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070B1 -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 Google Patents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070B1
KR100574070B1 KR1020040064711A KR20040064711A KR100574070B1 KR 100574070 B1 KR100574070 B1 KR 100574070B1 KR 1020040064711 A KR1020040064711 A KR 1020040064711A KR 20040064711 A KR20040064711 A KR 20040064711A KR 100574070 B1 KR100574070 B1 KR 100574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needle
retaining
needle hub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6311A (ko
Inventor
밍 쳉 슈이
필립 쉬
밍 밍 후앙
Original Assignee
밍 쳉 슈이
밍 밍 후앙
필립 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 쳉 슈이, 밍 밍 후앙, 필립 쉬 filed Critical 밍 쳉 슈이
Priority to KR1020040064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070B1/ko
Publication of KR20060016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배럴(2)의 배럴 내측 벽면(221)에 삽입되고 그에 대해 축 방향으로 활주 가능한 바늘 허브(3)를 포함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가 제공된다. 바늘 허브(3)는 바늘형 캐뉼라(5)를 유지시키고, 바늘형 캐뉼라(5)로 하여금 배럴(2) 전방으로 돌출하여 사용 대기 상태가 되게 한다. 카테터 조립체(4)가 배럴(2)의 전방 소구경 벽 부분(228) 상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고, 바늘형 캐뉼라(5)의 첨단부(52)로 하여금 조립체(4)의 환형 카테터(43) 전방으로 돌출할 수 있게 한다. 해제 가능 보유 부재가, 후방 대구경 벽 부분(229)에 형성된 보유 구멍(231)과, 상기 구멍(231) 내에 결합 가능한 반경 방향 연장 결합용 페그(33)를 포함한다. 페그(33) 상에 장착된 액추에이터(34)를 작동시키면, 구멍(231)으로부터 페그(33)가 분리되어, 바늘형 캐뉼라(5)를 배럴(2) 내부로 끌어들이기 위한 바늘 허브(3)의 축 방향 운동이 허용된다.

Description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INTRAVENOUS CATHETER INTRODUCING DEVICE}
본 발명은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전한 처리를 위해 배럴 내로 후퇴될 수 있는 바늘형 캐뉼라를 가지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미국 특허 제 5,989,220 호에 개시되어 있는 자가 후퇴식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기는 전방 부분(111)과 후방 부분(112)을 갖는 후퇴체(11)가 봉입된 배럴(10)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부분(111)은 바늘형 캐뉼라(12)를 운반하고, 또 배럴(10) 전방의 개구부를 통과해 연장되며, 상기 후방 부분(112)은 배럴(10) 내에 장착되어 있다. 전방 부분(111)은 결합면(111a)을 가지는데, 이것은 카테터 허브(13)의 대응 결합면(131)과 마찰 결합함으로써, 후퇴체(11)의 후방 후퇴를 방지한다. 편향 스프링(15)이 배럴(10) 전방의 레지(101)와, 후퇴체(11)의 스프링 좌대(113)에 대해 압축되어 있다. 사용시에는, 가요성 카테터(14)를 통과해 돌출된 바늘형 캐뉼라(12)가, 정맥에 유체를 주사할 목적으로 정맥 내로 카테터(14)를 삽입하기 위해, 환자의 정맥에 삽입된다. 그 후, 카테터 허브(13)를 잡은 채 배럴(10)을 강제로 당겨 후퇴체(11)로부터 카테터 허브(13)가 분리된다. 즉, 결합면(111a)이 풀려 카테터 허브(13)가 후퇴체(11)의 전방 부분(111)으로부터 분리되고, 후퇴체(11)는 편향 스프링(15)에 의해 즉시 그리고 자동적으로 배럴(10) 내로 강제 이송되며, 이에 의해 사용 후 바늘형 캐뉼라(12)가 뒤로 끌려온다. 그러나, 카테터 허브(13)가 후퇴체(11)로부터 분리되자마자 바늘형 캐뉼러(12)가 끌려오기 때문에, 끌려오는 작용의 수동 제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은 바늘형 캐뉼라(12) 후퇴가 발생할 수 있고, 이것은 배럴(10) 놓침과 같은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된 바늘형 캐뉼라를 한 손으로 수거하기가 쉽고 안전한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는 배럴, 바늘형 캐뉼라, 바늘 허브, 해제 가능 보유 부재, 액추에이터 및 카테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배럴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 그리고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호 연결시키는 배럴 둘레 벽을 갖는다. 배럴 둘레 벽은 전방 소구경 벽 부분과 후방 대구경 벽 부분을 구비하는데, 이들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전방 개방 단부와 후방 개방 단부에 각각 인접해 있다. 배럴 둘레 벽은 배럴 내측 벽면과 배럴 외측 벽면을 가진다. 배럴 내측 벽면은 길이 방향 축을 둘러싸고,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와 연통된 통로를 형성한다. 배럴 외측 벽면은 상기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럴 내측 벽면과 대향한다.
바늘형 캐뉼라는 첨단부에서 종결하는 전방부와, 상기 축을 따라 전방부와 대향하는 후방 결합 단부를 갖는다.
바늘 허브는 상기 축을 따라 서로 대향 배치된 전방 유지부 및 후방 쉘부를 포함한다. 후방 쉘부는 후방 개방 단부로부터 상기 통로 내로 삽입되며, 전방 개방 단부 및 후방 개방 단부에 각각 인접하는 전방 및 후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축을 따라 배럴 둘레 벽에 대해 활주 가능하다. 전방 유지부는, 후방 쉘부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는, 전방부가 전방 개방 단부 전방으로 돌출하여 사용 대기 상태가 된 사용 위치에 바늘형 캐뉼라가 배치되도록 바늘형 캐뉼라의 후방 결합 단부를 유지시키며, 또한 후방 쉘부가 후방 위치에 있을 때는, 전방부가 통로 내로 후퇴한 회수 위치에 바늘형 캐뉼라가 배치되도록 바늘형 캐뉼라의 후방 결합 단부를 유지시킨다. 후방 쉘부는 상기 축을 둘러싸고, 바늘형 캐뉼라와 유체 연통된 역류 챔버를 규정한다.
해제 가능 보유 부재는, 바늘 허브의 후방 쉘부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 배럴에 대한 바늘의 축 방향 운동을 구속하도록 배치되며, 보유 구멍과 결합용 페그를 포함한다. 보유 구멍은 대구경 벽 부분의 배럴 외측 벽면에 형성되고, 배럴 내측 벽면을 관통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결합용 페그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어 있고, 대구경 벽 부분과 후방 쉘 부분 사이의 상호 결합을 형성하도록 보유 구멍 내에 결합 가능한데, 이로써 바늘 허브의 후방 쉘 부분의 전방 위치에서의 운동이 구속된다.
액추에이터는 외부 조작될 수 있으며, 바늘 허브의 후방 위치로의 축 방향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결합용 페그의 보유 구멍으로부터의 결합 해제를 가능하게 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카테터 조립체는 카테터 허브와 관형 카테터를 포함한다. 카테터 허브는 슬리브 부분과 첨단 부분을 포함한다. 슬리브 부분은 바늘 허브의 전방 유지부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축을 따라 덕트를 규정한다. 첨단 부분은 축을 따라 슬리브 부분과 대향하며, 관통 구멍을 규정한다. 이 관통 구멍은 상기 축을 따라 덕트와 연통하는데, 이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전방부가 돌출할 수 있다. 관형 카테터는 기단부와 말단부를 갖는다. 기단부는 상기 관통 구멍 내로 삽입되며, 상기 축을 따라 연장되어 덕트와 유체 연통한다. 말단부는, 바늘형 캐뉼라가 사용 위치에 배치될 때 첨단부가 말단부 전방으로 돌출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바늘형 캐뉼라의 전방부를 둘러싸 수용하기 위해, 첨단 부분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축을 따라 기단부로부터 연장된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에서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는 동일 부품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밝히는 바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배럴(2), 바늘 허브(3), 바늘형 캐뉼라(5) 및 카테터 조립체(4)를 포함한다.
배럴(2)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224, 223)와,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224, 223) 사이에 개재되어 상호 연결시키는 배럴 둘레 벽(22)을 포함한다. 배럴 둘레 벽(22)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고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224, 223)에 각각 인접한 전방 소구경 벽 부분(228)과 후방 대구경 벽 부분(229)을 포함한다. 배럴 둘레 벽(22)은 배럴 내측 벽면(221)과 배럴 외측 벽면(222)을 포함한다. 배럴 내측 벽면(221)은 길이 방향 축을 둘러싸서 통로(21)를 규정하는데, 이 통로(21)는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224, 223)와 연통되어 있다. 배럴 외측 벽면(222)은 상기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럴 내측 벽면(221)과 대향한다.
해제 가능 보유 부재가 보유 구멍(231)을 포함한다. 이 보유 구멍(231)은 대구경 벽 부분(229)의 배럴 외측 벽면(222)에 형성되고, 배럴 내측 벽면(221)을 관통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후방 대구경 벽 부분(229)은 길다란 안내로(23)를 가진다. 이 안내로(23)는 배럴 외측 벽면(222)으로부터 연장되어 반경 방향으로 배럴 내측 벽면(221)을 관통하고, 보유 구멍(231)으로부터 길이 방향 후방으로 연장되어 후방 보유 단부(232)에서 종결한다. 이 길다란 안내로(23)는, 보유 구멍(231)의 바로 뒤와 후방 보유 단부(232)의 바로 앞에 각각 형성된 전방 및 후방 수축 영역(24, 25)을 갖는다.
바늘형 캐뉼라(5)는, 첨단부(52)에서 종결하는 전방부(51)와, 상기 축을 따라 전방부(51)와 대향하는 후방 결합 단부(53)를 갖는다. 바늘 허브(3)는 후방 개방 단부(223)로부터 상기 통로 내로 삽입되는데, 이 후방 개방 단부(223)는 폐쇄용 캡(26)에 의해 폐쇄되고, 전방 개방 단부(224)와 후방 개방 단부(223)에 각각 인접하는 전방 및 후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축을 따라 배럴 둘레 벽(22)에 대해 활주 가능하다. 바늘 허브(3)는 상기 축을 따라 서로 대향 배치된 전방 유지부(31)를 포함한다. 전방 유지부(31)는, 바늘 허브(3)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 바늘형 캐뉼라(5)가 사용 위치에 배치되도록, 그리고 바늘 허브(3)가 후방 위치에 있을 때 바늘형 캐뉼라(5)가 회수 위치에 배치되도록, 바늘형 캐뉼라(5)의 후방 결합 단부(53)를 유지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위치에서는 바늘형 캐뉼라(5)가 전방 개방 단부(224) 전방으로 돌출하여 사용 대기 상태가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 위치에서는 바늘형 캐뉼라(5)가 통로(21) 내로 후퇴한다. 바늘 허브(3)는, 상기 축을 따라 전방 유지부(31)와 대향하고 대구경 벽 부분(229)에서 통로(21) 내에 수납되는 후방 쉘부(32)를 더 포함한다. 후방 쉘부(32)는 상기 축을 둘러싸 역류 챔버(36)를 규정하는데, 이것은 바늘형 캐뉼라(5)와 유체 연통한다. 2개의 통기 가능 부재(37)가 후방 쉘부(32)와 결합하여 역류 챔버(36)의 경계를 형성하는데, 이들은 유체에 의해 밀려나는 공기를 통과시키도록 다공성 필터 재료로 제조되어, 혈액의 빠른 역류 유동을 제한한다. 추가로, 바늘 허브(3)는 중간부(38)를 갖는데, 이 중간부(38)는 바늘형 캐뉼라(5)를 역류 챔버와 연통시키도록 전방 유지부(31)와 후방 쉘부(32)를 상호 연결시키며, 자신을 통해 혈액 유동을 관찰할 수 있도록 투광성을 갖는다.
해제 가능 보유 부재는 결합용 페그(33)를 더 포함한다. 결합용 페그(33)는 후방 쉘부(32) 상에 배치되고 그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럴 외측 벽면(222)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이동 단부(shifted end)에서 종결한다. 결합용 페그(33)는, 바늘 허브(3)가 전방 위치로부터 후방 위치까지 활주할 때 보유 구멍(231)으로부터 후방 보유 단부(232)까지, 길다란 안내로(23)를 따라 활주 가능하다. 즉, 결합용 페그(33)는, 대구경 벽 부분(229)과 후방 쉘부(32) 사이의 상호 결합을 형성하도록, 보유 구멍(231) 또는 후방 보유 단부(232) 내에 결합 가능하다. 바늘 허브(3)가 전방 또는 후방 위치에 배치될 때, 배럴(2)에 대한 바늘 허브(3)의 축 방향 운동은 전방 및 후방 수축 영역(24, 25) 중의 대응하는 하나에 의해 구속된다. 결합용 페그(33)가 전방 및 후방 수축 영역(24, 25) 중의 하나를 통과하도록 강제되고 나면, 결합용 페그(33)의 운동은 보유 구멍(231)과 후방 보유 단부(232) 중의 대응하는 하나에서의 스냅 끼워맞춤을 통해 구속되며, 이로써 바늘 허브(3)가 전방 및 후방 위치 중의 대응하는 하나에 배치된다. 대구경 벽 부분(229)은, 후방 보유 단부(232)로부터 후방 개방 단부(223)까지 연장된 분할부(split)(27)를 더 갖는데, 이는 길다란 안내로(23)에 반경 방향을 따라 향상된 가요성을 부여함으로써, 전방 및 후방 수축 영역(24, 25)을 통과하는 결합용 페그(33)의 강제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또 분할부(27)를 통해 결합용 페그(33)의 길다란 안내로(23) 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확대형 액추에이터(34)가 결합용 페그(33)의 이동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유지용 구멍(231)으로부터 결합 해제되도록 배럴 외측 벽면(222)에 대해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그 외부에 배치되는데, 이로써 바늘 허브(3)가 길다란 안내로(23)를 따라 후방 위치까지 축 방향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바늘 조립체(4)는 카테터 허브(41), 가요성 관형 카테터(43) 및 첨단 보호구(45)를 포함한다.
카테터 허브(41)는 슬리브 부분(411)과 첨단 부분(413)을 포함한다. 슬리브 부분(411)은 배럴(2)의 소구경 벽 부분(228) 상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축을 따라 덕트(412)를 규정한다. 첨단 부분(413)은 상기 축을 따라 슬리브 부분(411)과 대향하며, 관통 구멍(414)을 규정한다. 이 관통 구멍(414)은 상기 축을 따라 덕트(412)와 연통하는데, 이 관통 구멍(414)을 통과하여 바늘형 캐뉼라(5)의 전방부(51)가 돌출할 수 있다.
관형 카테터(43)는 기단부(431)와 말단부(432)를 갖는다. 기단부(431)는 관통 구멍(414) 내로 삽입되며, 상기 축을 따라 연장되어 덕트(412)와 유체 연통한다. 말단부(432)는, 바늘형 캐뉼라(5)가 사용 위치에 배치될 때 첨단부(52)가 말단부(432) 전방으로 돌출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바늘형 캐뉼라(5)의 전방부(51)를 둘러싸 수용하기 위해, 카테터 허브(41)의 첨단 부분(413)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축을 따라 기단부(431)로부터 연장된다.
사용시에는, 첨단 보호구(45)가 제거된 후에, 바늘형 캐뉼라(5)의 첨단부(52)가 환자의 정맥 내로 삽입됨으로써, 관형 카테터(43)가 정맥에 삽입된다. 역류 챔버(36) 내로 흐르는 혈액은 바늘 허브(3)의 중간부(38)를 통해 관찰 가능하며, 따라서 사용자는 바늘형 캐뉼라(5)가 정맥 내로 적절히 삽입되었는지 검사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어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 카테터 허브(41)를 잡고 다른 손으로 배럴 둘레 벽(22)을 잡아끌어, 배럴(2)로부터 카테터 허브(41)를 분리할 수 있다. 동시에, 배럴 둘레 벽(22)을 잡은 손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액추에이터(34)를 작동시켜 바늘 허브(3)를 후방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로써 바늘형 캐뉼라(5)가 회수 위치에 배치된다. 회수 위치에서는 전방부(51)가 전방 개방 단부(224) 후방 내측으로 후퇴하여 있어, 안전한 회수가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중에, 사용자는 한 손으로 배럴(2)을 잡고 그 손의 손가락으로 액추에이터(34)를 작동시킴으로써, 사용된 바늘형 캐뉼라(5)를 통로(21) 내로 뽑아내기 위해 바늘 허브(3)를 후방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작업이 제어되어 작업 수행이 편리하다. 또한, 뜻하지 않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는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와 구조면에서 유사하게 도시되어 있다. 차이점은, 해제 가능 보유 부재가 대구경 벽 부분(229)에 형성된 2개의 보유 구멍(231)을 포함한다는 것과, 액추에이터가 레버로서 형성된 2개의 방아쇠 부재(6)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각각의 방아쇠 부재(6)는 받침점(63)에서 배럴 외측 벽면(222) 상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무게단(61)과 동력단(62)을 포함한다. 무게단(61)은 결합용 페그(33)와 일체로 형성된다. 동력단(62)은 받침점(63)을 기준으로 무게단(61)의 반대쪽에 배치되는데, 이것을 작동시키면 결합용 페그(33)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럴(2) 내의 통로(21)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므로 바늘 허브(3)가 해제된다.
또한, 대구경 벽 부분(229)의 배럴 내측 벽면(221)은, 소구경 벽 부분(228)에 인접하게 형성된 리브를 구비한 쇼울더(227)를 갖는다. 바늘 허브(3)의 후방 쉘부(32)는 환형 후방 플랜지(323)를 갖는데, 이것은 길이 방향으로 쇼울더(227)와 대면함으로써, 그 사이 및 후방 쉘부(32) 외측에 편향 부재 수납 공간을 규정한다. 코일 스프링(7)과 같은 편향 부재가 편향 부재 수납 공간 내에 수납되는데, 이 코일 스프링(7)은, 바늘 허브(3)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 바늘 허브(3)에 의해 코일 스프링(7)이 압축되도록 쇼울더(227)의 리브와 플랜지(323)에 대해 각각 접촉하는 전방 및 후방 스프링단을 포함하다. 코일 스프링(7)이 제공되기 때문에, 동력단(62)이 동시에 손가락에 눌려 결합용 페그(33)를 반경 방향으로 후퇴시키면, 바늘 허브(3)가 후방 위치까지 이동되어 바늘형 캐뉼라(5)를 회수 위치로 옮긴다. 이에 의해, 바늘형 캐뉼라(5)의 후퇴 중에 바늘형 캐뉼라(5)의 흔들림이 방지되므로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액추에이터는 2개의 방아쇠 부재(6)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바늘 허브(3)를 보유 및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는 하나의 방아쇠 부재(6)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는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와 구조면에서 유사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길이 방향에 대한 횡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또 길다란 안내로(23)에 대해 각각 가깝고 먼 결합용 기단(231a)과 보유용 말단(231b)을 보유 구멍(231)이 포함한다. 기단(231a)과 말단(231b) 사이에는 전방 수축 영역(24)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바늘 허브(3)를 전방 위치에 구속하기 위해 보유용 말단(231b) 내에는 결합용 페그(33)가 결합되어 있다. 바늘형 캐뉼라(5)의 후퇴시에, 액추에이터(34)가 작동되어 결합용 페그(33)를 보유용 말단(231b)으로부터 결합용 기단(231a)까지 이동시킴으로써, 길다란 안내로(23)를 따른 바늘 허브(3)의 후방 운동이 허용된다.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서처럼 바늘 허브(3)를 후방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해 코일 스프링(7)이 역시 제공되어 있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는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와 구조면에서 유사하게 도시되어 있다. 차이점은, 바늘 허브(3)의 후방 쉘부(32)와, 대구경 벽 부분(229)의 배럴 내측 벽 면(221)이 각각 환형 플랜지(39)와 환형 후방 에지(220)를 가지고, 환형 플랜지(39)와 환형 후방 에지(220)는 서로 대향하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면함으로써, 그 사이 및 후방 쉘부(32) 외측에 편향 부재 수납 공간을 규정한다는 것이다. 편향 부재 수납 공간 내에 수납된 코일 스프링(7)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허브(3)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 바늘 허브(3)에 의해 코일 스프링(7)이 인장되도록 플랜지(39)와 후방 에지(220)에 각각 고정된 전방 및 후방 스프링단을 갖는다.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을 참조하면, 액추에이터(34)를 작동시켜 보유 구멍(231)의 보유용 말단(231b)으로부터 결합용 기단(231a)까지 결합용 페그(33)를 이동시킴으로써, 안내로(23)를 따른 바늘 허브(3)의 후방 운동이 허용되어 바늘형 캐뉼라(5)가 경로(21) 내로 후퇴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는 종전 실시예와 구조면에서 유사하게 도시되어 있다. 차이점은, 배럴(2)의 소구경 벽 부분(228)에서 전방 개방 단부(224)의 내경이 확대되었다는 것과, 바늘 허브(3)의 전방 유지부(31)와 후방 쉘부(32)가 서로 분리되어 있다는 것이다. 특히, 바늘 허브(3)는 상호 결합부(35)를 더 포함한다. 상호 결합부(35)는 후방 쉘부(32)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축을 따라 후방 쉘부(32)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축 방향 경로(351)와 슬리브 부분(30)을 규정한다. 축 방향 경로(351)는 상호 결합부(35)를 통과해 연장되어 역류 챔버(36)와 연통되어 있다. 슬리브 부분(30)은 전방 유지부(3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축을 따라 전방 유지부(3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슬리브 조립체(44)를 형성한다. 슬리브 부분(30)은 상기 축을 따라 배럴(2)의 전방 개방 단부(224)로부터 상호 결합부(35) 상에 끼워져, 바늘형 캐뉼라(5)를 역류 챔버(36)와 유체 연통시킨다. 따라서, 카테터 조립체(4)와 슬리브 조립체(44)의 조합체는 하나의 기능 유닛으로서 바늘형 캐뉼라(5)와 고정되어, 다양한 의료 용도에 대해 상이한 카테터 규격을 갖는 탈착 가능 유닛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는 바람직한 제 4 및 제 5 실시예와 구조면에서 유사하게 도시되어 있다. 차이점은, 코일 스프링(7)이 소구경이고, 코일 스프링(7)의 전방 스프링단은 바늘 허브(3)의 후방 쉘부(32) 내에 수납되고 또 후방 쉘부(32)의 내측단에 고정되며, 코일 스프링(7)의 후방 스프링단은 폐쇄용 마개(26)에 고정된다는 것이다.
가장 실제적이고 바람직하다 여겨지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가장 넓은 해석의 진의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구조 및 이와 동등한 구조를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은, 사용된 바늘형 캐뉼라를 한 손으로 수거하기가 쉽고 안전한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사용 대기 위치에 있는 종래의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후퇴 위치에 있는 종래의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
도 4는 사용 대기 위치에 있는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후퇴 위치에 있는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사용 대기 위치에서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후퇴 위치에 있는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를 사용 대기 위치에서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후퇴 위치에 있는 바람직한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를 사용 대기 위치에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후퇴 위치에 있는 바람직한 제 4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분해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를 사용 대기 위치에서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배럴 3 : 허브
4 : 카테터 조립체 5 : 바늘형 캐뉼라
33 : 페그 34 : 액추에이터
43 : 환형 카테터 221 : 배럴 내측 벽면
228 : 전방 소구경 벽 부분 229 : 후방 대구경 벽 부분
231 : 보유 구멍 232 : 후방 보유 단부

Claims (14)

  1.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224, 223)와, 상기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224, 223) 사이에 개재되어 상호 연결시키는 배럴 둘레 벽(22)을 구비하는 배럴(2)로서, 상기 배럴 둘레 벽(22)은 전방 소구경 벽 부분(228), 후방 대구경 벽 부분(229), 배럴 내측 벽면(221) 및 배럴 외측 벽면(222)을 가지며, 상기 전방 소구경 벽 부분(228)과 후방 대구경 벽 부분(229)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어 상기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224, 223)에 각각 인접하고, 상기 배럴 내측 벽면(221)은 길이 방향 축을 둘러싸 통로(21)를 형성하며, 상기 통로(21)는 상기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224, 223)와 연통되며, 상기 배럴 외측 벽면(222)은 상기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상기 배럴 내측 벽면(221)에 대향되는, 배럴(2)과,
    첨단부(52)에서 종결하는 전방부(51)와, 상기 축을 따라 상기 전방부(51)에 대향된 후방 결합 단부(53)를 구비한 바늘형 캐뉼라(5)와,
    상기 축을 따라 서로 대향 배치된 전방 유지부(31)와 후방 쉘부(32)를 구비하는 바늘 허브(3)로서, 상기 후방 쉘부(32)는 상기 후방 개방 단부(223)로부터 상기 통로(21) 내로 삽입되어, 상기 전방 개방 단부(224)와 상기 후방 개방 단부(223)에 각각 인접하게 되는 전방 및 후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축을 따라 상기 배럴 둘레 벽(22)에 대해 활주 가능하고, 상기 전방 유지부(31)는, 상기 후방 쉘부(32)가 상기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늘형 캐뉼라(5)가 사용 위치에 있도록, 그리고 상기 후방 쉘부(32)가 상기 후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늘형 캐뉼라(5)가 회수 위치에 있도록 상기 바늘형 캐뉼라(5)의 상기 후방 결합 단부(53)를 유지시키며, 상기 전방부(51)는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전방 개방 단부(224) 전방으로 돌출하여 사용 대기 상태가 되고 또 상기 회수 위치에서 상기 통로(21) 내로 후퇴하며, 상기 후방 쉘부(32)는 상기 축을 둘러싸 상기 바늘형 캐뉼라(5)와 유체 연통된 역류 챔버(36)를 규정하는, 바늘 허브(3)와,
    상기 후방 쉘부(32)가 상기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배럴(2)에 대한 상기 바늘 허브(3)의 축 방향 운동을 구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해제 가능 보유 부재로서, 상기 대구경 벽 부분(222)의 상기 배럴 외측 벽면(222)에 형성되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럴 내측 벽면(221)을 관통하는 보유 구멍(231)과; 상기 전방 위치에서 상기 후방 쉘부(32)의 운동을 구속하기 위해 상기 대구경 벽 부분(229)과 상기 후방 쉘부(32) 사이의 상호 결합을 형성하도록 상기 보유 구멍(231) 내에 결합 가능하며, 반경 방향으로 연장 배치된 결합용 페그(33)를 구비하는 해제 가능 보유 부재와,
    상기 바늘 허브(3)의 후방 위치로의 축 방향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보유 구멍(231)으로부터 상기 결합용 페그(33)가 분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외부 조작이 가능한 액추에이터(34)와,
    슬리브 부분(411)과 첨단 부분(413)을 구비하는 카테터 허브(41)로서, 상기 슬리브 부분(411)은 상기 바늘 허브(3)의 상기 전방 유지부(31)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축을 따라 덕트(412)를 규정하며, 상기 첨단 부분(413)은 상기 축을 따라 상기 슬리브 부분(411)에 대향되고 관통 구멍(414)을 규정하며, 상기 관통 구멍(414)은 상기 축을 따라 상기 덕트(412)와 연통되고, 상기 관통 구멍(414)을 통과해 상기 전방부(51)가 연장되는, 카테터 허브(41)와,
    기단부(431)와 말단부(432)를 갖는 관형 카테터(43)로서, 상기 기단부(431)는 상기 관통 구멍(414) 내로 삽입되어, 상기 덕트(412)와 유체 연통하도록 상기 축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말단부(432)는, 상기 바늘형 캐뉼라(5)가 사용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첨단부(52)가 상기 말단부(432) 전방으로 돌출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상기 바늘형 캐뉼라(5)의 상기 전방부(51)를 둘러싸 수용하기 위해, 상기 첨단 부분(413)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축을 따라 상기 기단부(431)로부터 연장되는, 관형 카테터(43)를 포함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허브(3)는 중간부(38)를 더 구비하며, 상기 중간부(38)는 상기 바늘형 캐뉼라(5)를 상기 역류 챔버(36)와 연통시키도록 상기 전방 유지부(31)와 상기 후방 쉘부(32)를 상호 연결시키며, 또 자신을 통해 혈액 유동을 관찰할 수 있도록 투광성을 갖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허브(3)는, 상기 역류 챔버(36)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후방 쉘부(32)와 결합하는 통기성 부재(37)를 더 구비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부재(37)는 다공성 필터 재료로 형성된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대구경 벽 부분(229)은 길다란 안내로(23)를 가지며, 상기 길다란 안내로(23)는 상기 배럴 외측 벽면(222)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럴 내측 벽면(221)을 관통하고, 상기 보유 구멍(231)으로부터 길이 방향 후방으로 연장되어 후방 보유 단부(232)에서 종결하며,
    상기 결합용 페그(33)는, 상기 후방 쉘부(32) 상에 배치되고 그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럴 외측 벽면(222)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이동 단부(shifted end)에서 종결하고, 또 상기 바늘 허브(3)의 상기 후방 쉘부(32)가 상기 전방 위치로부터 상기 후방 위치까지 활주할 때 상기 보유 구멍(231)으로부터 상기 후방 보유 단부(232)까지 상기 길다란 안내로(23)를 따라 활주 가능하며,
    상기 액추에이터(34)는, 상기 결합용 페그(33)의 상기 이동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배럴 외측 벽면(222)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럴 외측 벽면(222)에 대해 활주 가능한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길다란 안내로(23)는 전방 및 후방 수축 영역(24, 25)을 가지며, 상기 전방 및 후방 수축 영역(24, 25)은 상기 보유 구멍(231) 바로 뒤와 상기 후방 보유 단부(232) 바로 앞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용 페그(33)가 상기 전방 및 후방 수축 영역(24, 25) 중의 하나를 통과하도록 강제되고 나면, 상기 보유 구멍(231)과 상기 후방 보유 단부(232) 중의 대응하는 하나에서의 스냅 끼워맞춤을 통해 상기 결합용 페그(33)의 운동이 구속되며, 이로써 상기 바늘 허브(3)가 전방 및 후방 위치 중의 대응하는 하나에 배치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구경 벽 부분(229)은, 상기 길다란 안내로(23)의 상기 후방 보유 단부(232)로부터 상기 후방 개방 단부(223)까지 연장된 분할부(split)(27)를 더 갖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구멍(231)은, 길이 방향에 대한 횡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또 상기 길다란 안내로(23)에 대해 각각 가깝고 먼 결합용 기단(231a)과 보유용 말단(231b)을 가짐으로써, 상기 바늘 허브(3)의 상기 후방 쉘부(32)의 전방 위치에서의 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결합용 페그(33)가 상기 보유용 말단(231b) 내에 결합되고, 상기 길다란 안내로(23)를 따른 상기 결합용 페그(33)의 활주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결합용 페그(33)를 상기 보유용 말단(231b)으로부터 상기 결합용 기단(231a)까지 이동시키도록 상기 액추에이터(34)가 작동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쉘부(32)와 상기 배럴 내측 벽면(22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후방 위치를 향해 상기 바늘 허브(3)를 편향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는 편향 부재(7)를 더 포함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대구경 벽 부분(229)의 상기 배럴 내측 벽면(221)과 상기 후방 쉘부(32)는 각각 환형 쇼울더(227)와 플랜지(323)를 가지며, 상기 환형 쇼울더(227)와 상기 플랜지(323)는 그 사이에 편향 부재 수납 공간을 규정하도록 서로 대향하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고, 상기 편향 부재(7)는 코일 스프링(7)이며, 상기 코일 스프링(7)은, 상기 바늘 허브(3)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늘 허브(3)에 의해 상기 코일 스프링(7)이 압축되도록 상기 환형 쇼울더(227)와 상기 플랜지(323)에 대해 각각 접촉하는 전방 및 후방 스프링단을 포함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쉘부(32)와, 상기 대구경 벽 부분(229)의 상기 배럴 내측 벽면(221)은 각각 환형 플랜지(39)와 에지(220)를 가지며, 상기 환형 플랜지(39)와 상기 에지(220)는 그 사이에 편향 부재 수납 공간을 규정하도록 서로 대향하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고, 상기 편향 부재(7)는 코일 스프링(7)이며, 상기 코일 스프링(7)은, 상기 바늘 허브(3)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늘 허브(3)에 의해 상기 코일 스프링(7)이 인장되도록 상기 환형 플랜지(39)와 상기 에지(220)에 각각 고정되는 전방 및 후방 스프링단을 포함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받침점(63)에서 상기 배럴 외측 벽면(222) 상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방아쇠 부재(6)를 포함하며, 상기 방아쇠 부재(6)는 무게단(61)과 동력단(62)을 구비하며, 상기 무게단(61)은 상기 결합용 페그(33)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동력단(62)은 상기 받침점(63)을 기준으로 상기 무게단(61)의 반대쪽에 배치되는데, 이것을 작동시키면 상기 결합용 페그(33)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통로(21)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며,
    상기 바늘 허브(3)를 후방 위치를 향해 편향시키기 위해 상기 후방 쉘부(32)와 상기 배럴 내측 벽면(221) 사이에 배치된 편향 부재(7)를 더 포함하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허브(3)의 상기 전방 유지부(31)는 상기 소구경 벽 부분(228)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상기 통로(21) 내에 수납되며, 상기 카테터 허브(41)의 상기 슬리브 부분(411)은 상기 소구경 벽 부분(228) 상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허브(3)의 상기 전방 유지부(31)와 상기 후방 쉘부(32)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바늘 허브(3)는 상호 결합부(35)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호 결합부(35)는, 상기 후방 쉘부(32)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축을 따라 상기 후방 쉘부(32)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축 방향 경로(351)와 슬리브 부분(30)을 규정하고, 상기 축 방향 경로(351)는 상기 바늘 허브(3)를 통과해 연장되어 상기 역류 챔버(36)와 연통되고, 상기 슬리브 부분(30)은, 상기 전방 유지부(3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축을 따라 상기 전방 유지부(3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축을 따라 상기 배럴(2)의 상기 전방 개방 단부(224)로부터 상기 상호 결합부(35) 상에 끼워져 상기 바늘형 캐뉼라(5)를 상기 역류 챔버(36)와 유체 연통시키고,
    상기 슬리브 부분(411)은 상기 전방 유지부(31) 상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KR1020040064711A 2004-08-17 2004-08-17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KR100574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711A KR100574070B1 (ko) 2004-08-17 2004-08-17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711A KR100574070B1 (ko) 2004-08-17 2004-08-17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311A KR20060016311A (ko) 2006-02-22
KR100574070B1 true KR100574070B1 (ko) 2006-04-27

Family

ID=3712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711A KR100574070B1 (ko) 2004-08-17 2004-08-17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0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653A (ko) * 2018-02-19 2019-08-28 주식회사 사라야코리아 바늘 자동후퇴식 안전 정맥주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270B1 (ko) * 2017-09-12 2020-08-07 이현우 안전 혈관 카테터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7431A (en) * 1989-07-11 1995-04-18 Med-Design Inc.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with retractable needle
US5817058A (en) * 1996-12-23 1998-10-06 Shaw; Thomas J. Retractable catheter introducer structure
US5989220A (en) * 1998-05-26 1999-11-23 Retractable Technologies Inc. Self-retracting IV catheter introducer
US20040106903A1 (en) * 2002-12-02 2004-06-03 Ming-Jeng Shue Intravenous catheter inserting device
KR20050004982A (ko) * 2003-07-01 2005-01-13 밍 쳉 슈이 일회용 주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7431A (en) * 1989-07-11 1995-04-18 Med-Design Inc.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with retractable needle
US5817058A (en) * 1996-12-23 1998-10-06 Shaw; Thomas J. Retractable catheter introducer structure
US5989220A (en) * 1998-05-26 1999-11-23 Retractable Technologies Inc. Self-retracting IV catheter introducer
US20040106903A1 (en) * 2002-12-02 2004-06-03 Ming-Jeng Shue Intravenous catheter inserting device
KR20050004982A (ko) * 2003-07-01 2005-01-13 밍 쳉 슈이 일회용 주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653A (ko) * 2018-02-19 2019-08-28 주식회사 사라야코리아 바늘 자동후퇴식 안전 정맥주사기
KR102067956B1 (ko) * 2018-02-19 2020-01-20 (주)사라야코리아 바늘 자동후퇴식 안전 정맥주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311A (ko)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4935B2 (en) Intravenous catheter introducing device
US20230330387A1 (en) Retractable needle catheter insertion device
EP1875940B1 (en) Intravenous catheter introducing device
US8048031B2 (en) IV catheter introducer
AU2002250406B2 (en) Catheter insertion device with retractable needle
CA2495571C (en) Iv catheter introducer with retractable needle
JP3729736B2 (ja) 自己引込型カテーテルイントロデューサ
AU2002250406A1 (en) Catheter insertion device with retractable needle
KR100574070B1 (ko)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
JP2021519631A (ja) 引込み可能な針と、横方向にオフセットされた付勢要素と、針引込みキャビティとを有するivカテーテル
JP3882926B2 (ja) 引込み式医療用採血装置
JP4359604B2 (ja) 引込み式医療用採血装置
JP4359605B2 (ja) 引込み式医療用採血装置
EP1829480A2 (en) Cannula retractable medical collection device
JP2009136397A (ja) 静脈内カテーテル挿入装置
EP2039383A1 (en) Disposable syringe guarded in a preuse position
ZA200501535B (en) IV catheter introducer with retractable needle
AU2003204251A1 (en) Disposable syri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