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822B1 -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8822B1
KR100578822B1 KR1020020042944A KR20020042944A KR100578822B1 KR 100578822 B1 KR100578822 B1 KR 100578822B1 KR 1020020042944 A KR1020020042944 A KR 1020020042944A KR 20020042944 A KR20020042944 A KR 20020042944A KR 100578822 B1 KR100578822 B1 KR 100578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impression
maxillary
patient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5881A (ko
Inventor
남영희
Original Assignee
최대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균 filed Critical 최대균
Priority to KR1020020042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822B1/ko
Publication of KR20020065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61C2201/002Material properties using colour effect, e.g. for identification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인상재를 위한 공간으로 악궁으로부터 3∼4㎜의 오프셋을 부여하고, 다수개의 유공을 가진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로서, 무치악환자의 상악 인상을 채득하기 위한 상악트레이; 무치악환자의 하악 인상을 채득하기 위한 하악트레이를 포함하고, 무치악 환자의 악골 크기별 분류를 위해 서로 다른 소정의 기준 색상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

Description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Tooth Impression Acquision Tray for Non-Tooth Pati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악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악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악트레이의 임상실험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4는 도 3과 대비된 기존 트레이의 임상실험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악트레이의 임상실험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6은 도 5와 대비된 기존 트레이의 임상실험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악트레이 12 : 상악손잡이
14 : 상악채득틀 16 : 기준색상
18 : 홀
본 발명은 치과보철물을 제작하는데 이용되는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진료하려는 무치악환자에 적합한 다수개의 트레이를 구비하고, 상악의 치조결절(Maxillary tuberosity)과 하악의 구후결절(Retromolar Pad)을 기준으로 하나의 트레이를 선택하도록 한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환자의 치아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해당 환자의 구강내 치아인상을 채득하여야 하는데, 이때 이용되는 인상채득 장치를 트레이 또는 인상채득용 트레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기존의 치아 인상채득용 트레이의 구조는 치과보철물을 장착하려는 치과환자의 구강의 내부 인상구조를 채득하기 위하여 인상재를 담을 수 있는 오목한 구조물과 그 구조물에 고정된 손잡이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트레이를 구성하는 재질은 주로 금속물질이 이용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트레이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사람의 치아형태는 나이에 따라 다르고, 민족에 따라 다르며, 몸집에 따라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크기나 형상의 트레이를 이용해서 치과보철물을 제작하고 있다.
설령, 서로 다른 크기의 트레이를 이용한다고 하여도 진료의사가 눈대중으로 트레이를 선택하기 때문에 경험이 적은 치과의사의 환자는 적절한 치과진료를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사람의 치아는 사용기간이 적어도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매우 정밀하게 제작되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치아인상 채득시 치과의사의 경험에만 의존하 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든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들은 그 기본적인 형태가 서양인의 무치악 형태를 참고로 해서 개발된 것이므로 실제 임상에 사용함에 있어서 동양인 특히, 한국인에 잘 맞지 않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동양인 무치악인상을 채득하기에 적합한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인상재를 위한 공간으로 악궁으로부터 3∼4㎜의 오프셋을 부여하고, 다수개의 유공을 가진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로서, 무치악환자의 상악 인상을 채득하기 위한 상악트레이; 무치악환자의 하악 인상을 채득하기 위한 하악트레이를 포함하고, 무치악 환자의 악골 크기별 분류를 위해 서로 다른 소정의 기준 색상이 표시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최적의 치아인상을 채득하기 위해서는 상품화된 기성트레이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만약, 트레이가 너무 크다면 인상체의 변연주위로 조직을 변형시킬 것이며, 인상체 하방의 연조직을 골로부터 밀어낼 것이다. 반면에, 트레이가 너무 작다면, 변연조직은 치조제상으로 함몰될 것이다. 따라서, 트레이의 크기는 중요한 해부학적 구조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잔존 치조제와 트레이 내면 사이에 약 2 내지 3 ㎜ 정도의 공간을 균일하게 허용하도록 크고 여유가 있으며vestibular space도 약간 넓게 포함할 수 있도록 선택하는 것이 유용하다 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임상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트레이와 기존 트레이를 임상수준에서 비교하여 실험하였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년에 걸쳐 한국인 무치악자 수백명을 대상으로 비가역성 하이드로 콜로이드 인상재를 이용한 예비인상에서 얻은 모형상에서 최종인상을 위한 개인트레이를 제작하고, 이를 이용해서 모델콤파운드를 통해 변연형성을 시행한 후, 최종적인 정밀인상을 채득하여 주 모형을 얻었다. 이 주모형을 3차원계측기를 사용해서 형태와 크기에 따라 한국인의 무치악을 다수개로 분류했다.
이어, 무치악형태를 기준으로 인상재를 위한 약 4㎜의 공간을 부여한 트레이를 오토캐드(Auto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계한 후, CAD/CAM 시스템과 CNC 밀링머신을 이용해서 트레이를 제작했다.
여기서, 무치악용 트레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무치악 치조제의 도식화가 필요했고, 이를 위해 우선 각군의 평균 선계측 항목값을 3차원 공간좌표로 바꾼 다음, 도식화된 치조제 형태를 기초로 하여 트레이 형상화작업을 수행했다.
치조제와 인상재 사이에는 비가역성 수성콜로이드 인상재를 위한 공간부여량은 3∼4㎜로 정하고, 치조제 부위에서의 공간부여는 우선 치조제정에서 접선을 그어 이 접선에 직교하는 수선을 긋고, 치조제정 좌표에서 3∼4㎜ 떨어진 즉, 오프셋 수선상의 좌표를 트레이 정점으로 정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상채득용 상악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악트레이(10)는 치과의사가 진료시 손으로 잡기 위한 상악손잡이(12)와, 인상재를 담아서 환자의 윗치아 인상을 채득하기 위한 인상채득틀(14)과, 환자의 윗치아의 크기에 따라 상악트레이를 분류한 기준색상(16)과, 담아둔 인상재가 상기 인상채득틀로부터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홀(18)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상채득용 하악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하악트레이(20)는 치과의사가 진료시 손으로 잡기 위한 하악손잡이(22)와, 인상재를 담아서 환자의 아래치아 인상을 채득하기 위한 인상채득틀(24)과, 환자의 아래치아의 크기에 따라 하악트레이를 분류한 기준색상(26)과, 담아둔 인상재가 상기 인상채득틀로부터 들떠서 기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홀(28)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로, 상술한 상악트레이 및 하악트레이는 인상재를 담아서 환자의 윗치아 또는 아래치아에 소정 시간 접촉시키면 환자의 치아인상을 그대로 채득할 수가 있고, 이를 토대로 진료의사는 환자에게 적합한 치과보철물을 제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트레이는 황동,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황동합금, 아연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지고, 색상을 표시하는 상기 기준색상은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상악 및 하악트레이를 이용해서 무치악환자의 인상체를 제작한 경우의 정밀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악트레이에 대한 정밀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기존의 상악트레이에 대한 정밀성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X축은 트레이의 특정 부위를 나타내고, Y축은 인상체의 부위별 두께를 나타내는데, 기존의 부위별 두께에 비해서 본 발명의 부위별 두께가 평균적으로 양호한 것을 알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악트레이를 이용해서 인상을 채득한 인상체의 부위별 두께를 통해 정밀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기존의 하악트레이를 이용해서 인상을 채득한 인상체의 부위별 두께를 통해 정밀성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X축은 인상체의 특정부위를 나타내고, Y축은 인상체의 부위별 두께를 나타내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트레이를 이용해서 제작된 인상체는 부위별로 두께가 불균일한데 비해서 본 발명의 트레이를 이용해서 제작된 인상체는 부위별 두께가 고르게 형성된 것을 알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의 트레이를 이용해서 제작된 인상체의 부위별 두께가 고르게 형성된 것은 기존트레이에 비해서 무치악환자의 인상을 보다 정밀하게 인상을 채득할 수가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진료환자의 치악에 적합한 트레이를 이용하여 매우 정밀한 치과보철물의 제작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치과의사의 노하우가 중요시되지 않을 정도로 자동화되고, 최적화된 트레이를 제공함으로써 진료서비스의 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상악트레이와 하악트레이를 서로 색상으로 매칭시킴으로써 별도의 측정장치가 동원되지 않아도 한눈에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치과보철물의 제작상의 실수를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무치악 환자의 상악 인상을 채득하기 위한 상악트레이,
    무치악 환자의 하악 인상을 채득하기 위한 하악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상악 및 하악트레이는 인상재를 위한 공간으로 악궁으로부터 3~4 ㎜의 오프셋을 부여하고, 다수개의 유공을 가지고, 무치악 환자의 악골 크기별 분류를 위해 서로 다른 소정의 기준 색상이 표시되고, 잔존 치조제 변연부와 트레이 변여부 사이에 2 내지 3 ㎜의 공간을 균일하게 형성하며, 그 재질은 황동,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리스강, 황동합금, 아연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
  2. 삭제
  3. 삭제
KR1020020042944A 2002-07-22 2002-07-22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 KR100578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944A KR100578822B1 (ko) 2002-07-22 2002-07-22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944A KR100578822B1 (ko) 2002-07-22 2002-07-22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881A KR20020065881A (ko) 2002-08-14
KR100578822B1 true KR100578822B1 (ko) 2006-05-11

Family

ID=27727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944A KR100578822B1 (ko) 2002-07-22 2002-07-22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8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4742B (zh) * 2018-04-04 2021-12-07 正雅齿科科技(上海)有限公司 牙颌托盘的设计方法、装置、用户终端及存储介质
KR102597703B1 (ko) * 2021-08-02 2023-11-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무치악 인상채득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트레이 복합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6785A (en) * 1991-02-27 1991-12-31 Tsai Yu Son Disposable dental impression tray
JPH1176266A (ja) * 1997-09-01 1999-03-23 Ichiro Yokota 歯科用の抗菌印象用トレー
JPH11323465A (ja) * 1998-05-11 1999-11-26 Katsura Kogyosho:Kk 歯科印象採得トレー用合金
JPH11332886A (ja) * 1998-03-23 1999-12-07 Katsura Kogyosho:Kk 歯科印象用トレー
KR200220285Y1 (ko) * 2000-10-31 2001-04-16 동진근 가변형 치과 인상용 트레이
KR200272753Y1 (ko) * 2002-01-26 2002-04-19 남영희 치아인상채득용트레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6785A (en) * 1991-02-27 1991-12-31 Tsai Yu Son Disposable dental impression tray
JPH1176266A (ja) * 1997-09-01 1999-03-23 Ichiro Yokota 歯科用の抗菌印象用トレー
JPH11332886A (ja) * 1998-03-23 1999-12-07 Katsura Kogyosho:Kk 歯科印象用トレー
JPH11323465A (ja) * 1998-05-11 1999-11-26 Katsura Kogyosho:Kk 歯科印象採得トレー用合金
KR200220285Y1 (ko) * 2000-10-31 2001-04-16 동진근 가변형 치과 인상용 트레이
KR200272753Y1 (ko) * 2002-01-26 2002-04-19 남영희 치아인상채득용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881A (ko) 200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8135B2 (en) Systems and processes for forming anatomical features in dentures
Kanazawa et al. Digital impression and jaw relation record for the fabrication of CAD/CAM custom tray
EP2635231B2 (en) Systems and process for forming anatomical features in dentures
US201203220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US10610336B2 (en) Tray appliance system for making a dental prosthesis
US10835359B2 (en) Dental measuring instrument
Seals et al. Immediate complete dentures
US20200078148A1 (en) Non-Surgical Anti-Aging Denture Facelift System
US201401546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KR100578822B1 (ko) 무치악 인상채득용 트레이
US20210236248A1 (en) Dental restoration, method of producing it, computer program and method of restoring a tooth
Dobrzański et al. Application of polymer impression masses for the obtaining of dental working models for the stereolithographic 3D printing
EP3295894A1 (en) Improved method for capturing patient information to produce digital models and fabricate custom prosthetics
Demer Minimizing problems in placement of immediate dentures
US20190083207A1 (en) Method for Capturing Patient Information to Produce Digital Models and Fabricate Custom Prosthetic
RU2004212C1 (ru) Ложка дл сн ти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х слепков
RU2236827C1 (ru) Ложка для одномоментного снятия оттисков с верхней и нижней челюстей при частичном отсутствии зубов
Ryu et al. Morphological investigation of residual ridge in Japanese edentulous elderly for fabrication of edentulous stock tray
Srivastava et al. of Dental Sciences
CN116269850A (zh) 一种自动化排牙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Varma et al. CAD-CAM FABRICATED COMPLETE DENTURE-A PEEK INTO THE FUTURE.
Levin et al. Complete denture prosthodontics
CN113040951A (zh) 一种具有美学预告功能的上颌无牙颌托盘
PL238874B1 (pl) Stomatologiczna łyżka wyciskowa dla żuchwy
RU2143243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вклад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