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0282B1 - 소형 가스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가스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0282B1
KR100580282B1 KR1020030041993A KR20030041993A KR100580282B1 KR 100580282 B1 KR100580282 B1 KR 100580282B1 KR 1020030041993 A KR1020030041993 A KR 1020030041993A KR 20030041993 A KR20030041993 A KR 20030041993A KR 100580282 B1 KR100580282 B1 KR 100580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parator
inlet
discharge pipe
gas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1713A (ko
Inventor
이재한
Original Assignee
이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한 filed Critical 이재한
Priority to KR1020030041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282B1/ko
Publication of KR20050001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29Energy recovery, e.g. by cogeneration, H2recovery or pressure recovery turb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가스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느 곳에나 설치가 되어 용도에 따라 소정의 가스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소형 가스발생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 흡착제 또는 멤브레인 필터를 내장하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의 인입측에 연결되는 인입배관과, 상기 인입배관에 연결되어 대기와 소통하는 펌프와, 상기 분리기에 연결되어 벨브를 개재하는 토출배관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치 전체를 최소화하여 어떠한 용도로서가 적용이 가능한 컴펙트한 구조를 제시하며, 장치의 효율을 극대화하면서 내구성을 향상시켜 경제성을 도모하며, 사용상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인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주변의 폐열원을 활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완성된 것으로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Description

소형 가스발생장치{Small-sized gas generator}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상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상태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상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상태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상태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사용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 타임챠트,
도 9는 도 7의 B부 확대도,
도 10은 도 7의 C부 확대도 및 단면도,
도 11은 종래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2는 종래 다른 발명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분리기
11. 인입배관 11'. 오리피스관 12. 토출배관
13. 모세배관 14. 수집관 15. 수집봄베
16. 바이패스관 17. 분기배관
2. 펌프
31. 인입벨브 32. 토출벨브
4. 히터
51. 펌프조절부 52. 유닛조절부
61. 열교환용 배관 62. 은봉 63. 은관
10. 여과필터 20. 공기압축기 30. 전자밸브
40,40a. 제올라이트베드 50. 소음기
90,90a. 오리피스
21. 단일몸체 22. 전원공급부 23. 공기펌프
24. 공기유입관 25,28,210. 공기이송관
26. 공기냉각부 27. 냉각팬 29. 전처리필터
211. 산소발생기(기체분리막모듈) 212. 산소배출관
213. 유량조절기 214. 호흡기 215. 배기관
216. 축전지 Mf. 메브레인 필터 F. 필터
본 발명은 소형 가스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느 곳에나 설치가 되어 용도에 따라 소정의 가스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소형 가스발생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가스발생장치는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면서 이에서 산소와 질소가스를 분리하여 공급하도록 하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 이들 중 산소가스만을 분리하여 공급하는 장치를 산소발생기라고 칭하기도 한다.
그리고, 현재까지 공기에 포함되는 산소와 질소가스를 모두 분리 수거하여 필요한 위치에 공급하는 장치는 전무하며, 다만, 공기 중에서 산소만을 분리 축출하여 이를 활용하도록 하는 산소발생기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 형태의 장치가 개발되고 있어서 이를 선행기술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제시하는 것이지, 이들이 엄밀하게 말하여 본 발명의 선행기술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은 종래의 산소발생장치인 실용신안등록 제 20-0279769호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순산소를 생성하는 산소발생기에 있어서, 외기를 흡입하여 여과하는 여과필터(10)와 연결되어 여과된 공기를 다이아프램방식에 의해 공기를 압축하고 2㎏/㎤에서 4ℓ∼8ℓ의 이하로 배출하는 공기압축기(20)와; 상기 공기압축기(20)에 연결되어 압축된 공기를 유도하는 유로가 전자밸브(30)로 통제되어 주기적으로 번갈아 소통되고 생성되는 산소량이 0.1∼0.5ℓ이하이며 산소농도가 80%이상으로 생성되는 한 쌍의 제올라이트베드(40,40a)와; 상기 한 쌍의 제올라이트(40,40a)의 토출구에 연결되어 산소배출압력을 저압으로 유지하는 오리피스(90,90a)와; 상기 제올라이트베드(40,40a)에서 흡착된 질소를 배출하는 소정의 유로 상에 설치되어 질소를 저장한 후 배출하는 소음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도 12는 종래의 휴대용 산소발생장치인 실용신안등록 제 20-0273469호의 구성도로서, 단일몸체(21);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2);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펌프(23); 공기펌프(23)에 연결되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24); 공기펌프에 의해 공급된 공기를 이송하기 위한 공기이송관(25); 이송된 공기의 냉각을 위한 공기냉각부(6); 상기 공기펌프(23)와 공기냉각부(26)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팬(27); 공기냉각부(26)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전처리필터로 이송하기 위한 공기이송관(28); 공기이송관(28)을 통해 공급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전처리필터(29); 전처리필터(29)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기체분리막모듈(211)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이송관(210); 공기이송관(210)을 통해 공급된 정화된 공기중에서 산소만을 분리하기 위한 기체분리막모듈(211); 기체분리막모듈(211)을 통해 분리된 산소의 배출을 위한 산소배출관(212); 배출되는 산소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절기(213); 상기 산소배출관(212)에 연결되어 부화된 산소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호흡기(214); 및 상기 기체분리막모듈(211)에 의해 산소가 분리되고 남은 질소가 부화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215)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의 발명 중 전자는 과거 공기압 2㎏/㎠이상에서나 가능한 산소의 분리를 더 낮은 압력인 1.5∼2㎏/㎠에서 가능하도록 하여 전체구조를 컴펙트화할 수 있다는 장점 및 이로 인해 소음을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함으로서 경제성도 함께 향상된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공기의 대부분(78%)을 차지하는 분리되는 질소가스에 대하여는 비록 봄베에 보관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한다고 언급하고 있지만, 이때 분 리되는 산소 및 질소가스는 순도면에서 공업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것이라서 오히려 부담이 되고 있으며, 특히 소정의 작동효율을 얻기 위해서 산소 분리장치인 제올라이트베드를 복수화하고 이를 교대로 작동되도록 하였는데, 이는 구조 전체를 크게 하여 컴펙트화에 한계가 있었으며,
상기 후자는 산소발생기의 핵심인 기체분리막모듈의 크기를 소형화함으로서 휴대가 가능한 규격으로 축소할 수 있었는데, 그 기본 구조는 상기 전자와 동일하며 다만, 전자에서는 제올라이트베드를 이용하여 산소를 분리함에 비해 상기 후자는 기체분리막을 이용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고, 질소가스는 대기중으로 방출하게 하여 그 처리에는 특별한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과제로서는 첫째 장치 전체를 최소화하여 어떠한 용도로서가 적용이 가능한 컴펙트한 구조를 제시하며, 둘째 장치의 효율을 극대화하면서 내구성을 향상시켜 경제성을 도모하며, 셋째 사용상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인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넷째 주변의 폐열원을 활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 흡착제 또는 멤브레인 필터를 내장하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의 인입측에 연결되는 인입배관과, 상기 인입배관에 연결되어 대기와 소통하는 펌프와, 상기 분리기의 입구 및 토출측에 연결되어 벨브를 개재하 는 배관으로 이루어진다.
게다가, 상기 토출배관에 토출배관보다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모세배관이 추가로 장설되어, 상기 토출배관에서 분기되는 수집관에 장착되는 수집봄베에 연결되도록 한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펌프로부터 분리기로의 인입배관사이에 대기와 인입벨브를 개재하여 연통하는 바이패스관을 분기하고, 상기 바이패스관에서 분리기로 연통하는 인입배관을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오리피스관으로 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분리기와 인입벨브를 복수화시켜 각각 인입배관에 병렬로 연결시키는 구조로 한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리기의 외주 또는 내주에 히터가 장착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더구나, 상기 분리기가 멤브레인 필터를 내장하는 것이고, 인입배관과 토출배관의 사이에 상기 멤브레인 필터의 외주면과 연통하는 분기배관을 장착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 태양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가스발생장치의 펌프를 제어하는 펌프조절부가 가스발생장치가 장착되는 장치의 주조정 유닛의 유닛조절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주조정 유닛이 비작동시에만 상기 펌프가 작동되도록 제어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더구나, 상기 토출배관이 냉각장치의 고외(庫外)에서 고내(庫內)로 통과하는 부분의 토출배관에 히터가 장설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리기 및 배관이 냉각장치의 열교환용 배관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토출배관의 말단이 냉각장치의 제빙기, 급수부 또는 식품보관고에 분기되고, 배관 내부에 은봉이 장설되거나, 배관이 은관으로 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 태양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의 가스발생장치가 쓰레기 처리장치에 장착되어, 토출배관이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조에 설치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 태양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의 가스발생장치가 김치냉장고에 설치되어, 숙성시에는 산소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되고, 보관시에는 질소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상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요부인 분리기(1)를 절단하여 도시하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도 2a는 제올라이트 흡작제를 분리기(1)에 사용하는 것이고, 도 2b는 멤브레인 필터(Mf)를 분리기(1)에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 흡착제 또는 멤브레인 필터(Mf)를 내장하는 통상의 분리기(1)와, 상기 분리기(1)의 인입측에 연결되는 인입배관(11)과, 상기 인입배관(11)에 연결되어 대기와 소통하는 펌프(2)와, 상기 분리기의 토출측에 연결되어 토출벨브(32)를 개재하는 토출배관(12)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상태 모식도이다.
게다가, 상기 토출배관(12)에 토출배관(12)보다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모세배관(13)이 추가로 장설되어, 상기 토출배관(12)에서 분기되는 수집관(14)에 장착되는 수집봄베(15)에 연결되도록 한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상태 모식도이다.
또한, 상기 펌프(2)로부터 분리기(1)로의 인입배관(11)사이에 대기와 인입벨브(31)를 개재하여 연통하는 바이패스관(16)을 분기하고, 상기 바이패스관(16)에서 분리기(1)로 연통하는 인입배관(11)을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오리피스관(11')으로 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상태 모식도이다.
더욱이, 상기 분리기(1)와 인입벨브(31)를 복수화시켜 각각 인입배관(11)에 병렬로 연결시키는 구조로 한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도 4에 있어서, 또한, 상기 분리기(1)의 외주 또는 내주에 히터(4)가 장착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상태 모식도이다.
더구나, 상기 분리기(1)가 멤브레인 필터(Mf)를 내장하는 것이고, 인입배관(11)과 토출배관(12)의 사이에 상기 멤브레인 필터(Mf)의 외주면과 연통하는 분기배관(17)을 장착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사용상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 타임챠트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 태양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가스발생장치의 펌프(2)를 제어하는 펌프조절부(51)가 가스발생장치가 장착되는 장치의 주조정 유닛의 유닛조절부(52)와 일체로 형성되어, 주조정 유닛이 비작동시에만 상기 펌프(2)가 작동되도록 제어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도 9는 도 7의 B부 확대도이다.
더구나, 상기 토출배관(12)이 냉각장치의 고외(庫外)에서 고내(庫內)로 통과하는 부분의 토출배관(12)에 히터(4)가 장설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도 10은 도 7의 C부를 확대하여 도 10a로 도시하고, 내부관계를 알 수 있도록 도 10a의 d-d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 10b로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분리기(1)가 냉각장치의 열교환용 배관(61)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토출배관(12)의 말단이 냉각장치의 제빙기, 급수부, 도아부 또는 식품보관고에 분기되고, 인입/배관(11,12) 내부에 은봉(62)이 장설되거나, 배관(11,12)이 은관(63)으로 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 태양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의 가스발생장치가 쓰레기 처리장치에 장착되어, 토출배관(12)이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조에 설치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 태양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의 가스발생장치가 김치냉장고에 설치되어, 숙성시에는 산소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되고, 보관시에는 질소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이하에 기술한다.
본 발명의 일 구성에 의하면, 제올라이트 흡착제 또는 멤브레인 필터를 내장하는 통상의 분리기(1)를 가지는데, 제올라이트 흡착제 또는 멤브레인 필터를 내장하는 분리기(1)는 상압보다 약간 높은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면 공기중에 대부분을 차지하는 산소가스와 질소가스를 분리하게 되는데, 이는 물론 순도가 극히 높은 정도는 아니지만, 분리되는 가스 중에는 각각 산소가스나 질소가스가 대기중에 차지하는 분압보다 월등 높은 정도로 분리가 되며, 게다가, 상기 분리기(1)의 인입측에 연결되는 인입배관(11)과, 상기 인입배관(11)에 연결되어 대기와 소통하는 펌프(2)와, 상기 분리기에 연결되는 토출배관(12)으로 이루어짐으로, 가장 심플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산소가스와 질소가스를 분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벨브(31,32)는 토출배관(12)측에 연결되는 토출밸브(32)로 도시하였지만, 인입배관(11)측에 연결되는 인입밸브(31)로 하여도 동일하게 작용된다.
그리고, 예컨대, 분리기(1)를 내용적 500㎖로 하는 경우 분당 100㎖의 35% 산소가스를 얻을 수 있는데, 약 2분간 가동하면, 질소가스가 제올라이트 흡착제에 포화상태가 되어 분리능력이 떨어지게 되며, 이때는 벨브를 ON시켜서 질소가스를 분리기(1)에서 탈취시키는데, 질소가스의 탈취시에는 산소가스를 많이 공급할수록 탈취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장치를 예컨대 냉장고에 사용하는 경우 산소가스를 공급하는 토출배관(12)의 말단은 식품숙성실이나 제빙기 측에 장착됨으로 어느정도 밀폐되어 있는 관계로 역회전시 배출시에는 비교적 산소 농도가 높은 가스가 리턴하여 1분 정도면 질소가스 대부분이 탈취가 이루어지게 된다.
게다가, 보다 순도 높은 산소가스를 리턴시켜서 질소가스의 탈취를 촉진할 수 있다면, 상기 예시한 바와 같은 "정방향 작동: 역방향 작동"의 시간비인 6:4를 7:3 내지는 그 이상으로 할 수 있어서 작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대비로서는, 상기 토출배관(12)에 토출배관(12)보다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모세배관(13)이 추가로 장설되어, 상기 토출배관(12)에서 분기되는 수집관(14)에 장착되는 수집봄베(15)에 연결되도록 한 것이며, 이는 토출배관(12)에서 토출되는 비교적 순도가 높은 산소가스의 일부를 수집관(14)을 통해 수집봄베(15)에 보관하다가 펌프(2)를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질소가스를 탈취할 때에 순도 높은 산소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수집관(14)과 토출배관(12)의 단면적 비율에 따라 수집 보관되는 산소가스의 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또 이에 따라 수집봄베(15)의 규격도 결정된다.
또한, 상기 펌프(2)로부터 분리기(1)로의 인입배관(11)사이에 대기와 인입벨브(31)를 개재하여 연통하는 바이패스관(16)을 분기하고, 상기 바이패스관(16)에서 분리기(1)로 연통하는 인입배관(11)을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오리피스관(11')으로 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한데, 이는 펌프(2)를 역회전시키지 않고도 질소가스의 탈취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바이패스관(16)을 개통시키면(조정 가능한 벨브를 설치함; 도시 생략), 인입배관(11)에서 바이패스관(16)으로 흐르는 공기의 유속에 의해 오리피스관(11')측의 공기가 끌려나오며(베르누이의 정리 참조), 따라서 분리기(1)는 감압이 되면서 부압(-)상태가 되어 질소가스가 손쉽게 탈취가 되며, 이때 바이패스관(16)의 말단은 냉장고의 식품보관실 등으로 유도하면, 비교적 순도 높은 질소가스를 공급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 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분리기(1)와 인입벨브(31)를 복수화시켜 각각 인입배관(11)에 병렬로 연결시키는 구조로 한 것이면 보다 바람직한데, 이는 소형화를 포기하더라도 보다 많은 량의 산소가스 또는 질소가스를 요하는 장치에 적용되도록 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2세트 또는 3세트나 그 이상으로 하고, 게다가 인입벨브(31)들을 순차적으로 여닫음으로서 교대로 작동되도록 하면 연속적인 작동이나 단시간에 다량의 가스를 얻을 수 있어서 소망스럽다.
또한, 상기 분리기(1)의 외주 또는 내주에 히터(4)가 장착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한데, 온도가 높을수록 가스의 해리도는 상승하게 되며, 따라서, 분리기(1)에 흡착된 질소가스를 탈취할 때에 히터(4)를 작동시키면 보다 손쉽고도 빠르게 질소가스를 탈취할 수 있게 되며, 예컨대, 약 50℃로 가온하고 질소가스를 탈취하면, 비가온시(1분 소요)보다 30% 빨리(40초 소요) 탈취가 이루어짐을 확인하였으며, 히터(4)가 외장 되는 경우에는 가장 손쉽게 이룰 수 있는 구조는 열선을 분리기의 외주에 권취하는 방식이고, 히터(4)가 내장 되는 경우에는 가장 손쉽게 이룰 수 있는 구조는 시즈히터를 상·하 또는 U자형으로 삽입하는 방식이다.
더구나, 상기 분리기(1)가 멤브레인 필터(Mf)를 내장하는 것이고, 인입배관(11)과 토출배관(12)의 사이에 상기 멤브레인 필터(Mf)의 외주면과 연통하는 분기배관(17)을 장착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한데, 제올라이트 흡착제는 주로 질소가스를 분리기 내에 잡아두는 역할을 하지만, 멤브레인 필터(Mf)는 가압하면 산소가스와 질소가스를 분리하게 되며, 이때 다공성 막을 통과한 산소가스는 멤브 레인 필터(Mf)의 외주면에 모여서 분기배관(17)을 통해 취출되게 되며, 멤브레인 필터(Mf)를 가로지른 질소가스는 토출배관(12)측으로 수집 되어 취출하게 된다. 이때, 펌프(2)의 인입측에는 필터(F)를 장착하여 공급 공기의 분순물 제거 및 습도 조절을 행하면 소망스러우며, 이러한 구조야말로 진정한 의미에서의 가스발생장치로 기능하게 된다.
더구나, 상기 토출배관(12)이 냉각장치의 고외(庫外)에서 고내(庫內)로 통과하는 부분의 토출배관(12)에 히터(4)가 장설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한데, 토출배관(12)은 본 장치가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고외를 거치지 않을 수도 있지만(예컨대, 고내에 본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토출배관(12)이 고외에서 고내로 인입되는 방식이고(장치는 작동시에 발열이 생김으로 고내의 저온 유지에 지장이 될 수 있음), 이 경우 고내외의 온도 차이에 의하여 공급되는 가스에서 응축수가 발생될 수 있어서 이를 말려주는 장치로서 히터(4)가 기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리기(1)나 배관(11,12)이 냉각장치의 열교환용 배관(61)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한데, 열교환용 배관(61)에서 방출되는 열을 질소가스의 탈취시에 활용하기 위한 배려이며, 이때 본 장치의 작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장치의 작동과 교호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토출배관(12)의 말단이 냉각장치의 제빙기, 급수부(물통포함) 또는 식품보관고에 분기되고, 배관(11,12) 내부에 은봉(62)이 장설되거나, 배관(11,12)이 은관(63)으로 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한데, 토출배관(12)의 말단이 제빙기나 급수부 또는 식품보관고에 분기하여 식품보관고측에는 질소가스를 제빙기 측에는 산소가스를 공급하도록 하면 식품의 보관을 장시간 신선도 유지하에 이룰 수 있고 또 신선하고 투명한 얼음을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인입/토출배관(11,12) 내부에 은봉(62)을 장설하거나 배관(11,12)을 은관으로 하면, 은의 살균능력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 태양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의 가스발생장치가 쓰레기 처리장치에 장착되어, 토출배관(12)이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조에 설치되는 것인데,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조에서 유기물을 분해하는 호기성 세균을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배려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 태양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의 가스발생장치가 김치냉장고에 설치되어, 숙성시에는 산소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되고, 보관시에는 질소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되는 것인데, 식품을 빨리 맛있게 숙성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산소가 요구되고, 장시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해서는 질소가스 분위기하기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본 장치는 산소가스와 질소가스를 모두 배출할 수 있는 장치임으로 배관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서 소요 위치에 요구되는 가스를 요구되는 시간만큼 조절하며 공급하는 것은 손쉽게 이룰 수 있으며, 이러한 추가적인 구조를 채용하더라도 본 발명의 장치를 활용하는 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음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장치 전체를 최소화하여 어떠한 용도로서가 적용이 가능한 컴펙트한 구조를 제시하며, 장치의 효율을 극대화하면서 내구성을 향상시켜 경제성을 도 모하며, 사용상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인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주변의 저온,고온 폐열원을 활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완성된 것으로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Claims (12)

  1. 삭제
  2. 제올라이트 흡착제 또는 멤브레인 필터를 내장하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의 인입측에 연결되는 인입배관과, 상기 인입배관에 연결되어 대기와 소통하는 펌프와, 상기 분리기에 연결되어 벨브를 개재하는 배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토출배관에 토출배관보다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모세배관이 추가로 장설되어, 상기 토출배관에서 분기되는 수집관에 장착되는 수집봄베에 연결되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가스발생장치.
  3. 제올라이트 흡착제 또는 멤브레인 필터를 내장하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의 인입측에 연결되는 인입배관과, 상기 인입배관에 연결되어 대기와 소통하는 펌프와, 상기 분리기에 연결되어 벨브를 개재하는 배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펌프로부터 분리기로의 인입배관사이에 대기와 인입벨브를 개재하여 연통하는 바이패스관을 분기하고, 상기 바이패스관에서 분리기로 연통하는 인입배관을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오리피스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가스발생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와 인입벨브를 복수화시켜 각각 인입배관에 병렬로 연결시키는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가스발생장치.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의 외주 또는 내주에 히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가스발생장치.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가 멤브레인 필터를 내장하는 것이고, 인입배관과 토출배관의 사이에 상기 멤브레인 필터의 외주면과 연통하는 분기배관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가스발생장치.
  7. 제올라이트 흡착제 또는 멤브레인 필터를 내장하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의 인입측에 연결되는 인입배관과, 상기 인입배관에 연결되어 대기와 소통하는 펌프와, 상기 분리기의 토출측에 연결되어 토출벨브를 개재하는 토출배관으로 이루어는 가스발생장치의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펌프조절부가 가스발생장치가 장착되는 장치의 주조정 유닛의 유닛조절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주조정 유닛이 비작동시에만 상기 펌프가 작동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가스발생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배관이 냉각장치의 고외(庫外)에서 고내(庫內)로 통과하는 부분의 토출배관에 히터가 장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가스발생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 및 배관이 냉각장치의 열교환용 배관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가스발생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배관의 말단이 냉각장치의 제빙기, 급수부 또는 식품보관고에 분기되고, 배관 내부에 은봉이 장설되거나, 배관이 은관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가스발생장치.
  11. 제올라이트 흡착제 또는 멤브레인 필터를 내장하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의 인입측에 연결되는 인입배관과, 상기 인입배관에 연결되어 대기와 소통하는 펌프와, 상기 분리기의 토출측에 연결되어 토출벨브를 개재하는 토출배관으로 이루어는 가스발생장치가 쓰레기 처리장치에 장착되어, 토출배관이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가스발생장치.
  12. 제올라이트 흡착제 또는 멤브레인 필터를 내장하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의 인입측에 연결되는 인입배관과, 상기 인입배관에 연결되어 대기와 소통하는 펌프와, 상기 분리기의 토출측에 연결되어 토출벨브를 개재하는 토출배관으로 이루어는 가스발생장치가 김치냉장고에 설치되어, 숙성시에는 산소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되 고, 보관시에는 질소가스를 공급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가스발생장치.
KR1020030041993A 2003-06-26 2003-06-26 소형 가스발생장치 KR100580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993A KR100580282B1 (ko) 2003-06-26 2003-06-26 소형 가스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993A KR100580282B1 (ko) 2003-06-26 2003-06-26 소형 가스발생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291U Division KR200327319Y1 (ko) 2003-06-26 2003-06-26 소형 가스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713A KR20050001713A (ko) 2005-01-07
KR100580282B1 true KR100580282B1 (ko) 2006-05-22

Family

ID=3721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993A KR100580282B1 (ko) 2003-06-26 2003-06-26 소형 가스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02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121B1 (ko) * 2020-05-21 2022-06-15 (주) 세라컴 휴대용 산소발생기용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713A (ko) 200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1459A (en) Portable oxygen enrichment and concentration system
TW589257B (en) Air purification device for automobile with oxygen-supplying function
CN103742999B (zh) 一种可优化调节空气质量并具有直饮水功能的设备
KR100540745B1 (ko) 식수 제조장치
US5632802A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generating adsorbers for drying air
CN202347580U (zh) 一种除湿净水装置
KR100861550B1 (ko) 유량제어밸브를 통해 기체의 농도를 제어하는 농축기체발생장치 및 농축기체 발생방법
CN205807658U (zh) 一种多功能空气净化加湿器
US20090044698A1 (en) Vacuum pressure swing absorption system and method
CN110972972A (zh) 一种带除异味装置的宠物智能窝
KR100580282B1 (ko) 소형 가스발생장치
CN109384199A (zh) 一种制氧系统及方法
KR200327319Y1 (ko) 소형 가스발생장치
KR100495973B1 (ko) 자동차용 산소발생장치
JP6665320B2 (ja) 冷蔵冷凍機器
JP4593698B2 (ja) 取水装置
KR20050027843A (ko) 식수 제조장치
CN113931256A (zh) 一种节能型环境湿度控制及空气制水的方法和系统
CN207361787U (zh) 一种制氧系统
KR200219405Y1 (ko) 압축스윙흡착 및 진공스윙흡착 방식을 조합한 산소발생기
KR20030067797A (ko) 산소발생장치
JPH10194708A (ja) 酸素濃縮装置
JPH09108527A (ja) 濃縮酸素供給方法及び装置
WO2018025770A1 (ja) 造水装置およびウォーターサーバー
CN213836846U (zh) 一种取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