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982B1 - 건조장치 및 소각장치가 구비된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장치 및 소각장치가 구비된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982B1
KR100572982B1 KR1020040041234A KR20040041234A KR100572982B1 KR 100572982 B1 KR100572982 B1 KR 100572982B1 KR 1020040041234 A KR1020040041234 A KR 1020040041234A KR 20040041234 A KR20040041234 A KR 20040041234A KR 100572982 B1 KR100572982 B1 KR 100572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bility
water treatment
septic tank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6186A (ko
Inventor
권희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포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포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포스텍
Priority to KR1020040041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2982B1/ko
Publication of KR20050116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재와 건조수단 또는 소각수단을 포함하는 물정화조를 구비하고; 물 정화조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와 수위감지장치에서 감지한 수위에 따라 흡입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흡입구의 말단에 중공사막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수처리재는 흡유능, 탈취능, 유기물 흡착능, 무기물 흡착능, 미생물 흡착능, 유해성분 분해능, 유해 세균 살균능, 알칼리 방출능, 응집제 방출능, 응고체 방출능의 물정화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질을 갖고, 투수성인 재료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처리재는 소각 가능한 재료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수처리재, 정화, 건조, 소각, 중공사막, 수위감지장치, 하수, 투수성

Description

건조장치 및 소각장치가 구비된 수처리 장치 {Water Treating System Equipped with Drying Device and Incinera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처리재의 일례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도 1 또는 그 밖의 포백상 수처리재를 주머니 모양으로 한 경우이다.
도 3은 물 정화 기능을 붙인 끈이나 밧줄을 여러 개 혼합하고 그 중앙부에서 묶는 수처리재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4는 도 2에 채용되는 중공사막 카트리지의 발췌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직포상 수처리재 2 : 날실
3 : 씨실 4 : 중공사 여과조
5 : 물 정화조 6 : 급기수단
7 : 물 정화용 봉투 12 : 가스 공급 수단
13 : 점화수단 14 : 물정화 기능을 붙인 끈
20 : 중공사막 카트리지 21 : 중공사
22 : 기공 30 : 제어장치
31 : 수위 측정 장치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각 가정, 아파트, 주택단지, 공장, 상업단지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수의 정화처리에 적합한 물 정화 기능과 건조기능 또는 소각기능을 겸비한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공장폐수 등의 산업폐기물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 법률 등에 의하여 처리 방법등을 규제하고 아울러 단속 또한 엄하게 실시됨으로써 정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채 하천에 방류되는 등의 경우는 과거에 비해 상당히 감소한 실정이다. 그러나 생활 하수, 상업 하수 등 소규모 폐수에 관해서는 규제가 미약하여 아직도 자연계에 그냥 방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러한 소규모 폐수의 양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하수 처리 용량 부족에 따른 환경오염의 원인의 하나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하여 사회적으로 그 개선책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고,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의 안출이 소망되고 있다.
기존의 수처리장치는 대규모의 수처리를 위한 것이 대부분으로써 이는 비용이 비싸고 개인 또는 일반 상점용으로 설치하기에는 규모와 비용이 적절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 주택용 또는 일반 상점용 등 소규모의 하수처리에 적당하게끔 규모와 비용이 너무 크지 않게 되도록, 수처리재가 구비된 수처리 장치를 창안하였으며, 특히, 수명이 다한 수처리재의 처분을 위해 건조 장치와 소각 장치를 구비하여 물 정화조 내에서 수처리재의 건조 및/또는 소각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에는 중공사막을 이용하여 1차적인 정수를 하수흡입단계에서 실시함으로써 수처리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폐수의 전처리 단계로 집수조와 통상의 여과장치로 구성된 여과조를 구비하고; 흡입구의 말단에 중공사막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수처리재와 건조수단 또는 소각수단을 포함하는 물정화조를 구비하고; 물 정화조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와 수위감지장치에서 감지한 수위에 따라 흡입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처리재는 흡유능, 탈취능, 유기물 흡착능, 무기물 흡착능, 미생물 흡착능, 유해성분 분해능, 유해 세균 살균능, 알칼리 방출능, 응집제 방출능, 응고체 방출능의 물정화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질을 갖고, 투수성인 재료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처리재는 소각 가능한 재료로 된 것이 바람직하 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처리재와 동시에 건조수단 및/또는 소각수단을 포함하는 물 정화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물 정화조 내에 소정 기간 사용한 뒤에 교환 가능한 수처리재를 구비하고, 아울러 당해 수처리재가 소정기간 사용 후에 수처리 기능이 현저히 감소하거나 잃어버린 때에, 그 수처리재를 그대로 물 정화조 내에서 건조하고 물 정화조 외부로 꺼내거나, 또는 물 정화조 내에서 건조와 소각을 행하거나, 또는 건조하지 않고 직접 그대로 소각 처분할 수 있게 한 수처리 장치이다. 또한, 하수의 흡입구에 중공사막을 구비한 중공사막 카트리지를 부설함으로써 하수의 흡입단계에서부터 1차적인 정수처리를 실시하여 수처리재의 수명연장을 도모하였다.
먼저 전처리 과정으로서 집수조는 일반 가정 또는 상가에서 발생하는 생활오수 및 폐수를 집수하는 역할을 하며, 여과조는 통상적인 여과장치로 구성되는데 유입된 폐수 중의 협잡물과 부유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 정화조는 내수성을 가지는 동시에 건조 및/또는 소각시의 고열에 견디는 재료로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금속, 콘크리트, 시멘트, 세라믹스 또는 이들의 복합재료로부터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정화조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직육면체, 정육면체, 원기둥형, 구형, 반구형 등의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물 정화조에는 악취나 악취의 배출 방지, 폐수의 비산 방지 등의 목적을 위해 덮개를 마련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 정화조의 크기는 폐수 발생량, 설치가능 대지면적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정화조는 물 정화 처리시에는 정화조 내에 폐수를 모아 두고 정화 처리할 수 있고, 소정기간 사용에 의해 물 정화 기능이 현저히 감소되거나 잃어버린 수처리재를 정화조 내에서 건조 및/또는 소각 처분하는 때에는, 건조나 소각 처리가 원활할 수 있도록 정화조 내로의 폐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또한 정화조 중에 폐수를 가급적 잔류하지 않는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물 정화조로부터의 처리가 완료된 폐수의 출구를 물 정화조의 바닥부 또는 그 부근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특히, 정화조 내부로 폐수의 유입을 단속하는 밸브 등의 개폐 수단과 연접한 폐수 도입부를 물 정화조의 상부에 설치하고, 정화조 외부로 폐수의 유출을 단속하는 밸브 등의 개폐 수단과 연접한 폐수 배출부를 물 정화조의 바닥부 또는 그 부근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수처리를 행함에 있어, 폐수의 유입부와 배출부의 양쪽을 개방한 상태로, 물 정화조 중에 폐수를 연속적으로 도입하고 또한 연속적으로 배출하면서 정화처리를 행할 수도 있고, 물 정화조의 폐수 유입구와 폐수 배출구를 폐쇄한 상태로 정화조 내의 폐수를 정화처리 할 수도 있으며, 물 정화조의 폐수 유입구와 폐수 배출구의 어느 한 편을 열고, 다른 한 편을 닫은 상태에서 폐수의 정화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물 정화조내에는 물 정화조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감지장치와, 여기 에서 감지한 물 정화조의 수위를 이용하여 흡입펌프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다. 제어기는, 수위감지장치에서 감지한 물 정화조 내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높은 경우에는 흡입펌프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명령하고, 반대로 수위감지장치에서 감지한 물 정화조 내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로 낮은 경우에는 다시 흡입펌프의 작동을 개시하도록 명령한다.
하수흡입구의 말단에는 중공사막 카트리지를 부가하여 하수의 흡입단계에서 1차적인 정수를 실시한다. 중공사막 카트리지는 하수가 수용된 중공사 여과조(4) 내에 담겨지며, 다수의 중공사의 양단부가 한쌍의 집수관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중공사는 1㎛미만의 기공을 가지며, 1㎛의 분획특성(particle cut off)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하수가 중공사막을 통과할 때 1㎛ 이상의 크기를 갖는 오물 입자가 걸러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처리재로서는 흡유능, 탈취능, 유기물 흡착능, 무기물 흡착능, 미생물 흡착능, 유해성분 분해능, 유해 세균 살균능, 알칼리 방출능, 응집제 방출능, 응고체 방출능의 물정화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질을 갖고, 투수성인 재료로부터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그리고 그러한 기능을 갖는 투수성 재료를 물 정화조 내에 비치하는 것에 의해, 물 정화조 내에 도입되는 폐수를 정화조 내에서 원활하게 정화처리할 수 있다. 특히, 물 정화재에 복수의 물 정화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처리재를 구성하는 상기 투수성 재료는, 물 등의 액체를 투과시킬 수 있고, 소정의 기간에 걸쳐 형상 유지성을 가지고, 소각 가능한 동시에 소각시에 유독 가스를 발생하지 않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투수성 재료의 예로서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합성수지로 되는 섬유, 또는 면, 마 등의 천연섬유로부터 제조되는 포백류(부직포나 편직물 등); 망상체; 그러한 섬유로부터 제조되는 실, 끈, 로프 류; 종이류;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합성수지로부터 제조되는 투수성의 필름, 시트, 발포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섬유, 필름, 시트, 발포체 등으로부터 형성된 투수성 재료가 가정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경우의 많은 기름의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소수성이고, 또한 소각 가능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투수성 재료는 1종류만을 사용해도,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고, 보풀, 기모, 식모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처리함으로써 그 표면적을 크게 할수록 물 정화 효과는 더욱 우수해진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투수성 재료로부터 형성한 수처리재는 그것을 비치하는 물 정화조의 규모, 형상, 물 정화조에 유입하는 폐수의 상태에 따라, 소재의 종류, 조합, 강도 등을 선택할 수 있고, 또 그 형상도 섬유상, 사(絲)상, 로프, 포백상, 망상, 괴상, 필름 또는 시트상, 통상, 낭상, 관상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하고 사용할 수 있다. 그 크기 또한 사용하는 환경, 대상 등에 따라 적절히 바꿀 수 있다.
투수성 재료에 흡유능, 탈취능, 유기물 흡착능, 무기물 흡착능 등을 부여하 기 위해서는, 그러한 기능의 1 이상의 종래 공지의 흡착제의 모두를 사용할 수 있고, 그 대표적인 예로는, 활성탄; 알루미늄, 철, 티탄, 규소, 주석 등의 산화물이나 수산화물(특히, 실리카겔, 산화티탄, 활성 알루미나 등); 벤토나이트, 산성 백토, 규조토 등의 광물;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투수성 재료 자체가 그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그대로 수처리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투수성 재료가 미생물 흡착능을 갖는 경우는, 그 표면에 물 정화에 유용한 미생물이 흡착되고 서식·번식하고 물의 정화 처리를 한층 더 촉진할 수 있다. 그리고, 투수성 재료가 유해성분 분해능이나 유해 세균 살균능을 갖는 경우는 폐수 중에 포함되는 유해성분을 분해하여 무해한 것으로 하거나, 유해 미생물을 살상할 수 있다. 투수성 재료에 유해 성분 분해능이나 유해 세균 살균능을 부여하는 데는 종래 공지의 수중 유해 성분 분해제나 수중 유해 세균 살균제를 투수성 재료에 부여하면 된다.
또한, 폐수는, 폐수 중에 포함되는 유기물의 분해 생성물, 산성비 등의 영향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산성 상태에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투수성 재료에 알칼리 방출능을 부여해 두면, 투수성 재료로부터 서서히 용해 및 방출되는 알칼리가 산성상태에 있는 폐수를 중화 또는 산도를 완화시켜서 중성에 가까운 물을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투수성 재료에 알칼리 방출능을 부여하는 물질로서는, 약 알칼리성이고, 수중에 알칼리 성분을 서서히 용해·방출하는 것이면 된다. 그러한 물질의 예로서는, 탄산칼슘, 석탄재, 슬래그, 시멘트, 적토, 석고, 알칼리성의 철 화합물, 패각 등을 들 수 있다.
또, 투수성 재료에 응집제나 응고제의 방출능을 부여해 둔다면, 폐수 중에 포함되는 오염 성분(예를 들면 오니, 유지류 기타 유해물질)을 응집 또는 응고되고 그 분리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응집제 또는 응고제로서는, 통상 물 정화에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 응집제를 대표로 하는 여러 가지 응집제, 무기 또는 유기 응고제 모두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투수성 재료로부터 서서히 수중에 용출하고 그 기능을 소정의 기간에 걸쳐 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수성 재료에 어떤 기능을 갖게 할지는, 그것을 사용하는 폐수의 내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또, 투수성 재료에 상기한 물 정화 기능을 갖게 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흡유제, 탈취제, 유기물 흡착제, 무기물 흡착제, 미생물 흡착제, 유해 성분 분해제, 유해 세균 살균제, 알칼리성 물질, 응고제 또는 고화제 중에서 하나 이상을 미리 함유시킨 소재를 사용하고 투수성 재료를 형성하여도 되고, 또는 나중에 처리하여 함침 또는 표면에 커버해도 된다. 또, 투수성 재료가 봉투, 통, 관 등과 같이 내부에 다른 성분을 충전 및 보유할 수 있는 형상을 하고 있는 경우는, 상기 열거한 흡유제 등의 하나 이상을 그 내부에 충전하여 유지시켜도 된다.
상기한 여러 가지의 기능은, 투수성 재료의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부여되고 있어도 되고, 또는 여러 기능의 영역을 1개의 투수성 재료에 부여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알칼리성 물질 및 흡유제를 함유하는 합성섬유를 단독으로 포백상으로 제조한 경우에는 포백 전체에 걸쳐 알칼리 방출능과 흡유능이 균일하게 부여된다. 또, 날실로 알칼리성 물질을 함유하는 합성섬유를 사용하고, 씨실로 흡유제 를 포함하는 합성섬유를 사용하여 직포를 제조한 경우는, 날실 부분이 알칼리 방출능을 가지고, 씨실 부분이 흡유능을 갖는 직포를 얻을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물 정화조의 내부에 공기 도입 수단을 병설하고 적시에 공기를 도입한다면, 수처리재의 표면에 물의 정화에 유용한 미생물이 서식하게 되고 폐수의 정화가 한층 촉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수처리재를 물 정화조 내에 비치하고, 정화조 내에 유입된 폐수의 정화처리를 행함으로써, 정화된 물이 물 정화조로부터 배출된다. 이 때 폐수의 정화처리가 고도로 행해질수록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면, 생활하수 등의 폐수는 공장 폐수 등과 다르고, 맹독물이 덜 포함되기 때문에 공장 폐수에서 요구될 것 같은 완전한 정화 처리는 반드시 행해지지 않아도 좋다. 그래도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폐수를 정화 처리하는 것에 의해 각 가정, 상점, 아파트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하수가 일부라도 정화되어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보다 환경 오염이 현저하게 감소되게 된다.
그리고, 물 정화조 내에 설치한 수처리재는 소정기간 사용되면 그 정화기능이 감소하거나 잃게 되기 때문에, 새로운 것과 교환할 필요가 생긴다. 본 발명에서는 수명을 다한 수처리재를 물 정화조에서 꺼내고 그대로 폐기하지 않고, 물 정화조 내에서 사용된 수처리재의 건조 및/또는 소각을 행하기 때문에, 배출되는 쓰레기의 양을 줄이거나, 그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된 수처리재의 건조 및/또는 소각은, 상기한 바와 같이, 물 정화조에서 폐수를 배수시켜 정화조 내에 물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행하는 것이 효율적인 건조 및/또는 소각을 하는 데 있어 바람직하다. 수명을 다한 수처리재는 정화조 내에서 건조와 취급이 쉬우므로 정화조 외부로 꺼내어도, 정화조 내에서 건조하고 소각해도, 또는 정화조 내에서 직접 소각해도 좋다. 소각하는 경우는, 수처리재가 습윤상태에 있으면, 소각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소각 전에 정화조 내에서 어느정도까지는 완전히 건조시키고 소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및/또는 소각을 위한 가열 수단으로서는 액화천연가스, 액화석유가스, 전기 가열, 석유 등의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연비, 장치의 구조, 입지조건 등을 고려하여 정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를 제조하는 것에 있어서, 물 정화조 내에 도입되는 폐수에 의해 상기한 건조나 연소를 위한 가열 수단이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가열 수단의 구조나 설치 위치를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수명을 다한 수처리재를 가스로 건조나 소각을 행하는 경우는, 가스의 정화조로의 출구가 폐수나 거기에 포함되는 오염물질에 의해 막히거나 하지 않도록, 물 정화 처리시에는 가스의 출구를 밀봉하고 가스의 출구를 정화조 내에 있어서 폐수의 최고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에 마련되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다.
또, 물 정화조 중에서 사용이 끝난 수처리재를 건조 및/또는 소각 처분하는 것에 있어서는, 그 수처리재를 폐수의 정화처리에 사용한 것과 동일 상태 그대로 건조나 소각을 행해도 좋고, 또는 건조나 소각을 행하기 쉽도록 수처리재를 정화조 내의 소정의 장소에 모으고 건조 및/또는 소각하게 해도 좋다. 후자의 경우에는 수 처리재를 인력에 의해 소정 장소에 모으게 해도 좋고, 또는 이를 위한 장치를 물 정화조에 설치해도 좋다. 또, 수처리재의 소각에 의해, 타다 남은 재나 미연소 고형물이 정화조 내에 잔류할 것 같은 경우는, 차후의 물 정화 처리를 원활히 행하기 위해, 잔류물을 물 정화조에서 제거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예를 들면 물 정화조의 바닥부나 그 일부를 정화조 외에서 취출 가능하도록 설계하고, 잔류물을 물 정화조에서 제거하기 쉽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명을 다한 수처리재의 불완전연소에 의한 유독 가스의 발생이 우려되는 경우는, 물 정화조 내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수단을 설치하거나, 또는 유독 가스의 흡착 수단을 연소가스의 배출구부에 구비해 두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는, 각 가정, 아파트, 상점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생활 하수, 일반 하수의 정화 처리에 특히 적합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고, 폐수의 정화 처리가 필요한 분야라면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에 사용하는 수처리재의 예 및 그것을 설치한 물 정화조를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직포상의 수처리재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 직포상 수처리재(1)은, 알칼리성 물질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제의 실을 날실(2)에 사용하고, 활성탄 등의 흡착제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제의 실을 씨실(3)에 사용하고 짜여졌고, 직포 전체로서, 흡유능, 알칼리 방출능 및 타 오염성분의 흡착능을 복합적으로 갖고 있고, 게다가 연소가 용이하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도 1의 직포상 수처리재(1)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동일한 섬유를 사용하고 부직포 상 태의 수처리재로 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 또는 그 외의 포백상 수처리재를 주머니 모양으로 가정 폐수의 정화용 정화조에 비치한 예를 나타낸다. 가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모든 폐수를 수집하는 중공사 여과조(4)를 마련하고, 상기 중공사 여과조(4)로부터 금속 또는 콘크리트 등의 내수성과 내연소성을 겸비한 재료로 형성되는 뚜껑 부착의 물 정화조(5)에 폐수를 적절히 도입하고, 물 정화조(5)의 하부 등에 설치한 급기 수단(6)으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면서 폐수의 정화 처리를 행한다. 상기 물 정화조(5)는 직육면체, 정육면체, 원통형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고, 내부에 그 내면을 따라 도 1의 포백상 수처리재(1)로부터 형성한 물 정화용 봉투(7)를 설치해 두고, 상기 물 정화조(5)의 상부에 설치한 밸브 등을 가지는 입구(8)로부터 하수가 물 정화용 봉투(7) 내에 도입되고, 상기 물 정화용 봉투(7)에 의한 상기 흡유능, 알칼리 방출능 및 다른 오염 성분의 흡착능 등의 정화작용에 의해 폐수 중의 오염성분의 흡착, 분해, 중화 등의 정화가 이루어진다. 정화가 완료된 폐수는 물 정화조(5)의 바닥부 부근에 설치한 출구(9)로 배출된다. 도 2에 있어서 부호 10과 11은 폐수 도입부 및 폐수 출구부에 설치한 밸브이다.
물 정화조(5)의 상부에는, 건조 및/또는 연소용의 가스 공급 수단(12) 및 점화수단(13)을 설치하고 있고, 이러한 수단 (12) 및 (13)은 폐수의 정화 처리시에는, 폐수나 그것에게 포함되는 오염물질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소정 기간 폐수의 정화 처리를 행하고, 물 정화조(5) 내에 비치한 물 정화용 봉투(7)의 정화성능이 현저히 감소하거나 잃어버린 때에는 입구(8)을 폐쇄 하여 폐수가 물 정화조(5)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물 정화조(5) 내의 폐수를 출구(9)를 통해 거의 완전히 배출시키고, 물 정화조(5) 내에 폐수가 없는 상태로, 가스 공급 수단(12) 및 점화 수단(13)을 작동시키고, 또한 공기 공급 수단(6)으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면서, 오염물질이나 미생물이 부착된 물 정화용 봉투(7)를 물 정화조(5) 내에서 건조하거나, 건조 후에 소각하거나, 또는 직접 소각한다.
이 때, 물 정화용 봉투(7)를 물 정화 처리시에 비치한 동일 위치에서 건조나 소각 처리를 행해도 되고, 또는 물 정화용 봉투(7)를 건조나 소각용의 가스 공급 수단(12)이나 점화 수단(13)에 가까운 위치에 모으고 건조나 소각 처리를 행해도 좋다. 후자의 경우 즉, 물 정화용 봉투(7)를 가스 공급 수단(12)이나 점화 수단(13)에 가까운 위치에 모으고 건조나 소각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건조 후의 물 정화용 봉투(7)의 물 정화조(5)로부터의 제거나, 소각 처리 후에 남는 연소 찌꺼기의 처분이나 물 정화조 5로부터의 제거가 용이하고, 또 건조나 소각시의 열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의 건조 및/또는 소각 처리가 종료되는 단계로, 물 정화조(5) 내에 새로운 물 정화용 봉투(7)를 설치하고, 물 정화조(5) 내에 폐수를 도입하여 폐수의 정화처리를 계속한다.
도 2의 수처리 장치에서는, 도 1의 포백으로부터 제조한 물 정화용 봉투(7)를 물 정화조(5) 내에 비치하였지만, 물 정화조(5) 내에 비치하는 수처리재는 그러한 물 정화용 봉투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다른 형상이나 기능을 가지는 수처리재를 배치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나듯이, 상기한 것 같은 여러 가 지의 물 정화 기능을 붙인 끈이나 밧줄(14)을 여러 개 혼합하고, 그 중앙부에서 묶은 것 복수개를 물 정화조의 중앙 부분이나 그 밖의 개소에 설치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사용하면, 폐수의 정화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폐수의 정화 처리에 사용한 수처리재를 물 정화조 내에서 그대로 건조 및/또는 소각 처분할 수 있기 때문에, 물의 정화와 폐기물의 감소라고 하는 두 요구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고, 향후의 환경의 정화 및 개선에 대단히 유효하다.

Claims (3)

  1. 폐수의 전처리 단계로 집수조와 통상의 여과장치로 구성된 여과조를 구비하고; 흡입구의 말단에 중공사막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수처리재와 건조수단 또는 소각수단을 포함하는 물정화조를 구비하고; 물 정화조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와 수위감지장치에서 감지한 수위에 따라 흡입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처리재는 흡유능, 탈취능, 유기물 흡착능, 무기물 흡착능, 미생물 흡착능, 유해성분 분해능, 유해 세균 살균능, 알칼리 방출능, 응집제 방출능, 응고체 방출능의 물정화기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질을 갖고, 투수성인 재료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수처리재는 소각 가능한 재료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KR1020040041234A 2004-06-07 2004-06-07 건조장치 및 소각장치가 구비된 수처리 장치 KR100572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234A KR100572982B1 (ko) 2004-06-07 2004-06-07 건조장치 및 소각장치가 구비된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234A KR100572982B1 (ko) 2004-06-07 2004-06-07 건조장치 및 소각장치가 구비된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186A KR20050116186A (ko) 2005-12-12
KR100572982B1 true KR100572982B1 (ko) 2006-04-24

Family

ID=37289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234A KR100572982B1 (ko) 2004-06-07 2004-06-07 건조장치 및 소각장치가 구비된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29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318B1 (ko) * 2011-04-18 2012-03-15 (주)정우기연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이용한 비점오염물질의 처리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4384B1 (ko) * 1995-07-03 1998-10-15 박원훈 중공사 막을 사용하는 수처리 장치
KR100241588B1 (ko) * 1997-04-07 2000-02-01 조민호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0241474B1 (ko) * 1997-07-11 2000-02-01 서윤 생물학적 오폐수처리장치
KR100401094B1 (ko) * 2001-04-25 2003-11-03 정병선 오ㆍ폐수 처리시스템
JP2004141724A (ja) * 2002-10-22 2004-05-20 Maezawa Ind Inc 固液分離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KR100436981B1 (ko) * 2002-06-07 2004-06-23 오원춘 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4384B1 (ko) * 1995-07-03 1998-10-15 박원훈 중공사 막을 사용하는 수처리 장치
KR100241588B1 (ko) * 1997-04-07 2000-02-01 조민호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0241474B1 (ko) * 1997-07-11 2000-02-01 서윤 생물학적 오폐수처리장치
KR100401094B1 (ko) * 2001-04-25 2003-11-03 정병선 오ㆍ폐수 처리시스템
KR100436981B1 (ko) * 2002-06-07 2004-06-23 오원춘 수처리장치
JP2004141724A (ja) * 2002-10-22 2004-05-20 Maezawa Ind Inc 固液分離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186A (ko) 2005-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3349A (en) Sediment dike with absorber apparatus
US5820762A (en) Filter insert for a storm drain
JPS62500160A (ja) 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55956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itu remediation of water containing undesirable ionic species
KR100982338B1 (ko) 하수도 시설 내의 악취 제거 시스템
AU2017231097B2 (en) Waste stream decontamination system
KR100773811B1 (ko) 우수처리시스템
KR20110052400A (ko) 빗물받이에 연결되는 비점오염원 빗물처리장치
CN108585248A (zh) 一种废水废气环保处理设备
KR100572982B1 (ko) 건조장치 및 소각장치가 구비된 수처리 장치
CN104671599A (zh) 工业废水回收利用装置
CN107098463A (zh) 一种防臭型深度工厂污水加工净化装置
JP2008246443A (ja) 強磁場下の熱分解炉を利用したゴミ処理システム
KR100594888B1 (ko) 쓰레기 매립장의 침출수 정화장치
CN212387879U (zh) 一种矿山污水处理装置
KR101035974B1 (ko) 하수, 폐수 및 침출수 관거용 탈취장치
JPH05237498A (ja) 水処理装置
JP2001334250A (ja) 汚染物質捕捉構造体とこの構造体を用いた汚染物質捕捉方法
CN104649516A (zh) 废水及热能回收利用装置
KR200356887Y1 (ko) 우수처리시스템
JPH04300603A (ja) 互いに混合しない液体の混合物の分離装置
KR20100127482A (ko) 건물에서 발생하는 협잡물 제거 전처리장치
CN201235246Y (zh) 管式废水复合过滤器
KR101402691B1 (ko) 철염필터를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및 악취 저감 방법
CN209635976U (zh) 一种分渠自流收集废气净化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