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293B1 - Ip 기반의 패킷 무선 접속망에서의 고속 핸드오프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Ip 기반의 패킷 무선 접속망에서의 고속 핸드오프 장치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293B1
KR100581293B1 KR1020030095010A KR20030095010A KR100581293B1 KR 100581293 B1 KR100581293 B1 KR 100581293B1 KR 1020030095010 A KR1020030095010 A KR 1020030095010A KR 20030095010 A KR20030095010 A KR 20030095010A KR 100581293 B1 KR100581293 B1 KR 100581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ff
access point
wireless access
packe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5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3595A (ko
Inventor
신동진
송평중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95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293B1/ko
Publication of KR20050063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3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 기반의 패킷 무선 접속망에서의 고속 핸드오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과 무선링크로 연결되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무선 접속점과, 단말의 이동으로 인하여, 단말로부터의 핸드오프 요구에 따라 단말이 제 1 무선 접속점과의 무선 링크를 연결한 상태에서, 단말과의 새로운 무선링크를 연결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무선 접속점, 그리고, 단말의 핸드오프 동작시 상기 제 1 무선 접속점 및 제 2 무선 접속점과의 이중 유선 링크를 연결하여 핸드오프 중에 단말로 전송되는 IP 패킷을 상기 제 1 무선 접속점 및 제 2 무선 접속점으로 동시에 전송하는 핸드오프 제어기를 포함하는 무선 패킷 접속망에서 단말과, 핸드오프 제어기에 핸드오프 수행 중에 이중링크를 통해 송수신되는 IP 패킷을 분배 및 선택하는 기능을 추가로 구성하여 핸드오프 동작 중에 지연을 없애고, 패킷 분실의 위험이 적은 고속 핸드오프가 가능하도록 한다.
고속 핸드오프, IP 패킷, 이중 링크

Description

IP 기반의 패킷 무선 접속망에서의 고속 핸드오프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high speed hand off in IP based packet radio access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 기반의 패킷 무선 접속망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 기반의 패킷 무선 접속망에서의 고속 핸드오프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패킷 무선 접속망에서의 고속 핸드오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IP 기반의 패킷 무선 접속망에서 고속의 단절 없는 핸드오프를 제공할 수 있는 IP 기반의 패킷 무선접속망에서의 고속 핸드오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패킷 기반의 핸드오프 기술은 크게 무선접속점간의 협역의 이동성을 보장해주는 마이크로 핸드오프와 모바일 IP(Mobile IP) 기술에 의한 FA(Foreign Agent)간의 광역의 핸드오프를 지원해 주는 매크로 핸드오프로 나눌 수 있다.
광역의 핸드오프는 모바일 IP 기술을 바탕으로 하며, 또한 협역의 마이크로 핸드오프는 계층 2(링크계층)를 기반으로 이동성을 보장해 주는 방법과 계층 3 또는 그 이상의 계층을 기반으로 이동성을 보장해 주는 방법들로 분류되어 진다.
일반적인 계층 3 이상에서의 핸드오프 방식은 핸드오프에 따른 지연이 크고, 핸드오프에 따른 손실을 없애기 위해서 동일 단말이 다수의 IP 주소를 가지고 멀티케스트(Multicast) 방법을 사용해야 하며, 이에 따른 지연시간 및 손실 방지를 위한 버퍼 및 재전송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마이크로 핸드오프와 계층 2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성 보장 기술 중에서, 일반적으로 IP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 접속망에서의 이동성 보장을 위한 기술로서 셀룰러(Cellular) IP 기술, HAWAII(Handoff Aware Wireless Access Internet Infrastructure) 기술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핸드오프 발생시 패킷의 재전송 등에 의한 지연시간 발생으로 단절 없는 핸드오프를 제공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또한, 핸드오프 과정 중 수신된 패킷 데이터가 이전의 셀로부터 새로운 셀로 전달되고 새로운 셀에서는 뒤섞인 패킷에 대한 순서를 재 정렬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핸드오프 진행 도중의 지연 시간에 따라 이전의 셀에서는 패킷을 저장해야 하는 버퍼 크기가 정해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핸드오프 기술들은 버퍼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기술들에 대한 연구와, 데이터 손실을 없애기 위한 방법들에 대한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지연 시간이 적고 고속의 핸드오프를 실현하기 위해 핸드오프 가능 셀을 예측하고 예측된 셀과의 핸드오프를 미리 준비하는 방법, 다중의 PPP(Point to Point Protocol) 링크 설정을 통해 핸드오프를 고속으로 하는 방법, FA 간의 핸드오프의 경우 다수의 COA(Care of Address)를 사용하여 핸드오프를 고속화하는 방법들이 제시되어지고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IP 계층 이상에서의 다중 패킷 전달 방식이 아닌 링크 계층에서의 다중 경로를 통한 IP 패킷 전달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여 고속의 단절 없는 핸드오프가 가능하도록 하는 IP 기반의 무선 접속망에서의 고속 핸드오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IP 기반의 패킷 무선접속망에서의 고속 핸드오프 장치는,
단말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패킷 무선 접속망에서의 고속 핸드오프 수행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무선링크로 연결되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무선 접속점; 상기 단말의 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단말로부터의 핸드오프 요구에 따라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무선 접속점과의 무선 링크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단말과의 새로운 무선링크를 연결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무선 접속점; 및 상기 단말의 핸드오프 동작시 상기 제 1 무선 접속점 및 제 2 무선 접속점과의 이중 유선 링크를 연결하여 핸 드오프 중에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IP 패킷을 상기 제 1 무선 접속점 및 제 2 무선 접속점으로 동시에 전송하는 핸드오프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IP 기반의 패킷 무선 접속망에서의 고속 핸드오프 방법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IP 기반의 패킷 무선 접속망에서의 고속 핸드오프 수행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제 1 무선 접속점과 제 1 무선링크로 접속되어 있는 상기 단말이 이동하여, 핸드오프를 위해 제 2 무선 접속점과 제 2 무선 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 1 무선 접속점과 제 1 유선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로 IP 패킷을 전송하는 핸드오프 제어기가 상기 제 2 무선 접속점과의 제 2 유선링크를 연결하는 단계; (b) 상기 핸드오프 제어기와 제 1 무선 접속점을 통해 상기 단말과 연결된 제 1 링크(제 1 무선링크와 제 1 유선링크로 이루어짐) 및 제 2 무선 접속점을 통해 상기 단말과 연결된 제 2 링크(제 2 무선링크와 제 2 유선링크로 이루어짐)를 통해 이중으로 송수신되는 IP 패킷을 상기 단말 및 상기 핸드오프 제어기가 분배 및 선택하여 IP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말의 핸드오프가 완료되면, 상기 단말과 제 1 링크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 기반의 패킷 무선 접속망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100)과의 무선 채널 통신을 수행하는 IP 기반의 패킷 무선 접속망은 다수의 무선 접속점(200) 및 핸드오프 제어기(300)를 포함한다.
이때, 무선 접속점(200)은 단말(100)과의 무선 채널을 형성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속점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도 1에서는 다수의 무선 접속점(200) 중에서 단말(100)의 핸드오프에 따른 이전 무선 접속점(210)과, 새로운 무선 접속점(220)만을 도시하였다.
그리고 핸드오프 제어기(300)는 다수의 무선 접속점(200)과 연결되며, 단말(100)이 핸드오프를 수행할 때, 새로 접속해야 하는 무선 접속점(200)을 지정하고, 외부의 전달망과 다수의 무선 접속점(200)을 연결한다.
핸드오프 제어기(300)와 다수의 무선 접속점(200)은 이더넷 혹은 다른 종류의 유선 링크를 가질 수 있으며, 네트워크 계층은 단말(100)과 다수의 무선 접속망(200)사이의 무선 링크와 같이 IP를 가진다.
상기한 구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 기반의 무선 접속망에서 정상적인 통화 상태에서 단말(100)이 이동하여 다른 셀 영역으로 진입함에 따라 핸드오프가 시작되며, 새로운 무선 접속점(220)과의 무선 링크가 설정되고, 네트워크 프로토콜인 IP를 기반으로 단말(100)과 핸드오프 제어기(300)간에 세션 설정을 위한 준비가 된다.
이때, 단말(100)과 핸드오프 제어기(300)간에는 실제적인 세션은 1개가 형성되지만, 2 개의 하부 링크로 구성된 특징을 가지게 된다. 즉, 단말(100)과 핸드오프 제어기(300)의 IP 주소는 1개를 가지며, 상위의 응용 계층에서 볼 때 하나의 세션과 무선링크처럼 보이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 송신시에는 2 개의 링크에서 동일한 IP 패킷을 분배 전달하고, 수신측에서는 2개의 링크로부터의 패킷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핸드오프가 종료되는 단계에서는 이전 무선 접속점(210)과 무선링크 및 유선링크가 종료되며 새로운 무선 접속점(220)을 경유한 트래픽만이 존재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 기반의 무선 접속망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IP기반의 무선 접속망을 통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는 단말(100)은 상위계층(110), IP 계층(120), 패킷 분배/선택 기능 계층(130), 무선 계층 2(160, 140), 및 무선 계층 1(170, 150)을 포함한다.
무선 계층 2(160, 140) 및 무선계층 1(170, 150)은 트래픽 전달 관련 기능 계층을 나타내고, 패킷 분배/선택 기능 계층(130)은 2개의 핸드오프 대상 링크로 패킷을 복사 분배하고, 2개의 링크를 통해 접수된 동일 패킷을 선택한다.
이때, 무선 계층 1, 2(170, 160)을 하나의 무선 링크 계층이라 부르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무선 계층 1, 2(150, 140)도 하나의 무선 링크 계층이라 할 수 있 다. 또한, 다음의 설명에서 각각 연결되는 무선 계층 1, 2를 함께 무선 링크 계층이라 하고, 유선 계층 1, 2를 함께 유선 링크 계층이라 할 수 있다.
IP 계층(120) 및 상위 계층(110)은 상기 패킷 분배/선택 기능 계층(130)이 선택하여 전달하는 패킷을 처리하고, 핸드오프를 위한 대상링크로의 패킷을 상기 패킷 분배/선택 기능 계층(130)으로 전달한다.
상기한 단말(100)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기반의 무선 접속망은 상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의 무선 접속망(200) 및 핸드오프 제어기(300)를 가지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나타낸 이전 무선 접속점(210) 및 새로운 무선 접속점(220)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각각 무선 계층 2(213, 223), 유선계층 2(211, 221), 유선 계층 1(212, 222) 및 무선 계층 1(214, 224)을 포함한다.
무선 계층 2(213, 223) 및 무선 계층 1(214, 224)은 트래픽 전달 기능과 관련하여 무선 링크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유선 계층 2(211, 221) 및 유선 계층 1(212, 222)은 유선 링크를 통한 핸드오프제어기(300)와의 접속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100)의 무선 계층 2(140) 및 무선 계층 1(150)이 이전 무선 접속점(210)의 무선 계층 2(213) 및 무선 계층 1(214)와 연결되어 하나의 무선 링크가 되고, 단말(100)의 무선 계층 2(160) 및 무선 계층 2(170)가 새로운 무선 접속점(220)의 무선 계층 2(223) 및 무선 계층 1(224)와 연결되어 다른 하나의 무선 링크가 된다.
그리고 핸드오프 제어기(300)는 단말(100)과의 접속을 위한 기능 계층(310) 과, 외부 전달망과의 접속을 위한 유선 기능 계층(320)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무선 접속을 위한 기능 계층(310)은 IP 계층(311), 패킷 분배 선택 기능(312), 유선 계층 2(313, 315) 및 유선 계층 1(314, 316)을 포함하고, 외부 전달망과의 접속을 위한 유선 기능 계층(320)은 IP 계층(321), 유선 계층 2(322) 및 유선 계층 1(323)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전 무선 접속점(210)의 유선 계층 2(211) 및 유선 계층 1(212)과 핸드오프 제어기(300)의 유선 계층 2(313) 및 유선 계층 1(314)와 연결되어 하나의 유선 링크가 되고, 새로운 무선 접속점(220)의 유선 계층 2(221) 및 유선 계층 1(222)과 핸드오프 제어기(300)의 유선 계층 2(315) 및 유선 계층 1(316)이 연결되어 또 하나의 유선 링크가 된다.
상기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IP 기반의 패킷 무선 접속망은 정상적인 통신시 이전 무선 접속점(210)에 접속된 무선링크와 유선링크를 통해 단말(100)과 핸드오프 제어기(300)가 연결되어 외부의 전달망과 접속된다.
이때, 단말(100)의 무선 계층 1(150)과 무선 계층 2(140)를 사용하며 패킷 분배/선택 기능 계층(130)은 분배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진다.
그리고 핸드오프 제어기(300)의 유선 계층 1(314)과 유선계층 2(313)를 사용하여 이전 무선 접속점(210)과의 접속이 이루어지며, 패킷 분배/선택 기능 계층(130)의 선택 기능이 비활성화 된다.
핸드오프 영역에 진입하게 되면, 단말(100)은 이미 형성하고 있는 이전 무선접속점(210)과의 무선링크 이외에 새로운 무선 접속점(220)과의 무선링크를 연결하 여 이중링크를 형성한다. 이때, 새로운 무선링크는 단말(100)의 무선 계층 1, 2(170, 160)와 새로운 무선 접속점(220)의 무선링크 1, 2(224, 223)가 접속하여 형성한다(무선계층 2(160)-무선계층 1(170)---무선계층 1(224)-무선링크 2(223)).
그리고 새로운 무선 접속점(220)의 유선 계층 1, 2(222, 221)가 핸드오프 제어기(300)의 유선 계층 1, 2(316, 315)와 연결되어, 핸드오프 제어기(300)도 이전 무선 접속점(210)과의 유선링크 및 새로운 무선 접속점(220)과의 유선링크로 이중링크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이중 링크가 구성되면, 단말(100) 및 핸드오프 제어기(300)의 핸드오프 분배/선택 기능 계층(130, 312)이 활성화 되어지며 송신측에서는 2개의 핸드오프 대상 링크로 패킷을 분배하며, 수신측에서는 2개의 링크를 통해 접수된 동일 패킷을 선택하여 IP 계층(120, 311)으로 전달함으로써 핸드오프 관련 무선 접속점(210, 220)을 통한 다중 전송이 이루어진다.
핸드오프 영역을 완전히 벗어난 경우는 핸드오프 영역에 진입하는 절차와 역순으로 동작이 일어난다. 즉 이전 무선 접속점(210)과 관련된 무선 계층 1(214), 무선 계층 2(213), 유선 계층 1(212) 및 유선 계층 2(211)를 통한 링크가 해제되며, 단말(100)과 핸드오프 제어기(300)의 패킷 분배/선택 기능 계층(130, 312)의 분배 기능과 선택 기능도 비활성화 된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동일 IP 패킷을 다중 링크를 통하여 전달하며, 핸드오프 절체 시간에 의한 핸드오프 지연을 없애고, 데이터 단절 및 손실 없이 핸드오프 영역에서 IP 기반의 패킷 데이터 전송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 기반의 패킷 무선 접속망에서의 고속 핸드오프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동작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 기반의 패킷 무선 접속망에서의 고속 핸드오프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정상적인 통신 상태에서는 단말(100), 이전 무선 접속점(210), 핸드오프 제어기(300), 외부 전달망(400), 및 상대 단말(500)간에 IP 패킷 송수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단말(100)이 이동하여 새로운 셀에 진입하면, 새로운 셀의 새로운 무선 접속점(220)으로 무선링크 접속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고(S301), 단말(100)로부터의 무선링크 접속 요구 메시지에 따라 새로운 무선 접속점(220)은 핸드오프 제어기(300)로 핸드오프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S302).
핸드오프 제어기(300)는 외부 전달망(400)에 존재하는 핸드오프 관련 장치(예를 들어 MIP HA, AAA 등)간에 핸드오프를 위한 인증 절차 등의 동작을 수행하고(S303, 304), 핸드오프 동작이 모두 수행되면 핸드오프 제어기(300)가 핸드오프 응답 메시지를 새로운 무선 접속점(220)으로 전송한다(S305).
새로운 무선 접속점(220)은 핸드오프 제어기(300)로부터의 핸드오프 응답 메시지에 따라 단말(100)로 무선 링크 접속 승인 메시지를 전송한다(S306).
상기 단계 S301 내지 단계 S306을 수행하여 단말(100)과 새로운 무선 접속점(220) 사이에는 무선 링크가 연결되며, 새로운 무선 접속점(220)과 핸드오프 제어기(300) 사이에는 유선링크가 연결된다.
따라서, 단말(100)과 이전 무선 접속점(210)간의 무선 링크와 이전 무선 접속점(210)과 핸드오프 제어기(300)간의 무선 링크 및 유선 링크를 포함한 이중 링크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중링크를 통한 핸드오프 수행을 위해, 단말(100)의 패킷 분배/선택 기능 계층(130)이 활성화되고(S307a), 핸드오프 제어기(300)의 패킷 분배/선택 기능 계층(312)도 활성화 된다(S307b).
패킷 분배/선택 기능 계층(130, 312) 상호간에 분배기능과 선택 기능을 번갈아 수행하여 IP 패킷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동작하며, IP 패킷 송신측에서는 분배기능이 수신측에서는 선택 기능이 활성화된다.
패킷 분배/선택 기능 계층(130, 312)의 동작에 의하여 IP 계층(120, 311) 하부에서 단말(100)과 이전 무선 접속점(210)과 새로운 무선 접속점(220) 및 핸드오프 제어기(300)간에 다중 링크 송수신이 실행된다.
다중 링크 송수신을 통하여, 핸드오프시에 핸드오프 제어기(300)는 단말(100)로 전송되는 IP 패킷을 이전 무선 접속점(210)과 새로운 무선 접속점(220)으로 동시에 전송하여 이중으로 단말(100)이 수신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핸드오프 수행동안의 절체 지연 및 데이터 유실이 없이 고속의 핸드오프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다중 링크 송수신을 통하여 단말(100)이 새로운 무선 접속점(220)과의 무선링크 연결이 완료되면, 단말(100)은 이전 무선 접속점(210)으로 무선링크 해제를 요구하고(S308), 이전 무선 접속점(210)은 핸드오프 제어기(300)로 단말(100)로부터의 무선링크 해제 요구 메시지를 전달한다(S309).
무선링크 해제 요구 메시지를 전달받은 핸드오프 제어기(300)는 외부 전달망(400)과 핸드오프 관련 동작을 수행한 후(S310, S311), 단말(100)이 이전 무선 접속점(210)과의 무선 링크를 해제하도록 무선 링크 해제 응답 메시지를 이전 무선 접속점(210)으로 전송한다(S312).
이전 무선 접속점(210)은 핸드오프 제어기(300)로부터 수신한 무선 링크 해제 응답 메시지에 의하여 단말(100)로 무선링크 해제를 승인하는 메시지를 보내어(S313), 무선링크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무선링크가 해제된 후에는 단말(100)과 핸드오프 제어기(300)의 패킷 분배/선택 기능 계층(130, 312)은 비활성화 되어(S314a, S314b), 이중 링크를 해제하고, 단말(100), 새로운 무선 접속점(220), 핸드오프 제어기(300), 외부 전달망(400) 및 상대 단말(500)간에 정상적인 IP 패킷 송수신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에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P 기반의 패킷 무선접속망에서의 고속 핸드오프 장치 및 방법은 단말이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동안 이전 무선 접속점과 새로운 무선접속점과 핸드오프 제어기간에 이중으로 링크를 구성하도록 하여, 핸드오프 수행 중에 단말로 전송되는 패킷을 동일하게 두개의 링크를 통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핸드오프 시의 절체 지연, 패킷 유실 등의 문제 를 해결하고 고속의 핸드오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제1 무선 접속점으로부터 제2 무선 접속점으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IP 패킷을 처리하는 IP 계층부;
    상기 제1 무선 접속점과의 무선 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제1 무선 링크 계층부;
    상기 제2 무선 접속점과의 무선 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제2 무선 링크 계층부;
    상기 단말 장치가 핸드오프 수행 중에 상기 IP 계층부로부터의 IP 패킷을 복사하여 상기 제1 무선 링크 계층부 및 상기 제2 무선 링크 계층부에 제공하고 상기 제1 무선 링크 계층부 및 상기 제2 무선 링크 계층부로부터의 동일 IP 패킷을 선택하여 상기 IP 계층부에 제공하는 패킷 분배/선택 기능 계층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분배/선택 기능 계층부는 상기 단말 장치가 핸드오프 수행 중이 아닌 경우 비활성화되는 단말 장치.
  3. 단말 장치의 제1 무선 접속점으로부터 제2 무선 접속점으로의 핸드오프를 제어하는 핸드오프 제어기에 있어서,
    IP 패킷을 처리하는 IP 계층부;
    상기 제1 무선 접속점과의 유선 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제1 유선 링크 계층부;
    상기 제2 무선 접속점과의 유선 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제2 유선 링크 계층부;
    상기 단말이 핸드오프 수행 중에 상기 IP 계층부로부터의 IP 패킷을 복사하여 상기 제1 유선 링크 계층부 및 상기 제2 유선 링크 계층부에 제공하고 상기 제1 유선 링크 계층부 및 상기 제2 유선 링크 계층부로부터의 동일 IP 패킷을 선택하여 상기 IP 계층부에 제공하는 패킷 분배/선택 기능 계층부를 포함하는 핸드오프 제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분배/선택 기능 계층부는 상기 단말 장치가 핸드오프 수행 중이 아닌 경우 비활성화되는 핸드오프 제어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접속점 및 제2 무선 접속점은,
    상기 단말 장치와의 무선 링크 연결을 위한 무선 계층; 및
    상기 핸드오프 제어기와의 유선 연결을 위한 유선 계층을 포함하는 핸드오프 제어기.
  6. 제3항에 있어서,
    외부 전달망과의 연결을 위한 유선 계층을 더 포함하는 핸드오프 제어기.
  7. 단말 장치의 제1 무선 접속점으로부터 제2 무선 접속점으로의 핸드오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접속점으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핸드오프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프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패킷 분배/선택 기능을 활성화하는 핸드오프 응답을 상기 제2 무선 접속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에 전송할 IP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IP 패킷을 상기 제1 무선 접속점 및 상기 제2 무선 접속점에 제공하고, 상기 제1 무선 접속점 및 상기 제2 무선 접속점으로부터의 상기 단말 장치의 IP 패킷 중 하나를 선택하여 외부 전달망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삭제
KR1020030095010A 2003-12-22 2003-12-22 Ip 기반의 패킷 무선 접속망에서의 고속 핸드오프 장치및 방법 KR100581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5010A KR100581293B1 (ko) 2003-12-22 2003-12-22 Ip 기반의 패킷 무선 접속망에서의 고속 핸드오프 장치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5010A KR100581293B1 (ko) 2003-12-22 2003-12-22 Ip 기반의 패킷 무선 접속망에서의 고속 핸드오프 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595A KR20050063595A (ko) 2005-06-28
KR100581293B1 true KR100581293B1 (ko) 2006-05-17

Family

ID=37255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5010A KR100581293B1 (ko) 2003-12-22 2003-12-22 Ip 기반의 패킷 무선 접속망에서의 고속 핸드오프 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2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69737B2 (en) * 2015-04-10 2017-09-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to support inter-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by a radio acces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595A (ko) 2005-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56691C (en) Handoff in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s
KR100769380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이동 통신 방법
KR100438443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프 수행방법
RU2369986C2 (ru) Способ переключения обслуживания с коммутацией пакетов
JP2005027314A (ja) モバイルIPv6ホームエージェントのシームレスハンドオーバー方法
AU2006213557B2 (en) Frequency layer dispersion
EP1443715B1 (e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rresponding handoff processing method
JP2009027707A (ja) 無線データ通信のための分散型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
JP4788931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00834011B1 (ko)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수직 핸드오버 방법
JP2009516405A (ja) 遠距離通信装置及び方法
US20090185539A1 (en) Handover Method and Base Station
KR20080092954A (ko) 액티브 데이터 하드 핸드오프 동안 패킷 손실을 최소화하는방법 및 장치
KR100298371B1 (ko) 패킷 이동 통신망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
JP3984447B2 (ja) 通信制御方法及び移動端末
JP200809875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US20070275724A1 (en) Network selection
CA2435163A1 (en) Packet communication systems
JP4578497B2 (ja) ハードハンドオーバーを支援するパケットスイッチング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ハードハンドオーバー方法
JP6092179B2 (ja) 順方向リンク及び逆方向リンクのサービングアクセスポイントの変更
JP2001197543A (ja) 改良されたハードハンドオーバーを使用する移動無線遠隔通信システム
JPWO2004059882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中継装置及び移動端末
KR100581293B1 (ko) Ip 기반의 패킷 무선 접속망에서의 고속 핸드오프 장치및 방법
KR100383672B1 (ko) 라우터의 이동성 인터넷 프로토콜과 로밍 지원방법
JP4668097B2 (ja) 移動端末装置及びハンドオー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