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990B1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mr 오프셋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mr 오프셋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990B1
KR100574990B1 KR1020040089261A KR20040089261A KR100574990B1 KR 100574990 B1 KR100574990 B1 KR 100574990B1 KR 1020040089261 A KR1020040089261 A KR 1020040089261A KR 20040089261 A KR20040089261 A KR 20040089261A KR 100574990 B1 KR100574990 B1 KR 100574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ffset
burst
head
centerline
target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다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9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59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disks
    • G11B5/59627Aligning for runout, eccentricity or offset compen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12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59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disks
    • G11B5/59683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disks for magnetoresistive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Abstract

본 발명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MR 오프셋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독출 헤드의 폭에 상관없이 정확하게 MR 오프셋을 측정하게 하는 MR 오프셋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헤드와 독출 헤드 사이의 오프셋(MR 오프셋) 검출 방법은 기록 헤드에 의해 MR 오프셋을 검출하고자 하는 목표 트랙의 중심선을 추종하면서 E 버스트를 기록하고, 상기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50% 오프트랙된 위치를 추종하면서 E 버스트의 일부를 지우고 F 버스트를 기록하는 과정; 및 독출 헤드에 의해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E 버스트와 F 버스트 사이의 경계 위치까지의 거리인 제1MR 오프셋(MR offset1)을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MR 오프셋 검출 방법은 EF 버스트의 크기가 최대가 되는 위치를 검출하지 않고 EF 버스트의 크기가 같게 되는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독출 헤드의 폭에 상관없이 MR 오프셋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MR 오프셋 측정 방법{Method for measuring an MR offset of hard disk driv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적응적 리트라이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서로 다른 자기기록헤드를 각각 보이는 것이다.
도 4는 도 3b에 도시된 자기기록헤드에 있어서 디스크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오프셋이 발생하는 것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자기기록헤드의 오프셋 검출 방법을 도식적으로 보이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MR 오프셋 검출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것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MR 오프셋 검출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에 도시된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 된 것들이다.
본 발명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MR 오프셋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독출 헤드의 폭에 상관없이 정확하게 MR 오프셋을 측정하게 하는 MR 오프셋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는 회전하는 디스크들과 결합되는 복수의 자기 헤드들을 포함한다. 헤드는 디스크 표면을 자화시키고 자계를 감지함으로써 정보를 기록하고 독출한다. 디스크를 자화시키기 위한 기록 소자와 디스크의 자계를 감지하기 위한 분리된 독출 소자를 갖는 자기 헤드는 발전되어 왔다. 독출 소자는 전형적으로 자기 저항(magneto-resistive) 재료로 구성된다. 자기 저항 재료는 디스크의 자계에 따라서 저항이 변화되는 특성을 갖는다. 자기 저항 독출 소자를 갖는 헤드를 일반적으로 자기 저항(MR : Magneto-Resistive) 헤드라 칭한다.
각 헤드는 일반적으로 헤드 짐벌 어셈블리(HGA : Head Gimbal Assembly)라 불리는 서브 어셈블리에 만들어진 휘어진 암에 부착되어 있다. 헤드 짐벌 어셈블리는 엑츄에이터 암(Actuator arm)에 부착되어 있다. 엑츄에이터 암은 디스크 표면을 가로질러 헤드를 이동시킬 수 있는 보이스 코일(voice coil) 모터를 갖고 있다.
정보는 전형적으로 각 디스크의 표면을 가로질러 그어진 방사선 트랙에 저장된다. 각 트랙은 전형적으로 세그먼트들로 분할된다.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액츄에이 터 암은 디스크의 다른 트랙으로 헤드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데이터를 정확하게 기록 및 독출하기 위해서는 헤드를 트랙의 중심에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디스크의 각 섹터는 일반적으로 트랙의 중심선에 대해 대향되어 위치하는 다수의 서보 버스트 신호들을 포함한다. 서보 버스트 신호들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들은 통상적으로 트랙의 중심선에 대한 헤드의 위치를 결정하며, 헤드가 트랙 중심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액튜에이터 암을 이동시키는데 이용되는 PES(position error signal)를 발생한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있어서 유도성 기록 헤드 및 자기저항(MR)물질로 구성되는 독출 헤드를 구비하는, 일반적으로 자기저항 헤드라고 일컬어지는 헤드가 사용된다. 기록헤드와 독출 헤드는 트랙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어느 정도 떨어져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어긋나있기도 하다. 기록 헤드와 독출 헤드가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 기록 헤드의 중심과 와 독출 헤드의 중심 사이에는 오프셋이 존재한다. 기록 헤드와 독출 헤드가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어긋나지 않더라도 액튜에이터 암의 위치에 따라 즉, 헤드의 디스크 상의 위치에 따라 기록 헤드의 중심과 독출 헤드의 중심은 서로 어긋나게 된다.
기록 헤드와 독출 헤드 사이에 오프셋이 있다는 것은 기록 헤드에 의해 읽혀진 데이터를 독출 헤드로 읽어냄에 있어서 오프셋만큼 독출 헤드의 위치를 보정해주어야 함을 의미한다. 오프셋이 헤드의 디스크 상의 위치에 따라 다르므로 디스크 상의 위치에 따른 오프셋을 검출 및 저장해두었다가 기록 및 독출 동작시 참조하여 야 한다.
본 발명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있어서 자기 저항 헤드의 오프셋을 정확하게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있어서 기록 헤드와 독출 헤드 사이의 오프셋을 정확하게 검출하는 방법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헤드와 독출 헤드 사이의 오프셋(MR 오프셋) 검출 방법은
기록 헤드에 의해 MR 오프셋을 검출하고자 하는 목표 트랙의 중심선을 추종하면서 E 버스트를 기록하고, 상기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50% 오프트랙된 위치를 추종하면서 E 버스트의 일부를 지우고 F 버스트를 기록하는 과정;
독출 헤드에 의해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E 버스트와 F 버스트 사이의 경계 위치까지의 거리인 제1MR 오프셋(MR offset1)을 검출하는 과정;
기록 헤드에 의해 목표 트랙의 중심선을 추종하면서 E 버스트를 기록하고, 상기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50% 오프트랙된 위치를 추종하면서 E 버스트의 일부를 지우고 F 버스트를 기록하는 과정;
독출 헤드에 의해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E 버스트와 F 버스트 사이의 경계 위치까지의 거리인 제2MR오프셋(MR offset2)을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제1MR오프셋과 제2MR오프셋의 평균에 의해 MR 오프셋을 결정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참조가 상세하게 이루어질 것이며, 여기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신규하지 않거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것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의 구성을 보여준다. 드라이브(10)는 스핀들 모터(14)에 의하여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12)를 포함하고 있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는 디스크 표면(18)에 인접되게 위치한 변환기(16)를 또한 포함하고 있다.
변환기(16)는 각각의 디스크(12)의 자계를 감지하고 자화시킴으로써 회전하는 디스크(12)에서 정보를 읽거나 기록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각각의 변환기(16)는 각각의 디스크 표면(18)과 연관되어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단일의 변환기(16)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 이것은 디스크(12)를 자화시키기 위한 기록용 변환기와 디스크(12)의 자계를 감지하기 위한 분리된 읽기용 변환기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형적으로, 쓰기용 변환기는 공극(gap)을 가지는 자기 회로로 구성되고, 읽기용 변환기는 자기 저항(MR : Magneto-Resistive) 소자로 구성된다. 변환기(16)는 통상적으로 헤드(Head)라 칭해지기도 한다.
변환기(16)는 슬라이더(20)에 통합되어 질 수 있다. 슬라이더(20)는 변환기 (16)와 디스크 표면(18)사이에 공기 베어링(air bearing)을 생성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슬라이더(20)는 헤드 짐벌 어셈블리(22)에 결합되어 있다. 헤드 짐벌 어셈블리(22)는 보이스 코일(26)을 갖는 액튜에이터 암(24)에 부착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26)은 보이스 코일 모터(VCM : Voice Coil Motor 30)를 특정하는 마그네틱 어셈블리(28)에 인접되게 위치하고 있다. 보이스 코일(26)에 공급되는 전류는 베어링 어셈블리(32)에 대하여 액튜에이터 암(24)을 회전시키는 토오크를 발생시킨다. 액튜에이터 암(24)의 회전은 디스크 표면(18)을 가로질러 변환기(16)를 이동시킬 것이다.
정보는 전형적으로 디스크(12) 상의 동심원형 트랙들에 저장된다. 각 트랙(34)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섹터를 포함하고 있다. 각 섹터는 데이터 필드(data field)와 식별 필드(identification field, 서보 필드라고도 함)를 포함하고 있다. 식별 필드는 섹터 및 트랙(실린더)을 식별하는 그레이 코드(Gray code), 변환기(16)가 트랙 중심으로부터 벗어나는 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버스트 신호들로 구성되어 있다. 변환기(16)는 액튜에이터 아암의 운동에 의해 디스크 표면(18)을 가로질러 이동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전기적인 회로를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12), 변환기(16), 프리 앰프(210), 기록/판독 채널(220), 호스트 인터페이스(230), 컨트롤러(240), 메모리(250), 온도 센서(260) 및 보이스 코일 모터(VCM) 구 동부(270)를 구비한다.
위의 프리 앰프(210) 및 기록/판독 채널(220)을 포함하는 회로 구성을 기록/판독 회로라 칭하기로 한다.
메모리(250)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리트라이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리트라이 테이블 및 이전 리트라이 정보들이 저장된다. 이때 메모리(250)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설계한다.
리트라이 테이블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한 파라메터 값들을 저장한다.
우선, 일반적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데이터 읽기(Read) 모드에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12)로부터 변환기(16 ; 일명 헤드라 칭함)에 의하여 감지된 전기적인 신호를 프리 앰프(210)에서 신호 처리에 용이하도록 증폭시킨다. 그리고 나서, 기록/판독 채널(220)에서는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호스트 기기(도면에 미도시)가 판독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부호화시키고, 스트림 데이터로 변환하여 호스트 인터페이스(230)를 통하여 호스트 기기로 전송한다.
반대로 데이터 쓰기(Write) 모드에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호스트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호스트 인터페이스(230)에 내장된 버퍼(도면에 미도시)에 일시 저장시킨 후에,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기록/판독 채널(220)에 의하여 기록 채널에 적합한 바이너리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시킨 후에 프 리 앰프(210)에 의하여 증폭된 기록 전류를 변환기(16)를 통하여 디스크(12)에 기록시킨다.
컨트롤러(240)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 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등이 된다. 컨트롤러(240)는 디스크(12)로부터 읽거나 또는 디스크(12)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하여 기록/판독 채널(220)로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정보는 전형적으로 R/W 채널로부터 호스트 인터페이스 회로(2320)로 전송된다. 호스트 인터페이스 회로(230)는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시스템에 인터페이스하기 위하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허용하는 버퍼 메모리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컨트롤러(240)는 보이스 코일(26)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VCM 구동 회로(270)에 또한 결합되어 있다. 컨트롤러(240)는 VCM의 여기 및 변환기(16)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하여 VCM 구동 회로(270)로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컨트롤러(240)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250)에 결합되어 있다. 메모리 소자(250)는 소프트웨어 루틴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컨트롤러(240)에 의하여 사용되어지는 명령어 및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의 하나로서 한 트랙에서 다른 트랙으로 변환기(16)를 이동시키는 시크 루틴이 있다. 시크 루틴은 변환기(16)를 정확한 트랙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보증하기 위한 서버 제어 루틴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컨트롤러(240)는 온도 검출이 필요한 경우 온도 센서(260)로부터의 검출값을 메모리(250)에 저장된 고차 다항식을 이용하여 실제의 온도에 맞게 근사화 하여 사용한다. 온도 검출이 필요한 대표적인 경우는 리드/라이트 채널 파라메터를 최적화하는 동작이다.
도 3a 및 도 3b는 서로 다른 자기기록헤드를 각각 보이는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것은 기록 헤드의 중심과 독출 헤드의 중심이 다른 경우를 보이는 것이고, 도 3b에 도시된 것은 기록 헤드의 중심과 독출 헤드의 중심이 같은 경우를 보이는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자기기록헤드에 있어서 기록 헤드의 중심과 독출 헤드의 중심 사이에 오프셋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도 3b에 도시된 자기기록헤드에 있어서 디스크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오프셋이 발생하는 것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자기기록헤드는 액튜에이터 암의 작동에 의해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원호상으로 움직인다. 이에 의해 자기기록헤드의 중심선과 디스크 상의 트랙 중심선은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된다. 즉, 스큐(skew) 및 오프셋이 발생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독출 헤드가 트랙 중심선에 맞추어져 있더라도 기록 헤드는 트랙 중심선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것 즉, 오프셋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오프셋의 크기는 액튜에이터 암의 운동 즉, 디스크 상에서의 자기기록헤드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자기기록헤드의 오프셋 검출 방법을 도식적으로 보이는 것이다.
도 5a에 있어서 A, B, C 그리고 D는 PES 신호를 얻기 위한 서보 버스트들이고, E 및 F는 MR 오프셋을 측정하기 위한 서보 버스트들이다. 이들 서보 버스트들은 트랙 방향으로 일정한 순서를 가지고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위상 관계를 가지도록 기록된다.
종래의 오프셋 검출 방법에 의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트랙의 중심선을 추종하면서 기록 헤드로 버스트 신호를 기록하고, 목표 트랙의 중심으로부터 버스트 신호의 크기가 최대가 되는 위치까지의 거리에 의해 MR 오프셋을 검출하였다. 도 5a를 참조하면, 목표 트랙의 중심선은 A와 B 버스트의 경계 위치 즉, 독출 헤드에 의해 읽혀지는 A 버스트의 크기와 B 버스트의 크기가 같아지는 위치이다. 독출 헤드에 읽혀지는 버스트의 크기는 독출 헤드가 스캔하는 면적에 비례한다. 즉, 도 5a에 있어서 독출 헤드의 중심이 A와 B 버스트의 경계 위치(목표 트랙의 중심선)에 위치할 때 독출 헤드에 스캔되는 A 버스트와 B 버스트의 면적이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독출 헤드에 의해 목표 트랙의 중심선을 추종하면서 기록 헤드에 의해 E 및 F 버스트 신호들을 기록하고, 마이크로 조깅(micro jogging) 동작을 수행하면서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출 헤드의 트랙 오프셋을 약간씩 변화시켜가면서 E 및 F 버스트의 크기가 최대가 되는 위치를 탐색한다. E 및 F 버스트의 크기가 최대가 되는 위치가 탐색되면 목표 트랙의 중심으로부터 버스트 신호의 크기가 최대가 되는 위치까지의 거리를 MR 오프셋으로 결정한다.
그렇지만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MR 오프셋 검출 방법에 있어서는 기록된 E 및 F 버스트의 크기가 최대가 되는 위치를 탐색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즉, 도 5b의 좌측에 도시된 파형도에 있어서 E 및 F 버스트의 강도 분포가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영역에 걸쳐서 최대값을 나타낼 때는 어떤 위치를 최적의 위치로 선정하여야 할지 분명하지 않다. 이는 일반적으로 기록 헤드의 폭이 독출 헤드의 폭 보다 크기 때문이다.
MR 오프셋이 정확하게 검출되지 않으면 MR 오프셋을 정확하게 보상하는 것이 어렵게 되고, 또한 읽기 동작에서 비트에러율을 증가시키고 쓰기 동작에서 인접트랙지움이 증가되는 원인이 된다.
한편, 기록 헤드는 인접트랙지움의 정도가 기록 헤드의 위치에 따라서도 달라지는 특성을 보이는데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이러한 특성을 제대로 보상하지 못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MR 오프셋 검출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이는 흐름도이다.
먼저, MR 오프셋 측정 위치 즉, 목표 트랙으로 이동한다.(s602)
테스트 영역을 DC 이레이즈한다.(s604) 여기서, DC 이레이즈(DC erase)는 다른 신호를 기록함에 의해 지우는 것이 아니라 아무런 신호도 기록되지 않은 상태로 지우는 것을 말한다.
E 및 F 버스트를 기록한다.(s606)
구체적으로 목표 트랙의 중심선을 추종하면서 기록 헤드에 의해 E 버스트를 기록하고, F 버스트는 지운다. 그런 후에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50% 오프트랙된 위치를 추종하면서 E 버스트의 일부를 DC 이레이즈하고 F 버스트 신호를 기록한다.
마이크로 조깅하면서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EF 버스트들의 경계 위치 까지의 거리를 검출한다.(s608)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것들이다.
도 6의 s606과정에서는 도 7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목표 트랙의 중심선을 추종하면서 기록 헤드에 의해 E 버스트를 기록하고, F 버스트는 지운다. 도 7a를 참조하면, 목표 트랙의 중심선은 A와 B 버스트의 경계 위치 즉, 독출 헤드에 의해 읽혀지는 A 버스트의 크기와 B 버스트의 크기가 같아지는 위치이다. 그리고 나서 도 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50% 오프트랙된 위치를 추종하면서 E 버스트의 일부를 DC 이레이즈하고 F 버스트 신호를 기록한다. 이때, DC 이레이즈되는 E 버스트의 일부는 기록 헤드에 의해 스캔되는 영역이 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50% 오프트랙된 위치는 C와 D 버스트의 경계 위치 즉, 독출 헤드에 의해 읽혀지는 C 버스트의 크기와 D 버스트의 크기가 같아지는 위치이다.
도 6의 s608과정에서는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E 와 F 버스트들의 경계 위치까지의 거리를 검출하여 MR 오프셋으로 한다. E 와 F 버스트들의 경계 위치는 독출 헤드를 마이크로 조깅시키면서 독출 헤드에 읽혀지는 E 와 F 버스트들의 크기를 비교함에 의해 탐색된다. E 와 F 버스트들의 경계 위치는 독출 헤드에 읽혀지는 E 와 F 버스트들의 크기들이 같은 위치이다.
도 6 및 도 7을 통하여 도시되고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MR 오프셋 검출 방법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E와 F 버스트의 경계 위치를 탐색하므로 MR 오프셋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검출 방법과는 다르게 EF 버스트의 크기가 최대가 되는 위치를 탐색하는 것이 아니라 EF 버스트들의 크기가 같아지는 지점을 탐색하므로 정확하게 MR 오프셋을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독출 헤드의 폭에 상관없이 검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MR 오프셋 검출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흐름도이다.
먼저, MR 오프셋 측정 위치 즉, 목표 트랙으로 이동한다.(s802)
테스트 영역을 DC 이레이즈한다.(s804)
E 및 F 버스트를 기록한다.(s806)
구체적으로 목표 트랙의 중심선을 추종하면서 기록 헤드에 의해 E 버스트를 기록하고, F 버스트는 지운다. 그런 후에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50% 오프트랙된 위치를 추종하면서 E 버스트의 일부를 DC 이레이즈하고 F 버스트 신호를 기록한다.
마이크로 조깅하면서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EF 버스트들의 경계 위치까지의 거리(제1MR 오프셋)를 검출한다.(s808)
테스트 영역을 DC 이레이즈한다.(s810)
E 및 F 버스트를 다시 기록한다.(s812)
이때 s806과정에서와는 다르게 먼저 목표 트랙을 추종하면서 기록 헤드에 의해 E 버스트를 기록하고, F 버스트는 지운다. 그런 후에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50%오프트랙된 위치를 추종하면서 E 버스트의 일부를 DC 이레이즈하고 F 버스 트 신호를 기록한다.
마이크로 조깅하면서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EF 버스트들의 경계 위치까지의 거리(제2MR 오프셋)를 검출한다.(s814)
제1MR 오프셋과 제2MR 오프셋의 평균에 의해 최종적인 MR 오프셋을 결정한다.(s816)
도 8에 도시된 방법은 EF 버스트들의 위상을 바꾸어서 두 번 연속하여 MR 오프셋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들을 평균함에 의해 기록 헤드의 인접트랙지움 특성을 고려하여 MR 오프셋을 측정할 수 있게 한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에 도시된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것들이다.
먼저, 도 9a에서 ①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목표 트랙의 중심선을 추종하면서 기록 헤드에 의해 E 버스트를 기록하고, F 버스트는 지운다.
도 9a에 ②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50% 오프트랙된 위치를 추종하면서 E 버스트의 일부를 DC 이레이즈하고 F 버스트 신호를 기록한다.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E 와 F 버스트들의 경계 위치까지의 거리를 검출하여 제1MR 오프셋(MR offset1)으로 한다.
도 9b에 ③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목표 트랙을 추종하면서 기록 헤드에 의해 E 버스트를 기록하고, F 버스트는 지운다.
도 9b에 ④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50%오프트랙 된 위치를 추종하면서 E 버스트의 일부를 DC 이레이즈하고 F 버스트 신호를 기록한다.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E 와 F 버스트들의 경계 위치까지의 거리를 검출하여 제2MR 오프셋(MR offset2)으로 한다.
제1MR오프셋(MR offset1)과 제2MR오프셋(MR offset2)의 평균을 구하여 최종 MR 오프셋으로 한다.
즉, MR offset = (MR offset1 + MR offset2)/2 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DC 이레이즈되는 E 버스트의 일부분은 기록 헤드의 상측에 의한 것이며, 도 9b를 참조하면 DC 이레이즈되는 E 버스트의 일부분은 기록 헤드의 하측에 의한 것이다. 즉,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방법에 의하면 기록 헤드의 인접트랙지움 특성을 고려한 MR 오프셋을 기록 헤드의 상측 및 하측에 대하여 각각 구하고 이들을 평균함에 의해 기록 헤드의 인접트랙지움 특성을 고려한 MR 오프셋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법, 장치, 시스템 등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연적으로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질 수 있으며 또는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는 정보를 저장 또는 전송할 수 있는 어떠한 매체도 포함한다.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의 예로는 전자 회로, 반도체 메모리 소자, ROM, 플래쉬 메모리, 이레이져블 ROM(EROM : Erasable ROM),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 섬유 매체, 무선 주파수(RF) 망, 등이 있다. 컴퓨터 데이터 신호는 전자 망 채널, 광 섬유, 공기, 전자계, RF 망, 등과 같은 전송 매체 위로 전파될 수 있는 어떠한 신호도 포함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설명된 특정의 실시 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예로서 이해되어 지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본 발명에 기술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도 다양한 다른 변경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보여지거나 기술된 특정의 구성 및 배열로 제한되지 않는 것은 자명하다. 즉, 본 발명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각종 디스크 드라이브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한 사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MR 오프셋 검출 방법은 EF 버스트의 크기가 최대가 되는 위치를 검출하지 않고 EF 버스트의 크기가 같게 되는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독출 헤드의 폭에 상관없이 MR 오프셋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MR 오프셋 검출 방법은 기록 헤드의 인접트랙지움 특성을 고려한 MR 오프셋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기록 헤드와 독출 헤드 사이의 오프셋(MR 오프셋)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록 헤드에 의해 MR 오프셋을 검출하고자 하는 목표 트랙의 중심선을 추종하면서 E 버스트를 기록하고, 상기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50% 오프트랙된 위치를 추종하면서 E 버스트의 일부를 지우고 F 버스트를 기록하는 과정;
    독출 헤드에 의해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E 버스트와 F 버스트 사이의 경계 위치까지의 거리인 제1MR 오프셋(MR offset1)을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MR 오프셋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E 버스트 및 F 버스트를 기록하기 전에 E 및 F 버스트를 DC 이레이즈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MR 오프셋 검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기록 헤드에 의해 목표 트랙의 중심선을 추종하면서 E 버스트를 기록하고, 상기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50% 오프트랙된 위치를 추종하면서 E 버스트의 일부를 지우고 F 버스트를 기록하는 과정;
    독출 헤드에 의해 목표 트랙의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E 버스트와 F 버스트 사이의 경계 위치까지의 거리인 제2MR오프셋(MR offset2)을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제1MR오프셋과 제2MR오프셋의 평균에 의해 MR 오프셋을 결정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MR 오프셋 검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E 버스트 및 F 버스트를 기록하기 전에 E 및 F 버스트를 DC 이레이즈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MR 오프셋 검출 방법.
KR1020040089261A 2004-11-04 2004-11-04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mr 오프셋 측정 방법 KR100574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261A KR100574990B1 (ko) 2004-11-04 2004-11-04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mr 오프셋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261A KR100574990B1 (ko) 2004-11-04 2004-11-04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mr 오프셋 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4990B1 true KR100574990B1 (ko) 2006-05-02

Family

ID=3718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261A KR100574990B1 (ko) 2004-11-04 2004-11-04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mr 오프셋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99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1198B1 (en) Linearity compensation for a position error signal based on repeatable and non-repeatable run out in a disk drive
JP3946186B2 (ja) チャンネル別特性による適応的ディフェクトスキャン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US7203024B2 (en) Method of testing servo burst signals of hard disk drive and recording medium adapted therefor
CN101246696A (zh) 存储装置、存储控制电路和磁头位置偏移测量方法
KR100464440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펙트 처리 방법, 이에 적합한 기록매체 및 디스크 드라이브
US20070014043A1 (en) Method of determining size of error and write control method for hard disc drive, hard disc drive using the write control method, and media storing computer programs for executing the methods
KR100434503B1 (ko) 자기 읽기/쓰기 헤드 트랜스듀서 위치 에러 신호의 원위치선형화
KR100594246B1 (ko) 서보 타이밍 지터 보상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디스크 드라이브
KR100555536B1 (ko)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리트라이 제어 방법 및이를 이용한 디스크 드라이브
KR100688559B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기록 제어 방법 및 이에 적합한하드디스크 드라이브
KR100744113B1 (ko) 데이터 리드 제어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EP13968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riting and inspecting servo information on disc drive
US71234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pendicularly recorded servo pattern
KR100574990B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mr 오프셋 측정 방법
KR100712513B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기록 제어 방법, 그리고 이에적합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및 기록 매체
US7440211B2 (en) Apparatus and/or method of controlling timing of servo pulses and disk drive using the method
KR20060136255A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기록 제어 방법, 그리고 이에적합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및 기록 매체
KR100734267B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mr 오프셋 측정 방법 및 이에적합한 기록 매체
KR100688506B1 (ko) 셀프 서보 기록 방법, 이에 적합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그리고 기록 매체
KR100618873B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온도 검출 방법
KR100640586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진행성 디펙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0594303B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리트라이 제어 방법 및 이에적합한 기록 매체
US73693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offset of disk drive
KR20110114321A (ko) 디펙 섹터 검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