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7510B1 -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 및 3d 영상 표시체 형성용 필름 - Google Patents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 및 3d 영상 표시체 형성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7510B1
KR100577510B1 KR1020010002052A KR20010002052A KR100577510B1 KR 100577510 B1 KR100577510 B1 KR 100577510B1 KR 1020010002052 A KR1020010002052 A KR 1020010002052A KR 20010002052 A KR20010002052 A KR 20010002052A KR 100577510 B1 KR100577510 B1 KR 100577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image display
display unit
eye image
res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0906A (ko
Inventor
마에다가즈오
요시하라요시히로
화리스사데그엠.
데이비드씨. 스위프트
리라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리사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리사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리사와 세이사쿠쇼
Priority to KR1020010002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510B1/ko
Publication of KR20020060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안용 영상표시부(a)와 좌안용 영상표시부(b)를 가지는 필름을 간편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안용 영상표시부(a)와 좌안용 영상표시부(b)가 혼재한 3D 영상을 현출시키는 위한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으로서, 투명한 지지재(1)상에 접착제(2)를 통해 위상차 필름을 설치하고, 이어서, 해당 위상차필름의 소정위치에 투명한 레지스트부재(4)를 설치한 후, 뜨거운 물에 침지시키고, 건조후 레지스트부재(4)측에 보호부재(9)를 설치하고, 그 후, 해당 보호부재(9)와 표시부재(5)를 겹치게 하거나 혹은 맞붙이는 방법이다.

Description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 및 3D 영상 표시체 형성용 필름{MANUFACTURING METHOD FOR A 3D IMAGE DISPLAY MEMBER AND FILM FOR FORMING A 3D IMAGE DISPLAY MEMBER}
도 1은, 종래부터 있는 3D 영상장치의 설명도,
도 2는, 본 실시예의 구성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재 2 : 접착제
3 : 적층위상차 필름 4 : 레지스트부재
5 : 표시부재 6 : TAC 필름
7 : PVA 필름 8 : 적절한 부재
9 : 보호부재 a : 우안용 영상표시부
b : 좌안용 영상표시부
본 발명은, 3D 영상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한 3D 영상표시체(映像表示體)의 제조방법및 3D 영상표시체형성용의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컨대 미국특허 5,327,285호에 나타낸 바와 같은 3D 영상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3D 영상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부재(51)의 표면에 우안용 영상표시부(a)와 좌안용 영상표시부(b)가 교대로 병설된 필름(52)을 맞붙인 것으로, 해당 액정부재(51)의 발광을 제어하여 소정의 영상을 나타낼 때, 우안(右眼)용 영상표시부(a)에서는 우안용 영상을, 또한, 좌안(左眼)용 영상표시부 (b)에서는 좌안용 영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우안용 영상표시부(a)에서의 우안용 영상을 구성하는 편광의 진동방향은 좌안용표시부(b)에서의 좌안용영상을 구성하는 편광의 진동방향에 대하여 90°의 각도를 갖는 편광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2성분 x, y로 이루어지는 우안용 영상의 예컨대 x성분은, 마찬가지로 2성분 x, y로 이루어지는 좌안용 영상의 x성분에 대하여 180°(π)의 위상차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우안용 영상만을 투과하는 편광판부착 우안용렌즈와 좌안용 영상만을 투과하는 편광판부착 좌안용 렌즈로 이루어지는 편광안경으로 해당 영상을 보면, 관찰자는 입체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우안용 영상표시부(a) 및 좌안용 영상표시부(b)가 교대로 병설된 필름(52)의 제조방법은 지금까지 상기 미국특허 5,327,285호의 도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TAC(Tri-Acetyl-Cellulose) 필름과 요오드처리한 연신(延伸) PVA(Poly-Vinyl-Alcohol) 필름을 적층한 편광필름에 포토레지스트를 피복하여, 소정부분을 노광후, 수산화칼륨용액으로 처리하여 연신 PVA 필름이 갖는 특정한 파장 영역의 빛의 진동방향을 직선편광상태로 회전할 수 있는 성질(위상차 기능)을 소실시킨다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포토레지스트의 피복후, 노광시켜, 수산화칼륨용액으로 더 처리해야하여, 대단히 번잡한 제조방법이다. 미국특허 5,327,285호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화학적처리에 의해 필름(52)을 제조하는 몇가지 종류의 방법, 및 물리적 처리에 의해 필름(52)을 제조하는 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지만, 어느 것이나 모두 번잡한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은 대단히 간편하고, 양산성에 뛰어난 우안용 영상표시부(a) 및 좌안용 영상표시부(b)가 혼재하는 필름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는, 우안용 영상표시부(a)와 좌안용 영상표시부(b)가 혼재한 3D 영상을 나타내기 위한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으로서, 투명한 지지재(1)상에 접착제(2)를 통해 위상차필름을 설치하고, 이어서, 해당 위상차필름의 소정위치에 투명한 레지스트부재(4)를 설치한 후, 뜨거운 물에 침지시키고, 건조후 레지스트부재(4)측에 보호부재(9)를 설치하고, 그 후, 해당 보호부재(9)와 표시부재(5)를 겹치게 하거나 혹은 맞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는, 우안용 영상표시부(a)와 좌안용 영상표시부(b)가 혼재한 3D 영상을 나타내기 위한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으로서, 투명한 지지재(1)상에 접착제(2)를 통해 복굴절성이 없는 TAC 필름(6)이나 CAB(Cellulose-Acetate-Buthylate) 필름 등과 위상차기능을 갖는 연신 PVA 필름(7)을 적층한 적층위상차필름(3)을 TAC 필름(6) 등이 접착제(2)측으로 되도록 설치하고, 이어서, 연신 PVA 필름(7)의 소정위치에 투명한 레지스트부재(4)를 설치한 후, 뜨거운 물에 침지시키고, 건조후 레지스트부재(4)측에 보호부재(9)를 설치하고, 그 후, 해당 보호부재(9)와 표시부재(5)를 겹치게 하거나 혹은 맞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는, 우안용 영상표시부(a)와 좌안용 영상표시부(b)가 혼재한 3D 영상을 나타내기 위한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으로서, 투명한 지지재(1)상에 접착제(2)를 통하여 복굴절성이 없는 TAC 필름(6)이나 CAB 필름 등과 위상차기능을 갖는 연신 PVA 필름(7)을 적층한 적층위상차필름(3)을 TAC 필름(6) 등이 접착제(2)측으로 되도록 설치하고, 이어서, 연신 PVA 필름(7)의 소정위치에 레지스트부재(4)를 설치한 후, 뜨거운 물에 침지시키고, 건조후 레지스트부재(4)사이에 적절한 부재(8)를 충전하고 또한 이 적절한 부재(8) 및 레지스트부재(4)측에 보호부재(9)를 설치하고, 그 후, 해당 보호부재(9)와 표시부재(5)를 겹치게 하거나 혹은 맞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 2 또는 제 3 실시형태중의 어느 하나의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 에 있어서, 적절한 부재(8)및 보호부재(9)로서, 복굴절성을 갖지 않은 부재를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는, 우안용 영상표시부(a)와 좌안용 영상표시부(b)가 혼재한 3D 영상을 현출시키는 위한 3D 영상표시체형성용의 필름으로서, 투명한 지지재(1)상에 접착제(2)를 통해 TAC 필름(6) 등의 복굴절성을 갖지 않은 필름과 위상차기능을 갖는 연신 PVA 필름(7)을 적층한 적층위상차 필름(3)이 해당 복굴절성을 갖지 않은 필름이 접착제(2)측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연신 PVA 필름(7)의 소정위치에는 우안용 영상표시부(a) 및 좌안용 영상표시부(b)가 설치되어, 이 연신 PVA 필름(7)에는 투명한 레지스트부재(4)가 더 설치되고, 이 레지스트부재(4)상에는 보호부재(9)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표시체형성용의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 4 실시형태의 3D 영상표시체형성용의 필름에 있어서, 레지스트부재 (4)사이에는 적절한 부재(8)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표시체형성용의 필름에 관한 것이다.
위상차필름상의 소정위치에 투명한 레지스트부재(4)를 설치한 후, 온수에 침지시키면, 위상차필름의 레지스트부재(4)가 존재하지 않은 부분에 물이 침투하고, 해당 부분이 변질하여, 해당 부분만 특정한 파장 영역의 빛의 진동방향을 직선편광상태로 회전할 수 있는 성질(위상차기능)이 소실하고, 레지스트부재(4)가 존재하는 부분과 레지스트부분(4)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으로 투과광의 위상이 180° 어긋나는 필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단지 뜨거운 물에 침지시킨다는 조작만으로 우안용 영상표시부(a) 및 좌안용 영상표시부(b)가 혼재한 필름을 양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위상차필름의 소정부분에 뜨거운 물을 침투시키기 때문에, 해당 부분은 부분적으로 팽창·용출·요철경계면이 나타날 우려도 있으나, 이 점, 본 발명은 보호부재(9)가 설치되기 때문에, 표시체 전체로서의 내습열성은 향상하고, 또한, 상기 위상차필름의 팽윤(澎潤) 등의 문제도 해결되어, 따라서, 그만큼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한, 레지스트부재(4) 사이에 적절한 부재(8)가 충전되어, 표면이 평탄하게 되기 때문에, 그만큼 빛의 확산이 억제되고, 해상도 및 명암의 대조가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하에 상술한다.
투명한 지지재(1)[예컨대 두께 2 mm 정도의 유리판이나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CAB)판 등」상에 접착제(2)(예컨대 자외선경화성수지)를 통해 TAC 필름(6)(두께 126 ㎛)과 위상차기능을 갖는 위상차필름(1/2파장판)으로서의 일축(一軸) 연신(延伸) PVA 필름(7)(두께 38 ㎛)을 적층한 적층위상차필름(3)을 설치하고,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경화성수지를 경화시킨다. 한편, 지지재(1)는 복굴절성을 갖지 않은 유리판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적층위상차필름(3)은 연신 PVA 필름(7)에 TAC 필름(6)을 적층한 것 이외에, 연신 PVA 필름(7)에 CAB 필름을 적층한 것 등으로도 좋고, 요는 연신 PVA 필름(7)에 복굴절성을 갖지 않은 필름을 적층한 것이면 적층위상차필름(3)으로서 채용할 수 있다.
이어서, 이 일축연신 PVA 필름(7)의 소정위치에 레지스트부재(4)로서의 투명하고 내수성이 높고 또한 밀착성이 높은 레지스트 잉크(예컨대 우레탄수지계 접착제)를 스크린인쇄에 의해 실시한다. 이 경우의 레지스트 잉크는, 연신 PVA 필름 (7)의 표면에 1측에서 다른 측으로 향하여 실시되는 160 ㎛ 폭의 선형상체이며, 이 선형체는 160 ㎛의 피치를 두고 병설되어 있다.
한편, 레지스트 잉크는 상기한 바와 같이 등폭 또한 등피치일 필요는 없고, 또한, 선형상체가 아니더라도, 예컨대 평면으로 보았을 때 정사각형 형상체를 갈짓자형으로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어서, 이것을 80℃의 뜨거운 물에 약 30초 정도 침지하여(물론 주위면에는 적절한 방수처리를 실시한다.), 레지스트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 물을 침투시킴으로써 연신 PVA 필름(7)의 분자의 방향성을 파괴하고, 연신전의 상태, 즉, 연신 PVA 필름(7)이 원래 갖는 상기 위상차기능을 소실시키고, 레지스트 잉크가 존재하는 부분을 예컨대 우안용 영상표시부(a)로 하고, 레지스트 잉크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좌안용 영상표시부(b)로 한다. 한편, 여러가지 실시한 결과, 80℃∼100℃의 뜨거운 물에 5초∼10분이내로 침지하면, 마찬가지로 상기 연신 PVA 필름(7)의 성질이 소실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계속해서, 레지스트 잉크 사이로 연신 PVA 필름(7)상에 적절한 부재(8)로서 UV 수지, PVA 계 접착제 혹은 아크릴계점착제 등을 충전하며, 또한 보호부재(9)로 서의 TAC 혹은 CAB 시트를 적층한다. 한편, 적절한 부재(8)및 보호부재(9)는 위상의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복굴절성을 갖지 않은 것이면 어떠한 부재라도 상관없다.
계속해서, 내부에 액정이 설치된 표시부재(5)와 마그네트 등으로 겹치게 하거나 혹은 적절한 접착제로 맞붙여, 3D 영상표시체로 한다.
레지스트 잉크를 실시하는 위치, 즉, 우안용 영상표시부(a) 및 좌안용 영상표시부(b)의 위치는, 맞붙이는 표시부재(5)의 액정셀의 피치에 합치하도록 설정한다.
이상의 제조방법에 의해 우안용 영상표시부(a)와 좌안용 영상표시부(b)가 병설된 필름을 간단하게 얻을 수 있고, 따라서, 3D 영상표시체도 간단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PVA는 내습열성이 양호하지 않다. 더군다나, 본 실시예는 연신 PVA 필름(7)의 소정부분에 뜨거운 물을 침지시키기 때문에, 해당 부분은 부분적으로 팽윤·용출·요철계면이 나타날 우려가 있다. 이 점, 본 실시예는 보호부재(9)가 설치되기 때문에, 표시체 전체로서의 내습열성은 향상하고, 또한, 상기 연신 PVA 필름(7)의 팽윤 등의 문제도 해결되며, 따라서, 그만큼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한, 레지스트부재(4) 사이에 적절한 부재(8)가 충전되어, 표면이 평탄하게 되기 때문에, 그만큼 빛의 확산이 억제되고, 해상도및 컨트라스트가 향상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지지재, UV 접착제, TAC필름, PVA 필름을 이 순서로 적층한 부 재에, 가전부재 일반습열시험(조건; 40℃×95% RH)을 행한 결과, 지지부재와 UV 접착제와의 계면, UV 접착제와 TAC 필름과의 계면및 TAC 필름과 PVA 필름과의 계면, 어느 하나의 계면으로 24시간 이내에 박리가 발생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건에서 500시간 이내에서도 박리 등의 외관이상은 발생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에 있어서는 각 부재를 롤 형상으로 하면 연속제조가 가능하게 되고, 3D 영상표시체의 양산성이 한층더 향상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3D 영상표시체부터의 영상을 우안용 영상표시부(a)로부터의 우안용영상만을 투과하는 편광판부착 우안용렌즈와 좌안용 영상표시부(b)에서의 좌안용영상(우안용영상을 구성하는 빛의 진동방향에 대하여 90°직교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에 의해 구성된 영상)만을 투과하는 편광판부착 좌안용렌즈로 이루어지는 편광안경으로 보면, 관찰자는 해당 영상을 입체영상으로서 감상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우안용 영상표시부와 좌안용 영상표시부가 혼재된 3D 영상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한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으로서, 투명한 지지재상에 접착제를 통해 위상차필름을 설치하고, 이어서, 해당 위상차필름의 소정위치에 투명한 레지스트부재를 설치한 후, 뜨거운 물에 침지시키고, 건조후 레지스트부재측에 보호부재를 설치하고, 그 후, 해당 보호부재와 표시부재를 서로 겹치게 하거나 혹은 맞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
  2. 우안용 영상표시부와 좌안용 영상표시부가 혼재한 3D 영상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한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으로서, 투명한 지지재상에 접착제를 통해 복굴절성이 없는 TAC 필름이나 CAB 필름 등과 위상차기능을 갖는 연신 PVA 필름을 적층한 적층위상차필름을 TAC 필름 등이 접착제측으로 되도록 설치하고, 이어서, 연신 PVA 필름의 소정위치에 투명한 레지스트부재를 설치한 후, 뜨거운 물에 침지시키고, 건조후 레지스트부재측에 보호부재를 설치하고, 그 후, 해당 보호부재와 표시부재를 겹치게 하거나 혹은 맞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
  3. 우안용 영상표시부와 좌안용 영상표시부가 혼재한 3D 영상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한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으로서, 투명한 지지재상에 접착제를 통해 복굴 절성이 없는 TAC 필름이나 CAB 필름 등과 위상차기능을 갖는 연신 PVA 필름을 적층한 적층위상차필름을 TAC 필름 등이 접착제측으로 되도록 설치하고, 이어서, 연신 PVA 필름의 소정위치에 레지스트부재를 설치한 후, 뜨거운 물에 침지시키고, 건조후 레지스트부재 사이에 적절한 부재를 충전하고 또한 이 적절한 부재및 레지스트부재측에 보호부재를 설치하여, 그 후, 해당 보호부재와 표시부재를 겹치게 하거나 혹은 맞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적절한 부재 및 보호부재로서, 복굴절성을 갖지 않은 부재를 채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
  5. 우안용 영상표시부와 좌안용 영상표시부가 혼재한 3D 영상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한 3D 영상표시체형성용의 필름으로서, 투명한 지지재상에 접착제를 통해 TAC 필름 등의 복굴절성을 갖지 않은 필름과 위상차기능을 갖는 연신 PVA 필름을 적층한 적층위상차필름이 해당 복굴절성을 갖지 않은 필름이 접착제측으로 되도록 설정되고 있고, 이 연신 PVA 필름의 소정위치에는 우안용 영상표시부 및 좌안용 영상표시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이 연신 PVA 필름에는 투명한 레지스트부재가 설치되며, 이 레지스트부재상에는 보호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표시체형성용의 필름.
  6. 제 5 항에 있어서, 레지스트부재 사이에는 적절한 부재가 충전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표시체형성용의 필름.
KR1020010002052A 2001-01-13 2001-01-13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 및 3d 영상 표시체 형성용 필름 KR100577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052A KR100577510B1 (ko) 2001-01-13 2001-01-13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 및 3d 영상 표시체 형성용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052A KR100577510B1 (ko) 2001-01-13 2001-01-13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 및 3d 영상 표시체 형성용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906A KR20020060906A (ko) 2002-07-19
KR100577510B1 true KR100577510B1 (ko) 2006-05-10

Family

ID=3749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052A KR100577510B1 (ko) 2001-01-13 2001-01-13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 및 3d 영상 표시체 형성용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5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013A (ko) * 2002-09-12 2004-03-20 김진곤 위상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위상판
KR100451952B1 (ko) * 2002-09-17 2004-10-08 김진곤 위상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위상판
KR100451951B1 (ko) * 2002-09-23 2004-10-08 김진곤 위상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906A (ko) 200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3981B (zh) 立体图像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930963B1 (ko) 광학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JP5995085B2 (ja) 光学フィルタ製造用積層フィルム、及び、光学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20120138236A (ko) 직시형 입체 디스플레이용 휨성 액정 편광 스위치
JP2009175551A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242420A (ja) 偏光板とその製造法及び液晶表示パネル
CN102540314B (zh) 偏光片及其制备方法、具有该偏光片的3d显示装置
JP3786824B2 (ja) 3d映像表示体の製造方法
US2002007117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3D image display body
JP3806284B2 (ja) 3d映像表示体の製造方法
JP3806283B2 (ja) 3d映像表示体の製造方法
US9477088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CN102540316A (zh) 图案化延迟器的制造方法
KR100577510B1 (ko)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 및 3d 영상 표시체 형성용 필름
US2002006395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3D image display body and film for use in forming 3D image display body
JP2004287408A (ja) 液晶表示パネル、液晶表示装置、並びに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US2002018066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3D image display body, and film for use in forming 3D image display body
KR100732815B1 (ko) 3d 영상 표시체의 제조방법 및 3d 영상 표시체 형성용필름
KR100584991B1 (ko) 3d 영상표시체의 제조방법
KR101896546B1 (ko) 입체 영상 표시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21234B1 (ko) 3d 영상표시체 형성용의 필름 및 3d 영상표시체의제조방법
JP3342454B2 (ja) 3d映像表示体形成用のフィルム及び3d映像表示体の製造方法
JP2005010738A (ja) 表示装置
JPS6156326A (ja) 液晶表示装置の偏光板
JP2004139055A (ja) 光学リタデーション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