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154B1 - 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154B1
KR100576154B1 KR1019990032728A KR19990032728A KR100576154B1 KR 100576154 B1 KR100576154 B1 KR 100576154B1 KR 1019990032728 A KR1019990032728 A KR 1019990032728A KR 19990032728 A KR19990032728 A KR 19990032728A KR 100576154 B1 KR100576154 B1 KR 100576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hub
pin
inner width
ree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7284A (ko
Inventor
한문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2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6154B1/ko
Publication of KR20010017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2Constructional details collapsible; with removable parts
    • B65H75/2254Constructional details collapsible; with removable parts with particular joining means for releasably connecting parts
    • B65H75/2272Constructional details collapsible; with removable parts with particular joining means for releasably connecting parts releasably connected by relative rotatable movement of parts, e.g. threaded or bayonet f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테이프나 필름 형태의 유연성 시이트가 허브나 드럼에 감겨지는 릴 어셈블리(Reel assembly)에 관한 것으로서, 유연성 시트가 감겨지는 허브와 그 유연성 시트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릴 한 쌍이 결합되어 형성된 릴 어셈블리에 있어서, 릴 어셈블리는 어느 하나의 릴의 허브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고정 핀이 돌출되어 있고, 그에 대응되는 릴의 허브에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측 끝단부의 내폭이 고정 핀의 직경보다 크고 타측 끝단부의 내폭이 고정 핀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으며 일측 끝단부로부터 타측 끝단부로 가면서 내폭이 점차로 작아지는 고정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 핀이 고정 구멍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제 1릴과 제 2릴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다. 제 1릴과 제 2릴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려주는 방식으로 쉽게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거나 많은 힘이 필요하지 않으며 숙련공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파손품 발생이 크게 감소되어 폐기물량이 감소된다.
릴, 릴 어셈블리, 탈착 릴, 허브, 유연성 시트

Description

릴 어셈블리{Reel assembl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릴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릴 어셈블리에서 체결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릴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릴 어셈블리의 릴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릴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릴 어셈블리의 허브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릴 어셈블리(reel assembly) 20: 제 1릴
21: 제 1허브 22: 제 1안내부
25: 고정 핀 25a: 핀 머리부
25b: 핀 몸통부 30: 제 2릴
31: 제 2허브 32: 제 2안내부
35: 고정 구멍 40: 축 삽입구멍
45: 외주면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테이프나 필름 형태의 유연성 시이트를 보관하기 위하여 허브와 안내부로 구성되는 한 쌍의 릴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릴 어셈블리(Reel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 조립 공정이 완료된 완제품 상태의 반도체 장치는 운반하거나 제품을 출하할 때 여러 개가 한꺼번에 포장 용기에 담겨져서 보관된다. 이는 크기가 작고 외부 충격에 약한 반도체 장치가 운반 및 취급 과정에서 외부의 충격에 의한 손상과 정전기로 인한 전기적 특성의 불량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포장 용기로는 보통 플라스틱 재질의 트레이(tray)나 튜브(tube) 또는 캐리어 테이프(carrier tape)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캐리어 테이프는 원형의 릴 어셈블리에 캐리어 테이프를 감아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포장 속도가 빠르고, 연속적인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트레이나 튜브와 비교하여 반도체 장치의 수납 개수가 많으며, 취급 및 운반이 용이하며, 테이프 정밀도와 수납된 반도체 장치의 위치 정밀도가 좋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캐리어 테이프가 감겨지는 릴 어셈블리를 소개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릴 어셈블리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릴 어셈블리에서 체결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결합 단면도이다.
종래의 릴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크게 제 1릴(120)과 제 2릴(130)로 구성된다. 제 1릴(120)은 제 1허브(121)와 제 1안내부(122)로 구분되고 제 2릴(130)은 제 2허브(131)와 제 2안내부(132)로 구분된다. 각각의 허브(121,131)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잠금부(125)와 제 2잠금부(13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릴(120)과 제 2릴(130)은 제 1잠금부(125)와 제 2잠금부(135)의 체결에 의한 제 1허브(121)와 제 2허브(131)의 결합에 의해 체결된다. 제 1허브(121)와 제 2허브(13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외주면(145)에 유연성 시트가 감겨지게 되며, 제 1안내부(122)와 제 2안내부(132)가 유연성 시트의 감겨짐을 안내하고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릴 어셈블리는 재사용이나 보관상 유리한 점 때문에 제 1릴과 제 2릴로 분리되어 취급된다. 제 1릴과 제 2릴이 결합된 상태로 취급될 경우에 제품이 차지하는 부피가 커서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고 보관 비용도 증가된다. 그러나, 제 1릴과 제 2릴을 분리하여 취급하는 경우에 몇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먼저, 제 1릴과 제 2릴의 결합이 어렵다는 것이다. 제 1릴과 제 2릴의 결합 구조는 기계적 압력을 가하여 제 1릴을 제 2릴을 정합시킨 후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제 1잠금부와 제 2잠금부가 걸리도록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필요한 물리적인 힘을 얻기 위해서는 별도의 치공구를 사용하거나 사람이 직접 많은 힘을 가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릴 어셈블리를 구성하기 위한 제 1릴과 제 2릴의 결합에는 숙련공이 필요하며 작업자가 작업 현장에서 필요할 때마다 별도로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제 1릴과 제 2릴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다. 결합보다도 더 숙련된 기 술이나 물리적인 힘을 요구하기 때문에 재사용을 위하여 주의를 기울여 분리한다 하여도 실제적으로 파손품이 많이 발생하여 폐기물량이 증가되어 폐기 비용이 증가하고 환경 보호 측면에서도 좋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치공구 없이도 릴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 1릴과 제 2릴의 결합과 분리가 숙련도와 무관하게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릴 어셈블리는 유연성 시트가 감겨지는 허브와 상기 유연성 시트의 감겨짐을 안내하고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릴이 각각의 허브가 면 접촉되면서 서로 결합된 릴 어셈블리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릴 중 한 쪽 릴의 허브에는 소정 직경의 핀 몸통부와 그 보다 큰 직경의 핀 머리부를 갖는 고정 핀이 돌출되어 있고, 다른 쪽 릴의 허브에는 일측 끝단부의 내폭이 핀 머리부의 직경보다 크고 타측 끝단부의 내폭이 핀 몸통부 직경보다 작거나 같으며, 일측 끝단부로부터 타측 끝단부로 가면서 내폭이 점차로 작아지는 고정 구멍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핀 몸통부가 고정 구멍의 타측 끝단부에 끼워져 고정되고 핀 머리부가 다른 릴의 허브에 밀착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릴 어셈블리에 있어서, 한 쌍의 릴은 고정 핀과 고정 구멍이 각각 12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릴 어셈블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릴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릴 어셈블리의 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릴 어셈블리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릴 어셈블리의 허브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단, 여기서 고정 핀(25)과 고정 구멍(35)에 대해서는 제 1릴(20)과 제 2릴(30)의 구분없이 동일한 참조번호로 기재하였다.
도 3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릴 어셈블리(10)는 제 1릴(20)과 제 2릴(30)로 구성된다. 제 1릴(20)은 제 1허브(21)와 제 1안내부(22)로 이루어지고, 제 2릴(30)은 제 2허브(31)와 제 2안내부(32)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허브(21,31)는 안내부(22,32)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제 1릴(20)의 제 1허브(21)와 제 2릴(30)의 제 2허브(31)에는 각각 고정 핀(25)이 120°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고정 핀(25)의 사이마다 고정 구멍(35)이 형성되어 120°간격을 이루고 있다. 제 1허브(21)에 형성된 고정 핀(25)은 제 2허브(31)의 고정 구멍(35)에 대응되고 제 2허브(31)에 형성된 고정 핀(25)은 제 1허브(21)의 고정 구멍(35)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고정 핀(25)이 그에 대응되는 고정 구멍(35)의 내폭 B를 갖는 부분에 끼워져 제 1릴(20)과 제 2릴(30)이 결합되어 있다.
고정 핀(25)은 핀 머리부(25a)와 핀 몸통부(25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고정 구멍(35)은 일측 끝단부가 고정 핀(25)의 직경보다는 큰 내폭 A를 가지며 타측 끝단부가 고정 핀(25)의 직경과 같거나 그보다는 작은 내폭 B를 갖도록 형성되며, 고정 구멍(35)은 일측 끝단부에서 타측 끝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로 감소되는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참조번호 40은 축의 삽입을 위한 축 삽입구멍이다.
이와 같은 릴 어셈블리는 각각 120°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고정 핀(25)과 고정 구멍(35)의 결합에 의해 제 1릴(20)과 제 2릴(30)이 결합되어 유연성 시트가 감겨지는 외주면(45)을 형성한다. 각 고정 구멍(35)은 고정 핀(25)의 직경보다 큰 내폭으로부터 점차로 감소되어 직경과 같거나 작은 내폭을 갖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릴(20)과 제 2릴(30)의 결합을 위해서는 먼저 제 1허브(21)와 제 2허브(31)가 면좁촉되는 상태에서 고정 핀(25)을 고정 구멍(35)의 고정 핀(25)의 직경보다 큰 내폭A 부분에 삽입한다. 그리고, 고정 구멍(35)의 폭이 좁아지는 내폭B의 방향으로 고정 핀(25)이 움직이도록 제 1릴(20)과 제 2릴(30)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핀 머리부(25a)에 의해 지지되어 제 1릴(20)과 제 2릴(30)이 분리되지 않는다. 고정 핀(25)은 고정 구멍(35)의 내폭B 부분으로 가면서 고정 구멍(35)에 끼워지게 된다. 이에 의해 제 1릴(20)과 제 2릴(30)이 결합된다.
제 1릴(20)과 제 2릴(30)의 분리를 위해서는 제 1릴(20)과 제 2릴(30)을 고정 핀(25)이 고정 구멍(35)의 폭이 넓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 핀(25)이 내폭B 부분으로 이동된다. 고정 구멍(35)의 내폭B 부분에 고정 핀(25)이 위치하게 되면 제 1릴(20)과 제 2릴(30)을 대향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 1릴(20)과 제 2릴(30)은 분리된다.
본 발명의 릴 어셈블리에서 릴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각의 릴은 고정 핀과 고정 구멍이 120°간격으로 제 1릴과 제 2릴의 양쪽에 모두 형성되어 있어 제 1릴과 제 2릴의 구분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제 1릴과 제 2릴의 어느 한 쪽에 고정 핀을 형성하고 그에 대응되는 릴에 고정 구멍을 형성시켜도 무방하며, 각각의 고정 핀과 고정 구멍의 수와 배치간격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릴 어셈블리에 따르면, 제 1릴과 제 2릴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다. 제 1릴과 제 2릴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려주는 방식으로 쉽게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거나 많은 힘이 필요하지 않으며 숙련공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파손품 발생이 크게 감소되어 폐기물량이 감소된다. 물론 제 1릴과 제 2릴이 독립적으로 취급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이 차지하는 부피가 작아져 넓은 공간이 필요없게 되어 보관비용이 감소된다.

Claims (3)

  1. 유연성 시트가 감겨지는 허브와 상기 유연성 시트의 감겨짐을 안내하고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릴이 각각의 허브가 면 접촉되면서 서로 결합된 릴 어셈블리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릴 중 한 쪽 릴의 허브에는 소정 직경의 핀 몸통부와 그 보다 큰 직경의 핀 머리부를 갖는 고정 핀이 돌출되어 있고, 다른 쪽 릴의 허브에는 일측 끝단부의 내폭이 상기 핀 머리부의 직경보다 크고 타측 끝단부의 내폭이 상기 핀 몸통부 직경보다 작거나 같으며, 일측 끝단부로부터 타측 끝단부로 가면서 내폭이 점차로 작아지는 고정 구멍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 몸통부가 상기 고정 구멍의 타측 끝단부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핀 머리부가 다른 릴의 허브에 밀착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릴은 상기 고정 핀과 상기 고정 구멍이 각각 12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어셈블리.
  3. 삭제
KR1019990032728A 1999-08-10 1999-08-10 릴 어셈블리 KR100576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728A KR100576154B1 (ko) 1999-08-10 1999-08-10 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728A KR100576154B1 (ko) 1999-08-10 1999-08-10 릴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284A KR20010017284A (ko) 2001-03-05
KR100576154B1 true KR100576154B1 (ko) 2006-05-03

Family

ID=1960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728A KR100576154B1 (ko) 1999-08-10 1999-08-10 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61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658B1 (ko) * 2001-11-16 2004-05-10 신철승 단자 띠 권취 릴 구조
KR100787785B1 (ko) * 2006-02-03 2007-12-21 비아이 이엠티 주식회사 단차가 형성된 캐리어 테이프용 권취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7886A (ja) * 1988-08-19 1990-02-27 Nkk Corp 可動電極のサイド短絡防止方法
JP2675389B2 (ja) * 1989-03-14 1997-11-12 三洋電機株式会社 剥ぎ取りリールのカバーテープ固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7886A (ja) * 1988-08-19 1990-02-27 Nkk Corp 可動電極のサイド短絡防止方法
JP2675389B2 (ja) * 1989-03-14 1997-11-12 三洋電機株式会社 剥ぎ取りリールのカバーテープ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284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9845A (en) Unreel reinforcer for dispensing wire
US5165543A (en) Protected optical fiber package
US4058216A (en) Device for packing roll-like articles
SE454981B (sv) Forpackning for upplindningsbara produkter samt sett for dess framstellning
DE69914688D1 (de) Verpackungsbandwickel, Verfahren und Vorrichting zu seiner Herstellung und Verpackungsmaschine mit einer Verpackungsbandwickelspule
KR100576154B1 (ko) 릴 어셈블리
CA1298263C (en) Center-pull fiber packag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ackage
US3642223A (en) Spool
US5377831A (en) Core or tube plug and roll assembly therewith
KR102115099B1 (ko) 팔레트용 적재물 고정 장치
US4540134A (en) Film core with restrainer
KR102127573B1 (ko) 팔레트
US5131538A (en) Fiber optic coil shipping and storage container
JP2001146365A (ja) ボビン用着脱式アタッチメント及びそれを取付けたボビン
JPH11157752A (ja) キャリアテープ用リール
KR102622705B1 (ko) 멀티 테이프 릴
JPH056136Y2 (ko)
US3799470A (en) Long yardage tape core assembly
US20050001087A1 (en) Packaging reel and method
JP2976978B1 (ja) 電子部品収納用リ―ル
JPS59167457A (ja) ロ−ル紙のホルダ−
JPH0416468A (ja) 半導体素子梱包用リール
JP2516609Y2 (ja) インクフィルムロール用サイドホルダ
JPH079874Y2 (ja) テープ巻込用リール
JPH024926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