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7279B1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7279B1
KR100577279B1 KR1020050000489A KR20050000489A KR100577279B1 KR 100577279 B1 KR100577279 B1 KR 100577279B1 KR 1020050000489 A KR1020050000489 A KR 1020050000489A KR 20050000489 A KR20050000489 A KR 20050000489A KR 100577279 B1 KR100577279 B1 KR 100577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collecting container
dust
lower panel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4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영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0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279B1/en
Priority to AT05110355T priority patent/ATE480175T1/en
Priority to EP05110355A priority patent/EP1676515B1/en
Priority to DE602005023403T priority patent/DE602005023403D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2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A vacuum cleaner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body (100) and a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loaded in the cleaner body to collect dust by separating particles from an introduced air,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ncluding a dust collecting body (210a) having an open lower end, a lower panel (210b) rotatably joined to the dust collecting body to open/close the lower end of the dust collecting body, a hinge joint part (240) outwardly projected from the dust collecting body to rotatably join the lower panel to the dust collecting body, and a fixing means (250) for fixing the lower panel not to open the lower panel, wherein the cleaner body comprises a dust collecting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having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nserted to be loaded therein and a first insertion recess provided to an inn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to have the hinge joint part inserted therei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o be loaded.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Vacuum Cleaner {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를 나타낸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cleaner body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구비되는 집진장치와 청소기 본체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ust collector and the cleaner body separately provided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구비되는 집진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dust collector provided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구비되는 집진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ust collector provided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집진장치에 구비되는 힌지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inge connection provided in the dust collector shown in FIG.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집진장치에 구비되는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device provided in the dust collecting device shown in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er body provided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one direc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er body provided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other direc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0 : 청소기 본체 200 : 집진장치100: cleaner body 200: dust collector

110 : 호스 연결부 120 : 바퀴 110: hose connection 120: wheel                 

130 : 청소기 본체 131 : 제 1 삽입홈130: cleaner body 131: first insertion groove

132 : 제 2 삽입홈 132a : 제 2 경사면132: second insertion groove 132a: second inclined surface

200 : 집진장치 210 : 집진 용기200: dust collector 210: dust collector container

211 : 하부 패널 212 : 1차 먼지 저장부 211: lower panel 212: primary dust storage unit

213 : 2차 먼지 저장부 214 : 1차 싸이클론부 213: secondary dust storage unit 214: primary cyclone unit

215 : 2차 싸이클론부 216 : 경계벽215: secondary cyclone portion 216: boundary wall

217 : 유출부 218 : 가이드 리브 217: outlet 218: guide rib

219 : 비산 방지부재 220 : 집진용기 커버219: shatterproof member 220: dust collector cover

230 : 상부 커버 240 : 힌지 연결부230: top cover 240: hinge connection

250 : 고정장치250: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집진장치의 장착이 용이한 구조의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foreign matters is easy to mount.

종래의 진공 청소기는, 바닥에 쌓인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노즐,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본체,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이물질을 상기 청소기 본체로 안내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Conventional vacuum cleaners, the suction nozzle for suctioning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accumulated on the floor, the vacuum cleaner body is provided with a dust collector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and the connection for guiding the foreign substances sucked from the suction nozzle to the cleaner body Including the tube.

여기서,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공기 흡입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전방부에는 상기 집진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장착되는 집진용기 장착부가 구비된다.Here, the cleaner main body is provided with an air suction device for generating an air suction force, the front por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container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dust collector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의 후방 양측에는 주행 바퀴가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저면 전방부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방향 전환을 위한 회전 자재의 캐스터가 구비된다.In addition, one driving wheel is provided at each of both rear sides of the cleaner body, and a caster of a rotating material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leaner body is provided at the bottom front portion of the cleaner body.

한편, 상기 집진장치는,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원통형의 집진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집진용기의 바닥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 패널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dust collector is configured to include a cylindrical dust collecting container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onsists of a lower panel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이를 위하여, 상기 집진장치에는 상기 집진용기의 측면과 상기 하부 패널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연결부와 상기 하부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구비된다.To this end,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hinge connecting portion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the lower panel and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lower panel.

그러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진공 청소기는, 상기 집진장치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집진장치의 하단부, 특히 상기 힌지 연결부 및/또는 상기 고정장치와 상기 집진용기 장착부가 상호 간섭되어 상기 집진장치의 장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dust collecting device, the lower end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in particular, the hinge connection part and / or the fixing device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mounting part are mutually interfered with each other. Firewood had a difficult problem.

그리고, 상기 집진장치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 연결부가 상기 집진용기 장착부의 상부 테두리에 부딪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dust collect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is damaged by hitting the upper edge of the dust container mounting portion.

또한, 상기 집진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장치의 하부가 지지되지 않아 상기 집진장치가 흔들리고, 이로 인해 공기 유동로상에 기밀성이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dust collector is not supported in the state where the dust collector is mounted, the dust collector is shaken,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airtightness is not maintained on the air flow path.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착이 용이한 집진장치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having a dust collector that is easy to moun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며, 바닥에 개폐 가능한 하부 패널이 구비되는 집진용기; 상기 집진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집진용기의 측면과 상기 하부 패널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연결부; 상기 집진용기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 그리고 상기 집진용기가 상부에서 장착되는 집진용기 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집진용기 장착부의 내벽에는 상기 힌지 연결부와 상기 고정장치가 각각 삽입되며 상기 힌지 연결부와 고정장치를 지지하는 삽입홈들이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ion to separate the foreign matter flowing into the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bottom panel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bottom; A hinge connection part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o rotatably connect the sid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the lower panel; A fixing device protruding from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o fix the lower panel; And a dust collecting container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mounted from an upper portion thereof, wherein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and the fixing device are inserted into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mounting portion, and the insertion grooves for supporting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and the fixing apparatus are formed. It provides a vacuum cleaner configured to include.

여기서, 상기 삽입홈들은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sertion grooves are preferably wider toward the top.

그리고, 상기 힌지 연결부의 하부에는,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outward toward an upper portion is formed below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집진용기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레버 수용부; 그리고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패널을 고정하는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레버 수용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용되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xing device, the lever receiv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a hook formed at a lower end to fix the lower panel, and including a lev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lever receiving part.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 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일 실시예로서 캐니스터형 진공 청소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a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will be described as an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구비되는 집진장치와 청소기 본체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cleaner body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st collector and a cleaner body separated from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 청소기는, 청소되는 바닥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미도시), 상기 흡입 노즐과 별개로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100),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과 상기 청소기 본체(100)를 상호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오염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100)로 안내하는 연결관(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2,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suction nozzle (not shown) for sucking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while moving along the floor to be cleaned, a cleaner body 100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uction nozzle, And a connection pipe (not shown) which connects the suction nozzle and the cleaner body 100 to each other and simultaneously guides the contaminated air sucked from the suction nozzle to the cleaner body 100.

여기서, 상기 흡입 노즐의 바닥에는 소정 크기의 노즐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내장된 공기 흡입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흡입력으로 바닥에 쌓인 먼지를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Here, a nozzle suction port (not shown)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uction nozzle, and suctions dust accumulated on the floor with air by the air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air suction device built in the cleaner body 100. .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진공 청소기를 제어하는 전장부, 그리고 상기 공기 흡입장치를 구성하는 모터-팬 어셈블리가 내장된다.In addition, the cleaner main body 100 includes an electric component controlling the vacuum cleaner, and a motor-fan assembly constituting the air suction devic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단 상부에는 상기 연결관이 연결되는 호스 연결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가 바닥면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12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바닥 전방부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방향 전환을 위해 회전 자재의 캐스터(caster)가 연결된다.In more detail, the front end of the cleaner body 100 is provided with a hose connecting portion 110 to which the connector is connected, the rear of both sides of the cleaner body 100, the cleaner body 100 is the bottom surface The wheels 120 are rotatably mounted to each other so as to move smoothly, and a caster of a rotating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bottom front of the cleaner body 100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cleaner body 100. .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방부에는 집진용기 장착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집진용기 장착부(130)에는 집진장치(20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흡입노즐에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집진장치(2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a dust collecting container mounting unit 130 is formed at a front por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00,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20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mounting unit 130 so that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nozzle is installed. It functions to separate and collect the foreign matter from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or 200 through the connecting pipe.

다음으로, 상기 집진장치(2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부 내측에 형성된 소정의 유로와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를 지나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으로 배출된다.Nex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or 200 is discharged to the rear of the cleaner body 100 through a predetermined flow path formed inside the rear portion of the cleaner body 100 and the motor-fan assembly.

한편, 상기 연결관은, 일단이 상기 흡입 노즐에 연결되는 단단한 재질의 연장관, 일단이 상기 연장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방에 구비된 상기 호스 연결부(110)에 연결되는 유연한 재질의 연결호스, 그리고 상기 연장관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연결관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pipe, one end of the extension tube of a solid material connected to the suction nozzl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pip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hose connecting portion 110 provided in front of the cleaner body 1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on hos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connector handle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pip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구비되는 집진 장치(200)의 일 실시예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 provided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구비되는 집진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구비되는 집진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ust collector provided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ust collector provided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집진 장치(200)는, 대략 원통 형상의 집진용기(210), 상기 집진용기(210)의 일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집진용기(210)의 상단 을 개폐하는 집진용기 커버(220), 그리고 상기 집진용기 커버(2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집진 장치 손잡이(231)가 구비된 상부 커버(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and 4,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0 opens and closes an upper end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one end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and more specifically,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over 220,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over 220, and comprises a top cover 230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device handle 231 on the upper surface.

여기서, 상기 집진용기(210)의 내부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1차 집진부와 2차 집진부가 구비되며, 상기 집진용기(210)의 바닥은 개폐 가능한 하부 패널(211)로 구성된다.Her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is provided with a primary dust collecting part and a secondary dust collecting part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is composed of an openable lower panel 211. .

그리고, 상기 1차 집진부는 1차 먼지 분리부와 1차 먼지 저장부(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집진용기(210)의 내측에 제공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상의 용기로 구성된다.The primary dust collecting part includes a primary dust separating part and a primary dust storing part 212, and is formed of a substantially cylindrical container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또한, 상기 2차 집진부는, 상기 1차 집진부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1차 집진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2차 먼지 분리부와 2차 먼지 저장부(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econdary dust collecting unit may include a secondary dust separating unit and a secondary dust storage unit 213 provided around the primary dust collecting unit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air discharged from the primary dust collecting unit.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차 먼지 분리부와 상기 2차 먼지 분리부는, 각각 싸이클론 방식으로 이물질을 분리하는 1차 싸이클론부(214)와 다수개의 소형 2차 싸이클론부(215)들로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secondary dust separation unit, each of the primary cyclone unit 214 and a plurality of small secondary cyclone unit 215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 in a cyclone method It is composed.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는 하단이 개방된 원통 용기 형상으로서, 상부 측면에는 상기 호스 연결부(210)와 연통하는 제 1 흡입구(214a)가 형성되고,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천장 중앙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 1 배기구(214b)가 형성된다.In more detail,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has a cylindrical container shape of which the lower end is opened, and a first suction port 214a communicating with the hose connecting portion 210 is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The first exhaust port 214b penet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ceiling center portion of the cyclone portion 214.

여기서, 상기 제 1 흡입구(214a)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상기 1차 싸이클론부의 접선방향으로 안내하여, 상기 제 1 흡입구(214a)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 내벽을 따라 나선 유동을 하도록 구성된다.Here, the first suction port 214a guides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primary cyclone part so that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suction port 214a is in the primary cyclone part 214. It is configured to allow spiral flow along the inner wall.

그리고,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상부에는, 상기 집진용기(210)의 외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소형의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들이 상기 1차 싸이클론부의 상부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각 2차 싸이클론부(215)의 상단은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상단에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the small secondary cyclone portions 215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are circumferentially arranged a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It is arranged in the direction,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secondary cyclone portion 215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upper end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한편,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상단 위로 돌출된 상기 각 2차 싸이클론부(215)의 측면 중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제 1 배기구(214b)와 연통하는 제 2 흡입(미도시)구를 형성하며, 상기 각 2차 싸이클론부(215)의 상단은 개방되어 제 2 배기구(미도시)를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each of the secondary cyclone portion 215 protruding above the upper end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is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suc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exhaust port 214b Spheres (not shown) are formed, and upper ends of the respective secondary cyclone portions 215 are opened to form a second exhaust port (not shown).

그리고,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의 하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콘 부(215a)가 형성되며,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의 하단은 먼지 등의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이물질 배출구(215b)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ary cyclone portion 215 is formed with a cone portion 215a, the diameter of which de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may be discharged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ary cyclone portion 215.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215b penetrated up and down is formed.

여기서, 인접하는 2차 싸이클론부(215)들은 상호 접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 사이로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Here, the adjacent secondary cyclone portions 215 are integrally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air does not flow between the secondary cyclone portions 215.

그리고,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들의 상부에는 상기 집진용기 커버(220)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over 220 is mounted on the secondary cyclone portions 215.

상기 집진용기 커버(220)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각 2차 싸이클론부의 제 2 배기구들에 각각 대응되는 제 3 배기구(221)들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Third exhaust ports 221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xhaust ports of the respective secondary cyclone portions are formed in the edge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over 220 in the vertical direction.

다음으로, 상기 집진용기 커버(220)의 상부에는, 하단이 개방된 상기 상부 커버(23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Next, the upper cover 230 of which the lower end is opened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dust container cover 220.

이를 위하여, 상기 집진용기 커버(220)의 외주면에는 세 개의 걸림 돌기(미도시)들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230)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 돌기들이 삽입되어 걸림되는 세개의 걸림홈(미도시)들이 형성된다. To this end, three locking protrusions (not shown)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cover 220, and three locking grooves (not shown) are inserted and lock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over 230. Are formed.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230)의 후방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부에 형성된 소정의 유로로 공기를 배출하는 제 4 배기구(23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230)의 내측에는 상기 제 4 배기구(232)와 연통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fourth exhaust port 232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upper cover 230 to discharge air to a predetermined flow path formed at the rear of the cleaner body 100, and the inner side of the upper cover 230 is located at the inner side of the upper cover 230.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ourth exhaust port 232.

또한, 상기 상부 커버(230)의 내측 공간에는, 상기 제 3 배기구(221)들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미도시)를 수용하는 필터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cover 230, the filter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filter (not shown) for filtering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exhaust port 221 is preferably provid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1차 싸이클론부(214)와 2차 싸이클론부(215)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집진용기(210)의 외벽과 상기 하부 패널(211)에 의해 형성되는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후, 상기 하부 패널(211)이 열리면 중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dust separated from the primary cyclone part 214 and the secondary cyclone part 215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dust storage part formed by the out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and the lower panel 211. After being stored, when the lower panel 211 is opened,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gravity.

상기 먼지 저장부는 전술한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와 2차 먼지 저장부로 구성되며,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고, 상기 2차 먼지 저장부(213)는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한다.The dust storage unit includes the above-described primary dust storage unit 212 and the secondary dust storage unit,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2 stores the dust separated from the primary cyclone unit 214 The secondary dust storage unit 213 stores the dust separated from the secondary cyclone unit 215.

여기서,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와 상기 2차 먼지 저장부(213)는,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들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집진용기의 외벽보다 반지름 이 작은 대략 원통 형상의 경계벽(216)으로 구획된다.Here,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2 and the secondary dust storage unit 213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ary cyclone unit 215 integrally and the cylinder having a smaller radius than the out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t is partitioned into a shape boundary wall 216.

상기 경계벽(216)의 하단은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집진용기(210)의 바닥, 즉 상기 하부 패널(211)의 상면까지 연장된다.The lower end of the boundary wall 216 is formed longer than the lower end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and extends to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nel 211.

이에 따라, 상기 경계벽(216)은,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와 상기 2차 먼지 저장부(213)가 서로 연통하는 것을 방지한다.Accordingly, the boundary wall 216 prevents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2 and the secondary dust storage unit 213 from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경계벽(216)은 원주 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oundary wall 216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curv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그 이유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에서 형성된 나선류에 의하여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에 저장된 먼지가 나선류에 의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is to prevent the dust stored in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2 from being scattered by the spiral flow due to the spiral flow formed in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내부에 수직하게 구비되며, 그 측면에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제 1 배출구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통공들이 형성된 유출부(217), 그리고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흡입구(214a)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21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perpendicularly to the inside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the side of which communicates with the first outlet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It further comprises an outlet portion 217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 guide rib 218 provided in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to guide the air flowing into the first inlet 214a.

여기서, 상기 유출부(217)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중심에 축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밀폐된 형상으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대략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outlet portion 217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in the axial direction, the upper end is open and the lower end is in a closed shape, it is made of a substantially conical shape that becomes smaller toward the bottom. desirable.

그 이유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하방으로 갈수록 나선류의 속도가 감소하므로,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내벽을 따라 하강하는 먼지가 상기 유출부(217)의 흡입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is that the speed of the spiral flow de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so that the dust falling along the inner wall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is the suction force of the outlet portion 217. To be unaffected by

그리고, 상기 유출부(217)의 상단은 상기 제 1 배기구(214b)의 테두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유출부(217)의 상단과 상기 제 1 배기구(214b) 사이에는 기밀성을 유지하는 환형의 씰링(sealing) 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upper end of the outlet 217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im of the first exhaust port 214b, the annular shape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outlet 217 and the first exhaust port (214b) It is preferable that a sealing member is provided.

또한, 상기 유출부(217)의 하부에는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에서 저장된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 방지부재(219)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let portion 217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cattering preventing member 219 to prevent the dust stored in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2 to scatter.

상기 비산 방지부재(219)는 상기 1차 먼지 저장부에 포집된 먼지가 나선류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scattering preventing member 219 prevents the dust collected in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from rising by the spiral flow and entering the secondary cyclone unit 215.

여기서, 싱기 비산 방지부재(219)의 상면은 하향 경사진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비산 방지부재(219)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Her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thinner scattering prevention member 219 is inclined downward. In more detail, the scattering preventing member 219 has a cone shape in which the diameter thereof becomes larger toward the bottom.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218)는, 상기 제 1 흡입구(214a)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 내벽의 접선 방향으로 안내하여, 상기 제 1 흡입구(214a)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유출부(217)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The guide rib 218 guides the air flowing into the first suction port 214a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primary cyclone part 214, and the air flowing into the first suction port 214a. Is prevented from directly flowing into the outlet 217.

한편, 상기 하부 패널(211)은 상기 집진용기(210)의 측면에 힌지 연결부(24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anel 21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by a hinge connection portion 240.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 연결부(240)는, 상기 집진용기(210)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 1 연결부(241), 그리고 상기 하부 패널(211)의 측면에 구비되 어 상기 제 1 연결부(2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연결부(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5 and 6, the hinge connection part 240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41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and the lower panel 211. The second connector 24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241.

여기서, 상기 제 1 연결부(241)는, 상기 집진용기(210) 측면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벽(미도시)들로 구성되고, 상기 각 지지벽에는 힌지공(미도시)이 형성된다.Her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41 is composed of a pair of support walls (not shown)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a hinge hole (not shown) in each of the support walls Is formed.

다음으로, 상기 제 2 연결부(242)는, 상기 하부 패널(211)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2 연결부(242)의 상부 양측면에는 상기 힌지공들에 삽입되는 한 쌍의 힌지 돌기(미도시)들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 패널(211)의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축을 구성한다.Next,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42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panel 211, a pair of hinge protrusions (not shown) inserted into the hinge holes on both upper sides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42. Seams) are formed to protrude to form a hinge axis that serves as a center of rotation of the lower panel 211.

물론, 상기 제 1 연결부(241)에 힌지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연결부(242)에 상기 힌지공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hinge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part 241 and the hinge holes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part 242.

상기와 같이, 상기 힌지 연결부(240)가 상기 집진용기(210)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이유는, 상기 힌지 연결부(240)가 상기 집진용기(210)의 측면에서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힌지 연결부(240)의 부피 만큼 상기 집진용기(210)의 집진용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As described above,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240 is configured to protrude to th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240 is configured in a state that does not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In this case, the dust collecting capacity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is reduced by the volume of the hinge connection part 240.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부(242)의 하부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 1 경사면(242a)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first inclined surface 242a that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under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42.

여기서, 상기 제 1 경사면(242a)은, 상기 집진장치(200)가 상기 집진용기 장착부(130)에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집진장치(200), 특히 상기 힌지 연결부(240)가 상기 집진용기 장착부(130)의 모서 리부에 부딪혀 파손되거나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모서리부에 걸리는 등과 같은 상기 집진장치(200) 장착상의 장애를 방지한다.Here, the first inclined surface 242a is, in the process of the dust collector 200 is mounted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leaner body 100 to the dust container mounting portion 130, the dust collector 200, in particular The hinge connection part 240 prevents an obstacle in mounting the dust collector 200 such as being damaged by being hit by an edge of the dust container mounting part 130 or being caught by an edge of the cleaner body 100.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 1 경사면(242a)은 상기 힌지축에 평행한 하단 모서리와 상단 모서리를 가지며, 상기 제 1 경사면(242a)의 하단 모서리는 상기 제 2 연결부(242)의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연결부(242) 바닥의 외측 모서리를 구성한다.In more detail, the first inclined surface 242a has a lower edge and an upper edge parallel to the hinge axis, and a lower edg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242a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42. The outer edge of the bottom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42 is formed.

물론, 상기 제 2 연결부(242)의 바닥 전체가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경사면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1 경사면(242a)은 평면이 아닌 곡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entire bottom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4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outward to form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242a may be configured as a curved surface rather than a plane.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집진장치(200)가 상기 집진용기 장착부(13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집진용기(210)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힌지 연결부(240)가 상기 집진용기 장착부(130)의 상부 테두리에 부딪혀도 상기 제 1 경사면(242a)에 의하여 걸림없이 부드럽게 미끄러져서 장착된다. 더 나아가, 상기 힌지 연결부(240)가 상기 집진용기 장착부(130)의 일측에 부딪힐 때 충격이 분산되어 상기 힌지 연결부(240)의 파손이 방지된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0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mounting unit 130,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24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is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mounting unit 130. Even if it hits the upper edge of the) is smoothly slipped by the first inclined surface (242a) without mounting. Furthermore, the impact is dispersed when the hinge connector 240 hits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mounting unit 130 to prevent the hinge connector 240 from being damaged.

그리고, 상기 힌지 연결부(240)의 대략 반대 측에는 상기 하부 패널(211)을 고정하는 고정 장치(250)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fixing device 250 for fixing the lower panel 211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inge connector 240.

상기 고정 장치(250)는, 상기 집진용기(21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레버 수용부(251), 그리고 상기 레버 수용부(25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레버 수용부(521)에 수용되는 레버(2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xing device 250, the lever receiving portion 251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and the lever receiving portion 52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lever receiving portion 25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ever 252 accommodated in.

여기서, 상기 레버(252)의 하단에는 상기 하부 패널(211)을 고정하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패널(211)은 그 측면에 상기 후크에 걸림되는 고정돌기(211a)를 가진다.Here, a hook for fixing the lower panel 21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ever 252, the lower panel 211 has a fixing projection (211a) that is caught on the hook on its side.

그리고, 상기 레버(252)의 양측면에는, 상기 레버 수용부(251)의 양측 내벽에 형성되는 축공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레버(252)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회전돌기(253)가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In addition, both side surfaces of the lever 252 are inserted into the shaft holes formed on both inner walls of the lever receiving portion 251 so as to be rotatably supported, and the rotation protrusions 253 forming the rotation shaft of the lever 252 are provided. Each one is formed.

또한, 상기 레버(252)의 상부 외측면에는 상기 하부 패널(211)의 개방을 위한 누름 돌기(254)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252)의 상부 외측면에는 상기 레버(252)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레버(252)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누름 돌기(254)를 누르면, 상기 레버가 상기 회전돌기(253)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레버(252)의 하단에 구비된 후크는 상기 집진용기(210)의 외측으로 회전이동 하면서 상기 고정돌기(211a)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하부 패널(211)에 대한 구속이 해제된다. In addition, a pressing protrusion 254 for opening the lower panel 211 is formed on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lever 252, and an elastic support of the lever 252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lever 252. An elastic member (not shown) is provided. 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protrusion 254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ver 252, the lever rotates about the rotary protrusion 253. At this time, the hook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ever 252 is rotated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to move away from the fixing projection 211a, thereby restraining the restraint on the lower panel 211. .

상기 고정 장치(250)는, 상기 집진장치(200)의 전단과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45도에서 90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장치(200)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집진장치 손잡이(231)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 장치(250)를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The fixing device 250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dust collector 200 and a predetermined angle in a clockwise direction, more preferably between 45 degrees and 90 degrees, and is provid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or 200. It is good to be able to easily operate the fixing device 250 in a state of holding the dust collector handle 231.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고정 장치(250)에 대응되는 제 1 삽입홈(131)과 상기 힌지 연결부(240)에 대응에는 제 2 삽입홈(1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leaner body 100, the first insertion groove 131 corresponding to the fixing device 250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32 corresponding to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240 is formed It is preferabl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삽입홈(131) 및 상기 제 2 삽입홈(132)은 상기 집진용기 장착부(130)의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 장치(250)와 상기 힌지 연결부(240)를 지지하여, 상기 집진 장치(20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first insertion groove 131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32 are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dust container mounting unit 130, and the fixing device 250 and the hinge connection unit are formed. Support 240 to prevent shaking of the dust collector 200.

그리고, 상기 제 1 삽입홈(131) 및 상기 제 2 삽입홈(132)은 상기 집진용기 장착부(130)의 내벽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특히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 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insertion groove 131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32 is form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n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ntainer mounting portion 130, in particular, the shape is wider toward the top is preferable.

또한, 상기 제 2 삽입홈(132)의 내벽에는 상기 제 1 경사면(242a)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13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inclined surface 132a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242a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32.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상기 진공 청소기가 동작되면, 상기 흡입 노즐과 상기 연결관을 통해 외부의 오염공기가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로 유입된다.First, when the vacuum cleaner is operated, external polluted air flows into the primary cyclone unit 214 through the suction nozzle and the connection pipe.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흡입구(214a)와 상기 가이드 리브(218)에 의해 상기 유출부(217)로 직접 유입되지 않고 상기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내벽에 접선 방향으로 안내되어 나선류를 형성하게 된다.The air flowing into the primary cyclone portion 214 is not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outlet portion 217 by the first suction port 214a and the guide rib 218, but the primary cyclone portion ( The inner wall of the 214 is tangentially guided to form a spiral flow.

이에 따라, 무게가 비교적 무겁고 큰 먼지들이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분리되어 하강하면서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에 저장되고, 상기 1차 먼지 저장부에 저장되는 먼지는 상기 비산 방지부재(219)와 굴곡진 형상의 경계벽(216)에 의해 비산이 방지된다.Accordingly, the dust having a relatively heavy weight and large weights are separated and lowered by the cyclone principle, and are stored in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2, and the dust stored in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is scattering prevention member 219. And scattering are prevented by the curved boundary wall 216.

그리고, 비교적 큰 먼지들이 분리된 공기는 상기 유출부(217)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과 연통하는 상기 제 1 배기구(214b)로 배출된 후, 다수개의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로 유입되어 다시 먼지 분리과정을 거친다.In addition, the air from which the relatively large dusts are separated is discharged to the first exhaust port 214b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the side of the outlet portion 217 and then to the plurality of secondary cyclone portions 215. It enters and goes through the dust separation process again.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에서 비교적 작은 먼지들이 분리된 공기는, 상기 제 3 배기구(221)를 통해 상기 상부 커버(230)의 내부로 유입된다.Air from which relatively small dusts are separated from the secondary cyclone unit 215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cover 230 through the third exhaust port 221.

상기 상부 커버(23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4 배기구(232)를 통해 후방으로 배출된다. The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cover 230 is discharged backward through the fourth exhaust port 232.                     

다음으로, 상기 제 4 배기구(232)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부에 형성된 소정의 유로와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를 지나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으로 배출된다.Nex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ourth exhaust port 232 is discharged to the rear of the cleaner body 100 through a predetermined flow path form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cleaner body 100 and the motor-fan assembl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has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는 상기 하부 패널과 상기 집진용기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 연결부는 상기 집진용기와 상기 하부 패널의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므로, 전체 크기가 한정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용기의 집진용량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한다.First,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inge connecting portion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lower panel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the lower panel, the overall size is limited In this state, the dust collecting capacity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prevented from being reduced.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에 구비되는 힌지 연결부의 하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집진장치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힌지 연결부의 파손을 방지한다. Second,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provided in the dust collector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dust collector and to prevent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from being damaged.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용기 장착부에는 상기 힌지 연결부의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이 형성된 제 1 삽입홈이 구비되어, 상기 집진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집진장치의 흔들림을 방지한다.Thir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mounting portion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insertion groove hav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of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to stably support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to shake the dust collecting device. prevent.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용기 장착부에는, 상기 힌지 연결부와 상기 고정장치가 각각 삽입되며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삽입홈들이 형성되므로, 상기 집진장치의 장착시 부딪힘을 최소화되고 상기 집진장치의 장착이 용이하다.Fourt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mounting portion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and the fixing device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the insertion grooves are widened toward the upper portion, the collision is minimized during the installation of the dust collector and the Easy to install

Claims (4)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며, 바닥에 개폐 가능한 하부 패널이 구비되는 집진용기;A dust collecting container that separates and collects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has a lower panel openable on the bottom; 상기 집진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집진용기의 측면과 상기 하부 패널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연결부;A hinge connection part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o rotatably connect the sid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the lower panel; 상기 집진용기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 그리고A fixing device protruding from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o fix the lower panel; And 상기 집진용기가 상부에서 장착되는 집진용기 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집진용기 장착부의 내벽에는 상기 힌지 연결부와 상기 고정장치가 각각 삽입되며 상기 힌지 연결부와 고정장치를 지지하는 삽입홈들이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has a dust collecting container mounting portion is mounted from the upper portion, and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mounting portion includes a hinge body and the fixing device is inserted, respectively, the cleaner body is formed with insertion grooves for supporting the hinge connection and the fixing device is formed; Is composed by 상기 삽입홈들은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진공 청소기.The insertion groove is a vacuum cleaner that is wider toward the top.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힌지 연결부의 하부에는,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The lower portion of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outward toward the upper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 장치는,The fixing device, 상기 집진용기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레버 수용부; 그리고A lever receiving portion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상기 레버 수용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레버 수용부에 수용되며, 하단에는 상기 하부 패널을 고정하는 후크가 형성되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And a lev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lever accommodating part, the lever accommodating the lever accommodating part, and a lower end formed with a hook to fix the lower panel.
KR1020050000489A 2005-01-04 2005-01-04 Vacuum cleaner KR1005772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489A KR100577279B1 (en) 2005-01-04 2005-01-04 Vacuum cleaner
AT05110355T ATE480175T1 (en) 2005-01-04 2005-11-04 VACUUM CLEANER WITH A DUST COLLECTION BOX THAT IS SIMPLY PLACED IN THE VACUUM CLEANER HOUSING
EP05110355A EP1676515B1 (en) 2005-01-04 2005-11-04 Vacuum cleaner with a dust container readily loadable in the cleaner's body
DE602005023403T DE602005023403D1 (en) 2005-01-04 2005-11-04 Vacuum cleaner with a dust collector, which is easily arranged in the vacuum cleaner ho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489A KR100577279B1 (en) 2005-01-04 2005-01-04 Vacuu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7279B1 true KR100577279B1 (en) 2006-05-10

Family

ID=3608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489A KR100577279B1 (en) 2005-01-04 2005-01-04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676515B1 (en)
KR (1) KR100577279B1 (en)
AT (1) ATE480175T1 (en)
DE (1) DE602005023403D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261B1 (en) 2014-10-28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0436B2 (en) * 1999-01-29 2004-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Vacuum cleaner dust collector and upright type vacuum cleaner
JP3686053B2 (en) * 2002-07-24 2005-08-2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Dust collecting container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DE10248087B4 (en) * 2002-10-15 2011-05-1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acuum cleaner with a removable dust collector
KR100485717B1 (en) * 2002-12-31 2005-04-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ter assembly for vacuum cleaner
JP2004290212A (en) * 2003-02-04 2004-10-21 Sanyo Electric Co Ltd Dust collect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76515B1 (en) 2010-09-08
EP1676515A3 (en) 2008-01-02
ATE480175T1 (en) 2010-09-15
DE602005023403D1 (en) 2010-10-21
EP1676515A2 (en)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907B1 (en) Vacuum Cleaner
KR100964699B1 (en)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KR100640830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100930897B1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KR100546629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100546622B1 (en) Dust collector for cleaner
KR100577280B1 (en) Vacuum cleaner
KR100546625B1 (en) Dust collector for cleaner
KR100556442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100577279B1 (en) Vacuum cleaner
KR101306695B1 (en) Dust Collecting Device
KR100546623B1 (en) Dust collector for cleaner
KR100546627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100628060B1 (en) Vacuum Cleaner
KR100577275B1 (en) Vacuum cleaner
KR100546628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100617093B1 (en) Dust collector for cleaner
KR100628044B1 (en) Vacuum Cleaner
KR100546624B1 (en) Dust collector for cleaner
KR100672533B1 (en) Vacuum Cleaner
KR100577277B1 (en) Vacuum cleaner
KR100556444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100672474B1 (en) Vacuum Cleaner
KR20080066291A (en) Dust collecting unit for vaccum cleaner
KR100556443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