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442B1 - 반도체의 오버레이 마크 이미지 개선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의 오버레이 마크 이미지 개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442B1
KR100576442B1 KR1020030101119A KR20030101119A KR100576442B1 KR 100576442 B1 KR100576442 B1 KR 100576442B1 KR 1020030101119 A KR1020030101119 A KR 1020030101119A KR 20030101119 A KR20030101119 A KR 20030101119A KR 100576442 B1 KR100576442 B1 KR 100576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lay mark
overlay
oxide film
film
m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1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9165A (ko
Inventor
백정헌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1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6442B1/ko
Publication of KR20050069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9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83Information management; Active and passive control; Testing; Wafer monitoring, e.g. pattern monitoring
    • G03F7/70605Workpiece metrology
    • G03F7/70616Monitoring the printed patterns
    • G03F7/70633Overlay, i.e. relative alignment between patterns printed by separate exposures in different layers, or in the same layer in multiple exposures or st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e.g. registration marks, alignment structures, wafer m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26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for align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의 오버레이 마크 이미지 개선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버레이 마크에 해당되는 부분인 산화막에 반사율이 매우 높은 고반사막(high reflectivity film)을 증착하는 단계와, 산화막내 금속층 상의 패턴 공정 진행 시, 식각되어 없어지지 않도록 블록 처리하는 오버레이 마크 디자인을 적용하는 단계와, 산화막내 금속 박막층 위에 절연층이 형성되고, 절연층위의 패턴 공정 진행 시, 노광하여 광을 조사하는 단계와, 조사된 광은 산화막내 하부에 적용된 고반사막에 의해 모두 반사되면서 금속 배선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오버레이 마크 검출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에러의 결정적인 요인인 마크 변형을 완전히 억제시키고 마크 사이즈의 균일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마크 사이즈의 균일성이 좋게 되어 오버레이 마크의 변형에 의한 계측 오차 및 에러 발생 등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개선된 방법을 통하여 오버레이 계측 시 마크 검출 특성이 좋아지게 되고, 에러 요인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반도체 디바이스의 수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오버레이 마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반사막, 오버레이, 산화막, 레지스트

Description

반도체의 오버레이 마크 이미지 개선방법{METHOD FOR IMPROVING OVERLAY MARK IMAGE IN SEMICONDUCTOR}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오버레이 마크 형성 과정 및 절연층 두께 차이에 의한 포커스 차이 유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서의 오버레이 마크 변형 발생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의 고반사막을 이용한 오버레이 마크 이미지 개선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의 오버레이 마크 이미지 개선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라인먼트(alignment) 계측 시, 절연층 하부의 고반사막(high reflectivity film)을 이용하여 오버레이 마크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반도체 제조 공정 과정에서 웨이퍼를 가공하여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회로를 만들기 위해 패턴 공정을 진행한다.
이러한, 패턴 공정은 크게 패턴 형성 과정, 오버레이 계측 과정, CD(Critical Dimension) 측정의 순서로 진행된다. 이중 오버레이 계측 과정은 디바 이스를 구현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게 검사되어야 하는 항목 중의 하나이다.
즉, 오버레이는 언더 레이어(Under Layer)와 커런트 레이어(Current Layer)와의 오버랩(Overlap) 정도를 의미하며, 오버랩 마진이 넓지 않을 경우, 실제로 디바이스의 성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오버레이 계측 과정은 웨이퍼 노치(Wafer Notch) 정렬, Pre-Alignment, Coarse 기준 Point 확인, Detail 기준 Point 확인, 오버레이 마크(Overlay Mark) 이동 및 검출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이때 Pre-Alignment, Coarse 기준 Point 확인, Detail 기준 Point 확인 등의 순서에서는 가공되는 웨이퍼 내의 특이한 모양, 즉 인식하기 쉬운 모양을 사용하여 인식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 다음 단계인 오버레이 마크 이동 및 검출에서는 상당 기간의 노 아우(know-how)가 결합되어 최적화를 구현하는 프로세스의 특성에 잘 맞게 디자인되어 있는 계측용 마크를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반도체 제조 공정 중, 금속 배선 공정을 진행하게 되면, 배선으로 사용되는 메탈 막질과 절연층으로 사용되는 막질(예로, 산화 실리콘)이 층층 쌓여 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진행되는 공정 과정에서 웨이퍼 내 막질의 균일성(Uniformity)은 점점 더 나빠져 간다. 이때, 웨이퍼 내 막질 공정마다 패턴 공정을 진행하게 되는데, 각각의 막질, 즉 금속 배선공정의 오버랩 정도는 매우 중요한 파라미터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패턴 공정 진행 시, 오버랩 정도를 계측하기 위하여 미리 고안된 오버랩 마크를 사용하게 되는데,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오버레이 마크 형성 과정 및 절연층 두께 차이에 의한 포커스의 차이가 유발하게 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버레이 마크에 해당되는 부분인 산화막(금속층과 절연층 사이(도시되지 않음))(S2)에 특별한 막질을 추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레지스트(S3)를 통해 투과한 빛이 산화막(S2)을 투과한 후, 그 아래의 웨이퍼(S1)에 반사되어 나오는 빛이 다시 산화막(S2)을 통해 나오는 것으로, 패턴 공정을 진행하면, 웨이퍼(S1)내 막질이 불균일하며, 산화막(S2)내 절연층 패턴 공정 특정상 오버 도오스(over-dose)를 사용함에 따라 계측하여야 하는 오버랩 마크의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금속 배선 공정중의 산화막(S2)내 절연층은 매우 두껍고 평탄하지 않으며, 균일성도 매우 좋지 않아 실제 패턴 공정 진행 시,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어 스탠딩 이펙트(Standing effect)에 따른 CD의 차이를 유발시키게 된다. 또한, 평탄하지 않은 절연층에 대하여 패턴 공정 시, 공정 펙터인 포커스 차이를 유발시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레이 마크의 변형(S4)을 가져오게 한다.
따라서, 산화막(S2)내 절연층을 통해 형성시키는 패턴 공정 진행 시, 형성되는 오버레이 마크에 균일한 이미지를 구현시킬 수 없다. 특히 오버레이 계측 시, 불균일한 이미지로 인한 비정상적인 신호를 얻게 되어 정확한 오버랩 정도를 계측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반도체 칩의 수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쳐 오버랩 마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오버레이 정도를 확인하는 단계인 어라인먼트(alignment) 계측 시, 산화막내 절연층 하부의 고반사막(high reflectivity film)을 이용하여 오버레이 마크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반도체의 오버레이 마크 이미지 개선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반도체의 오버레이 마크 이미지 개선방법은 오버레이 마크에 해당되는 부분인 산화막에 반사율이 매우 높은 고반사막(high reflectivity film)을 증착하는 단계와, 산화막내 금속층 상의 패턴 공정 진행 시, 식각(etch)되어 없어지지 않도록 블록 처리하는 오버레이 마크 디자인을 적용하는 단계와, 산화막내 금속 박막층 위에 절연층이 형성되고, 절연층위의 패턴 공정 진행 시, 노광(Exposure)하여 광을 조사하는 단계와, 조사된 광은 산화막내 하부에 적용된 고반사막에 의해 모두 반사되면서 금속 배선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의 고반사막을 이용한 오버레이 마크 이미지 개선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오버레이 마크에 해당되는 부분인 산화막(금속층과 절연층 사이(도시되지 않음))(SS2)에 반사율이 매우 높은 고반사막(high reflectivity film)(SS3)을 증착한 후, 산화막(SS2)내 금속층 상의 패턴 공정 진행 시, 식각이 되어 없어지지 않도록 블록 처리하는 오버레이 마크 디자인을 적용한다.
다음으로, 산화막(SS2)내 금속 박막층 위에 절연층이 형성되고, 절연층위의 패턴 공정 진행 시, 노광(Exposure)하면, 레지스트(SS4)를 통하여 UV가 마스크를 통해 조사된다. 이때, 조사된 UV는 레지스트(SS4)를 투과하게 된다.
레지스트(SS4)를 투과한 UV 빛은 하부에 적용된 고반사막(SS3)의 특성에 의해 모두 반사된다. 여기서, 고반사막이 사용되는 광원에 반사가 매우 높은 광학적인 파라미터 값을 갖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고반사막(SS3)에 의해 조사된 빛이 모두 반사되기 때문에 웨이퍼(SS1)상으로 빛이 도달되지 않아 웨이퍼(SS1)를 통과하는 빛은 하나도 없게 된다. 이로 인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화막(S2)을 통해 통과할 때 발생하는 광 경로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고반사막(SS3)의 두께는 일정한 두께 이상에서는 거의 동일한 광학적인 특성을 가지는 특성이 있으므로, 이에 따른 반사율의 변화 요인을 거의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고반사막(SS3)으로 인하여 금속 배선 공정이 진행되면서, 쌓여가는 동안 평탄하지 않는 절연층 위에 오버레이 마크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절연층의 두께 및 균일성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게 된다. 즉, 일정한 광 경로 차이를 가지게 됨으로써, 절연층의 영향을 적게 받을 뿐 만 아니라 이에 따른 포커스 차이도 감소 하게 되어 오버레이 마크의 균일한 디파인(define)이 가능하게 되며, 마크 변형 발생 또한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어라인먼트(alignment) 계측 시, 산화막내 절연층 하부의 고반사막(high reflectivity film)을 이용하여 오버레이 마크 이미지를 개선함으로써, 오버레이 마크 검출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에러의 결정적인 요인인 마크 변형을 완전히 억제시키고 마크 사이즈의 균일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마크 사이즈의 균일성이 좋게 되어 오버레이 마크의 변형에 의한 계측 오차 및 에러 발생 등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개선된 방법을 통하여 오버레이 계측 시 마크 검출 특성이 좋아지게 되고, 에러 요인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반도체 디바이스의 수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오버레이 마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반도체의 오버레이 마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마크에 해당되는 부분인 산화막에 반사율이 매우 높으며, 광원에 반사가 매우 높은 광학적인 파라미터 값을 갖는 고반사막(high reflectivity film)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막내 금속층 상의 패턴 공정 진행 시, 식각(etch)되어 없어지지 않도록 블록 처리하는 오버레이 마크 디자인을 적용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막내 금속 박막층 위에 절연층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층위의 패턴 공정 진행 시, 노광(Exposure)하여 광을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조사된 광은 상기 산화막내 하부에 적용된 상기 고반사막에 의해 모두 반사되면서 금속 배선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의 오버레이 마크 이미지 개선방법.
  3. 반도체의 오버레이 마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마크에 해당되는 부분인 산화막에 반사율이 매우 높으며, 일정한 두께 이상에서 거의 동일한 광학적인 특성을 갖으며, 반사율의 변화 요인을 거의 가지지 않는 두께의 고반사막(high reflectivity film)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막내 금속층 상의 패턴 공정 진행 시, 식각(etch)되어 없어지지 않도록 블록 처리하는 오버레이 마크 디자인을 적용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막내 금속 박막층 위에 절연층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층위의 패턴 공정 진행 시, 노광(Exposure)하여 광을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조사된 광은 상기 산화막내 하부에 적용된 상기 고반사막에 의해 모두 반사되면서 금속 배선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의 오버레이 마크 이미지 개선방법.
KR1020030101119A 2003-12-31 2003-12-31 반도체의 오버레이 마크 이미지 개선방법 KR100576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119A KR100576442B1 (ko) 2003-12-31 2003-12-31 반도체의 오버레이 마크 이미지 개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119A KR100576442B1 (ko) 2003-12-31 2003-12-31 반도체의 오버레이 마크 이미지 개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9165A KR20050069165A (ko) 2005-07-05
KR100576442B1 true KR100576442B1 (ko) 2006-05-08

Family

ID=3725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119A KR100576442B1 (ko) 2003-12-31 2003-12-31 반도체의 오버레이 마크 이미지 개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6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921B1 (ko) 2016-02-02 2023-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9165A (ko)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21705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420077B1 (en) Contact hole model-based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method
JP2008096973A (ja) リソグラフィプロセスのための計測システムおよび計測方法
KR20090054403A (ko) 얼라인먼트 방법, 노광 방법, 패턴 형성 방법, 및 노광 장치
US5871874A (en) Mask pattern forming method capable of correcting errors by proximity effect and developing process
US11300889B2 (en) Metrology apparatus
KR100576442B1 (ko) 반도체의 오버레이 마크 이미지 개선방법
US6649484B2 (en) Aligning method, exposure apparatus using this aligning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utilizing this exposure apparatus
KR20190124787A (ko) 기판 내의 응력을 결정하는 방법들, 리소그래피 공정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 리소그래피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0801737B1 (ko) 반도체 소자 패턴의 광근접 효과 보정 방법
JP2011507229A (ja) マーカ構造およびマーカ構造を形成する方法
JP3313543B2 (ja) 露光装置用位置合せ装置及び位置合わせ方法
JP3490797B2 (ja) パターンの位置測定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装置
JPH0933213A (ja) 位置誤差計測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2222762A (ja) 半導体露光装置のレチクルのレベル測定方法
US6225134B1 (en) Method of controlling linewidth in photolithography suitable for use in fabricating integrated circuits
KR100615815B1 (ko) 기판 가장자리샷의 디포커스를 방지하는 노광방법
KR100596270B1 (ko) 얼라인 마크 및 얼라인 방법
KR100807520B1 (ko) 노광 장비의 cd 및 오버래이 정밀도 측정 방법
KR100280536B1 (ko) 반도체 포토공정의 오버레이 검사 방법
KR100780761B1 (ko) 마스크 프로세스를 통한 위치 보정 제어 방법
TW202107217A (zh) 度量衡中不可校正之誤差
TW202234173A (zh) 度量衡方法及設備
JP4962419B2 (ja) 半導体装置
JP2022149848A (ja) 計測装置、リソグラフィ装置、および物品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