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7277B1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7277B1
KR100577277B1 KR1020050038517A KR20050038517A KR100577277B1 KR 100577277 B1 KR100577277 B1 KR 100577277B1 KR 1020050038517 A KR1020050038517 A KR 1020050038517A KR 20050038517 A KR20050038517 A KR 20050038517A KR 100577277 B1 KR100577277 B1 KR 100577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dust
air
fan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5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창호
하건호
서진욱
김진영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8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2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2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싸이클론원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입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모터 어셈블리;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 고정부;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에 형성된 모터 흡입구와 연통되는 상부 흡입구를 가지며, 상기 모터 고정부와 결합되는 상부 모터커버; 상기 상부 모터커버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의 유동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방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 using the cyclone princip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n-motor assembly for forcibly flowing the introduced air; A motor fixing part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an-motor assembly; An upper motor cover having an upper su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a motor suction hole formed in the fan-motor assembly, and coupled to the motor fixing part; It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motor cover, to provide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noise prevention projection to reduce the flow noise of the air.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장치에서 팬-모터 어셈블리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o reduce the flow nois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fan-motor assembly in the dust collector.

진공청소기, 집진장치, 청소기 본체, 집진용기, 소음방지돌기 Vacuum cleaner, dust collector, cleaner body, dust collector, noise prevention protrusion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dust collector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구비되는 집진용기의 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provided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구비되는 집진장치의 종단면도.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or provided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종단면도.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모터커버의 저면 사시도.Figure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moto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0 : 청소기 본체 175 : 상부 모터커버100: cleaner body 175: upper motor cover

177 : 소음방지돌기 200 : 집진장치177: Anti-noise protrusion 200: Dust collector

210 : 하부패널 211 : 결합보스 210: lower panel 211: coupling boss

212 : 경계벽 213 : 1차 먼지 저장부212: boundary wall 213: primary dust storage unit

214 : 1차 먼지 분리부 215 : 2차 먼지 분리부214: primary dust separator 215: secondary dust separator

216 : 2차 먼지 저장부 217 : 유출부216: secondary dust storage unit 217: outlet portion

218 : 가이드 리브 219 : 비산 방지부재218: guide rib 219: shatterproof member

220 : 집진용기 221 : 제3 배기구220: dust collecting container 221: third exhaust port

225 : 집진용기 커버 230 : 상부 커버 225: dust collection cover 230: upper cover

240 : 가이드 윙 250 : 집진장치 손잡이 240: guide wing 250: dust collector handle

260 : 패널제어장치260: Panel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싸이클론 원리를 사용하여 유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 from the introduced air using the cyclone principle.

종래의 진공 청소기는 바닥에 쌓인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노즐,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집진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본체,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이물질을 상기 청소기 본체로 안내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Conventional vacuum cleaners include a suction nozzle for suction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ccumulated on the floor, a cleaner main body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and a connection pipe for guiding foreign substances sucked from the suction nozzle to the cleaner main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여기서,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공기 흡입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의 소정 위치에는 집진장치가 수용되는 집진장치 수용부가 구비된다. Here, the cleaner main body is provided with an air suction device for generating an air suction force, and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unit accommodating unit for accommodating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를 운반할 수 있는 청소기 손잡이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청소기 본체의 후방 양측에는 주행 바퀴가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저면 전방부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방향 전환을 위한 회전 자재의 캐스터가 구비된다.And, the cleaner body is provided with a cleaner handle that can carry the cleaner body. In addition, one driving wheel is provided at each of both rear sides of the cleaner body, and a caster of a rotating material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leaner body is provided at the front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leaner body.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집진장치에서 공기 흡입장치로 공기가유입될때 공기유로가 갑자기 변함으로써 유동소음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vacuum cleaner has a problem that the flow noise is increased by sudden change of the air flow path when air is introduced from the dust collector to the air suction devic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소음을 줄일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that can reduce the flow nois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입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모터 어셈블리;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 고정부;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에 형성되는 모터 흡입구와 연통되는 상부 흡입구를 가지며, 상기 모터 고정부와 결합되는 상부 모터커버; 상기 상부 모터커버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의 유동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방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n-motor assembly for forcibly flowing the introduced air; A motor fixing part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an-motor assembly; An upper motor cover having an upper su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a motor suction hole formed in the fan-motor assembly, and coupled to the motor fixing part; It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motor cover, to provide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noise prevention projection to reduce the flow noise of the air.

상기 소음방지돌기는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과 상관없이 랜덤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oise preventing protrus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randomly regardless of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그리고, 상기 소음방지돌기는 상기 상부 흡입구의 주변에 밀집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oise preventing protrus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densely around the upper suction port.

한편, 상기 진공청소기는 상기 상부 모터커버와 상기 모터 고정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vacuum cleane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ealing member for maintaining the airtight between the upper motor cover and the motor fixing por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청소되는 바닥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미도시), 상기 흡입 노즐과 별개로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100),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과 상기 청소기 본체(100)를 상호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100)로 안내하는 연결관(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s along the floor to be cleaned while suction nozzles (not shown) for sucking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and the cleaner body 100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uction nozzles. And a connecting pipe (not shown) which interconnects the suction nozzle and the cleaner body 100 and simultaneously guides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nozzle to the cleaner body 100.

여기서, 상기 흡입 노즐의 바닥에는 소정 크기의 노즐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되어, 바닥에 쌓인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청소기 본체로 흡입된다.Here, a nozzle suction port (not shown)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uction nozzle, and foreign matter accumulated on the bottom is sucked into the cleaner body together with air.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전방부에는 상기 흡입노즐과 연통되어, 청소기 본체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본체흡입구(162)가 구비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의 측면 일측에는 청소기 본체의 외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본체배기구(미도시)가 구비된다.The front portion of the cleaner body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nozzle, the main body suction opening 162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cleaner body, the main body exhaust port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body on one side of the cleaner body (Not shown) is provided.

그리고, 청소기 본체의 상단부에는 청소기 본체를 운반할 수 있도록 청소기 손잡이(161)가 구비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가 바닥면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11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바닥 전방부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방향 전환을 위해 회전 자재의 캐스터(caster)(미도시)가 연결된다.In addition, a cleaner handle 161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leaner body so as to carry the cleaner body, and at both rear sides of the cleaner body 100, wheels may be used to smoothly m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body 100. 110 are rotatably mounted respectively. A caster (not shown) of rotating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bottom front portion of the cleaner body 100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cleaner body 100.

또한,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부에는 집진장치(20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집진장치(200)는 상기 흡입노즐에서 흡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or 20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cleaner body 100. The dust collector 200 functions to separate and collect the foreign matter from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nozzle.

그리고, 청소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진공 청소기를 제어하는 전장부(미도시)와,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강제유동시키는 팬-모터 어셈블리(130)가 설치된다. In addition, an in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n electric par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vacuum cleaner, and a fan-motor assembly 130 for suctioning and forcedly flowing air into the cleaner main body.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13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모터 챔버(133)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모터 챔버(133)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부 케이스(120)에 설치된다.The fan-motor assembly 130 is accommodated in the cylindrical motor chamber 133 having an open top, and the motor chamber 133 is installed in the lower case 120 of the cleaner body.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모터 챔버(133)의 상부에는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모터 커버(13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커버(131)의 상부에는 상기 모터커버(131)와 팬-모터 어셈블리(130)를 모터 챔버(133)에 고정시키기 위한 모터 고정부(134)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하부 케이스(120)에는 상기 모터 챔버의 하부가 설치되는 모터챔버 설치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otor cover 131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tor chamber 133 to reduce the vibration of the fan-motor assembly. The motor fixing part 134 is installed on the motor cover 131 to fix the motor cover 131 and the fan-motor assembly 130 to the motor chamber 133. Of course, the lower case 120 is provided with a motor chamber installation unit (not shown)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motor chamber is installed.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160)에는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집진장치(200) 내부로 안내하는 흡입유로(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유로의 끝단에는 집진장치과 연통되는 제1흡입구(165)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upper case 160 is provided with a suction passage (not shown) for guiding th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into the dust collector 200, and a first suction hole 165 communicating with the dust collector at the end of the suction passage. Is provided.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집진장치가 결합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결합가이드(121)가 구비되고, 집진장치의 후방이 청소기 본체에 결합되도록 하는 걸림홈(1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가이드는 집진장치의 결합보스(미도시)와 대응되고, 상기 걸림홈은 집진장치 손잡이부의 하단에 구비된 걸림부(미도시)와 대응된다.In addition, the upper case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uide 121 for guid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is coupled, and a locking groove 125 is formed so that the rear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is coupled to the cleaner body. The coupling guide corresponds to a coupling boss (not shown) of the dust collector, and the locking groove corresponds to a locking portion (not shown)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handle of the dust collector.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160)에는 집진장치(200)를 경유한 공기를 모터 챔버(133) 내부로 안내하는 배기유로(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배기유로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집진장치(200)과 연통되는 제1배기구(163)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유로의 타측 끝단은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에 형성된 모터 흡입구(130a)와 연통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case 160 is provided with an exhaust passage (not shown) for guid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or 200 into the motor chamber 133. One end of the exhaust passage is provided with a first exhaust port 163 in communication with the dust collector 200, and the other end of the exhaust passage communicates with a motor inlet 130a formed in the fan-motor assembly.

그리고, 모터 챔버(133)의 측면에는 모터 챔버를 경유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 챔버(140)가 구비된다. 상기 배기 챔버(140)에는 모터 챔버를 경유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재차 걸러주는 배기필터(미도시)가 설치된다. In addition, an exhaust chamber 140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motor chamber is discharged is provided at the side of the motor chamber 133. The exhaust chamber 140 is provided with an exhaust filter (not shown) for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gain befor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motor chamb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배기필터(미도시)는 미세 먼지를 필터링하는 헤파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기필터(미도시)는 필터지지부재(미도시)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지지부재(미도시)는 상기 배기필터(미도시)의 교환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배기 챔버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필터를 경유한 공기는 배기챔버 커버(141)에 형성된 본체 배기구(미도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The exhaust filter (not shown) preferably uses a hepa filter for filtering fine dust. In addition, the exhaust filter (not shown) is installed in a filter support member (not shown), and the filter support member (not shown)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exhaust chamber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the exhaust filter (not shown). Possibly combine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main body exhaust port (not shown) formed in the exhaust chamber cover 141.

또한, 상기 모터 챔버의 후방에는 코드릴(150)이 설치된다. 상기 코드릴(150)은 청소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시켜 주기 위하여 구비되는 연결코드를 감아서 보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코드릴의 중심축은 지면과 수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코드릴의 일측에는 상기 코드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릴버튼(151)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cord reel 15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otor chamber. The cord reel 150 functions to wind and store a connection cord provided to supply power to the cleaner body. In addition, the central axis of the cord reel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one side of the cord reel is provided with a cord reel button 15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rd ree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용기의 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 에 따른 집진장치의 종단면도 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ly,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200)는 대략 원통 형상의 집진용기(220), 상기 집진용기(22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커버(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to 5,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n upper cover 230 detachably coupled wit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do.

여기서, 상기 집진용기(220)의 내부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1차 집진부(213,214)와 2차 집진부(215,216)가 구비되며, 상기 집진용기(220)의 바닥에는 개폐 가능한 하부 패널(210)이 구비된다.Her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is provided with primary dust collecting parts 213 and 214 and secondary dust collecting parts 215 and 216 to separate and collec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a lower panel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210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1차 집진부(213, 214)는 1차 먼지 분리부(214)와 1차 먼지 저장부(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1차 먼지분리부(214)는 집진용기(220)의 내측에 제공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상의 용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2차 집진부는(215, 216) 1차 집진부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1차 집진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2차 먼지 분리부(215)와 2차 먼지 저장부(2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차 먼지 분리부(214)와 상기 2차 먼지 분리부(215)는 싸이클론 방식으로 이물질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imary dust collectors 213 and 214 may include a primary dust separator 214 and a primary dust storage unit 213, and the primary dust separator 214 may include a dust container 220. It consists of a substantially cylindrical container provided inside. In addition, the secondary dust collecting unit (215, 216) is provided around the primary dust collecting unit secondary dust separator 215 and the secondary dust storage unit for separat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rimary dust collecting unit ( 216).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imary dust separator 214 and the secondary dust separator 215 separate foreign matter in a cyclone manner.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1차 먼지 분리부(214)는 하단이 개방된 원통 용기 형상으로서, 집진용기(220)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면서 집진용기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1차 먼지 분리부(214)의 상부 측면에는 청소기 본체의 상부 케이스에 구비되는 제1 흡입구(도 2의 165)와 연통하는 제2 흡입구(214a)가 형성된다.In more detail, the primary dust separator 214 has a cylindrical container shape with an open bottom, and is install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while having the same central axis as the central axis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In addition, a second suction port 214a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uction port 165 of FIG. 2 is formed at the upper side of the primary dust separator 214.

여기서, 상기 제2 흡입구(214a)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상기 1차 먼지 분리부(214)의 접선방향으로 안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흡입구의 일측에는 상기 제2 흡입구(214a)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1차 먼지 분리부(214)의 내벽을 따라 나선 유동을 하도록 하는 가이드 리브(218)가 구비된다.Here, the second suction port 214a guides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primary dust separator 214. More specifically, one side of the second suction port is provided with a guide rib 218 to allow the air flowing into the second suction port 214a to spiral flow along the inner wall of the primary dust separation unit 214. .

그리고, 1차 먼지 분리부(214)를 경유한 공기는 1차 먼지 분리부(214)의 천장 중앙부에 형성된 제2 배기구(214b)를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제2 배기구(214b)에서 배출된 공기는 2차 먼지분리부(215)로 유입된다.Th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rimary dust separator 214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exhaust port 214b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eiling of the primary dust separator 214,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exhaust port 214b.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ary dust separator 215.

2차 먼지분리부(215)는 상기 1차 먼지 분리부(214)의 상부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집진용기(210)의 외벽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2차 먼지 분리부(215)는 상기 집진용기의 바닥면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의 콘부(215c)가 형성되며, 상기 2차 먼지 분리부(215)의 하단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 배출구(215d)가 형성된다.The secondary dust separator 215 is circumferentially arranged a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primary dust separator 214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out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10. The secondary dust separator 215 is formed with a cone-shaped cone portion 215c whose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re disposed 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ary dust separator 215.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215d discharged is formed.

한편, 상기 1차 먼지 분리부(214)의 상부로 돌출된 2차 먼지 분리부(215)의 측면 중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제2 배기구(214b)와 연통하는 제3 흡입구(215a)를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ary dust separation unit 215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rimary dust separation unit 214 is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hird suction port 215a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exhaust port 214b. ).

그리고, 상기 제3 흡입구(215a)는 상기 제2 배기구(214b)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2차 먼지 분리부(215)의 내벽에 접선방향으로 유도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2차 먼지 분리부(215)의 내벽을 따라 나선 유동을 할 수 있도록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third suction port 215a guide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exhaust port 214b to the inner wall of the secondary dust separator 215 in a tangential direction, so that the introduc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ary dust separator. 215 serves to enable spiral flow along the inner wall.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2차 먼지 분리부(215)들은 상호 접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2차 먼지 분리부(215) 사이로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Here, the secondary dust separators 215 adjacent to each other are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air does not flow between the secondary dust separators 215.

그리고, 상기 집진용기(220)는 상기 2차 먼지 분리부(215)들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집진용기 커버(2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집진용기 커버(225)는 상기 제2 배기구(214b)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상기 2차 먼지 분리부(215)로 안내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may further include a dust collecting container cover 225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ary dust separators 215,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over 225 i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exhaust port 214b is guided to the secondary dust separator 215 more smoothly.

상기 집진용기 커버(255)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각 2차 먼지 분리부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제3 배기구(221)들이 형성되어 있다.At the edge of the dust container cover 255, third exhaust ports 221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respective secondary dust separators are discharged are 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1차 먼지 분리부(214)와 2차 먼지 분리부(215)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집진용기(220)의 외벽과 상기 하부 패널(210)에 의해 형성되는 먼지 저장부(213,216)에 저장된 후, 상기 하부 패널(210)가 열리면 중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패널(210)은 집진용기의 측면에 설치된 패널제어장치(260)에 의하여 제어된다.The dust separated by the primary dust separator 214 and the secondary dust separator 215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dust storage unit formed by the out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and the lower panel 210 ( After being stored in 213 and 216, the lower panel 2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gravity when opened. In addition, the lower panel 210 is controlled by a panel control device 260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상기 먼지 저장부는 전술한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3)와 2차 먼지 저장부(216)로 구성되며,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3)는 상기 1차 먼지 분리부(214)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고, 상기 2차 먼지 저장부(216)는 상기 2차 먼지 분리부(215)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한다.The dust storage unit is composed of the above-described primary dust storage unit 213 and the secondary dust storage unit 216,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3 is separated from the primary dust separation unit 214 The dust is stored, and the secondary dust storage unit 216 stores the dust separated from the secondary dust separator 215.

여기서, 1차 먼지 저장부(213)와 2차 먼지 저장부(216)는 상기 2차 먼지 분리부(215)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된 경계벽(212)에 의하여 구획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경계벽(212)의 하단은 상기 1차 먼지 분리부(214)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집진용기(220)의 바닥, 즉 상기 하부 패널(210)의 상면까지 연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경계벽(212)은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3)와 상기 2 차 먼지 저장부(216)가 서로 연통하는 것을 방지한다.Here,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3 and the secondary dust storage unit 216 are partitioned by the boundary wall 21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econdary dust separator 215. More specifically, the lower end of the boundary wall 212 is formed longer than the lower end of the primary dust separation unit 214,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nel 210 Extends. Accordingly, the boundary wall 212 prevents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3 and the secondary dust storage unit 216 from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경계벽(212)은 원주 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1차 먼지 분리부(214)에서 형성된 나선류에 의하여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3)에 저장된 먼지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boundary wall 212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curv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reason is to prevent the dust stored in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3 from being scattered by the spiral flow formed in the primary dust separation unit 214.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진용기의 내부에는 상기 1차 먼지 분리부(214)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기 1차 먼지 분리부(214)의 제2 배기구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통공들이 형성된 유출부(217)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술한 가이드 리브(218)는 상기 제2 흡입구(214a)로 유입되는 공기가 유출부(217)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inside of the primary dust separation unit 214,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exhaust port of the primary dust separation unit 214 An outlet portion 217 having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is provided.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guide rib 218 also serves to prevent the air flowing into the second suction port 214a from directly flowing into the outlet 217.

여기서, 상기 유출부(217)는 상기 1차 먼지 분리부(214)의 중심에 축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밀폐된 형상으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대략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outlet portion 217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primary dust separator 214 in the axial direction, the upper end is open and the lower end is in a closed shape, it is made of a substantially conical shape that the diameter becomes smaller toward the bottom. desirable.

그 이유는, 상기 1차 먼지 분리부(214)의 하방으로 갈수록 나선류의 속도가 감소하므로, 상기 1차 먼지 분리부(214)의 내벽을 따라 하강하는 먼지가 상기 유출부(217)의 흡입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is that the speed of the spiral flow de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primary dust separation unit 214, so that the dust falling along the inner wall of the primary dust separation unit 214 is the suction force of the outlet 217. To be unaffected by

또한, 상기 유출부(217)의 하부에는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3)에서 저장된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재(219)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비산방지부재(219)는 상기 1차 먼지 저장부에 포집된 먼지가 상기 2차 먼지 분리부(215)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let portion 217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cattering preventing member 219 to prevent the dust stored in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3 to scatter. The scattering prevention member 219 functions to prevent the dust collected in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from entering the secondary dust separator 215.

이를 위하여, 상기 비산방지부재(219)는 상기 유출부(217)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비산방지부재(219)의 상면은 하향 경사진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비산방지부재(219)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o this end, the scattering preventing member 219 is preferably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let portion 217 to extend radiall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cattering prevention member 219 is more preferably inclined downward. In more detail, the scattering preventing member 219 has a cone shape in which the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bottom.

그리고, 집진용기의 측벽에는 집진장치가 청소기 본체에 결합될 때 집진장치의 결합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윙(24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윙(240)은 청소기 본체와 집진장치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 윙(240)은 상기 집진장치(20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가이드 윙(241)과 상기 집진장치의 하단부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장치가 결합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 윙(2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the side wall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guide wing 240 for guiding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when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coupled to the cleaner body. In addition, the guide wing 240 serves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space generated between the cleaner body and the dust collector. The guide wing 240 is provided around the bottom of the first guide wing 241 and the dust collecting device protru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or 200 is coupled to guide the direc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or is coupled It comprises a guide wing (243).

상기 제1가이드 윙(241)은 집진장치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돌출길이가 커지고, 상기 제2 가이드 윙(243)은 집진장치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돌출길이가 커진다. 이는 집진장치가 청소기 본체에 결합될 때 청소기 본체에 정확하게 밀착되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first guide wing 241 increases from the top of the dust collector to the bottom thereof, and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second guide wing 243 increases from the front of the dust collector to the rear thereof. This is to ensure that the dust collector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er body when coupled to the cleaner body.

즉, 상기 집진장치(200)가 청소기 본체에 밀착됨으로써 청소기 본체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집진장치(20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dust collector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er body, even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cleaner body, the dust collector 200 is stably maintained without being shaken.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 윙(241)과 상기 청소기 본체(100)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 윙(241)과 제2 가이드 윙(243)은 일체형으로 상기 집진장치의 측벽에 구비된다. 물론, 상기 제1가이드 윙과 제2 가이드 윙은 개별적으로 집진장치의 측벽에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ealing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guide wing 241 and the cleaner body 100 to maintain airtightness. In addition, the first guide wing 241 and the second guide wing 243 are integrally provided on the sidewall of the dust collector. Of course, the first guide wing and the second guide wing may be separately provided on the sidewall of the dust collector.

한편, 집진용기의 측면에는 집진장치(200)를 운반할 수 있는 집진장치 손잡이(250)가 구비된다. 상기 집진장치 손잡이(250)의 하부에는 집진장치를 청소기 본체와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레버(251)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device handle 250 that can carry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0). The low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or handle 250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lever 251 for coupling the dust collector with the cleaner body.

상기 연결레버(251)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굽어진 밴딩부(253a)를 갖는 레버몸체(253)와 상기 레버몸체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부(255)로 구성된다. 상기 벤딩부(253a)는 상기 집진장치 손잡이(250)와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레버몸체(253)는 집진장치 손잡이에 구비된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지지된다.The connecting lever 251 is composed of a lever body 253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and a bent bending portion 253a and a locking portion 255 formed at the end of the lever body. The bending part 253a is hinged to the dust collector handle 250 and the lever body 253 is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not shown) provided in the dust collector handle.

그리고, 상기 레버몸체(253)가 벤딩부(253a)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걸림부(255)는 상하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집진장치(200)를 청소기 본체에 분리 및 결합시킨다.When the lever body 253 rotates around the bending part 253a, the locking part 255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eparate and couple the dust collector 200 to the cleaner body.

또한, 상기 집진용기의 상부에는 상부커버(23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커버(230)에는 집진용기와 연통되는 필터하우징(231)이 구비되며, 상기 필터하우징(231)에는 상기 집진용기(220)를 경유한 공기를 재차 필터링하는 집진필터(231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상부커버(230)에 구비된 제4 배기구(235)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로 유입된다.In addition, the upper cover 2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he upper cover 230 is provided with a filter housing 231 in communication wit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the filter housing 231 is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filter 231a for filtering aga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220.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ng filter is introduced into the cleaner body through the fourth exhaust port 235 provided in the upper cover 230.

상기 상부커버의 양측면에는 상기 집진장치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제1 결합돌기(23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돌기는 청소기 본체에 구비된 결합홈(미도시)에 삽입됨으로써 집진장치와 청소기 본체를 결합시킨다.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33 protrudes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upper cov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or is coupled.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a coupling groove (not shown) provided in the cleaner body to couple the dust collector and the cleaner body.

물론, 제1결합돌기가 청소기 본체의 상부 케이스에 형성되고, 결합홈이 집진장치의 상부커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결합부는 돌기와 홈의 결합이 아니 라 후크형상의 체결도 가능하다.Of course,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upper case of the cleaner body, and the coupl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upper cover of the dust collector. 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may be hook-type fastening, rather than coupling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또한, 집진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는 하부 패널의 저면에는 결합보스(211)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보스(211)는 청소기 본체(100)에 구비되는 결합가이드(121)와 대응된다.In addition, a coupling boss 211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panel forming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the coupling boss 211 corresponds to the coupling guide 121 provided in the cleaner body 100.

상기 결합보스(211)는 청소기 본체에 집진장치가 결합될 때 상기 결합가이드(121)를 따라 이동하면서 집진장치가 청소기 본체에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coupling boss 211 serves to guide the dust collector to be correctly coupled to the cleaner body while moving along the coupling guide 121 when the dust collector is coupled to the cleaner body.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의 일 실시예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1 to 5,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having an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진공 청소기가 동작되면, 흡입 노즐(미도시)과 연결관(미도시)을 통해 외부의 오염공기가 1차 먼지 분리부(214)로 유입된다.First, when the vacuum cleaner is operated, external pollut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primary dust separator 214 through a suction nozzle (not shown) and a connection pipe (not shown).

제2흡입구(214a)를 통하여 상기 1차 먼지 분리부(214)로 유입되는 공기는 가이드 리브(218)에 의해 상기 유출부(217)로 직접 유입되지 않고 상기 상기 1차 먼지분리부(214)의 내벽에 접선 방향으로 안내되어 나선류를 형성하게 된다.Air flowing into the primary dust separator 214 through the second inlet 214a is not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outlet 217 by the guide rib 218, but the primary dust separator 214 It is guided tangentially to the inner wall of the spiral to form a spiral flow.

이에 따라, 무게가 비교적 무겁고 큰 먼지들이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분리되어 하강하면서 상기 1차 먼지저장부(213)에 저장되고, 상기 1차 먼지저장부에 저장되는 먼지는 상기 비산방지부재(219)와 굴곡진 형상의 경계벽(212)에 의해 비산이 방지된다.Accordingly, the dust, which is relatively heavy and large in weight, is separated and descended according to the cyclone principle, and is stored in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213, and the dust stored in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is scattering prevention member 219. And the scattering is prevented by the curved boundary wall 212.

그리고, 비교적 큰 먼지들이 분리된 공기는 상기 유출부(217)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과 연통하는 제2 배기구(214b)로 배출된 후, 다수개의 2차 먼지 분리부(215)로 유입되어 다시 먼지 분리과정을 거친다.In addition, the air from which the relatively large dusts are separated is discharged to the second exhaust port 214b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the side of the outlet 217, and then flows into the plurality of secondary dust separators 215. The dust is separated again.

상기 2차 먼지 분리부(215)에서 비교적 작은 먼지들이 분리된 공기는, 상기 제 3배기구(215b)를 통해 상기 상부커버(230)의 내부로 유입된다.Air from which relatively small dusts are separated from the secondary dust separator 215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cover 230 through the third exhaust mechanism 215b.

상기 상부 커버(230)로 유입된 공기는 집진필터(231a)에서 필터링된 후, 상기 상부커버의 전방에 형성된 제4 배기구(235)를 통해 전방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4 배기구(235)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제1 배기구(163)를 경유하여 청소기 본체의 팬-모터 어셈블리로 흡입되고,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를 경유한 공기는 소정의 유로를 지나 상기 청소기 본체의 측면으로 배출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cover 230 is filtered by the dust collecting filter 231a and then discharged forward through the fourth exhaust port 235 formed in front of the upper cover. The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ourth exhaust port 235 is sucked into the fan-motor assembly of the cleaner body via the first exhaust port 163 of the cleaner body,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an-motor assembly is predetermined. Passed through the flow path to the side of the cleaner body.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본체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모터커버의 저면 사시도이다.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ea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moto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는 공기를 흡입하여 강제 유동시키는 팬-모터 어셈블리(130)가 구비되며,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130)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집진장치(200)와 연통된다. 2, 6, and 7, the cleaner body 100 includes a fan-motor assembly 130 that sucks air and forcibly flows the air, and the fan-motor assembly 130 include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ust collector 200 for separating the.

그리고,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130)의 상부에는 상기 모터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모터커버(131)이 설치되고, 상기 모터커버(131)의 상부에는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를 고정하기 위한 모터 고정부(134)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motor cover 131 is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an-motor assembly 130 to prevent vibration of the motor, and a motor height for fixing the fan-motor assembly is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tor cover 131. The government 134 is installed.

또한, 상기 모터 고정부(134)의 상부에는 상기 모터 고정부와 결합되는 상부 모터커버(175)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모터 고정부(134)는 팬-모터 어셈블리(130) 및 모터커버(131)를 상부 케이스(160)에 일체로 형성된 상부 모터커버(175)와 결합시킴으로써 팬-모터 어셈블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an upper motor cover 175 coupled to the motor fixing part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otor fixing part 134. More specifically, the motor fixing part 134 is coupled to the fan-motor assembly 130 and the motor cover 131 by the upper motor cover 175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case 160 to provide a fan-motor assembly. It plays a role of not being shaken.

한편, 상기 상부 모터커버(175)에는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에 형성된 팬-모터 흡입구(130a)와 연통되는 상부 흡입구(17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모터커버(175)의 내측면에는 집진장치에서 팬-모터 어셈블리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소음을 줄이기 위한 소음방지돌기(177)가 구비되어 있다. 물론, 상기 소음방지돌기(177)는 상부 모터커버(175)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motor cover 175 is formed with an upper inlet 175a communicating with the fan-motor inlet 130a formed in the fan-motor assembly.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motor cover 175 is provided with a noise preventing protrusion 177 for reducing the flow nois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fan-motor assembly from the dust collector. Of course, the noise prevention protrusion 177 also serve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upper motor cover 175.

상기 소음방지돌기(177)는 상부 모터커버(175)의 내측면에서 팬-모터 어셈블리(130)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소음방지돌기(177)는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과 상관없이 랜덤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소음방지돌기(177)는 공기유동의 방향을 따라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The noise preventing protrusion 177 protrudes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upper motor cover 175 toward the fan-motor assembly 130. More specifically, the noise preventing protrusion 177 is formed to protrude randomly regardless of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Of course, the noise prevention protrusion 177 may be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그리고, 상기 소음방지돌기(177)는 상기 상부 흡입구(175a)의 주변에 밀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상부 흡입구(175a)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팬-모터 어셈블리의 모터 흡입구(130a)로 유입되기 전에 유로가 변함으로써 상기 모터 흡입구(130a)의 근처에서 유동소음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소음방지돌기(177)는 상부 모터커버(175)의 내측면에 균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noise preventing protrusion 177 is preferably formed to be concentrated around the upper suction port 175a. This is because the flow noise is increased in the vicinity of the motor inlet 130a by changing the flow path befor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inlet 175a enters the motor inlet 130a of the fan-motor assembly. Of course, the noise prevention protrusion 177 may be uniform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motor cover 175.

또한, 상기 상부 모터커버(175)와 상기 모터 고정부(134)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팬-모터 어셈블리로 유입되는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청소기의 집진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In addition, a sealing member for maintaining airtightness between the upper motor cover 175 and the motor fixing part 134 may be installed. The sealing member prevents leakage of air flowing into the fan-motor assembly, thereby improving dust collecting performance of the cleaner and reducing noise.

한편,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집진장치(200)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130)로 유입되는 공기가 곡선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유로가이드(170)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cleaner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flow path guide 170 to allow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or 200 to the fan-motor assembly 130 to form a curved flow path.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로가이드(170)는 팬-모터 어셈블리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모터커버(175)와 집진장치의 제1 배기구(163)를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유로가이드(170)는 일정한 곡률을 가지면서 부드럽게 휘어지며, 일정한 유로단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 specifically, the flow path guide 170 connects the upper motor cover 175 positioned on the fan-motor assembly and the first exhaust port 163 of the dust collector. In addition, the flow guide 170 is smoothly curved while having a constant curvature, and preferably has a constant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왜냐하면, 공기유로가 꺾임부를 가지거나 공기유로의 단면적이 변하면, 공기가 상기 유로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면서 유동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유동소음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if the air flow path has a bent portion o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flow path changes, the flow resistance increases as the air moves along the flow path guide, and flow noise is generated.

그리고, 상기 유로가이드의 외측 하단부에는 소정형상의 지지리브(171)가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리브(171)는 상부 모터커버(175)에 설치된 댐퍼(173)를 지지하게 된다.In addition, a support rib 171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protrudes outward from an outer lower end of the flow path guide. The support rib 171 supports the damper 173 installed on the upper motor cover 175.

상기 댐퍼(173)는 소정영역에서 공기유로가 막히면,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130)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130)로 공기가 유입되기 전에 공기유로가 막히면, 상기 댐퍼(173)는 상기 청소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팬-모터 어셈블리(130)로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damper 173 serves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fan-motor assembly 130 when an air flow path is blocked in a predetermined region. More specifically, when the air flow path is blocked before the air flows into the fan-motor assembly 130, the damper 173 serves to introduce the air inside the cleaner body into the fan-motor assembly 130. do.

또한,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를 통과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배기챔버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기챔버(미도시) 또는 배기챔버에 구비된 배기필터(미도시)에 의하여 공기유로가 막히는 경우에는 청소기 본체에 구비된 제어(미도 시)가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13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배기챔버 또는 배기필터에 의하여 공기유로가 막혔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상부 모터커버에 구비된 유로센서(174)이다. In additi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an-motor assembly passes through the exhaust chamber before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when the air flow path is blocked by the exhaust chamber (not shown) or the exhaust filter (not shown) provided in the exhaust chamber, the control (not shown) provided in the cleaner body operates the fan-motor assembly 130. To stop. Here, it is the flow path sensor 174 provided in the upper motor cover that determines whether the air flow path is blocked by the exhaust chamber or the exhaust filter.

즉, 상기 유로센서(174)는 팬-모터 어셈블리에서 외부로 배출되기 전의 공기유동이 막히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팬-모터 어셈블리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모터의 부하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flow path sensor 174 detects this when the air flow before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fan-motor assembly is blocked and serves to reduce the load of the motor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fan-motor assembly.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첫째, 팬-모터 어셈블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모터커버에 소음방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집진장치에서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소음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flow nois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fan-motor assembly from the dust collector by forming a noise preventing protrusion on the upper motor cover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an-motor assembly.

둘째, 본 발명의 상부 모터커버에 소정형상의 소음방지돌기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상부 모터커버의 강도가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Seco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ength of the upper motor cover is increased by providing a noise prevention protrusion of a predetermined shape in the upper motor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유입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모터 어셈블리;A fan-motor assembly for forcibly flowing the introduced air;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 고정부;A motor fixing part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an-motor assembly;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에 형성된 모터 흡입구와 연통되는 상부 흡입구를 가지며, 상기 모터 고정부와 결합되는 상부 모터커버;An upper motor cover having an upper su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a motor suction hole formed in the fan-motor assembly, and coupled to the motor fixing part; 상기 상부 모터커버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의 유동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방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청소기.It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motor cover, th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noise preventing projection for reducing the flow noise of the ai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음방지돌기는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과 상관없이 랜덤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The anti-noise protrusion is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randomly irrespective of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소음방지돌기는 상기 상부 흡입구의 주변에 밀집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anti-noise protrusion is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ly formed around the upper suction por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진공청소기는 상기 상부 모터커버와 상기 모터 고정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 기.Th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es a sealing member for maintaining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upper motor cover and the motor fixing portion.
KR1020050038517A 2005-05-09 2005-05-09 Vacuum cleaner KR1005772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517A KR100577277B1 (en) 2005-05-09 2005-05-09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517A KR100577277B1 (en) 2005-05-09 2005-05-09 Vacuu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7277B1 true KR100577277B1 (en) 2006-05-10

Family

ID=37181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517A KR100577277B1 (en) 2005-05-09 2005-05-09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277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830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US7776121B2 (en) Dust collecting unit of vacuum cleaner
JP5174774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120011828A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KR100546622B1 (en) Dust collector for cleaner
KR100546625B1 (en) Dust collector for cleaner
KR100577280B1 (en) Vacuum cleaner
KR100556442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JP5378311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0577277B1 (en) Vacuum cleaner
KR101306695B1 (en) Dust Collecting Device
KR100577276B1 (en) Vacuum cleaner
KR100546627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100628044B1 (en) Vacuum Cleaner
JP5439292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0628089B1 (en) Vacuum cleaner
KR100577275B1 (en) Vacuum cleaner
KR100672474B1 (en) Vacuum Cleaner
KR100640829B1 (en) Vacuum cleaner
KR100651906B1 (en) Vacuum Cleaner
KR100577279B1 (en) Vacuum cleaner
KR100628082B1 (en) Vacuum Cleaner
KR100546624B1 (en) Dust collector for cleaner
KR100628083B1 (en) Vacuum Cleaner
JP5393575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