서 왼쪽(-) 방향으로, 수직성분에 있어서 아래(+) 방향으로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데이터 스캔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구현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두 소스블럭중 우측에 위치한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이 좌측에 위치한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보다 상위이거나 같으면, 블럭의 좌측상단을 시작주소로 하고, 수평성분에 있어서 오른쪽(+) 방향으로, 수직성분에 있어서 아래(+) 방향으로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데이터 스캔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구현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목표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이 두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보다 하위이거나 같고, 두 소스블럭중 우측에 위치한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이 좌측에 위치한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보다 하위이거나 같으면, 블럭의 좌측하단을 시작주소로 하고, 수평성분에 있어서 오른쪽(+) 방향으로, 수직성분에 있어서 위(-) 방향으로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데이 터 스캔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구현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두 소스블럭중 우측에 위치한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이 좌측에 위치한 소스블럭의 좌측상단의 수직성분보다 상위에 위치하면, 블럭의 우측하단을 시작주소로 하고, 수평성분에 있어서 왼쪽(-) 방향으로, 수직성분에 있어서 위(-) 방향으로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데이터 스캔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구현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두 소스블럭이 서로 떨어져서 모두 목표블럭과 겹쳐져 있고 목표블럭이 수직방향으로 두 소스블럭에 내재된 경우, 블럭의 좌측상단을 시작주소로 하고, 수평성분에 있어서 오른쪽(+) 방향으로, 수직성분에 있어서 아래(+) 방향으로 스캔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구현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서로 겹쳐진 두 소스블럭이 모두 목표블럭과 겹쳐져 있고 목표블럭이 수직방향으로 두 소스블럭에 내재된 경우, 블럭의 좌측상단을 시작주소로 하고, 수평성분에 있어서 오른쪽(+) 방향으로, 수직성분에 있어서 아래(+) 방향으로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데이터 스캔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구현방법.
-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목표블럭과 두 소스블럭중 좌측에 위치한 소스블럭과 겹쳐진 SDRAM영역에 두 소스블럭의 블랜딩된 데이터를 기록할 때 비트마스크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구현방법.
-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마스크를 이용하여 구현된 목표블럭과 소스블럭의 겹쳐진 영역에서 소스블럭의 데이터를 다시 읽어올 때 비트쉬프트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구현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마스크는 상기 블랜딩된 데이터의 전체 비트중 하위 절반에 해당하는 비트수 만큼 마스킹(Mask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구현방법.
- 제 18항에 있어서, 비트쉬프트는 상기 비트마스트된 비트수 만큼 데이터를 비트쉬프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구현방법.
-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소스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여 목표블럭에 블랜딩된 데이터를 기록하는 블럭복사 장치에 있어서,소스블럭들과 목표블럭의 데이터가 기록되는 메모리;소스블럭들과 목표블럭의 상대적 위치에 따른 데이터 스캔순서를 결정하는 스캔순서결정부;상기 결정된 스캔순서에 따라 각 블럭들의 데이터 스캔 시작주소를 생성하는 어드레스발생부;상기 메모리의 상기 스캔 시작주소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상기 결정된 스캔순서에 따라 처리하여 출력하는 비트쉬프트부;상기 비트쉬프트부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인가받아 블랜딩하는 제어하는 블랜딩부; 및상기 블랜딩부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상기 결정된 스캔순서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비트마스크부를 포함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장치.
-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순서결정부는 두 소스블럭과 목표블럭의 좌측상단 주소의 수평성분과 수직성분을 비교하여 스캔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장치.
-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발생부는상기 스캔순서발생부에서 결정된 스캔순서에 따라 상기 소스블럭의 스캔 시작주소를 생성하는 독출어드레스발생기; 및상기 목표블럭의 스캔 시작주소를 생성하는 기록어드레스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장치.
-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쉬프트부는 두 소스블럭이 모두 목표블럭과 겹쳐지고, 목표블럭이 수직방향으로 두 소스블럭과 내재된 경우에 데이터를 비트쉬프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장치.
-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마스크부는 두 소스블럭이 모두 목표블럭과 겹쳐지고, 목표블럭이 수직방향으로 두 소스블럭과 내재된 경우에 데이터를 비트마스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장치
-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마스크부는 상기 블랜딩된 데이터의 R,G,B 비트수중 절반의 하위비트를 마스킹(Masking)하고 그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장치.
-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쉬프트부는 상기 비트마스트부에 의한 마스킹된 비트수만큼 쉬프팅(Shift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 블럭복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48165A KR100581601B1 (ko) | 1999-11-02 | 1999-11-02 |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블럭복사의 구현방법 및 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48165A KR100581601B1 (ko) | 1999-11-02 | 1999-11-02 |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블럭복사의 구현방법 및 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45053A KR20010045053A (ko) | 2001-06-05 |
KR100581601B1 true KR100581601B1 (ko) | 2006-05-22 |
Family
ID=1961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4816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1601B1 (ko) | 1999-11-02 | 1999-11-02 |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블럭복사의 구현방법 및 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8160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18340B (zh) * | 2015-05-29 | 2022-05-13 | 寰发股份有限公司 | 一种管理解码图像缓存器并解码视频比特流的方法及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74189A (en) * | 1994-12-12 | 1998-06-30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On screen display |
KR19990011804A (ko) * | 1997-07-25 | 1999-02-18 | 구자홍 | 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
KR100191316B1 (ko) * | 1996-02-28 | 1999-06-15 | 윤종용 | 온스크린그래픽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에서의 블록복사/이동제어장치 |
JP2000305549A (ja) * | 1999-04-16 | 2000-11-0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Osd表示回路 |
-
1999
- 1999-11-02 KR KR1019990048165A patent/KR100581601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74189A (en) * | 1994-12-12 | 1998-06-30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On screen display |
KR100191316B1 (ko) * | 1996-02-28 | 1999-06-15 | 윤종용 | 온스크린그래픽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에서의 블록복사/이동제어장치 |
KR19990011804A (ko) * | 1997-07-25 | 1999-02-18 | 구자홍 | 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
JP2000305549A (ja) * | 1999-04-16 | 2000-11-0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Osd表示回路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45053A (ko) | 2001-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866902B1 (en) | Pre-subpixel rendered image processing in display systems | |
EP0681280B1 (en) | Vertical filtering method for raster scanner display | |
JP2618101B2 (ja) | 画像のレイアウト処理方法 | |
EP1316064B1 (en) | Scaling images | |
US20060109280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rendering a polygon in an image to be displayed | |
EP3474539A1 (en) | Image processing device, and superimposed image generation method | |
KR100581601B1 (ko) | 가변 스캔순서를 이용한 블럭간 블랜딩을 지원하는블럭복사의 구현방법 및 그 장치 | |
US6992673B2 (en) | Memory access device, semiconductor device, memory access method,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US6879329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processing operation by coordinate calculation | |
JP2015043543A (ja) | 画像変倍装置および画像変倍方法 | |
US7830393B2 (en) | Device,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for rectangular image drawing | |
JPH0253761B2 (ko) | ||
JPH06180569A (ja) | 画像処理装置 | |
JP2008160250A (ja) |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 |
JP2004240200A (ja) | 画像形成装置 | |
EP2988269B1 (en) | A system and method for scaling and copying graphics | |
JP3582540B2 (ja) | 解像度変換装置および解像度変換方法 | |
JP4420083B2 (ja) | 画像処理回路、表示装置及び印刷装置 | |
KR101215616B1 (ko) | Lcd 이미지의 단절 현상 방지 장치 및 방법 | |
JP2007298796A (ja) | Osdデータ処理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およびosdデータ処理方法 | |
JP2576748B2 (ja) | 三次元図形の描画装置 | |
JPH06334847A (ja) |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 |
KR100510674B1 (ko) | 영상 피벗을 위한 메모리 억세스 방법 | |
JP3560124B2 (ja) | 画像データ補間装置、画像データ補間方法および画像データ補間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 |
KR950035285A (ko) | 데이타 관리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9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11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