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443B1 -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56443B1 KR100556443B1 KR1020050000448A KR20050000448A KR100556443B1 KR 100556443 B1 KR100556443 B1 KR 100556443B1 KR 1020050000448 A KR1020050000448 A KR 1020050000448A KR 20050000448 A KR20050000448 A KR 20050000448A KR 100556443 B1 KR100556443 B1 KR 1005564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clone
- dust
- primary
- storage unit
- dust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47L9/1633—Concentric cyclon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 용량이 증가된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그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싸이클론 원리로 분리하는 원통형의 1차 싸이클론(cyclone)부; 상기 1차 싸이클론부의 상부 둘레를 따라 제공되어, 상기 1차 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이물질을 분리하는 원통형의 2차 싸이클론부들; 상기 1차 싸이클론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1차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저장하는 1차 먼지 저장부와, 상기 1차 먼지 저장부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2차 싸이클론부들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저장하는 2차 먼지 저장부를 포함하는 먼지 저장부; 그리고 상기 1차 먼지 저장부와 상기 2차 먼지 저장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2차 싸이클론부들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2차 사이클론부측으로 함몰된 다수개의 홈들이 형성된 경계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collector of a vacuum cleaner having an increased dust collecting capacity.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rical primary cyclone (cyclone) portion to separate the foreign matter cyclone principle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therein; Cylindrical secondary cyclone portions provided along an upper circumference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from foreign matter contained in air discharged from the primary cyclone portion; A primary dust storage unit provided under the primary cyclone unit to stor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primary cyclone unit, and a foreign matter provided around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and separated from the secondary cyclone units A dust storage unit including a secondary dus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ust; In order to form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and the secondary dust storage unit, the secondary cyclone extends downward to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of the dust storage unit, and a plurality of recessed parts of the secondary cyclone por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Provided is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boundary wall in which two grooves are formed.
집진장치, 1차 싸이클론부, 2차 싸이클론부, 먼지 저장부, 경계벽, 하부 패널Dust collector, 1st cyclone part, 2nd cyclone part, Dust storage part, Boundary wall, Lower panel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집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dust collecto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의 실시예의 일 실시예가 장착된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leaner body of a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n embodiment of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청소기 본체와 집진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er body and the dust collecting device of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Figure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의 일 실시예에 구비되는 집진용기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container provided in an embodiment of a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집진용기의 상부에 장착되는 집진용기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ust container cover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ust container of FIG. 5; FIG.
도 7은 집진용기의 바닥을 개폐하는 하부패널이 분리된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를 상기 집진장치의 하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저부 사시도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which the lower pane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devic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0 : 청소기 본체 200 : 집진장치100: cleaner body 200: dust collector
210 : 집진 용기 211 : 하부 패널 210: dust collecting container 211: lower panel
212 : 1차 먼지 저장부 213 : 2차 먼지 저장부212: primary dust storage unit 213: secondary dust storage unit
214 : 1차 싸이클론부 215 : 2차 싸이클론부214: primary cyclone portion 215: secondary cyclone portion
216 : 유출부 217 : 가이드 리브216: outlet portion 217: guide rib
218 : 비산 방지부재 219 : 경계벽 218: shatterproof member 219: boundary wall
220 : 집진용기 커버 230 : 상부 커버220: dust collecting cover 230: upper cov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싸이클론 원리로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collecting a foreign matter on a cyclone principle.
싸이클론 집진장치는 싸이클론 원리를 이용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장치이다. 싸이클론 집진장치는 여러 분야에서 적용되는데 가정용으로는 주로 진공 청소기에 적용되고 있다.The cyclone dust collector is a device that collect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contained in the air by using the cyclone principle. Cyclone dust collectors are applied in various fields, and are mainly applied to vacuum cleaners for home use.
근래에는 집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싸이클론부가 구비된 싸이클론 집진장치가 사용된다. Recently, a cyclone dust collector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cyclone units is used to improve dust collection performance.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종래의 집진장치는, 오염공기를 외부에서 흡입하여 비교적 큰 먼지를 집진하는 1차 싸이클론 집진부(10), 상기 1차 싸이클론부(10)와 연결되며 비교적 작은 먼지를 집진하는 2차 싸이클론 집진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Conventional dust collector is connected to the primary cyclone
여기서, 상기 1차 싸이클론 집진부(10)는 하단이 상기 집진장치의 바닥에 밀착된 원통 형상의 용기로서, 상부 측면에는 이물질이 포함된 오염공기를 접선 방향으로 유입하는 제 1 흡입구(11)가 형성되고, 상단 중앙에는 1차적으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 1 배기구(12)가 형성된다.
Here, the primary cyclone
이에 따라, 상기 1차 싸이클론 집진부(10)의 상부 공간은 원심력에 의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1차 싸이클론부(13)를 형성하고, 상기 1차 싸이클론 집진부(10)의 하부 공간은 원심력에 의하여 분리된 이물질을 저장하는 1차 먼지 저장부(14)를 형성한다.Accordingly, the upper space of the primary
그리고, 상기 제 1 배기구(12)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2차 싸이클론 집진부(20)로 유입되어 2차 먼지 분리과정을 거친 후 상방으로 배출된다.In additio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exhaust port 12 flows into the secondary cyclon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2차 싸이클론 집진부(20)는 상기 1차 싸이클론 집진부(10)의 상부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소형 2차 싸이클론부(21)들과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들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2차 먼지 저장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more detail, the secondary cyclone
여기서, 상기 2차 먼지 저장부(22)는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들의 하측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1차 먼지 저장부(14)와 상기 2차 먼지 저장부(22)는 상기 1차 싸이클론 집진부(10)의 측벽에 의해 구획된다.Here, the secondary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집진장치는, 상기 1차 먼지 저장부(14)의 반경이 상기 1차 싸이클론부(13)의 반경과 동일하므로, 대부분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저장하는 1차 먼지 저장부의 집진 용량이 작아, 상기 집진장치를 자주 비워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dust collector, since the radius of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14 is the same as the radius of the
또한, 상기 1차 먼지 저장부(14)에 저장된 먼지가, 상기 1차 싸이클론부(13)에서 형성되는 나선류에 의해 비산되어 집진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dust stored in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14 is scattered by the spiral flow formed in th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진 용량이 증가된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collector of a vacuum cleaner having an increased dust collecting capacit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싸이클론 원리로 분리하는 원통형의 1차 싸이클론(cyclone)부; 상기 1차 싸이클론부의 상부 둘레를 따라 제공되어, 상기 1차 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이물질을 분리하는 원통형의 2차 싸이클론부들; 상기 1차 싸이클론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1차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저장하는 1차 먼지 저장부와, 상기 1차 먼지 저장부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2차 싸이클론부들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저장하는 2차 먼지 저장부를 포함하는 먼지 저장부; 그리고 상기 1차 먼지 저장부와 상기 2차 먼지 저장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2차 싸이클론부들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2차 먼지 저장부측으로 함몰된 다수개의 홈들이 형성된 경계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lindrical primary cyclone (cyclone) portion for separating the foreign matter cyclone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therein; Cylindrical secondary cyclone portions provided along an upper circumference of the primary cyclone portion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from foreign matter contained in air discharged from the primary cyclone portion; A primary dust storage unit provided under the primary cyclone unit to stor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primary cyclone unit, and a foreign matter provided around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and separated from the secondary cyclone units A dust storage unit including a secondary dus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ust; In order to form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and the secondary dust storage unit, the secondary cyclone extends downward to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of the dust storage unit, and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recessed toward the secondary dust storage unit side. Provided is a dust collector for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boundary wall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therein.
상기 각 2차 싸이클론부의 하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된다.The lower portion of each secondary cyclone portion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in which the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그리고, 상기 각 2차 싸이클론부는, 하단에 형성되는 이물질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each of the secondary cyclone por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formed at the lower end.
상기 경계벽은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곡률부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 곡률부는 상기 이물질 배출구의 소정 길이의 내측 테두리에서 수직하게 하향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소정 길이의 내측 테두리와 동일한 형상의 수직 단면을 가진다. The boundary wall includes a plurality of curvature parts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each curvature part extends downwardly from the inner edge of the predetermined length of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and is perpendicular to the inner edge of the predetermined length. It has a cross section.
상기 경계벽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홈들은; 상기 곡률부들의 사이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곡률부들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곡률부들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외측부들에 의하여 형성된다.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undary wall; In order to block between the curvature portions, the curvature portions are formed by a plurality of outer portions provided between the curvature portions to interconnect the curvature portions.
한편, 상기 1차 싸이클론부는: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흡입구; 상면에 형성되는 제 1 배기구; 그리고 상기 제 1 배기구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 1 배기구와 연통하며,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유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imary cyclone unit: a first suction port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A first exhaust por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first exhaust port is detachably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exhaust port, and includes an outlet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의 일 실시예로서 캐니스터형 진공 청소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referring to FIGS. 2 and 3, a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will be described as an embodiment of a vacuum cleaner having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 청소기는, 청소되는 바닥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미도시), 상기 흡입 노즐과 별개로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100),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과 상기 청소기 본체(100)를 상호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오염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100)로 안내하는 연결관(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2 and 3,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suction nozzle (not shown) for sucking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while moving along the floor to be cleaned, a
여기서, 상기 흡입 노즐의 바닥에는 소정 크기의 노즐 흡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내장된 공기 흡입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흡입력으로 바닥에 쌓인 먼지를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Here, a nozzle suction por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uction nozzle, and the dust accumulated on the floor is sucked together with the air by the air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air suction device built in the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진공 청소기를 제어하는 전장부, 그리고 상기 공기 흡입장치를 구성하는 모터-팬 어셈블리가 내장된다.In addition, the cleaner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단 상부에는 상기 연결관이 연결되는 호스 연결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가 바닥면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12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바닥 전방부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방향 전환을 위해 회전 자재의 캐스터(caster;미도시)가 연결된다.In more detail, the front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방부에는 상기 집진장치(20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집진장치(200)는 상기 흡입노즐에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집진장치(2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the
다음으로, 상기 집진장치(2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소정의 유로와 상기 모터-팬 어셈블리(미도시)를 지나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으로 배출된다.Nex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200)의 일 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집진장치(200)는, 대략 원통 형상의 집진용기(210), 상기 집진용기(210)의 일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집진용기(210)의 상단을 개폐하는 집진용기 커버(220), 그리고 상기 집진용기 커버(220)에 탈착 가능 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집진 장치 손잡이(231)가 구비된 상부 커버(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4 to 7, the
여기서, 상기 집진용기(210)의 내부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1차 집진부와 2차 집진부가 구비되며, 상기 집진용기(210)의 바닥은 개폐 가능한 하부 패널(211)로 구성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1차 집진부는 1차 먼지 분리부와 상기 1차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1차 먼지 저장부(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집진용기(210)의 내측에 제공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상의 용기로 구성된다.The primary dust collecting unit includes a primary dust separating unit and a primary
또한, 상기 2차 집진부는, 상기 1차 집진부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1차 집진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2차 먼지 분리부와 상기 2차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2차 먼지 저장부(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econdary dust collector, the secondary dust separator is provided around the primary dust collector to separat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rimary dust collector to store the dust separated from the secondary dust separator It comprises a secondar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차 먼지 분리부와 상기 2차 먼지 분리부는, 각각 싸이클론 방식으로 이물질을 분리하는 1차 싸이클론부(214)와 다수개의 소형 2차 싸이클론부(215)들로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secondary dust separation unit, each of th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는 하단이 개방된 원통 용기 형상으로서, 상부 측면에는 상기 호스 연결부(110)와 연통하는 제 1 흡입구(214a)가 형성되고,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천장 중앙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 1 배기구(214b)가 형성된다.In more detail, the
여기서, 상기 제 1 흡입구(214a)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상기 1차 싸이클론부의 접선방향으로 안내하여, 상기 제 1 흡입구(214a)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 내벽을 따라 나선 유동을 하도록 구성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상부에는, 상기 집진용기(210)의 외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소형의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들이 상기 1차 싸이클론부의 상부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각 2차 싸이클론부(215)의 상단은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상단보다 소정 높이 더 높게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한편,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상단 위로 돌출된 상기 각 2차 싸이클론부(215)의 측면 중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제 1 배기구(214b)와 연통하는 제 2 흡입구(215a)를 형성하며, 상기 각 2차 싸이클론부(215)의 상단은 개방되어 제 2 배기구(215b)를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each of th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 2 흡입구(215a)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의 내벽을 따라 나선 유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흡입구(215a)는 상기 제 1 배기구(214b)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의 내벽에 접선 방향으로 안내한다.In more detail, the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흡입구(215a)의 바깥 측벽에는 상기 제 1 배기구(214a)를 향하여 연장되는 가이드 베인(215c)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More preferably, guide
한편,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의 하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의 콘부(215d)가 형성되며,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의 하단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되는 이물질 배출구(215e)가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여기서, 인접하는 2차 싸이클론부(215)들은 상호 접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 사이로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Here, the adjacent
그리고,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들의 상부에는 상기 집진용기 커버(220)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상기 집진용기 커버(220)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각 2차 싸이클론부의 제 2 배기구(215b)들에 각각 대응되는 제 3 배기구(221)들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집진용기 커버(220)의 상부에는, 하단이 개방된 상기 상부 커버(23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Next, the
이를 위하여, 상기 집진용기 커버(220)의 외주면에는 세 개의 걸림 돌기(222)들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230)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 돌기(222)들이 삽입되어 걸림되는 세개의 걸림홈(미도시)들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걸림돌기(222)와 걸림홈의 위치와 형상이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o this end, three locking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230)의 후방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부에 형성된 소정의 유로로 공기를 배출하는 제 4 배기구(23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230)의 내측에는 상기 제 4 배기구(232)와 연통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상부 커버(230)의 내측 공간에는, 상기 제 3 배기구(221)들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미도시)를 수용하는 필터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ner space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1차 싸이클론부(214)와 2차 싸이클론부(215)에서 분리 된 먼지는, 상기 집진용기(210)의 외벽과 상기 하부 패널(211)에 의해 형성되는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후, 상기 먼지 저장부(212,213)의 바닥을 형성하는 상기 하부 패널(211)이 열리면 중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dust separated from the
상기 먼지 저장부는 전술한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와 2차 먼지 저장부로 구성되며,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고, 상기 2차 먼지 저장부(213)는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들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한다.The dust storage unit includes the above-described primary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내부에 수직하게 구비되며, 그 측면에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제 1 배출구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통공들이 형성된 유출부(216), 그리고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흡입구(214a)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21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perpendicularly to the inside of the
여기서, 상기 유출부(216)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중심에 축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밀폐된 형상으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대략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그 이유는,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하방으로 갈수록 나선류의 속도가 감소하므로,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내벽을 따라 하강하는 먼지가 상기 유출부(216)의 흡입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is that the speed of the spiral flow de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유출부(216)의 상단은 상기 제 1 배기구(214b)의 테두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유출부(216)의 상단과 상기 제 1 배기구(214b) 사이에 는 기밀성을 유지하는 환형의 씰링(sealing) 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또한, 상기 유출부(216)의 하부에는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에서 저장된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 부재(218)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비산방지 부재(218)는 상기 1차 먼지 저장부에 포집된 먼지가 나선류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이를 위하여, 상기 비산방지 부재(218)는, 상기 유출부(216)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To this end, the
그리고, 싱기 비산방지 부재(218)의 상면은 하향 경사진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비산방지 부재(218)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upper surface of the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 리브(217)는, 상기 제 1 흡입구(214a)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 내벽의 접선 방향으로 안내하여, 상기 제 1 흡입구(214a)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유출부(216)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Next, the
한편,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와 상기 2차 먼지 저장부(213)는, 상기 집진용기(210)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경계벽(219)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계벽(219)은, 상기 집진용기(210)의 외벽보다 반지름이 작고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보다 반지름이 큰 대략 원통 형상으로서, 상기 경계벽(219)은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하향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4 and 7, the primary
그리고, 상기 경계벽(219)의 내주면에는, 반경 방향 다시 말해서 상기 2차 먼지 저장부(213)측으로 함몰된 다수개의 홈(219a)들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원주 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을 가진다.In addi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여기서, 상기 경계벽(219)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각 홈(219a)은, 상기 이물질 배출구(215e)들 사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상기 2차 먼지 저장부(213)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좋다.Here, each of the
그 이유는, 대부분의 이물질과 부피가 큰 이물질이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에서 분리되어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에 저장되므로,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의 먼지 수용 공간이 최대로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The reason is that most foreign matters and bulky foreign matters are separated from th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경계벽(219)은,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곡률부(219b)들과, 상기 다수개의 곡률부(219b)들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외측부(219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more detail, the
여기서, 상기 다스개의 곡률부(219b)들은, 상기 이물질 배출구(215e)의 내측 반원 테두리에서 수직하게 하향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기 이물질 배출구(215e)의 내측 반원 테두리와 동일한 형상의 수직단면을 가진다.Here, the dozens of
그리고, 상기 외측부(219c)들은 상기 곡률부(219b)들의 사이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곡률부(219b)들 사이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부(219c)들은 상기 곡률부(219b)들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상기 경계벽의 홈(219a)들을 형성한다.The
따라서, 상기 경계벽(219)는 전체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을 가진다. Accordingly, the
그리고, 상기 경계벽(219)의 하단은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집진용기(210)의 바닥, 즉 상기 하부 패널(211)의 상면까지 연장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이에 따라, 상기 경계벽(219)은,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와 상기 2차 먼지 저장부(213)가 서로 연통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의 먼지 저장 공간을 넓히게 된다.Accordingly, the
또한, 상기 경계벽(219)은,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에서 형성된 나선류에 의하여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에 저장된 먼지가 나선류에 의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의 일 실시예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having an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기 진공 청소기가 동작되면, 상기 흡입 노즐과 상기 연결관을 통해 외부의 오염공기가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로 유입된다.First, when the vacuum cleaner is operated, external polluted air flows into the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흡입구(214a)와 상기 가이드 리브(217)에 의해 상기 유출부(216)로 직접 유입되지 않고 상기 상기 1차 싸이클론부(214)의 내벽에 접선 방향으로 안내되어 나선류를 형성하게 된다.Air flowing into the
이에 따라, 무게가 비교적 무겁고 큰 먼지들이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분리되어 하강하면서 상기 1차 먼지 저장부(212)에 저장되고, 상기 1차 먼지 저장부 (212)에 저장되는 먼지는 상기 비산방지 부재(218)와 굴곡진 형상의 내주면을 가지는 상기 경계벽(219)에 의해 비산이 방지된다.Accordingly, the dust, which is relatively heavy and large in weight, is separated and lowered by the cyclone principle and stored in the primary
그리고, 비교적 큰 먼지들이 분리된 공기는 상기 유출부(218)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과 연통하는 상기 제 1 배기구(214b)로 배출된 후, 다수개의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로 유입되어 다시 먼지 분리과정을 거친다.In addition, the air from which the relatively large dusts are separated is discharged to the
상기 2차 싸이클론부(215)에서 비교적 작은 먼지들이 분리된 공기는, 상기 제 2배기구(215b)와 상기 제 3 배기구(221)를 통해 상기 상부 커버(230)의 내부로 유입된다.Air from which relatively small dusts are separated from the
상기 상부 커버(23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에서 필터링된 후, 상기 제 4 배기구(232)를 통해 후방으로 배출되고, 상기 제 4 배기구(232)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후방부에 형성된 소정의 유로를 지나 상기 청소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After the air flowing into the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는 캐니스터형식의 진공 청소기 및 직립형 청소기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nstalled and used in the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and upright cleaner.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dust collector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에 의하면, 상기 경계벽의 내주면에 반경방향으로 함몰된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분리된 이물질의 대부분을 저장하는 1차 먼지 저장부의 수용 공간이 최대화되고 집진 성능이 향상된다. According to the dust collector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rooves radially recessed are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undary wall to maximize the receiving space of the primary dust storage unit for storing most of the separated foreign matter and the dust collection performance is improved. Is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에 의하면, 상기 경계벽이 원주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먼지 저장부에 나선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저장된 이물질의 비산을 방지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ust collector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undary wall is formed to be ben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spiral flow in the dust storage unit, thereby preventing the scattering of stored foreign matter.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0448A KR100556443B1 (en) | 2005-01-04 | 2005-01-04 |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EP06100068A EP1679026B1 (en) | 2005-01-04 | 2006-01-04 | Apparatus for collecting dust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0448A KR100556443B1 (en) | 2005-01-04 | 2005-01-04 |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56443B1 true KR100556443B1 (en) | 2006-03-03 |
Family
ID=3717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0448A KR100556443B1 (en) | 2005-01-04 | 2005-01-04 |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56443B1 (en) |
-
2005
- 2005-01-04 KR KR1020050000448A patent/KR10055644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76885B1 (en) |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KR100546629B1 (en) |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KR100964699B1 (en) |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 |
US7326268B2 (en) | Multi cyclone vessel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 |
KR100934668B1 (en) |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 |
KR100930897B1 (en) |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 |
KR102176884B1 (en) |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JP2006320713A (en) | Multi-cyclone dust collector | |
JP2004529682A (en) | Cyclone type separation device | |
KR100556442B1 (en) |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KR100577280B1 (en) | Vacuum cleaner | |
JP4621008B2 (en) | Garbage separator for vacuum cleaner | |
KR100546622B1 (en) | Dust collector for cleaner | |
KR100546625B1 (en) | Dust collector for cleaner | |
KR100546627B1 (en) |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KR100546623B1 (en) | Dust collector for cleaner | |
KR102176887B1 (en) |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KR100556444B1 (en) |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KR100606795B1 (en) | Cyclone Collector | |
KR100546628B1 (en) |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KR100556443B1 (en) |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EP1679026A2 (en) | Apparatus for collecting dust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KR100617093B1 (en) | Dust collector for cleaner | |
KR100546624B1 (en) | Dust collector for cleaner | |
KR100577279B1 (en) | Vacuum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