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348B1 - 그리세오풀빈을 생산하는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그리세오풀빈을 생산하는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348B1
KR100574348B1 KR1020040044899A KR20040044899A KR100574348B1 KR 100574348 B1 KR100574348 B1 KR 100574348B1 KR 1020040044899 A KR1020040044899 A KR 1020040044899A KR 20040044899 A KR20040044899 A KR 20040044899A KR 100574348 B1 KR100574348 B1 KR 100574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xylaria
griseofulvin
plant diseases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9800A (ko
Inventor
김진철
조광연
최경자
이선우
장경수
임희경
이향범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44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348B1/ko
Publication of KR20050119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병에 대해 길항적인 활성을 갖는 그리세오풀빈 (griseofulvin) 또는 이의 생산능을 갖는 자일라리아(Xylaria) 속 AH001 균주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제제, 상기 미생물 제제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하는 방법, 상기 그리세오풀빈 또는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dichlorogriseofulvin)을 생산하는 신규한 자일라리아(Xylaria) 속 AH001 균주, 상기 균주로부터 그리세오풀빈 또는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그리세오풀빈 및 이의 생산능을 갖는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는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밀 붉은녹병, 보리 흰가루병, 푸자리움 시들음병, 고추 탄저병 또는 사과나무 점무늬낙엽병과 같은 식물병에 대해 강한 길항작용을 나타내므로 식물병 방제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그리세오풀빈을 생산하는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 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XYLARIA SP. AH001 STRAIN PRODUCING GRISEOFULVIN, FORMULATION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CONTAINING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USING SAME}
도 1은 감자추출물-덱스트로스 한천배지에서 배양된 자일라리아(Xylaria) 속 AH001 균주의 사진이다.
도 2는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의 핵 리보좀 5.8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의 분석을 통한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의 계통발생학적인 계보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자일라리아속 AH001 균주로부터 분리한 그리세오풀빈의 전자충돌 질량스펙트럼 분석결과이다.
도 4는 자일라리아속 AH001 균주로부터 분리한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의 전자충돌 질량스펙트럼 분석결과이다.
도 5는 자일라리아속 AH001 균주로부터 배지에 따른 그리세오풀빈의 생성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식물병에 대해 길항적인 활성을 갖는 그리세오풀빈(griseofulvin) 또는 이의 생산능을 갖는 자일라리아(Xylaria) 속 AH001 균주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제제, 상기 제제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하는 방법, 상기 그리세오풀빈 또는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dichlorogriseofulvin)을 생산하는 신규한 자일라리아(Xylaria) 속 AH001 균주 및 상기 균주로부터 그리세오풀빈 또는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세오풀빈은 곰팡이가 생산하는 대표적인 항균활성을 지닌 항생물질로서 특히 피부병원균에 대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그리세오풀빈은 동물의약 및 식물병에 대하여 효과가 있으며, 식물병 중에는 특히 보트라이티스(Botrytis)속 균이 유발하는 식물병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Yamaguchi, Modern selective fungicides-properties, applications, mechanisms of action, pp.415-429(1995)). 그리세오풀빈은 많은 종의 페니실리움(Penicillium)속 균들에 의하여 생산되며, 곰팡이 균사의 심한 왜화현상(stunting), 과도한 가지 생성(excessive branching), 비정상적인 비대(abnormal swelling) 및 균사의 비틀어짐(twisting of hyphae) 등을 유기한다. 이 항균물질은 많은 균사체 곰팡이의 생장을 억제하나 효모, 방선균 및 난균강(Oomycetes) 등에 속하는 균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세오풀빈은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Lednicer and Mitscher, 1977, The Organic Chemistry of Drug Synthesis, pp. 313-317), 관련된 중간 반응들이 너무 많아 실제로 상업적으로 이용하기에는 경제성이 낮은 관계로, 현재 그리세오풀빈의 상업적 생산은 페니실리움속 균주에 의한 발효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Venkata Dasu and Panda, 1999, Bioprocess Engineering 21:489-495). 그리세오풀빈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균에는 페니실리움 그리세오풀빈(P. griseofulvin), 페니실리움 파튤륨(P. patulum), 페니실리움 유티캐(P. urticae), 페니실리움 나이그리칸스(P. nigricans), 페니실리움 스클레로티게눔(P. sclerotigenum)(Mantle et al., 1984, J. Gen. Microbiol. 130:1293-1298; Yoshihiro et al., 1978, Tennen Yuki Kagobutsu Toronkai Koen Yoshishu 21:152-158), 아스퍼질러스 버시콜로(Aspergillus versicolor)(David and Paul, 1976, Phytochemistry 15:1037-1039) 및 스트렙토마이세스 알보론거스(Streptomyces albolongus)(Terekhova et al., 1992, Antibiotiki I Khimioterapita 37:19-21)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주로 페니실리움속 균의 돌연변이를 통한 다량 생산균주 개발 및 발효공정 개발 등을 통하여 상업적으로 경제성이 있도록 그리세오풀빈을 생산하게 되었다. 따라서 저렴하게 그리세오풀빈을 생산하기 위하여 새로운 균주를 선발하는 것은 상업적으로나 학문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식물 특히 나무로부터 분리한 식물내생곰팡이가 생성하는 신물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 한 균주의 배양액이 각종 식물병원균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이를 동정한 결과 항균물질은 그리세오풀빈으로 밝혀졌으며, 이를 생산하는 균주는 이제까지 그리세오풀빈의 생산 균주로서 보고된 바 없었던 자이라리아(Xylaria) 속 균주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 균주의 배양액이 보트라이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에 의한 잿빛곰팡이병 이외에 다른 식물병인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밀 붉은녹병, 보리 흰가루병, 푸자리움 시들음병, 고추 탄저병 또는 사과나무 점무늬낙엽병 등 여러 가지 식물병에 대해 길항작용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리세오풀빈 또는 이를 생산하는 자일라리아 속 균주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제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리세오풀빈 또는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 생산능을 갖는 자일라리아 속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의 그리세오풀빈, 이의 생산능을 갖는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KCTC 10629BP) 또는 상기 균주로부터 유래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제제를 제공한다.
Figure 112004026136051-pat00001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제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KCTC 10629BP)로부터 그리세오풀빈 또는 하기 화학식 2의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04026136051-pat00002
본 발명에서 분리한 균주는 잣나무 줄기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균주의 형태적 특성, 5.8S rRNA 유전자(ITS1-5.8S-ITS2) 서열 분석결과 자일라리아 속 균주로서 확인되었는 바, 이를 자일라리아 속 AH001으로 명명하고 2004년 5월 10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에 기탁번호 제 KCTC 10629BP호로서 기탁하였다.
본 발명의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는 다음과 같은 형태학적 및 생화학적 특징을 갖는다.
즉,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는 감자추출물-덱스트로스 한천배지(potato dextrose agar) 상에서 노란색의 공중 균사를 많이 생성하며,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배지 뒷면의 색은 갈색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감자한천배지에서 오랫동안 배양할 경우 수직으로 긴 방망이 모양의 자좌(stromata)를 생성한다. 균주의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5.8S rRNA 유전자(ITS1-5.8S-ITS2)의 염기서열(서열번호: 1)을 분석한 결과 진뱅크(GeneBank)에 등록된 자일라리아 코누다메(Xylaria cornu-damae) AF163031과 90%이상의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로부터 그리세오풀빈 및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을 생산할 수 있는데, 균주의 배양에는 감자추출물-덱스트로스 액체배지(potato dextrose broth; PD), 맥아추출물-펩톤-덱스트로스 액체배지(malt extract peptone dextrose broth; MPD), 맥아추출물-효모추출물 액체 배지(malt and yeast extract broth; MY), 글루코스-효모추출물-폴리펩톤 액체배지(YpSs broth; YpSs) 등 곰팡이의 배양을 위해 사용되는 통상의 배지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글루코스-효모추출물-폴리펩톤 배지가 바람직하다. 이들 배지 중 적합한 배지에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를 접종하고 3 내지 21 일,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일간 배양함으로써 다량의 그리세오풀빈 및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 및 이로부터 분리된 그리세오풀빈은 벼 도 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밀 붉은녹병, 보리 흰가루병, 푸자리움 시들음병, 고추 탄저병 또는 사과나무 점무늬낙엽병에 대해 강한 길항작용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는 균주 자체, 또는 균주의 배양액, 추출물 또는 포자 단독으로 담체와 혼합하여 분말, 펠렛, 과립 또는 용액 등으로 제형화하여 식물병 방제용 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담체로는 물, 화이트 카르본, 카올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형화된 제제는 식물이 생장하고 있는 토양 또는 성장 중인 식물 표면에 처리함으로써 식물병에 의한 식물 성장의 억제 및 이로 인한 고사를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는 대상식물에 대해 105 cells/㎖ 내지 1011 cells/㎖, 바람직하게는 106 cells/㎖ 내지 108 cells/㎖의 양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상기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로부터 분리된 그리세오풀빈은 대상식물에 대해 100 ㎍/㎖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250 ㎍/㎖ 내지 500 ㎍/㎖의 양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자일라리아속 AH001 균주의 분리
국내에 자생하고 있는 전나무(Abies holophyiia)로부터 건강한 가지와 줄기 부위를 채집하고, 각각 1 ㎝ 정도의 크기로 자른 다음 96% 에탄올에 1분, 3.25% 차염화나트륨(NaOCl)에 3분간 침지시킨 후 다시 96% 에탄올로 30초간 표면 살균하였다. 1차 표면 살균한 시료를 다시 알코올 램프를 이용하여 화염 살균한 다음 시료를 50 ㎎/ℓ 클로람페니콜(입수처: 미국 시그마사)이 첨가된 옥수수가루-맥아추출물-효모추출물 한천배지(cornmeal malt extract agar medium: 17.0 g 옥수수가루, 20.0 g 맥아추출물, 2.0 g 효모추출물, 1.0 ℓ증류수)에 치상하고, 25℃ 항온조건 하에서 균 분리를 실시하였다. 분리한 균들은 다시 감자한천배지(potato dextrose agar; 입수처: 미국 벡톤과 디킨슨사) 상에서 단 균사 분리를 실시하여 총 9개의 곰팡이를 분리하였다, 이들 균주의 장기 보관을 위하여 감자한천배지에서 7일간 배양한 균주의 선단부를 떼어내고 멸균 증류수에 넣은 다음 실온에 보관하거나, 또한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DMSO) 용액에 넣은 다음 -70℃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2: 분리한 균주들의 생체내( in vivo ) 항균활성 조사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된 9개 균주들의 6가지 식물병에 대한 방제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액체배양을 실시하였다. 멸균한 200 ㎖ 감자추출물-덱스트로스 액체배지(potato dextrose broth(PDB), 입수처: 미국 벡톤과 디킨슨사)에 감자추출물-덱스트로스 한천배지에서 배양된 균주의 선단부위를 코르크 절단기(cork borer, 지름 8 ㎜)로 떼어낸 다음 조각 4개씩을 접종하여 25℃, 150 rpm으로 10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10,000×g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한 후 30 ㎖의 상층액에 트윈 20을 250 ㎍/㎖수준으로 첨가한 시료를 샘플로서 사용하였다 .
항균활성이 있는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밀 붉은녹병 및 보리 흰가루병의 식물병에 대하여 상기 9개 균주 배양 시료의 생체내 항균활성을 검정하였다. 벼(Oryza sativa), 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 보리(Hordeum sativum) 및 밀(Triticum aestivum)을 지름 4.5 ㎝ 플라스틱 폿트에 원예용 상토 또는 수도용 상토를 70% 정도 담고 온실(25±5℃)에서 1주에서 3주정도 키웠다.
벼 도열병은 2엽기 유묘에 벼 도열병균(Magnaporthe grisea; 입수처: 한국화학연구원) 포자현탁액 (5×105 포자/㎖)을 분무하여 접종한 후 25℃ 습실상에서 하루 동안 발병을 유도한 다음, 25℃ 항온실에서 5일간 두었다. 벼 잎집무늬마름병은 3엽기 유묘에 벼 잎집무늬마름병균(Thanatephorus cucumeris; 입수처: 한국화학연구원)이 7일 동안 배양된 배지(밀기울 90 g, 왕겨 15 g, 증류수 100 ㎖)를 접종하고 25℃ 습실상에서 4일간 처리한 다음, 25℃ 항온실에서 4일간 배양하였다. 토마토 역병은 2엽기 토마토 유묘에 토마토 역병균(Phytophthora infestans; 입수처: 강릉대학교)의 유주자낭 현탁액(105 유주자낭/㎖)에서 나출된 유주자 현탁액을 분무접종한 후 20℃ 습실상에서 발병을 유도하였다.
한편, 토마토 잿빛곰팡이병은 토마토 2엽기 유묘에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입수처: 한국화학연구원) 포자 현탁액(106 포자/㎖)을 처리한 후에 습실상 에서 발병시켰다. 밀 붉은녹병은 1엽기 유묘에 활물 기생균인 녹병균(Puccinia recondita; 입수처: 한국화학연구원)의 포자를 트윈 20 용액(250 ㎍/㎖)에 0.67 g 포자/ℓ 수준으로 현탁한 후 포자현탁액을 분무처리하여 하루동안 20℃ 습실상에서 발병을 유도한 후 항온실로 옮겨 배양하였다. 마지막으로 보리 흰가루병은 보리 유묘 1엽기에 숙주식물에서 계대 배양된 보리 흰가루병균(Blumeria graminis f. sp. hordei; 입수처: 한국화학연구원) 포자를 접종하고 20℃ 항온실에서 발병시켰다. 대조군으로는 1%의 DMSO를 혼합하고 있는 트윈 20 용액(250 ㎍/㎖) 30 ㎖을 사용하였다.
벼 도열병, 밀 붉은녹병 및 보리 흰가루병은 7일 후에, 벼 잎집무늬마름병은 8일 후에, 그리고 토마토 잿빛곰팡이병과 토마토 역병은 각각 3일과 4일 후에 병반면적율을 조사하였다. 분리한 9개의 균주들 중에서 AH001이라 명명한 균주가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식물병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 마름병 토마토 잿빛 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밀 붉은녹병 보리 흰가루병
방제가(%) 99 90 97 10 99 96
방제가(%) = (무처리 대조군 발병도 - 처리군 발병도) ÷무처리 대조군 발병도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는 6가지 식물병 중에서 토마토 역병을 제외한 나머지 5가지 식물병인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밀 붉은녹병 및 보리 흰가루병에 대하여 높은 방제활성 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의 동정
실시예 1에서 분리한 9가지 균주 중 AH001 균주의 동정은 여러 가지 형태적 특징 조사 및 5.8S rRNA 유전자(ITS1-5.8S-ITS2)의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1) 배양적 및 형태적 특징
감자한천배지에서 배양된 AH001 균주는 노란색의 균사를 가지며(도 1) 배지 뒷면의 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갈색으로 변하였다. 배양시간이 지난 후 균체 위에서 수직으로 긴 방망이 모양의 자좌(stromata)가 생성되었다.
(2) 5.8S rRNA 유전자(ITS1-5.8S-ITS2) 염기서열 분석
균주의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AH001 균주를 셀로판지가 깔린 감자한천배지 위에 접종하여 25℃에서 4일간 배양한 후 균사체로부터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DNA로부터 ITS4와 5'-프라이머(White et al., 1990,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 pp.315-322)를 이용하여 핵의 리보솜 DNA(nuclear rDNA)의 ITS1-5.8S-ITS2를 증폭한 후 순도를 점검한 다음 ABI3700 자동 DNA 염기서열 분석기(ABI3700 automated DNA sequencer, 입수처: 미국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사)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ITS1-5.8S-ITS2의 염기서열(서열번호: 1) 분 석 결과 진뱅크(GeneBank)의 자일라리아 코누다메(Xylaria cornu-damae) AF163031과 90%이상의 유사성을 보여 자일라리아속 균주로 동정되었다. 도 2는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의 핵리보좀 ITS1-5.8S-ITS2 염기서열의 분석을 통한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의 계통발생학적인 계보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동정된 자일라리아 속 균주 AH001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에 2004년 5월 10일자로 기탁번호 제 KCTC 10629BP호로 기탁하였다.
실시예 4: 항균물질의 분리 및 정제
14 ℓ 감자즙액배지에 감자한천배지에서 자라고 있는 균주의 선단부위를 코르크 절단기(지름 8 ㎜)로 떼어낸 다음 감자즙액배지 200 ㎖당 4개씩 접종하고 25℃, 150 rpm에서 10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10,000×g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한 후 상층액만을 취하여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한 다음 4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물층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상기 6가지 식물병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로부터 활성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10 ㎖을 용매[클로로포름:메탄올, 95:5 (v:v)]로 평형화된 실리카겔(70∼230 메쉬, 200 g; 입수처: 독일 머크사)이 충진된 컬럼(3.6×60 ㎝)을 이용하여 TLC(용매: 클로로포름:메탄올 용매(95:5, 9:1 및 10:1, v:v))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세 개의 분획 F1, F2 및 F3을 얻었으며, 이 분획을 500 ㎍/㎖ 농도로 생체내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F2(600 mg) 분획에서 활성을 보였다. F2 분획의 물질이 단일 물질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TLC(20×20 ㎝, 두께 0.25 ㎜, Kiesel gel 60 F254; 입수처: 머크사)에 분석시료를 점적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클로로포름:메탄올(9:1, v:v) 용매를 이용하여 TLC 분석을 수행한 경우에는 단일물질로서 나타나는 한편, 헥산: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60:40:1, v:v:v) 용매 비율로 하여 TLC 분석을 수행한 경우에는 2 가지 물질로 나타났다. 따라서, F2(600 ㎎) 분획을 분취용 TLC 플레이트(20×20 ㎝, 두께 0.5 ㎜, Kiesel gel 60 F254; 입수처: 머크사) 및 헥산: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50:50:2, v:v:v) 용매를 이용하여 두 가지 물질을 순수 분리하였다. 그 결과, 비극성 물질과 극성 물질이 각각 40 ㎎과 350 ㎎씩 순수하게 분리되었다.
실시예 5: 그리세오풀빈 및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의 구조 결정
상기 실시예 4에서 분리 정제된 두 활성물질을 질량분석기(JEOL JMS-DX303; 입수처:일본전자사)를 이용하여 질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물질의 분자량은 각각 352 Da(분자식 C17H17ClO6) 및 318 Da(분자식 C17H18O 6)로서 나타났으며, 이들을 전자 충돌 질량분석법(electron impact-Mass spectroscopy: EI-MS)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각각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또한, 두 가지의 활성물질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하여 각 20 mg을 완전 건조하여 0.5 ㎖의 CDCl3에 녹인 후 5 mm NMR 튜브에 넣고 NMR 분석(Bruker-AMX 500(500 MHz))을 수행하였으며, 1H-NMR은 500 MHz로, 13C-NMR은 125 MHz로 측정하였다. 1 H-13C COSY 스펙트럼을 통하여 탄소와 수소를 연결시키고, 1H-1H COSY 스펙트럼을 통하여 탄소골격을 연결시킨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두 가지 물질은 각각 그리세오풀빈과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으로 결정되었으며, 두 물질의 구조식은 각각 화학식 1 및 2와 같다.
Figure 112004026136051-pat00003
화학식 1
Figure 112004026136051-pat00004
화학식 2
Figure 112004026136051-pat00005
실시예 6: 그리세오풀빈 및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의 시험관내( in vitro ) 항균활성 검증
상기 실시예 5에서 확인된 그리세오풀빈 및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의 식물병에 대한 시험관내 항균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두 항균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고체배지 상에서 벼 도열병균(Magnaporthe grisea; 입수처: 한국화학연구원), 푸자리움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입수처: 한국화학연구원), 고추 역병균(Phytophthora capsici; 입수처: 충남대학교), 고추 탄저병균(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입수처: 한국화학연구원), 토마토 역병균(Phytophthora infestans; 입수처: 강릉대학교), 사과 점무늬낙엽병균(Alternaria mali; 입수처: (주)경농),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입수처: 한국화학연구원) 및 벼 잎집무늬마름병균(Corticium sasaki; 입수처: 한국화학연구원)의 8가지 식물병원균의 균사생육 정도를 조사하였다. 토마토 역병균과 고추 역병균은 V-8 쥬스한천배지를 이용하였고, 나머지 6가지 식물병원균은 감자한천배지를 이용하였다. 각각의 항균 배지를 멸균한 후 굳기 전에 DMSO에 용해한 항균물질을 배지에 가하여 물질을 최종농도가 200, 66.7, 22.2, 7.4, 2.5 및 0.82 ㎍/㎖이 되도록 하였다. 무처리군에는 DMSO 1%를 첨가하였다. 배지 한 가운데에 각 균의 균사조각을 치상한 후 토마토 역병균과 토마토 잿빛곰팡이병균은 20℃에서 배양하였고, 나머지 균들은 25℃에서 배양하였다. 2일 내지 6일 동안 배양 후 균사 생육 길이를 측정하여 50% 균사 생육억제 농도를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식물병원균 50% 균사 생육농도(㎍/㎖)
그리세오풀빈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
벼 도열병균 1.7 >200
푸자리움 시들음병균 30 >200
고추 역병균 >200 >200
토마토 역병균 >200 >200
고추 탄저병균 1.7 >200
사과나무 점무늬낙엽병균 18 >200
토마토 잿빛곰팡이병균 5.0 >200
벼 잎집무늬마름병 11 >200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그리세오풀빈은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보다 전반적으로 항균활성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세오풀빈의 경우 토마토 역병균이 나 고추 역병균과 같이 난균강(Oomycetes)에 속하는 식물병원진균들에는 항균활성이 거의 없는 반면에 다른 진균에 대해서는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특히 탄저병균(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과 벼 도열병균(Magnaporthe grisea)에 대해서는 50% 균사생육억제농도가 1.7 ㎍/㎖이었으며,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에 대해서는 5.0 ㎍/㎖로 나타났다.
실시예 7: 그리세오풀빈 및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의 생체내( in vivo ) 항균활성
그리세오풀빈 및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의 식물병에 대한 항균활성을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관찰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26136051-pat00006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을 150 ㎍/㎖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하여 70%, 보리 흰가루병에 대하여 93%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저농도인 50 ㎍/㎖의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 처리 구에서는 50% 이하의 대체로 낮은 활성을 보였다. 한편, 그리세오풀빈은 150 ㎍/㎖로 처리하였을 경우 토마토 역병을 제외한 모든 식물병에 대해 60%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낮은 농도(50 ㎍/㎖)로 처리한 경우에도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벼 도열병, 밀 붉은녹병, 보리 흰가루병 및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해서는 매우 높은 활성을 보였다.
실시예 8: 배지 및 배양기간에 따른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의 활성물질 생성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가 생성하는 두 가지 항균물질의 최대 생성조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배지의 종류와 배양기간을 달리하여 생산량을 조사하였다. 배지로는 감자즙액배지, 맥아추출물-펩톤-덱스트로스배지(MPD; 20 g 맥아추출물, 20 g 덱스트로스, 1 g 펩톤, 1.0 ℓ 증류수), 맥아와 효모추출물배지(MY; 3 g 맥아추출물, 0.5 g KH2PO4, 2 g 효모추출물, 0.5 g MgSO4·7H2O, 1.0 ℓ 증류수) 및 글루코스-효모추출물-폴리펩톤배지 (YpSs; 20 g 글루코스, 2 g 효모추출물, 5 g 폴리펩톤, 0.5 g MgSO4, 1 g KH2PO4, 1.0 ℓ증류수)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배지 200 ㎖을 500 ㎖ 삼각플라스크에 넣은 다음 멸균 후 감자한천배지에서 배양된 균주의 선단부위를 코르크 절단기(지름 8 ㎜)로 떼어내어 조각 4개씩을 접종하였다. 25℃, 150 rpm에서 진탕 배양하면서 3일, 6일, 9일, 12일, 15일, 18일 및 21일째의 배양 액 2 ㎖씩을 각 바이알에 옮겼다. 동량의 에틸에테르로 2회 추출하고 질소가스로 건조시킨 후 0.5 ㎖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재용해한 다음 가스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er; 입수처: 일본 시마쯔사)를 이용하여 선택적 이온 모니토링(selected ion monitoring, SIM) 모드로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컬럼은 Hicap CBP20-M25-025 모세관컬럼을 이용하였고, 주입기 온도와 인터페이스 온도는 각각 280℃ 및 250℃로 조절하였다. 컬럼온도는 초기 200℃에서 15분간 지속하다가 분당 8℃로 온도를 올린 후 최종온도 280℃에서 15분간 지속하였다. 그리세오풀빈의 목적 이온(target ion)은 m/z 352으로 하였으며,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의 목적 이온은 m/z 318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사용된 4가지 배지 중 YpSs 배지에서 가장 많은 양의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과 그리세오풀빈이 생성되었다. 도 5는 그리세오풀빈의 4가지 배지에서의 배양시간에 따른 생성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배양 15일째에 최대의 생성량(800 ㎍/㎖)을 나타내었다. 배양 6일째부터 생성하기 시작하여 9일째 되는 날은 급격히 많은 양의 대사산물이 생성됨을 알 수 있다. 한편, MPD 배지 및 감자즙액배지에서도 소량의 활성물질이 생산되었는데, 이들 배지에서는 YpSs 배지와는 달리 배양 기간이 21일을 경과하여도 생성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도 이와 매우 유사한 양상으로 생성되었으며, YpSs배지에서 배양 15일째에 최대의 생성량(579 ㎍/㎖)을 나타내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그리세오풀빈 및 이의 생산능을 갖는 자일라리아속 AH001 균주는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밀 붉은녹병, 보리 흰가루병, 푸자리움 시들음병, 고추 탄저병 또는 사과나무 점무늬낙엽병과 같은 식물병에 대해 강한 길항작용을 나타내므로 이를 식물병 방제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9)

  1. 그리세오풀빈, 이의 생산능을 갖는 자일라리아속 AH001 (KCTC 10629BP) 균주 또는 이 균주로부터 유래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세오풀빈이 자일라리아 (Xylaria) 속 AH001 (KCTC 10629BP) 균주로부터 생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로부터 유래된 물질이 균주의 배양액, 추출물 또는 포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식물병이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밀 붉은녹병, 보리 흰가루병, 푸자리움 시들음병, 고추 탄저병 또는 사과나무 점무늬낙엽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제를 이용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식물병이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밀 붉은녹병, 보리 흰가루병, 푸자리움 시들음병, 고추 탄저병 또는 사과나무 점무늬낙엽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그리세오풀빈 또는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 생산능을 갖는 자일라리아(Xylaria) 속 AH001(KCTC 10629BP) 균주.
  8. 자일라리아(Xylaria) 속 AH001(KCTC 10629BP) 균주를 배양하는 것을 포함하는 그리세오풀빈 또는 디클로로그리세오풀빈의 생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를 감자추출물-덱스트로스 액체배지(potato dextrose broth; PD), 맥아추출물-펩톤-덱스트로스 액체배지(malt extract peptone dextrose broth; MPD), 맥아추출물-효모추출물 액체 배지(malt and yeast extract broth; MY) 또는 글루코스-효모추출물-폴리펩톤 액체배지(YpSs broth; YpSs)에서 3 내지 21 일 동안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44899A 2004-06-17 2004-06-17 그리세오풀빈을 생산하는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 KR100574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899A KR100574348B1 (ko) 2004-06-17 2004-06-17 그리세오풀빈을 생산하는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899A KR100574348B1 (ko) 2004-06-17 2004-06-17 그리세오풀빈을 생산하는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800A KR20050119800A (ko) 2005-12-22
KR100574348B1 true KR100574348B1 (ko) 2006-04-27

Family

ID=37292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899A KR100574348B1 (ko) 2004-06-17 2004-06-17 그리세오풀빈을 생산하는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3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2822A1 (ko) 2016-09-29 2018-04-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뿌리혹선충에 대해 살선충활성을 가지는 자일라리아 그람미카 el 000614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00127347A (ko) * 2019-05-02 2020-11-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자일라리아 그람미카 균주로부터 그람미신의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한 최적 배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539B1 (ko) * 2007-11-20 2009-10-2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항균활성을 갖는 폴리프로피오네이트 화합물
KR101877932B1 (ko) * 2016-09-29 2018-07-1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그람미신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131411B1 (ko) * 2020-04-09 2020-07-09 한국화학연구원 파라보에레미아 아디안티콜라 sfc20150402-m24 균주로부터 분리된 불큘산을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CN115433683B (zh) * 2022-08-17 2024-02-27 刘雪峰 一株多型炭角菌TJJs-7及其应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2822A1 (ko) 2016-09-29 2018-04-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뿌리혹선충에 대해 살선충활성을 가지는 자일라리아 그람미카 el 000614 균주 및 이의 용도
US10980242B2 (en) 2016-09-29 2021-04-20 Industry Found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Xylaria grammica EL 000614 strain having nematicidal activity against root knot nematode and uses thereof
KR20200127347A (ko) * 2019-05-02 2020-11-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자일라리아 그람미카 균주로부터 그람미신의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한 최적 배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243620B1 (ko) 2019-05-02 2021-04-2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자일라리아 그람미카 균주로부터 그람미신의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한 최적 배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800A (ko) 200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aujo et al. Phytohormones and antibiotics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and their effects on seed pathogenic fungi and on soybean root development
You et al. Multiple criteria-based screening of Trichoderma isolates for biological control of Botrytis cinerea on tomato
PARK et al. Griseofulvin from Xylaria sp. strain F0010, an endophytic fungus of Abies holophylla and its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Halecker et al. Fungal endophytes for biocontrol of ash dieback: The antagonistic potential of Hypoxylon rubiginosum
Han et al. Biological control agent of common scab disease by antagonistic strain Bacillus sp. sunhua
Zhang et al.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road‐spectrum antipathogen activity of novel rhizobacterial isolates and suppression of Fusarium crown and root rot disease of tomato
Khaledi et al. Identification, virulence factors characterization, pathogenicity and aggressiveness analysis of Fusarium spp., causing wheat head blight in Iran
Tsavkelova et al. Production of gibberellic acids by an orchid-associated Fusarium proliferatum strain
Mohammadipour et al. Molecular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Iranian surfactin-producing Bacillus subtilis isolates and evaluation of their biocontrol potential against Aspergillus flavus and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Nguyen et al. Mycotoxin production of Alternaria strains isolated from Korean barley grains determined by LC-MS/MS
Yue et al. The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the biological control fungi Chaetomium spp. against wheat common root rot
Hamayun et al. Gibberellin production by pure cultures of a new strain of Aspergillus fumigatus
Cosoveanu et al. Endophytic fungi from grapevine cultivars in Canary Islands and their activity against phytopatogenic fungi
Zhang et al. Dinactin from a new producer, Streptomyces badius gz-8, and its antifungal activity against the rubber anthracnose fungus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bdel-Aziz et al. Ethyl acetate extract of Streptomyces spp. isolated from Egyptian soil for management of Fusarium oxysporum: The causing agent of wilt disease of tomato
George et al. Plant growth promoting endophytic yeast Geotrichum candidum (JX 477426) from roots of Bruguiera cylindrica.
De Britto et al. Trehalose: A mycogenic cell wall elicitor elicit resistance against leaf spot disease of broccoli and acts as a plant growth regulator
Jiang et al.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Aspergillus activity against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and analysis of antimicrobial components
KR100574348B1 (ko) 그리세오풀빈을 생산하는 자일라리아 속 ah001 균주,이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
Rieger et al. Caripyrin, a new inhibitor of infection-related morphogenesis in the rice blast fungus Magnaporthe oryzae
Tedsree et al. Antifungal activity of endophytic Streptomyces strains from Dendrobium orchids and the secondary metabolites of strain DR7-3 with its genome analysis
Strzelczyk et al. The influence of pH and temperature on ethylene production by mycorrhizal fungi of pine
Shavkiev et al. Some volatile metabolites produced by the antifungal-Trichoderma Asperellum UZ-A4 micromycete
Shanmugam et al. Developmental stages and secondary compound biosynthesis of mycobiont and whole thallus cultures of Buellia subsororioides
WO2010115802A1 (en) New actinomycetes strain compositions and their use for the prevention and/or the control of micro organism inducing plant dise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