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0109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cording moving-imag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cording moving-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0109B1
KR100580109B1 KR1020030093792A KR20030093792A KR100580109B1 KR 100580109 B1 KR100580109 B1 KR 100580109B1 KR 1020030093792 A KR1020030093792 A KR 1020030093792A KR 20030093792 A KR20030093792 A KR 20030093792A KR 100580109 B1 KR100580109 B1 KR 100580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operation unit
camera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7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62118A (en
Inventor
유상훈
신용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93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109B1/en
Publication of KR20050062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1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1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녹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recording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이러한 본 발명은 조작부로부터 카메라 촬영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camera shooting selec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조작부로부터 연결 촬영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Receiving a connection photographing mode selection signal from an operation unit;

표시부로 저장된 동영상 파일들의 목록을 제시하는 단계와,Presenting a list of video files stored in the display unit;

조작부로부터 상기 파일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Receiving a signal for selecting one of the files from an operation unit;

이어서 기록할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와,Then obtaining a position to record,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동영상을 상기 기록할 위치로부터 기록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d recording and storing the moving image input from the camera from the recording position.

이동통신 단말기, 카메라, 동영상, 기록Mobile terminal, camera, video, recording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영상 녹화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cording moving-imag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cording moving-im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영상 녹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rding a captured im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녹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for recording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이동통신 단말기, 특히 휴대폰은 그 목적이 사람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간편하게 다른 사람들과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휴대폰에 부가적인 기능에 대한 기술이 발전하면서, 현재 휴대폰은 SMS 서비스를 이용한 문자메시지, 게임,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및 영상 촬영, 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한 다양한 컨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 전화통화를 하기 위한 휴대폰이 멀티미디어화되가고 있는 것이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articularly mobile phones, are intended to allow people to easily carry and talk with others. As the technology for the additional functions of the mobile phone is developed, the mobile phone can download various contents through text messages, games, pictures and videos using the camera, and wireless Internet access using the SMS service. In other words, the cellular phone for making a telephone call is basically multimedia.

특히 디지털 카메라가 대중화되면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카메라폰)도 대 중화되가고 있는 추세이다. 카메라폰이란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어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휴대폰이다. 카메라가 휴대폰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항상 가지고 다닐 수 있고, 별다른 기술 없이도 자유 자재로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이러한 성능으로 인해 카메라폰은 일반 휴대폰보다 상대적으로 고가임에도 갈수록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카메라폰은 단순히 사진만을 찍을 수 있는 제품부터 30분 길이의 동영상을 찍을 수 있는 제품, 26만 컬러 액정화면과 디지털 줌 기능을 갖춘 제품 등 종류와 성능도 다양하다.In particular, as digital cameras become popular, mobile phones equipped with cameras (camera phones) are also becoming more popular. A camera phone is a mobile phone that is equipped with a small digital camera to take a picture. Since the camera is mounted on the phone, users can always carry it around and take pictures freely without any technical skills. Due to such performance, the demand for camera phones is increasing even though they are relatively expensive than general mobile phones. Camera phones come in a variety of types and capabilities, from products that can only take photos to products that can take 30 minutes of video, products with 260,000 color LCD screens and digital zoom.

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영상 촬영을 하게 되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촬영된 동영상은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진다. 그러나 종래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메모리에 저장된 동영상에 연결 촬영하기를 원하는 경우 이를 지원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여러번 나누어져 촬영되는 동영상은 각각의 파일로 저장되어질 수 밖에 없다.When the user shoots a video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built-in camera, the video record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s stored in the terminal. 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ha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support the user if the user wants to connect to the video stored in the memory. Therefore, a video that is divided and shot several times can only be stored as a separate fil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미 촬영되어 저장된 동영상에 연결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able to shoot the connection to the already recorded vide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시 이미 촬영되어 저장된 동영상들 중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영상 파일을 선택받게 되면, 촬영되는 영상은 선택된 동영상의 소정 위치에서부터 이어서 기록되어 하나의 동영상 파일로 기록하여 저장 처리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로부터 새로 촬영되는 동영상을 이미 촬영되어 저장된 동영상 파일에 이어서 기록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ific video file is selected from a user among already recorded and stored videos when shooting using a built-in camera, the captured image is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lected video. It is then recorded from and recorded as one video file and processed for storage. As a result, the newly captured video from the camera can be recorded following the previously recorded and stored video file.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10)와, 메뉴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20)와,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는 무선 통신부(130)와, 무선 통신부(130)로부터의 음성 통화 신호를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입출력하는 음성 입출력 회로(140)와,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처리부(100a)와,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operation unit 110, a display unit 120 for displaying a menu and an operation stat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for extracting voice and data signals from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A voice input / output circuit 140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a voice call signal from a microphone and a speaker, a communication processor 100a for controlling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렌즈계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부(170)와, 조작부(110)로부터 연결 촬영 모드를 선택받아 표시부(120)로 저장된 동영상 파일들의 목록을 제시하고 조작부(110)로부터 상기 파일들 중 하나를 선택받아 이어서 기록할 위치를 획득하여 기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0b)와, 기록 제어 신호에 따라 카메라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메모리(150)에 저장된 선택된 동영상 파일의 기록 위치로부터 이어서 기록하는 신호처리부(160)를 포함한다.The camera unit 170 converts an optical signal input from the lens system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a list of moving image files stored in the display unit 120 by selecting a connection photographing mode from the operation unit 110, and then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110. A control unit 100b which receives one of the files from the plurality of files and acquires a position to record thereafter, and outputs a recording control signal; and a selected image stored in the memory 150 by process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according to the recording control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160 which subsequently records from the recording position of the moving image file.

조작부(110)와 통상의 액정표시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인 표시 부(120)는 통상적인 주지된 구성이 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30)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 및 알에프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통신부(130)는 다양한 버전의 CDMA 방식뿐 아니라 셀룰라, GSM, W-CDMA 방식등 현존하는 방식은 물론, 향후에 등장할 이동통신 방식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음성 입출력 회로(140)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또는 그 역의 변환을 처리하며, 오디오 증폭회로나 필터와 같은 부가회로를 포함하는 공지의 구성이다.The operation unit 110 and the display unit 120 which is a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LCD) may have a conventional well-known configuration.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ntenna and RF circuit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is interpreted to include not only various versions of CDMA but also existing methods such as cellular, GSM, and W-CDMA, as well as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to be introduced in the future. The voice input / output circuit 140 processes a conversion of digital voice data into an analog voice signal or vice versa, and is a well-known configuration including an additional circuit such as an audio amplifying circuit or a filter.

무선 통신부(130)의 기저대역 회로와, 폰제어부(100)의 대부분의 회로는 단일의 집적회로로 상용화되어 제공되고 있다. 통상 MSM 칩으로 불리는 이 집적회로는 내부에 통신을 처리하는 전용의 하드웨어와, 디지털 신호처리기 및 범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논리적으로 이들은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처리부(100a)와, 조작부(110)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나 동작 상태에 따라 전체 단말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100b)를 포함한다.The baseband circui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and most of the circuits of the phone control unit 100 are commercially provided as a single integrated circuit. This integrated circuit, commonly referred to as an MSM chip, includes dedicated hardware to process communications therein, a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a general purpose microprocessor. Logically, these include a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100a for controlling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and a control unit 100b for controlling the entire terminal system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or an operation state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110.

카메라부(170)는 카메라 렌즈계로부터 입력되는 촬영되는 영상의 광신호를 아날로그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이러한 변환은 통상적으로 CMOS 촬상소자 또는 CCD 촬상소자로 구성되며, 각 픽셀별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클럭에 동기시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공지의 소자이다. 그리고 변환된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한 후 후술할 신호처리부(160)의 입력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The camera unit 170 converts the optical signal of the captured image input from the camera lens system into an analog electric signal. Such conversion is generally made of a CMOS imaging device or CCD imaging device, a known device that converts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for each pixel and sequentially outputs it in synchronization with a clock. After converting the converted analog electric signal to digital, it is converted into a format suitable for the input of the signal processor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output.

신호처리부(160)는 카메라부(17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캡쳐 링하고 MPEG 방식으로 압축한다. 그리고 제어부(100b)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150)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의 특정 위치에서부터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즉, 신호처리부(160)는 메모리(150)에 기저장된 동영상 파일의 특정 위치, 즉 후술할 제어부(100b)의 제어에 의해 특정된 위치에서부터 이어서 기록하는 것이다. The signal processor 160 captures an image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70 in units of frames and compresses the image in an MPEG metho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b, the compressed image data is recorded from a specific position of the video file stored in the memory 150. That is, the signal processor 160 continuously records from the specific position of the video fil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150, that is, the position specifi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b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신호처리부(16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동영상을 압축해제한 후, 바람직하게 16비트의 RGB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하여 표시부(120)로 출력한다. 여기서 메모리(150)는 신호처리부(16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로써, 바람직하게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or 160 decompresses the moving image stored in the memory 150 and preferably outputs the display unit 120 in a 16-bit RGB data format. The memory 150 is a memory for storing image data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or 160, and may be preferably a flash memory.

제어부(100b)는 우선 카메라 촬영시 사용자가 조작부(110)를 통해 메모리(150)에 기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파일들 중 하나의 동영상 파일을 선택하여 그 동영상에 연결 촬영할 것을 명령하면, 선택된 동영상 파일에 이어서 기록할 위치를 획득한다. 여기서 획득되는 위치는 바람직하게 동영상 파일의 맨 끝(EOF : end of file)일 수 있다. 제어부(100b)는 획득된 위치로부터 촬영되는 동영상을 기록하라는 제어 신호를 신호처리부(160)로 출력한다. 촬영이 끝나면 제어부(100b)는 조작부(110)를 통해 파일 정보(파일 제목을 포함하는 정보)를 새로 입력받아서 파일 갱신하여 메모리(150)에 저장 처리한다.The controller 100b firstly selects a video file of the video files pre-stored in the memory 150 through the control unit 110 and connects to the video when the camera is photographed. Then the position to record is obtained. The position obtained here may be an end of file (EOF). The controller 100b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signal processor 160 to record a video photographed from the acquired position. After the shooting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00b receives file inform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file title) newly through the operation unit 110 and updates the file to store it in the memory 15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미 촬영되어 저장된 동영상 파일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동영상 파일에 새로 촬영되는 동영상을 이어서 기록할 수 있다.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bsequently record a newly photographed video in a video file selected by a user among video files already taken and stor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영상 녹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로부터 카메라 촬영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조작부로부터 연결 촬영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표시부로 저장된 동영상 파일들의 목록을 제시하는 단계와, 조작부로부터 상기 파일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이어서 기록할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와,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동영상을 상기 기록할 위치로부터 기록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rding a captured im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a camera photographing selection signal from an operation unit, receiving a connection photographing mode selec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presenting a list of video files stored on the display unit, and displaying one of the files from the operation unit. Receiving a signal to select, and then obtaining a position to record, and recording and storing a moving image input from the camera from the position to be recorded.

사용자가 조작부(110)의 키조작을 통해 카메라 촬영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00b)는 조작부(110)를 통해 촬영 메뉴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서 표시부(120)에 촬영 모드 상태를 표시한다(200단계)(210단계). 사용자가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촬영 모드에서 제공되는 연결 촬영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100b)는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서 메모리(150)에 저장되어 있는 촬영된 동영상들의 파일 목록을 표시부(120)에 표시한다(220단계)(230단계).When the user selects the camera shooting menu through the key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10, the control unit 100b receives the shooting menu selection signal through the operation unit 110 and displays the shooting mode state on the display unit 120 (step 200). ) (Step 210). When the user selects the connected shooting function provided in the shooting m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the controller 100b receives a selection signal and displays a file list of the captured videos stored in the memory 150. (Step 220) (step 230).

다음으로 사용자가 조작부(110)를 통해 표시부(120)에 표시된 동영상 파일 목록 중 하나의 동영상을 선택하면, 제어부(100b)는 선택 신호를 입력받은 후 바람직하게 촬영을 할것인지 아니면 선택된 동영상을 재생할 것인지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240단계). 사용자가 촬영 또는 선택된 동영상의 재생키를 누르면, 제어부(100b)는 선택된 동영상으로부터 이어서 기록할 위치를 획득하게 된다(250단계)(260단계).Next, when the user selects one video from the list of video fil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through the control unit 110, the control unit 100b receives the selection signal and preferably captures or plays the selected video.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step 240). When the user presses the playback key of the photographed or selected video, the controller 100b acquires a position to be subsequently recorded from the selected video (step 250) (step 260).

일 양상에 따라 260단계에서 획득되는 기록할 위치는 선택된 동영상 파일의 파일끝(EOF)일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 제어부(100b)가 250단계에서 조작부(110) 로부터 촬영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부(100b)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동영상을 선택된 동영상 파일의 맨 끝 지점부터 이어서 기록한다(270단계).According to an aspect, the recording position obtained in operation 260 may be an end-of-file (EOF) of the selected video file. As a preferred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100b receives a shooting request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110 in step 250, the control unit 100b continuously records a video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from the last point of the selected video file (step 270).

또다른 양상에 따라 260단계에서 획득되는 기록할 위치는 선택된 동영상 파일의 기록 위치 중의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조작부(110)를 통해 선택받을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라 제어부(100b)가 250단계에서 조작부(100)로부터 선택된 동영상의 재생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부(100b)는 표시부(120)에 선택된 동영상을 재생한다. 사용자가 표시부(120)에 재생되는 동영상을 보다가 조작부(110)를 조작하여 원하는 위치에서의 프레임을 선택하면, 제어부(100b)는 선택된 프레임을 기록 위치로 획득한다. 따라서 제어부(100b)는 다음 단계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동영상을 선택된 프레임에 이어서 기록한다(270단계).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recording position obtained in operation 260 may b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unit 110 from one of the recording position of the selected video file. According to an aspect, when the controller 100b receives a play request signal of the selected video from the manipulation unit 100 in step 250, the controller 100b plays the selected video on the display unit 120. When the user views the video 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and operates the manipulation unit 110 to select a frame at a desired position, the controller 100b acquires the selected frame as the recording position. Therefore, the control unit 100b records the video photographed by the camera in the next step following the selected frame (step 270).

카메라 촬영이 끝나면, 제어부(100b)는 조작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라는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다(280단계). 그러면 제어부(100b)는 바람직하게 표시부(120)에 갱신되는 동영상 파일의 정보(파일 제목을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하라는 내용을 표시한다. 조작부(110)를 통해 동영상 파일의 갱신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00b)는 해당 동영상 파일을 메모리(150)에 저장한다(290단계).After the camera photographing, the control unit 100b receives a command signal to store the captured image from the operation unit (step 280). Then, the control unit 100b preferably displays a content of inputting the inform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file title) of the video file to be updated on the display unit 120. When update information of the video file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110, the controller 100b stores the video file in the memory 150 (step 29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 촬영되는 동영상을 메모리에 기저장된 동영상에 이어서 기록하여 저장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rd and store a moving picture photographed in the memory after the moving picture photographed if the user desir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촬영되는 동영상을 메모리에 기저장 된 동영상의 임의의 위치에서부터 이어서 기록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rd the video photographed from any position of the video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조작부로부터 카메라 촬영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Receiving a camera photographing selection signal from an operation unit; 조작부로부터 연결 촬영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Receiving a connection photographing mode selection signal from an operation unit; 표시부로 저장된 동영상 파일들의 목록을 제시하는 단계와;Presenting a list of moving picture files stored in the display unit; 조작부로부터 상기 파일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Receiving a signal for selecting one of the files from an operation unit; 상기 선택된 동영상 파일의 기록 위치 중의 하나를 조작부로부터 선택받음으로써 이어서 기록할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와;Acquiring a position to be recorded subsequently by selecting one of the recording positions of the selected moving image file from the operation unit;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동영상을 상기 기록할 위치로부터 기록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영상 녹화방법.Recording the video input from the camera from the recording position and storing the recorded video record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단계가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said acquiring step is: 상기 선택된 동영상 파일의 적어도 일부를 재생하여 표시부에 표시하고 그 중 한 프레임을 조작부로부터 선택받음으로써 이어서 기록할 위치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영상 녹화방법.And reproduc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lected moving image file on a display unit and selecting one frame from the operation unit to obtain a position to be subsequently recorded. 조작부와; 메뉴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음성 통화 신호를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입출력하는 음성 입출력 회로와;An operation uni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menu and an operation stat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extracting a voice and data signal from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 voice input / output circuit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a voice call signal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rough a microphone and a speaker;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처리부와;A communication processor for controlling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렌즈계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부와;A camera unit converting an optical signal input from the lens system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signal; 상기 조작부로부터 연결 촬영 모드를 선택받아 상기 표시부로 저장된 동영상 파일들의 목록을 제시하고 상기 조작부로부터 상기 파일들 중 하나를 선택받아 적어도 일부를 재생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그 중 한 프레임을 상기 조작부로부터 선택받아 이어서 기록할 위치를 결정하여 기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Select a connection photographing mode from the operation unit, present a list of video files stored on the display unit, select one of the files from the operation unit, reproduce at least a part of it, display it on the display unit, and select one frame from the operation unit; A control unit which determines a position to receive and then records and outputs a recording control signal; 상기 기록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선택된 동영상 파일의 기록 위치로부터 이어서 기록하는 신호처리부;A signal processor which processes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according to the recording control signal and subsequently records from a recording position of the selected video file stored in a memory;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KR1020030093792A 2003-12-19 2003-12-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cording moving-image KR1005801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792A KR100580109B1 (en) 2003-12-19 2003-12-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cording moving-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792A KR100580109B1 (en) 2003-12-19 2003-12-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cording moving-i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118A KR20050062118A (en) 2005-06-23
KR100580109B1 true KR100580109B1 (en) 2006-05-12

Family

ID=37254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792A KR100580109B1 (en) 2003-12-19 2003-12-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cording moving-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010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736B1 (en) 2015-09-25 2016-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1400A (en) * 1990-02-20 1991-10-28 Fujitsu Ltd Voice detector
KR950007535A (en) * 1993-08-21 1995-03-21 이헌조 Video compression encoding device
KR0132509B1 (en) * 1992-12-02 1998-04-18 이현조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assette recorder
KR20030082318A (en) * 2002-04-17 2003-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ving picture and character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1400A (en) * 1990-02-20 1991-10-28 Fujitsu Ltd Voice detector
KR0132509B1 (en) * 1992-12-02 1998-04-18 이현조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assette recorder
KR950007535A (en) * 1993-08-21 1995-03-21 이헌조 Video compression encoding device
KR20030082318A (en) * 2002-04-17 2003-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ving picture and character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118A (en)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6267B2 (en) Image/audio playback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1901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hotos with variable image quality
KR20070117284A (en) Method for image composition in dual camera having mobile phone
KR100630203B1 (en) Method for display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20050067286A (en) Method for compositing picture with background scenes of device having camera
KR20100041108A (en) Moving picture continuous capturing method using udta information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040001170A (en) Method of taking and storing a picture image on digital-camera-enabled phone
JP2012059115A (en) Image data processor and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KR100640501B1 (en)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 stor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426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a part of pictur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10265B1 (en) Device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KR10058010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cording moving-image
KR100591849B1 (en) Method for making animation album of camera-phone
KR20050112998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selective saving function of image
KR100657141B1 (en) Device and its method for extending video recording time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it
JP4683684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0673078B1 (en) Mobile terminal to which external memory connected where image editing program is saved, and image editing method using the mobile terminal
KR100614746B1 (en) Method for storing multiple motion pictures at the same time
KR10062432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and image data management method thereof
JP4874347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200500464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name of moving picture in handheld terminal combined with camera
KR20050063245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ble to including background music when an image is shot
KR20060017982A (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levision recording function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05316218A (en) Imaging apparatus with communication function,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and image display control program
KR20060124162A (en) Method for composing image using dmb broadcasting screen in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incorpor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