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619B1 - 임상적 진단을 위한 탄뎀질량분석기 자료를 해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임상적 진단을 위한 탄뎀질량분석기 자료를 해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619B1
KR100572619B1 KR1020037007436A KR20037007436A KR100572619B1 KR 100572619 B1 KR100572619 B1 KR 100572619B1 KR 1020037007436 A KR1020037007436 A KR 1020037007436A KR 20037007436 A KR20037007436 A KR 20037007436A KR 100572619 B1 KR100572619 B1 KR 100572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 threshold
concentration
value
reanalysis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2358A (ko
Inventor
도날드 에이치. 체이스
Original Assignee
의료법인녹십자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법인녹십자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료법인녹십자의료재단
Publication of KR20030072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Abstract

본 발명은 신생아로부터 채취된 혈점으로부터 유도체화된 아미노산과 아실카르니틴을 탄뎀질량분석기로 스캔하여 얻어진 자료를 해석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유도체화 후 부틸에스테르 조각과 직접적으로 비례하는 각 대사물질의 농도로 표시된 자료를 얻고, 결정 계통수 역치 플래그들과 비교하며, 편차가 있는 경우 그 중요성을 결정하는 데 사용한다.
탄뎀질량분석기, 결정 계통수, 신생아, 대사물질, 아실카르니틴

Description

임상적 진단을 위한 탄뎀질량분석기 자료를 해석하는 방법{Method for interpreting tandem mass spectrometry data for clinical diagnosis}
임상적 진단 목적으로 사용되는 자료의 해석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신생아의 진단에 사용되는 대사물질의 정량에 관련되는 일렉트로스프레이탄뎀질량분석기의 자료(electrospray tandem mass spectrometry data)를 해석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는 자동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컴퓨터화된 시스템들을 통합하여 이미 알려져 있는 결과와 비교하여 보다 올바른 진단을 할 수 있게 하는 자료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자료는 MRI나 CAT 스캐너에 의하여 생산될 수 있는데, 이들은 인체내 구성성분들을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질량 분석기는 의학적이든 화학적 관심이든, 관심의 대상이 되는 구성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수한 기자재의 하나이다. 미국 특허 제 5453613 호에 의하면, 화합물을 일렉트로스프레이탄뎀질량분석기(electrospray tandem mass spectrometry)에 넣었을때, 화합물은 이온화되고 본질적으로 조각화 된다. 각 조각은 비교 스펙트럼에 매칭되는(matching) 국소최대치를 갖는 피크를 만든다. 화합물은 그 각각의 조각에 의해 확인되며, 각 조각은 나름의 질량/전하비를 가지며, 이는 다시 각 조각의 농도에 비례한다. 비교 스펙트럼과 화합물의 이름이 상관(correlation) 및 결정(determination)을 위하여 라이브러리에 보관된다. 따라서, 질량/전하비를 이용하면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 알려진 스펙트럼으로부터 구성성분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에는, 질량 분석기가 임상적 진단 부분에도 응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체이스의 미국 출원서 일련 번호 09/277119를 들 수 있다.
신생아의 대사이상은 통상적으로 효소 또는 조인자의 결함에서 비롯된다. 이 결함으로부터 비롯되는 유전적 이상은 샘플 채취 프로토콜에 의하여 얻어진 혈점을 일렉트로스프레이탄뎀질량분석기에 넣어 얻어진 아미노산이나 아실카르니틴의 대사 프로파일로써 진단할 수 있다. 일렉트로스프레이탄뎀질량분석기는 매우 예민하고 특수하여 광범위한 유전학 이상을 탐지할 수 있다. 정확한 표준을 통해, 질량 분석기에 의해 얻어진 자료는 특정 대사물질에 대한 수치를 포함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이상을 탐지하는데 있어, 관심사가 되는 대사물질은 아미노산과 아실카르니틴 및 그들의 유도체이다.
잘량 분석기로부터 얻어진 각 대사물질의 스펙트럼과 농도치는 역치(thresholds)와 비교되어 혈액 샘플의 내용물을 평가하는 수단이 된다. 이러한 역치는 스펙트럼 분석의 후속 조치로서 필요한 행동 경로를 결정한다.
라이트 등에 의한 5545895에서 보인 바와 같이, 분석기 자료는 컴퓨터화된 탐색 데이터베이스에 인가되고, 각 구성성분을 상호 부합시켜(matching), 확인의 수단으로 사용한다. 임상적 진단 셋팅에서는, 확인 그 자체 이상의 평가 방법이 있어야 한다. 수치도 정량화 되어야 한다. 신생아는 대사질환을 가지고 태어날 수 있고, 며칠 내로 치료하지 않으면 죽음에 이를 수 있다. 따라서, 통상 7일 이하의 신생아의 혈액 샘플로부터 탄뎀질량분석자료를 얻고, 이 자료를 미리 결정되어 있는 대사물질의 농도 역치와 비교하여 효과적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해석으로 신생아의 진단 및 추적 시험에 필요한 적절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석에서 진단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에서의 일렉트로스프레이탄뎀질량분석기의 자료를 해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방법은 유전적 결함을 유발할 수 있는 대사물질의 농도와 직접적으로 비례하는 특정 조각의 상승 또는 부족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다음 행동 경로를 제공한다. 미국 출원 09/277119에 따르면, 비정상적인 샘플이 스캔된 후 신호로 알려지면, 바람직한 행동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방법은 상기 예비 분석에 이어지는 필요한 행동에 대한 지침이다.
특정 구성성분을 검출하기 위해 필요한 정량적 정보를 제공하는 데 내부 표준이 사용된다. 각 이온들을 적절한 비율로 사용하면 한 번에 많은 대사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 각 특정 대사물질은 혈점으로부터 정량화 및 유도체화(derivatized)된 후, 분석기 속에서 일정 농도를 갖는 조각으로 된다. 각 대사물질의 농도는 플래그(flag) 농도와 비교되는데, 이 플래그 농도는 샘플링이 적절하게 정량화되고 분석되었는지를 확인하는 품질보증지표이며, 또한 대사물질의 농도가 심각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진단적 한계로서 작용한다. 이 플래그는 특정 대사물질의 정상 농도로부터의 표준 편차를 기초로 미리 결정된다. 이 농도 역치, 또는 플래그는 각 스캔이 행해질 때마다, 검토되는 각 유형의 대사물질에 대해 얻어져야 한다. 생성되는 농도치는 이 역치 플래그 이상 또는 이하일 것이며, 이는 다음 행동경로 즉, 재분석할 것인지 아니면 아기가 정상인 것으로 해석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중쇄아실코에이탈수소효소(MCAD) 부족증은 옥타노일카르니틴 (octanoylcarnitine) 농도가 증가한 결과일 수 있다(체이스 등). MCAD의 활성 부족은 라이양 증후군(Reye-like syndrome), 약한 저혈당증 또는 갑작스런 죽음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방법은 출생시 상기 상승이 얼마나 유의적인지, 그리고 스크리닝 과정에서의 다음 단계가 무엇이 될지, 즉 추적과 확인적인 DNA 시험 같은 것이 되어야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수치화된 지침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아미노산 및 아실카르니틴/카르니틴 농도를 해석하는 결정수(decision tree)를 제공하고, 올바르게 진단된 어떤 경우에는 치료로 이어진다. 이들 치명적일 수 있는 혈액내 농도의 상승 또는 부족을 정량화된 농도 역치와 비교하면, 즉각적인 주의와 필요한 행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역치 플래그와의 비교는 기기의 질과 정확성 유지에 있어 또한 결정 요인이다. 이러한 의사결정과정은 일렉트로스프레이탄뎀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신생아를 스크리닝하는 기존의 방법과 결합하여, 유전적 이상을 갖는 신생아를 분석하고 진단하는 완전한 프로토콜을 가능하게 한다.
도1은 분석에서 진단에 관련된 주요단계를 대표하는 전체적인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고,
도2는 재분석 프로토콜에 관련된 보다 상세한 단계와 결정수를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3은 추적 프로토콜에 관련된 보다 상세한 단계와 결정수를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4는 프로피오닐카르니틴을 위한 방법의 이행을 위한 결정수이고,
도5는 이소발레릴카르니틴을 위한 방법의 이행을 위한 결정수이고,
도6은 메치오닌을 위한 방법의 이행을 위한 결정수이고,
도7는 글루타릴카르니틴을 위한 방법의 이행을 위한 결정수이고,
도8는 페닐알라닌을 위한 방법의 이행을 위한 결정수이고,
도9는 류신을 위한 방법의 이행을 위한 결정수이고,
도10는 시트룰린을 위한 방법의 이행을 위한 결정수이고,
도11는 옥타노일카르니틴을 위한 방법의 이행을 위한 결정수이고,
도12는 미리스토일카르니틴을 위한 방법의 이행을 위한 결정수이고,
도13는 히드록시-C5를 위한 방법의 이행을 위한 결정수이다.
본 방법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방법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방법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할 수 있는 변경이나 개량 및 발명의 원리에 대한 응용 등을 포함한다.
방법 전체에서의 각 단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혈액 샘플을 일렉트로스프레이탄뎀질량분석기로 스캔하여 자료를 수집한다(1). 이 자료는 모니터에 표시되어 도시 및/또는 출력될 수 있다. 이 자료 수집 단계(1)의 일부로서, 질량 분석기의 스캔으로부터 얻어진 첫째 값이 스프레드시트 형식으로 처리 및 인쇄된다. 이는 계산의 확인을 가능케 하며, 이는 다시 숫자 산출의 정확성 및 질을 보증하는 수단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얻어진 자료(1)는 상기 첫째 값을 특정 대사물질 고유의 결정 계통수에 인가(2)함으로써 검사된다. 해석될 첫째 값(2)은 평균 대사물질 농도 및 스캔된 대사물질의 조각으로부터 얻어진 몰비 농도로 이루어진다. 특정 대사물질의 농도는 대사물질로부터 유도된 특정한 질량 대 전하값을 갖는 부틸에스테르 조각으로부터 알 수 있다. 이 정량화된 숫자는 통상 마이크로몰 농도 단위로 표시되고, 이것이 플래그 역치와 비교된다.
대사물질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르니틴/아실카르니틴 또는 아미노산으로 구분된다. 각 특정 대사물질은 관심 조각의 검출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도체화되며, 스캔시 정량화된 농도값에 해당되는 피크를 생산하고, 이는 결정 계통수의 플래그 역치와 비교된다(2). 이 플래그 역치는 특정 대사물질의 조각 농도의 평균값으로부터의 특정 표준편차이다. 특정 대사물질에 대한 특정 플래그 역치는 상기 첫째 값에 대한 진단적 한계이다.
플래그 및 대사물질 조각 농도 또는 몰비 농도에 대한 첫번째 값을 결정수 에 인가하면(2), 후속적인 재분석(3) 또는 즉각적인 재분석(stat re-analysis) (4)을 수행할지 여부가 확인된다. 후속적인 재분석(3)은 스캔 결과 평균 농도가 플래그로 설정된 소정의 역치와 같거나 약간 클 때 필요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각 역치는 특정 대사물질 농도마다 고유하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대사물질의 농도가 역치 이상으로 상승시 결함을 유발하거나, 문제의 대사물질이 역치 이하로 부족시 결함을 유발하는 경우 대사물질의 농도는 결함과 관련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어떠한 상승이나 부족도 편차라 할 수 있다. 기술의 명료성을 위해, 상승에 대해 논의될 것이나, 부족에 대해서도 그에 의해 대사물질에 따라 본질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결함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있어 상승 및 부족 두 가지 모두가 중요한 경우에는 상위 및 하위 농도 플래그 역치 및 몰비 역치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즉각적인 재분석(4)은 대사물질의 초기 농도가 플래그 역치로부터 유의적으로 벗어나 있는 경우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유전적 이상이 명백한 경우일 수 있다. 다음으로 즉각적인 예비 추적(4a)이 뒤따른다. 편차가 유의적인가 여부는 각 유전적 이상에 대한 해석 지침에 기초하여 대사물질의 농도가 플래그 역치로부터 편차를 보이는 양에 의존한다. 어떠한 결과에 있어서도, 후속적인 재분석(3) 또는 즉각적인 재분석(4)은 자료의 재획득(1)을 요구한다. 만약 스캔 결과 플래그 농도 역치 및 몰비 역치와 비교하여 정상적인 대사물질 농도 수준을 보이는 경우, 그 혈액 성분의 수치는 정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5).
스캔되는 특정 대사물질에 따라서, 대사물질 농도가 역치보다 유의적으로 상회하지는 않으나, 재분석 후에도 상당히 편차를 보이는 경우, 그 샘플은 상승(또는 부족)이 명백하다고 해석된다(6). 이 경우, 추적 프로토콜(7)이 시작되고, 검출과정이 반복되고 모든 주의가 이 샘플에 집중된다. 후속되는 반복 시행 후에, 처음 농도가 어떠한 후속 평가와 일치한다면, 진단적 해석(8)이 이어진다.
후속적인 재분석(3)을 수행할 것인지, 또는 즉각적인 재분석(4) 및 즉각적인 예비 추적(4a)을 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특정 대사물질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역치 플래그가 스캔후 대사물질의 초기 농도와 비교된다(20). 역치 플래그 설정은 발행된 보고서, 환자 개개인의 임상적 스크리닝, 검시결과보고서, 유전관련 자료 분석의 반복을 통한 경험 등과 같은 많은 요인에 기초하여 발전되어 왔다. 만약 관심있는 대사물질의 초기 농도가 플래그 역치보다 크면(21), 그 상승이 얼마나 유의적인지를 결정한다(23). 이는 각 플래그 역치와 대사물질의 초기농도를 비교하고, 각 대사물질에 대한 기준을 참고하여 상승(또는 부족)이 플래그 역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결정된다. 만약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즉각적인 재분석(4) 및 예비 추적(4a)이 수행된다. 이는 즉각적인 예비 추적이 가능하도록 샘플을 우선화하고, 동일한 여과 카드(filter card)로부터 샘플을 재실행하여 우선화된 값의 세트를 획득하여 달성된다. 이 값들과 처음 값의 평균을 내어 추적 프로토콜의 이행에 보다 중요한 우선평균값을 형성한다.
만약 대사물질의 초기 농도가 플래그 역치보다 크지 않다면(21), 몰비농도를 확인하여 이를 그들 각각의 농도 플래그 역치 및 몰비 역치와 비교한다(22). 몰비는 여과 카드상의 혈점의 가변성을 설명할 수 있으므로 중요하다. 샘플은 처음부터 건조하므로, 두께의 다양성, 세포수 및 부피의 가변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사물질의 농도는 상승 또는 하강하더라도, 한 샘플에서 두 분석 물질의 비율은 두 물질 모두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화하므로 보다 예민한 지표가 된다.
만약 몰비 농도가 농도 플래그 역치와 몰비 역치보다 크지 않다면(22), 샘플은 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몰비 농도가 해당 대사물질 특유의 기준에 비추어 크다면(22), 그 상승의 유의성을 전술한 방법으로 비교한다(23). 따라서, 대사물질의 초기 농도 또는 몰비 둘 중 하나라도 기준에 비추어 유의적으로 상승된 경우에는 즉각적인 재분석(4) 및 예비 추적(4a)이 수행된다. 그리고 두 경우 모두에서, 플래그 역치와 비교하여 상승이 존재하나(21), 유의적이지 않다면 (23), 후속적인 재분석(3)이 수행된다. 새로운 자료 세트를 획득하여 샘플로부터 둘째 값을 얻고, 샘플을 재시험하고, 결과를 평균하여 평균 농도값을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며, 이 평균 농도값은 다음과 같이 추적 프로토콜에서 이용될 수 있다.
진단을 위한 가능한 해석을 위한 어떠한 재분석에 대하여도 추적 프로토콜이 후행하여 개시된다(7).
도 3은 추적(7)을 개시하는 기준을 도시한다. 평균값 또는 우선평균값이 후속적인 재분석(3) 또는 즉각적인 재분석(4)으로부터 각각 확인된다. (결정 매트릭스에 따라서)플래그 역치 이상으로 상승된 값들이 확인된다(30). 이 추적(7)은 또한 어떠한 재분석에서도 후행하여 시작될 수 있다. 상승(또는 부족)의 정도는 각 대사물질의 해석 지침의 기준에 비추어 미미함(32), 보통(33), 유의적(34)으로 해석된다(31). 만약 상승이 역치와의 차이에 비추어 미미함(32)으로 간주되면, 일상적 반복(routine repeat)(35)이 수행된다. 이는, 환자나 의사에게 주의를 주지 않는 우선순위가 낮게 부여된 반복시험 수행을 의미한다.
만약 그 상승이 기준에 비추어 보통(33)으로 간주된다면, 긴급반복(urgent repeat)(36)이 수행되고, 그 상승이 의사에게 보고되므로 일상적인 반복과 구별된다. 따라서, 의사는 아기를 진찰할 것을 제의할 수 있고 다른 샘플을 얻거나 결과를 확실히 할 수 있다.
만약 그 상승이 기준에 비추어 유의적(34)으로 간주되면, 프로피온산증 또는 다른 유기산증과 같은 셋째 자료 세트를 얻기 위한 부가적 시험 및 긴급반복(urgent repeat)이 수행됨과 동시에 확실한 임상적 평가를 위하여 그 이상에 관련한 전문가에 문의하여야 한다.
본 방법은 도 4-10의 표 및 기준을 참조하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다. 각 도는 각 특정 대사물질에 대한 결정 계통수를 나타내며, 이것이 필요한 이유는 각 대사물질은 부틸에스테르 조각을 서로 다른 질량/전하(m/z)값으로 이온화시키며, 각 대사물질 농도(마이크로몰농도)는 반드시 서로 다른 역치 플래그와 비교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부틸에스테르 조각은 대사물질 농도와 직접적으로 비례한다. 역치 플래그의 바람직한 값 또는 자동 해석 플래그 설정은 각 대사물질의 표 양식에서 볼 수 있다.
도 4는 여과지상의 건조된 혈점이 유도체화되고 탄뎀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스캔된 후 프로피온산혈증의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에 사용된다. 전술한 대로 본 방법은 프로피오닐카르니틴의 상승 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든 농도와 몰비에 대한 플래그 역치(40)를 이용하여 적용된다. 플래그 역치(40)는 프로피오닐카르니틴(C3) 농도가 약 5.0μM, 프로피오닐카르니틴의 mrm 스캔과 아세틸 카르니틴(C3mrm/C2)이 약 0.3, 프로피오닐카르니틴과 팔미토일카르니틴의 몰비(C3/C16)가 약 1.75로 정하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분석(41)에 대한 기준 및 즉각적인 재분석(42)에 대한 기준이 플래그 역치(40)과 관련하여 보여진다.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평균값을 얻기 위한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한다:
ⅰ, C3가 상기 C3 플래그 역치와 같거나 큰 경우;
ⅱ, C3/C16가 C3/C16 플래그 역치와 같거나 큰 경우 및 상기 C3/C2가 상기 C3/C2 플래그 역치보다 크고 상기 C3가 약 2.5 μM보다 큰 경우;
ⅲ, C3가 4μM보다 크고, 상기 C3/C16이 상기 C3/C16 플래그 역치보다 크거나 상기 C3/C2가 상기 C3/C2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삭제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우선평균값을 얻기 위해 예비 추적과 함께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한다:
ⅰ, C3가 약 9.0μM보다 큰 경우;
ⅱ, C3가 약 7.0μM보다 크고 상기 C3/C2가 상기 C3/C2 플래그 역치보다 크거나, 또는 C3/C16이 상기 C3/C16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삭제
상기 과정은 반복되어 특정 추적 프로토콜(43)에의 적용을 위한 평균값을 얻게 되며, 궁극적으로 프로피온산혈증을 위한 진단적 보조에 이르게 된다.
도 5는 여과지상의 건조된 혈점이 유도체화되고 탄뎀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스캔된 후 이소발레르산혈증의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에 사용된다. 전술한 대로 본 방법은 이소발레릴카르니틴의 상승 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농도에 대한 플래그 역치(50)를 이용하여 적용된다. 플래그 역치(50)는 이소발레릴카르니틴(C5) 농도가 0.8μM로 정하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분석(51)에 대한 기준 및 즉각적인 재분석(52)에 대한 기준이 플래그 역치(50)와 관련하여 보여진다. 이소발레릴카르니틴 농도(C5)가 C5 플래그 역치(50)와 같거나 큰 경우, C5의 평균값을 얻기 위하여 후속적인 재분석(51)을 수행한다.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이소발레릴카르니틴(C5)의 우선평균값을 얻기 위해 예비 추적과 함께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한다:
ⅰ. 상기 C5가 약 2.0μM보다 큰 경우;
ⅱ. 상기 C5가 약 1.0μM보다 크고 프로피오닐카르니틴 농도(C3)[도 4]가 약 2.5μM보다 큰 경우.
상기 과정은 반복되어 특정 추적 프로토콜(53)에의 적용을 위한 평균값을 얻게 되며, 궁극적으로 이소발레르산혈증을 위한 진단적 보조에 이르게 된다.
도 6은 여과지상의 건조된 혈점이 유도체화되고 탄뎀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스캔된 후 고메치오닌혈증의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에 사용된다. 전술한 대로 본 방법은 메치오닌의 상승 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농도에 대한 플래그 역치(60)를 이용하여 적용된다. 플래그 역치(60)는 메치오닌 농도(met)가 60μM, 메치오닌과 페닐알라닌의 몰비(met/phe) 역치가 1로 정하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분석(61)에 대한 기준 및 즉각적인 재분석(62)에 대한 기준이 플래그 역치와 관련하여 보여진다.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평균값을 얻기 위한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한다:
ⅰ. met가 상기 met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ⅱ. met가 약 50μM보다 크고 상기 met/phe가 상기 met/phe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우선평균값을 얻기 위해 예비 추적과 함께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한다:
ⅰ. met가 약 150μM보다 큰 경우;
ⅱ. met가 약 125 μM보다 크고 상기 met/phe가 약 1.25보다 큰 경우.
상기 과정은 반복되어 특정 추적 프로토콜(63)에의 적용을 위한 평균값을 얻게 되며, 궁극적으로 고메치오닌혈증을 위한 진단적 보조에 이르게 된다.
도 7은 여과지상의 건조된 혈점이 유도체화되고 탄뎀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스캔된 후 글루타르산혈증의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에 사용된다. 전술한 대로 본 방법은 글루타릴카르니틴의 상승 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든 농도와 몰비에 대한 플래그 역치(70)를 이용하여 적용된다. 플래그 역치(70)는 글루타릴카르니틴 농도(C5DC) 플래그 역치가 0.17μM이고, 글루타릴카르니틴과 팔미토일카르니틴의 몰비(C5DC:C16) 역치가 0.12로 정하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분석(71)에 대한 기준 및 즉각적인 재분석(72)에 대한 기준이 플래그 역치(71)와 관련하여 보여진다.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평균값을 얻기 위한 후속적인 재분석(71)을 수행한다:
ⅰ. C5DC가 상기 C5DC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ⅱ. C5DC:C16가 상기 C5DC:C16 플래그 역치보다 크고 상기 C5DC가 약 0.14μM보다 큰 경우.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우선평균값을 얻기 위해 예비 추적과 함께 즉각적인 재분석(72)을 수행한다:
ⅰ. C5DC가 약 0.4μM보다 큰 경우;
ⅱ. C5DC가 약 0.2μM보다 크고 상기 C5DC:C16가 약 0.2μM보다 큰 경우.
상기 과정은 반복되어 특정 추적 프로토콜(73)에의 적용을 위한 평균값을 얻게 되며, 궁극적으로 글루타르산혈증을 위한 진단적 보조에 이르게 된다.
도 8은 여과지상의 건조된 혈점이 유도체화되고 탄뎀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스캔된 후 페닐키톤뇨증(PKU)의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에 사용된다. 전술한 대로 본 방법은 페닐알라닌(phe) 또는 티로신(tyr)의 상승 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든 농도와 몰비에 대한 플래그 역치(80)를 이용하여 적용된다. 플래그 역치(80)는 페닐알라닌 농도(phe)는 130μM, 티로신 농도(tyr)는 350μM, 페닐알라닌과 티로신의 몰비(phe/tyr)는 2.5로 정하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분석(81)에 대한 기준 및 즉각적인 재분석(82)에 대한 기준이 플래그 역치와 관련하여 보여진다.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평균값을 얻기 위한 후속적인 재분석(81)을 수행한다:
ⅰ. phe가 상기 phe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ⅱ. tyr이 상기 tyr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ⅲ. phe/tyr이 상기 phe/tyr 플래그 역치보다 크고 phe가 약 100μM보다 큰 경우.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우선평균값을 얻기 위해 예비 추적과 함께 즉각적인 재분석(82)을 수행한다:
ⅰ. phe가 약 240μM 보다 큰 경우;
ⅱ. phe가 약 180μM 보다 크고 phe/tyr이 phe/tyr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과정은 반복되어 특정 추적 프로토콜(83)에의 적용을 위한 평균값을 얻게 되며, 궁극적으로 페닐키톤뇨증(PKU)을 위한 진단적 보조에 이르게 된다.
도 9는 여과지상의 건조된 혈점이 유도체화되고 탄뎀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스캔된 후 단풍당밀뇨질환(MSUD)의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에 사용된다. 전술한 대로 본 방법은 류신의 상승 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든 농도와 몰비에 대한 플래그 역치(90)를 이용하여 적용된다. 플래그 역치는 류신과 이소류신 조합의 농도(leu+ile)가 325μM; 발린 농도(val)가 300μM; 류신과 페닐알라닌의 몰비(leu/phe)가 8.0; 류신과 알라닌의 몰비(leu/ala)가 2.25로 정하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분석(91)에 대한 기준 및 즉각적인 재분석(92)에 대한 기준이 플래그 역치와 관련하여 보여진다.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평균값을 얻기 위한 후속적인 재분석(91)을 수행한다:
ⅰ. leu+ile가 약 400μM보다 큰 경우;
ⅱ. leu+ile가 약 350μM보다 크고 val이 상기 val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ⅲ. leu+ile가 상기 leu+ile 플래그 역치보다 크고 leu/ala가 상기 leu/ala 플래그 역치보다 크거나, 또는 leu/phe이 상기 leu/phe 플래그 역치보다 크고 val 이 상기 val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우선평균값을 얻기 위해 예비추적과 함께 즉각적인 재분석(92)을 수행한다:
ⅰ. leu+ile가 약 500μM 보다 큰 경우;
ⅱ. leu+ile가 약 400μM보다 크고, leu/phe가 상기 leu/phe 플래그 역치보다 크고, leu/ala가 상기 leu/ala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과정은 반복되어 특정 추적 프로토콜(93)에의 적용을 위한 평균값을 얻게 되며, 궁극적으로 단풍당밀뇨질환(MSUD)을 위한 진단적 보조에 이르게 된다.
도 10은 여과지상의 건조된 혈점이 유도체화되고 탄뎀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스캔된 후 시트룰린혈증의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에 사용된다. 전술한 대로 본 방법은 시트룰린의 상승 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농도에 대한 플래그 역치(100)를 이용하여 적용된다. 플래그 역치(100)는 완전한 스캔 뒤 결정되는 시트룰린 농도(cit)가 55μM, mrm 스캔 뒤 결정되는 시트룰린의 농도(cit[mrm])가 55μM로 정하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분석(101)에 대한 기준 및 즉각적인 재분석(102)에 대한 기준이 플래그 역치와 관련하여 보여진다.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평균값을 얻기 위한 후속적인 재분석(101)을 수행한다:
ⅰ. cit 또는 cit[mrm]이 cit 플래그 역치 또는 cit[mrm]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우선평균값을 얻기 위해 예비 추적과 함께 즉각적인 재분석(102)을 수행한다:
ⅰ. cit가 약 100μM 보다 큰 경우.
상기 과정은 반복되어 특정 추적 프로토콜(103)에의 적용을 위한 평균값을 얻게 되며, 궁극적으로 시트룰린혈증을 위한 진단적 보조에 이르게 된다.
도 11은 여과지상의 건조된 혈점이 유도체화되고 탄뎀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스캔된 후 중쇄아실코에이탈수소효소(MCAD) 부족증의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에 사용된다. 전술한 대로 본 방법은 옥타노일카르니틴의 상승 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든 농도와 몰비에 대한 플래그 역치(110)를 이용하여 적용된다. 플래그 역치(110)는 옥타노일 카르니틴 농도(C8)에 대하여 0.35μM, 옥타노일 카르니틴과 팔미토일 카르니틴의 몰비(C8/C16)에 대하여 0.28, 헥사노일 카르니틴 농도(C6)에 대하여 0.16μM, 데케노일 카르니틴 농도(C10:1)에 대하여 0.32μM, 데카노일 카르니틴 농도(C10)에 대하여 0.42μM로 정하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분석(111)에 대한 기준 및 즉각적인 재분석(112)에 대한 기준이 플래그 역치와 관련하여 보여진다.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평균값을 얻기 위한 후속적인 재분석(111)을 수행한다:
ⅰ. C8이 약 0.4μM과 같거나 큰 경우;
ⅱ. C8이 약 0.3μM 보다 크고 C8/C16이 약 0.15보다 큰 경우;
ⅲ. C8이 약 0.3μM 보다 크고 C6가 약 0.2μM 보다 크거나, 또는 C10:1 가 약 0.2μM보다 크고 C10이 낮은 아세틸 플래그와 약 0.3μM보다 큰 경우;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우선평균값을 얻기 위해 예비 추적과 함께 즉각적인 재분석(112)을 수행한다:
ⅰ. C8가 약 1.0μM 보다 큰 경우;
ⅱ. C8가 약 0.5μM 보다 크고 C8/C16이 0.35보다 크거나, 또는 C6가 약 0.3μM 보다 크며 C10:1가 약 0.3μM 보다 큰 경우.
상기 과정은 반복되어 특정 추적 프로토콜(113)에의 적용을 위한 평균값을 얻게 되며, 궁극적으로 중쇄아실코에이탈수소효소(MCAD) 부족증을 위한 진단적 보조에 이르게 된다.
도 12는 여과지상의 건조된 혈점이 유도체화되고 탄뎀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스캔된 후 장쇄아실코에이탈수소효소(VLCAD) 부족증의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에 사용된다. 전술한 대로 본 방법은 미리스토일카르니틴의 상승 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든 농도와 몰비에 대한 플래그 역치(120)를 이용하여 적용된다. 플래그 역치(120)는 포화 미리스토일카르니틴 농도(C14)에 대하여 0.85μM, 불포화 미리스토일카르니틴(C14:1)에 대하여 0.70μM, C14:1과 팔미토일 카르니틴의 몰비에 대하여 0.24로 정하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분석(121)에 대한 기준 및 즉각적인 재분석(122)에 대한 기준이 플래그 역치와 관련하여 보여진다.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평균값을 얻기 위한 후속적인 재분석(121)을 수행한다:
ⅰ. C14가 C14 플래그 역치보다 크거나 또는 C14:1가 C14:1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ⅱ. C14가 약 0.75μM 보다 크거나, 또는 C14:1이 약 0.65μM보다 크고 C14:1/C16이 약 0.24보다 큰 경우.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우선평균값을 얻기 위해 예비 추적과 함께 즉각적인 재분석(122)을 수행한다:
ⅰ. C14가 약 2.0μM 보다 크거나, 또는 C14:1이 약 1.5μM보다 큰 경우;
ⅱ. C14가 약 1.5μM 보다 크고, C14:1이 약 1.0μM보다 크고, C14:1/C16이 약 0.3보다 큰 경우.
상기 과정은 반복되어 특정 추적 프로토콜(123)에의 적용을 위한 평균값을 얻게 되며, 궁극적으로 장쇄아실코에이탈수소효소(VLCAD) 부족증을 위한 진단적 보조에 이르게 된다.
도 13은 여과지상의 건조된 혈점이 유도체화되고 탄뎀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스캔된 후 크로토닐코에이카르복실라제(crotonyl co-A carboxylase) 부족증의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에 사용된다. 전술한 대로 본 방법은 히드록시C5의 상승 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든 농도에 대한 플래그 역치(130)를 이용하여 적용된다. 플래그 역치(130)는 히드록시C5의 농도(C5OH)에 대하여 0.85μM, C5:1농도에 대하여 0.35로 정하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분석(131)에 대한 기준 및 즉각적인 재분석(132)에 대한 기준이 플래그 역치와 관련하여 보여진다.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평균값을 얻기 위한 후속적인 재분석(131)을 수행한다:
ⅰ. C5OH가 C5OH 플래그 역치와 같거나 큰 경우;
ⅱ. C5:1이 C5:1 플래그 역치와 같거나 큰 경우.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우선평균값을 얻기 위해 예비 추적과 함께 즉각적인 재분석(132)를 수행한다:
ⅰ. C5OH가 약 3.0μM 보다 큰 경우;
ⅱ. C5:1이 약 1.0μM 보다 큰 경우.
상기 과정은 반복되어 특정 추적 프로토콜(133)에의 적용을 위한 평균값을 얻게 되며, 궁극적으로 크로토닐코에이카르복실라제(crotonyl co-A carboxylase) 부족증을 위한 진단적 보조에 이르게 된다.
C5OH는 히드록시이소발레릴카르니틴 및/또는 히드록시메틸부틸카르니틴의 약어인 히드록시C5(hydroxy-C5)를 표시한다. C5:1은 티그릴카르니틴(tiglylcarnitine)으로 알려져 있는 불포화형태를 말한다.
결론적으로, 각 대사물질에 특유한 각 결정 계통수에 의하여 또는 각 대사물질에 특유한 해석 지침에 의하여, 본 방법은 얻어진 자료를 정량화하고 의사에게 보고할 수 있게 하여, 혈액 대사물질의 편차(상승 또는 부족)로 인한 유전적 질환의 진단을 보조한다. 본 방법은 의사에게 대사물질의 상승 또는 부족으로 인해 부가적인 시험 및/또는 임상적 평가(체크업(check up), 검사 등)가 필요한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최종 진단을 확인할 수 있다. 특정 농도에 대한 플래그 역치 값과 몰비 플래그 역치값은 아실카르니틴과 아미노산 자료의 정확하고 일관적인 해석을 위하여 반드시 정량화되어야 한다.
[용어]
도 4-13과 관련하여 "약"은 각 도의 기준값의 ±15 %를 의미하며, 각 값은 플래그 역치에 종속된다. 여과지의 특성, 질병의 특성에 관한 새로운 시각, 새로이 발견된 질병, 샘플 채취방법, 기법의 변화, 품질보증 프로그램의 수정 등으로 인하여 플래그 역치값에 변동이 있는 경우에는, 모든 추적의 기준값 또한 상대적으로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에서 나타난 모든 값은 바람직한 값이며, 이는 최대 ±15 % 정도의 동요를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효소 또는 조인자(cofactor)의 결함에서 기인되는 선천적 대사이상을 탐지하는 측정을 정량화한다. 유전적 이상은 궁극적으로 혈점으로부터 얻어진 아미노산과 아실카르니틴의 대사 프로파일을 통하여 진단할 수 있다. 어떠한 대사질환을 가지고 태어난 신생아는 며칠 내로 치료받지 못하면 사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신생아의 혈액 샘플에서 MS-MS(탄뎀질량분석기) 자료를 얻은 후, 이를 효과적으로 미리 결정된 각종 대사 농도 역치와 관련하여 해석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해석은 광범위한 유전적 이상에 대한 신생아의 진단 및 추적 시험에 필요한 올바른 의사결정을 가능케 한다.

Claims (26)

  1. (1) 복수의 대사물질 농도 및 복수의 몰비 농도가 포함된 값을 포함하는 자료를 얻는 단계;
    (2) 상기 대사물질 농도 및 상기 몰비 농도에 대한 각각의 농도 플래그 역치 및 몰비 플래그 역치를 진단적 한계로서 포함하는 특정 대사물질에 대하여 참조된 각 결정 계통수에 상기 값을 인가하는 단계;
    (3) 상기 값과 상기 농도 플래그 역치 및 몰비 플래그 역치를 비교하는 단계;
    (4) 상기 값이 상기 농도 플래그 역치 또는 몰비 플래그 역치로부터 편차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5) 상기 값이 상기 농도 플래그 역치 및 몰비 플래그 역치로부터 편차가 없는 경우, 샘플은 상기 대사물질에 대하여 정상으로 해석하는 단계;
    (6) 상기 값 중 어느 것이라도 상기 농도 플래그 역치 또는 몰비 플래그 역치로부터 편차가 있는 경우, 샘플은 편차가 명백하다고 해석하는 단계;
    (7) 상기 대사물질 각각에 대하여 특유한 재분석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편차가 유의적인지 또는 미미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8) 상기 편차가 미미한 경우,
    상기 (1)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상기 값의 평균을 구하여 평균값을 얻는 단계;
    상기 평균값을 사용하여 상기 (2) 내지 (3)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및
    상기 평균값을 추적 프로토콜에 적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및
    (9) 상기 편차가 유의적인 경우,
    상기 샘플을 즉각적인 예비 추적을 하도록 우선화하는 단계;
    상기 (1)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상기 값의 평균을 구하여 우선평균값을 구하는 단계;
    상기 우선평균값을 사용하여 상기 (2) 내지 (3)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평균값을 상기 추적 프로토콜에 즉각적으로 적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과지상의 건조된 혈점으로부터 유도체화된 복수의 혈액샘플 내 복수의 혈액대사물질을 탄뎀질량분석기로 스캔하여 얻어진 자료를 신생아 임상 진단을 위하여 해석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물질 각각에 대하여 특유하고 상기 추적 프로토콜에 대한 코드가 부착되어 있는 추적 기준에 기초하여 진단적 목적에 비추어 상기 편차의 정도를 미미함, 보통 또는 유의적으로 해석하는 단계;
    상기 추적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정도가 미미함으로 해석되는 경우, 일상적 기초(routine basis)로서 상기 (1) 단계를 반복하여 셋째 값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추적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정도가 보통으로 해석되는 경우, 의사에게 보고하는 동시에 긴급한 기초(urgent basis)로서 상기 (1) 단계를 반복하여 셋째 값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추적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정도가 유의적으로 해석되는 경우, 부가적인 시험 및 전문가에의 문의와 동시에 긴급한 기초(urgent basis)로서 상기 (1) 단계를 반복하여 셋째 값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편차로부터 기인되는 유전적 이상의 진단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자료를 의사에게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생아에 대한 임상적 평가를 위한 추적 프로토콜을 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물질은 프로피오닐카르니틴, 이소발레릴카르니틴, 옥타노일카르니틴, 글루타릴카르니틴, 미리스토일카르니틴, 히드록시 C-5, 류신, 메치오닌, 페닐알라닌 및 시트룰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적 이상은 프로피온산혈증, MCAD 부족증, 시트룰린혈증, MSUD, PKU, VLCAD 부족증, 고메치오닌혈증, 이소발레르산혈증, 글루타르산혈증 및 크로토닐코에이카르복실라제 부족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1) 프로피오닐카르니틴 농도(C3), 프로피오닐카르니틴의 mrm scan과 아세틸카르니틴의 몰비(C3mrm/C2)와 프로피오닐카르니틴과 팔미토일카르니틴의 몰비(C3/C16)로 이루어진 값이 포함된 자료를 얻는 단계;
    (2) 상기 C3, 상기 C3mrm/C2, 상기 C3/C16에 대한 진단적 한계로서 각각 C3 플래그 역치, C3mrm/C2 플래그 역치, C3/C16 플래그 역치를 포함하는 프로피오닐카르니틴(C3) 결정 계통수에 상기 값을 인가하는 단계;
    (3) 상기 값과 상기 플래그 역치를 각각 비교하는 단계;
    (4) 상기 값 중 어느 한 값이라도 상기 플래그 역치와 비교시 상승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5) 상기 값 중 어떤 값에 대해서도 상승이 없는 경우 샘플은 프로피오닐카르니틴에 대하여 정상으로 해석하는 단계;
    (6)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평균값을 얻기 위하여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ⅰ. 상기 C3가 상기 C3 플래그 역치와 같거나 큰 경우;
    ⅱ. 상기 C3/C16가 상기 C3/C16 플래그 역치와 같거나 크고 상기 C3/C2가 상기 C3/C2 플래그 역치보다 크고 상기 C3가 약 2.5μM보다 큰 경우;
    ⅲ. 상기 C3가 약 4μM보다 크고, 상기 C3/C16이 상기 C3/C16 플래그 역치보다 크거나 상기 C3/C2가 상기 C3/C2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7)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우선평균값을 얻기 위해 예비 추적과 함께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ⅰ. 상기 C3가 약 9.0μM보다 크고;
    ⅱ. 상기 C3가 약 7.0μM보다 크고 상기 C3/C2가 상기 C3/C2 플래그 역치보다 크거나 상기 C3/C16이 상기 C3/C16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8) 상기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하거나 상기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한 경우 진단적 목적을 위해 상기 평균값 또는 상기 우선 평균값을 이용하여 추적 기준에 기초한 추적 프로토콜을 시작하는 단계; 및
    (9) 프로피온산혈증의 진단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자료를 의사에게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과지상의 건조된 혈점에서 유도체화되고 탄뎀질량분석기로 스캔하여 얻어진 자료(data)를 해석하여 프로피온산혈증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
  8. 삭제
  9. (1) 이소발레릴카르니틴 농도(C5) 및 프로피오닐카르니틴 농도(C3)로 이루어진 값이 포함된 자료를 얻는 단계;
    (2) 상기 이소발레릴카르니틴 농도(C5)에 대한 진단적 한계로서 C5 플래그 역치를 포함하는 이소발레릴카르니틴(C5) 결정 계통수에 상기 이소발레릴카르니틴 농도(C5)를 인가하는 단계 ;
    (3) 상기 C5와 상기 플래그 역치를 각각 비교하는 단계;
    (4) 상기 C5가 상기 플래그 역치와 비교시 상승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5) 상기 C5가 상기 플래그 역치에 비교하여 상승이 없는 경우 샘플은 이소발레릴카르니틴에 대하여 정상으로 해석하는 단계;
    (6) 상기 C5가 상기 C5 플래그 역치와 같거나 큰 경우 상기 C5의 평균값을 얻기 위하여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7)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상기 C5의 우선평균값을 얻기 위해 예비 추적과 함께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ⅰ. 상기 C5가 약 2.0μM보다 크고;
    ⅱ. 상기 C5가 약 1.0μM보다 크고 상기 C3가 약 2.5μM보다 큰 경우;
    (8) 상기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하거나 상기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한 경우 진단적 목적을 위해 상기 평균값 또는 상기 우선 평균값을 이용하여 추적 기준에 기초한 추적 프로토콜을 시작하는 단계; 및
    (9) 이소발레르산혈증의 진단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자료를 의사에게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과지상의 건조된 혈점에서 유도체화되고 탄뎀질량분석기로 스캔하여 얻어진 자료(data)를 해석하여 이소발레르산혈증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
  10. 삭제
  11. (1) 메치오닌 농도(met)와 메치오닌과 페닐알라닌의 몰비(met/phe)를 필수적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값이 포함된 자료를 얻는 단계;
    (2) 상기 메치오닌 농도(met)에 대한 진단적 한계로서 메치오닌 플래그 역치와 메치오닌과 페닐알라닌의 몰비의 플래그 역치를 포함하는 메치오닌 결정 계통수에 상기 값을 적용하는 단계;
    (3) 상기 값과 상기 플래그 역치를 각각 비교하는 단계;
    (4) 상기 값 중 어느 한 값이라도 상기 플래그 역치와 비교시 상승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5) 상기 값 중 어떤 값에 대해서도 상승이 없는 경우 샘플은 고메치오닌혈증에 대해 정상으로 해석하는 단계;
    (6)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평균값을 얻기 위하여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ⅰ. 상기 met가 상기 met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ⅱ. 상기 met가 약 50μM보다 크고 상기 met/phe가 상기 met/phe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7)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우선평균값을 얻기 위해 예비 추적과 함께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ⅰ. 상기 met가 약 150μM보다 크고;
    ⅱ. 상기 met가 약 125 μM보다 크고 상기 met/phe가 약 1.25보다 큰 경우;
    (8) 상기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하거나 상기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한 경우 진단적 목적을 위해 상기 평균값 또는 상기 우선 평균값을 이용하여 추적 기준에 기초한 추적 프로토콜을 시작하는 단계; 및
    (9) 고메치오닌혈증의 진단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자료를 의사에게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과지상의 건조된 혈점에서 유도체화되고 탄뎀질량분석기로 스캔하여 얻어진 자료(data)를 해석하여 고메치오닌혈증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
  12. 삭제
  13. (1) 글루타릴카르니틴(C5DC)와 글루타릴카르니틴과 팔미토일카르니틴의 몰비(C5DC:C16)로 이루어진 값이 포함된 자료를 얻는 단계;
    (2) 글루타릴카르니틴(C5DC)과 상기 C5DC:C16에 대한 진단적 한계로서 각각 C5DC 플래그 역치와 C5DC:C16 플래그 역치를 포함하는 글루타릴카르니틴(C5DC) 결정 계통수에 상기 값을 인가하는 단계;
    (3) 상기 값과 상기 플래그 역치를 각각 비교하는 단계;
    (4) 상기 값과 상기 플래그 역치와 비교시 상승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5) 상기 값 중 어떤 값에 대해서도 상승이 없는 경우 샘플은 글루타르산혈증에 대해 정상으로 해석하는 단계;
    (6)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평균값을 얻기 위하여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ⅰ. 상기 C5DC가 상기 C5DC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ⅱ. 상기 C5DC:C16가 상기 C5DC:C16 플래그 역치보다 크고 상기 C5DC가 약 0.14μM보다 큰 경우;
    (7)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우선평균값을 얻기 위해 예비 추적과 함께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ⅰ. 상기 C5DC가 약 0.4μM 보다 큰 경우;
    ⅱ. 상기 C5DC가 약 0.2μM보다 크고 상기 C5DC:C16가 약 0.2μM보다 큰 경우;
    (8) 상기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하거나 상기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한 경우 진단적 목적을 위해 상기 평균값 또는 상기 우선 평균값을 이용하여 추적 기준에 기초한 추적 프로토콜을 시작하는 단계; 및
    (9) 글루타르산혈증의 진단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자료를 의사에게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과지상의 건조된 혈점에서 유도체화되고 탄뎀질량분석기로 스캔하여 얻어진 자료(data)를 해석하여 글루타르산혈증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
  14. 삭제
  15. (1) 페닐알라닌 농도(phe), 티로신 농도(tyr) 및 페닐알라닌과 티로신의 몰비(phe/try)를 필수적 구성요소로 하는 값이 포함된 자료를 얻는 단계;
    (2) 페닐알라닌 농도(phe), 티로신 농도(tyr) 와 페닐알라닌과 티로신의 몰비(phe/try) 각각에 대한 진단적 한계로서 페닐알라닌 플래그 역치, 티로신 플래그 역치, phe/try 플래그 역치를 포함하는 페닐알라닌(phe) 결정 계통수에 상기 값을 인가하는 단계;
    (3) 상기 값과 상기 플래그 역치를 각각 비교하는 단계;
    (4) 상기 값 중 어느 한 값이라도 상기 플래그 역치와 비교시 상승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5) 상기 값 중 어떤 값에 대해서도 상승이 없는 경우 샘플은 페닐키톤뇨증에 대해 정상으로 해석하는 단계;
    (6)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평균값을 얻기 위하여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ⅰ. 상기 phe이 상기 phe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ⅱ. 상기 tyr이 상기 tyr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ⅲ. 상기 phe/tyr이 상기 phe/tyr 플래그 역치보다 크고, 상기 phe이 약 100 μM보다 큰 경우;
    (7)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우선평균값을 얻기 위해 예비 추적과 함께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ⅰ. 상기 phe이 약 240 μM보다 큰 경우;
    ⅱ. 상기 phe이 약 180 μM보다 크고, 상기 phe/tyr이 상기 phe/tyr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8) 상기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하거나 상기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한 경우 진단적 목적을 위해 상기 평균값 또는 상기 우선평균값을 이용하여 추적 기준에 기초한 추적 프로토콜을 시작하는 단계; 및
    (9) 페닐키톤뇨증의 진단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자료를 의사에게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과지상의 건조된 혈점에서 유도체화되고 탄뎀질량분석기로 스캔하여 얻어진 자료(data)를 해석하여 페닐키톤뇨증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
  16. 삭제
  17. (1) 류신+이소류신 농도(leu+ile), 발린 농도(val), 류신과 페닐알라닌의 몰비(leu/phe), 류신과 알라닌의 몰비(leu/ala)로 이루어진 값이 포함된 자료를 얻는 단계;
    (2) 상기 류신+이소류신 농도(leu+ile), 상기 발린 농도(val), 상기 류신과 페닐알라닌의 몰비(leu/phe), 류신과 알라닌의 몰비(leu/ala) 각각에 대한 진단적 한계로서 류신+이소류신 농도 플래그 역치, 발린 플래그 역치, 류신과 페닐알라닌의 몰비 플래그 역치, 류신과 알라닌의 몰비 플래그 역치를 포함하는 류신(leu) 결정 계통수에 상기 값을 인가하는 단계;
    (3) 상기 값과 상기 플래그 역치를 각각 비교하는 단계;
    (4) 상기 값 중 어느 한 값이라도 상기 플래그 역치와 비교시 상승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5) 상기 값 중 어떤 값에 대해서도 상승이 없는 경우 샘플은 단풍당밀뇨질환에 대해 정상으로 해석하는 단계;
    (6)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평균값을 얻기 위하여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ⅰ. 상기 leu+ile가 약 400μM보다 큰 경우;
    ⅱ. 상기 leu+ile가 약 350μM보다 크고 상기 val이 상기 발린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ⅲ. 상기 leu+ile가 상기 leu+ile 플래그 역치보다 크고, 상기 leu/ala가 상기 leu/ala 플래그역치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leu/phe이 상기 leu/phe 플래그 역치보다 크고, 상기 val이 발린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7)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우선평균값을 얻기 위해 예비 추적과 함께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ⅰ.상기 leu+ile가 약 500μM 보다 큰 경우;
    ⅱ. 상기 leu+ile가 약 400μM보다 크고 상기 leu/phe가 상기 leu/phe 플래그 역치보다 크고 상기 leu/ala가 상기 leu/ala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8) 상기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하거나 상기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한 경우 진단적 목적을 위해 상기 평균값 또는 상기 우선 평균값을 이용하여 추적 기준에 기초한 추적 프로토콜을 시작하는 단계; 및
    (9) 단풍당밀뇨질환의 진단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자료를 의사에게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과지상의 건조된 혈점에서 유도체화되고 탄뎀질량분석기로 스캔하여 얻어진 자료(data)를 해석하여 단풍당밀뇨질환(MSUD)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
  18. 삭제
  19. (1) 시트룰린 농도(cit), mrm 스캔 후 시트룰린 농도(cit[mrm])로 이루어진 값이 포함된 자료를 얻는 단계;
    (2) 상기 시트룰린 농도(cit), 상기 mrm 스캔 후 시트룰린 농도(cit[mrm]) 각각에 대한 진단적 한계로서 시트룰린 농도(cit) 플래그 역치, mrm 스캔 후 시트룰린 농도(cit[mrm]) 플래그 역치를 포함하는 시트룰린(cit) 결정 계통수에 상기 값을 인가하는 단계;
    (3) 상기 값과 상기 플래그 역치를 각각 비교하는 단계;
    (4) 상기 값 중 어느 한 값이라도 상기 플래그 역치와 비교시 상승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5) 상기 값 중 어떤 값에 대해서도 상승이 없는 경우 샘플은 시트룰린혈증에 대해 정상으로 해석하는 단계;
    (6)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평균값을 얻기 위하여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ⅰ. 상기 cit 또는 상기 cit[mrm]이 상기 cit 플래그 역치 또는 상기 cit[mrm] 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7)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우선 평균값을 얻기 위해 예비 추적과 함께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ⅰ. 상기 cit이 약 100μM보다 큰 경우;
    (8) 상기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하거나 상기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한 경우 진단적 목적을 위해 상기 평균값 또는 상기 우선 평균값을 이용하여 추적 기준에 기초한 추적 프로토콜을 시작하는 단계; 및
    (9) 시트룰린혈증의 진단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자료를 의사에게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과지상의 건조된 혈점에서 유도체화되고 탄뎀질량분석기로 스캔하여 얻어진 자료(data)를 해석하여 시트룰린혈증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
  20. 삭제
  21. (1) 옥타노일카르니틴 농도(C8), 옥타노일카르니틴과 팔미토일카르니틴의 몰비(C8/C16), 헥사노일카르니틴 농도(C6), 데케노일카르니틴 농도(C10:1) 및 데카노일카르니틴 농도(C10)로 이루어진 값이 포함된 자료를 얻는 단계;
    (2) 상기 옥타노일카르니틴 농도(C8), 옥타노일카르니틴과 팔미토일카르니틴의 몰비(C8/C16), 헥사노일카르니틴 농도(C6), 데케노일카르니틴 농도(C10:1) 및 데카노일카르니틴 농도(C10) 각각에 대한 진단적 한계로서 옥타노일카르니틴 농도(C8) 플래그 역치, 옥타노일카르니틴과 팔미토일카르니틴의 몰비(C8/C16)의 플래그 역치, 헥사노일카르니틴 농도(C6)의 플래그 역치, 데케노일카르니틴 농도(C10:1)의 플래그 역치와 데카노일카르니틴 농도(C10) 플래그 역치를 포함하는 옥타노일카르니틴(C8) 결정 계통수에 상기 값을 적용하는 단계;
    (3) 상기 값과 상기 플래그 역치를 각각 비교하는 단계;
    (4) 상기 값 중 어느 한 값이라도 상기 플래그 역치와 비교시 상승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5) 상기 값 중 어떤 값에 대해서도 상승이 없는 경우 샘플은 중쇄아실코에이탈수소효소부족증에 대해 정상으로 해석하는 단계;
    (6)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평균값을 얻기 위하여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ⅰ. 상기 C8이 약 0.4μM과 같거나 큰 경우;
    ⅱ. 상기 C8이 약 0.3μM 보다 크고 상기 C8/C16이 약 0.15보다 큰 경우;
    ⅲ. 상기 C8이 약 0.3μM보다 크고 상기 C6가 약 0.2μM 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C10:1이 약 0.2μM보다 크고 상기 C10이 낮은 아세틸 플래그와 약 0.3μM보다 큰 경우;
    (7)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우선 평균값을 얻기 위해 예비 추적과 함께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ⅰ. 상기 C8가 약 1.0μM 보다 큰 경우;
    ⅱ. 상기 C8가 약 0.5μM보다 크고 상기 C8/C16이 약 0.35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C6가 약 0.3μM보다 크며 상기 C10:1가 약 0.3μM보다 큰 경우;
    (8) 상기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하거나 상기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한 경우 진단적 목적을 위해 상기 평균값 또는 상기 우선 평균값을 이용하여 추적 기준에 기초한 추적 프로토콜을 시작하는 단계; 및
    (9) 중쇄아실코에이탈수소효소부족증의 진단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자료를 의사에게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과지상의 건조된 혈점에서 유도체화되고 탄뎀질량분석기로 스캔하여 얻어진 자료(data)를 해석하여 중쇄아실코에이탈수소효소 부족증(MCAD)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
  22. 삭제
  23. (1) 포화 미리스토일카르니틴 농도(C14), 불포화 미리스토일카르니틴 농도(C14:1) 및 불포화 미리스토일카르니틴(C14:1)과 팔미토일카르니틴(C16)의 몰비로 이루어진 값이 포함된 자료를 얻는 단계;
    (2) 상기 포화 미리스토일카르니틴 농도(C14), 불포화 미리스토일카르니틴 농도(C14:1) 및 불포화 미리스토일카르니틴(C14:1)과 팔미토일카르니틴(C16)의 몰비 각각에 대한 진단적 한계로서 포화 미리스토일카르니틴 농도(C14)의 플래그 역치, 불포화 미리스토일카르니틴(C14:1)의 플래그 역치 및 C14:1과 팔미토일카르니틴(C16)의 몰비 플래그 역치를 포함하는 미리스토일카르니틴(C14) 결정 계통수에 상기 값을 인가하는 단계;
    (3) 상기 값과 상기 플래그 역치를 각각 비교하는 단계;
    (4) 상기 값 중 어느 한 값이라도 상기 플래그 역치와 비교시 상승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5) 상기 값 중 어떤 값에 대해서도 상승이 없는 경우 샘플은 장쇄아실코에이탈수소효소부족증에 대해 정상으로 해석하는 단계;
    (6)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평균값을 얻기 위하여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ⅰ. 상기 C14가 상기 C14 플래그 역치보다 크거나 상기 C14:1가 상기 C14:1플래그 역치보다 큰 경우;
    ⅱ. 상기 C14가 약 0.75μM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C14:1이 약 0.65μM보다 크고 상기 C14:1/C16이 약 0.24보다 큰 경우;
    (7)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우선 평균값을 얻기 위해 예비 추적과 함께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ⅰ. 상기 C14가 약 2.0μM보다 크거나 상기 C14:1이 약 1.5μM보다 큰 경우;
    ⅱ. 상기 C14가 약 1.5μM보다 크고 상기 C14:1이 약 1.0μM보다 크고 상기 C14:1/C16이 약 0.3보다 큰 경우;
    (8) 상기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하거나 상기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한 경우 진단적 목적을 위해 상기 평균값 또는 상기 우선 평균값을 이용하여 추적 기준에 기초한 추적 프로토콜을 시작하는 단계; 및
    (9) 장쇄아실코에이탈수소효소부족증 진단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자료를 의사에게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과지상의 건조된 혈점에서 유도체화되고 탄뎀질량분석기로 스캔하여 얻어진 자료(data)를 해석하여 장쇄아실코에이탈수소효소 부족증(VLCAD)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
  24. 삭제
  25. (1) 히드록시C5(C5OH)와 티그릴카르니틴(C5:1)으로 이루어진 값이 포함된 자료를 얻는 단계;
    (2) 상기 C5OH와 상기 C5:1의 각각에 대한 진단적 한계로서 C5OH의 플래그 역치와 C5:1의 플래그 역치를 포함하는 히드록시-C5(C5OH) 결정 계통수에 상기 값을 인가하는 단계;
    (3) 상기 값과 상기 플래그 역치를 각각 비교하는 단계;
    (4) 상기 값 중 어느 한 값이라도 상기 플래그 역치와 비교시 상승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5) 상기 값 중 어떤 값에 대해서도 상승이 없는 경우 샘플은 크로토닐코에이카르복실라제 부족증에 대해 정상으로 해석하는 단계;
    (6)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평균값을 얻기 위하여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ⅰ. 상기 C5OH가 상기 C5OH 플래그 역치와 같거나 큰 경우;
    ⅱ. 상기 C5:1이 상기 C5:1 플래그역치와 같거나 큰 경우;
    (7)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는 경우 우선 평균값을 얻기 위해 예비 추적과 함께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ⅰ. 상기 C5OH가 약 3.0μM보다 큰 경우;
    ⅱ. 상기 C5:1이 약 1.0μM보다 큰 경우;
    (8) 상기 후속적인 재분석을 수행하거나 상기 즉각적인 재분석을 수행한 경우 진단적 목적을 위해 상기 평균값 또는 상기 우선 평균값을 이용하여 추적 기준에 기초한 추적 프로토콜을 시작하는 단계; 및
    (9) 크로토닐코에이카르복실라제 부족증의 진단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자료를 의사에게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과지상의 건조된 혈점에서 유도체화되고 탄뎀질량분석기로 스캔하여 얻어진 자료(data)를 해석하여 크로토닐코에이카르복실라제 부족증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
  26. 삭제
KR1020037007436A 2000-12-12 2000-12-12 임상적 진단을 위한 탄뎀질량분석기 자료를 해석하는 방법 KR1005726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0/033790 WO2002048697A1 (en) 2000-12-12 2000-12-12 Method for interpreting tandem mass spectrometry data for clinical diagnos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358A KR20030072358A (ko) 2003-09-13
KR100572619B1 true KR100572619B1 (ko) 2006-04-24

Family

ID=21742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436A KR100572619B1 (ko) 2000-12-12 2000-12-12 임상적 진단을 위한 탄뎀질량분석기 자료를 해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412727B1 (ko)
KR (1) KR100572619B1 (ko)
AT (1) ATE521895T1 (ko)
AU (2) AU2260901A (ko)
BR (1) BR0017383A (ko)
MX (1) MXPA03005021A (ko)
WO (1) WO200204869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098B1 (ko) 2022-06-07 2023-09-01 (재)씨젠의료재단 신생아의 선천성 대사 이상 검사에 대한 소견 생성 자료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74100B1 (ko) 2022-06-07 2023-09-01 (재)씨젠의료재단 신생아의 선천성 대사 이상 검사에 대한 소견 생성 자료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2535A1 (en) * 2006-11-01 2008-05-01 Chace Donald H Measuring thyroxine levels from dried blood samples using mass spectrometry
KR101034900B1 (ko) * 2010-05-26 2011-05-17 정구조안전진단(주) 어스앵커용 3d 브라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5426A (en) * 1987-03-13 1994-11-15 The University Of Maryland Advanced signal processing methodology for the detection, localization and quantification of acute myocardial ischemia
US5251126A (en) * 1990-10-29 1993-10-05 Miles Inc. Diabetes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method
US5072115A (en) * 1990-12-14 1991-12-10 Finnigan Corporation Interpretation of mass spectra of multiply charged ions of mixtures
US5878746A (en) * 1993-08-25 1999-03-09 Lemelson; Jerome H. Computerized medical diagnostic system
US5453613A (en) * 1994-10-21 1995-09-26 Hewlett Packard Company Mass spectra interpretation system including spectra extraction
US5545895A (en) 1995-03-20 1996-08-13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of standardizing data obtained through mass spectrometr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linical chemistry vol. 44, no. 12(1998), 2405-2409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098B1 (ko) 2022-06-07 2023-09-01 (재)씨젠의료재단 신생아의 선천성 대사 이상 검사에 대한 소견 생성 자료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74100B1 (ko) 2022-06-07 2023-09-01 (재)씨젠의료재단 신생아의 선천성 대사 이상 검사에 대한 소견 생성 자료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358A (ko) 2003-09-13
BR0017383A (pt) 2004-02-03
EP1412727A4 (en) 2004-12-29
WO2002048697A1 (en) 2002-06-20
MXPA03005021A (es) 2004-09-10
AU2260901A (en) 2002-06-24
EP1412727B1 (en) 2011-08-24
AU2001222609B2 (en) 2006-04-13
ATE521895T1 (de) 2011-09-15
EP1412727A1 (en)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4621B2 (en) Method for interpreting tandem mass spectrometry data for clinical diagnosis of genetic disorders such as hypermethionemia
EP1299720B1 (en) Clinical method for the genetic screening of newborns using tandem mass spectrometry
Wiley et al. Newborn screening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12 months' experience in NSW Australia
Chace et al. Laboratory integration and utilization of tandem mass spectrometry in neonatal screening: a model for clinical mass spectrometry in the next millennium
EP1996923B1 (en) Methods for distinguishing isomers using mass spectrometry
US6455321B1 (en) Method for interpreting tandem mass spectrometry data for clinical diagnosis
US7531364B2 (en) Clinical method for the genetic screening of newborns using tandem mass spectrometry
EP0695805B1 (de) Verfahren zur Analyse einer medizinischen Probe unter Vermeidung von Störbeiträgen aufgrund von Hämolyse
KR100572619B1 (ko) 임상적 진단을 위한 탄뎀질량분석기 자료를 해석하는 방법
JP5522365B2 (ja) 代謝物の異常度の取得方法、代謝異常の判定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代謝物の異常度の取得装置、及び代謝異常の判定に基づく診断プログラム
AU2001222609A1 (en) Method for Interpreting Tandem Mass Spectrometry Data for Clinical Diagnosis
US201400510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nalysis Of Biological Samples
AU2006200474A1 (en) Method for interpreting tandem mass spectrometry data for clinical diagnosis of genetic disorders such as citrullinemia
AU2006200476B2 (en) Method for interpreting tandem mass spectrometry data for clinical diagnosis
AU2006200477A1 (en) Method for interpreting tandem mass spectrometry data for clinical diagnosis of genetic disorders such as hypermethionemia
AU2006200472A1 (en) Clinical method for the genetic screening of newborns using tandem mass spectrometry
AU2006200473A1 (en) Clinical method for the genetic screening of newborns using tandem mass spectrometry
AU2006200475A1 (en) Method for interpreting tandem mass spectrometry data for clinical diagnosis
Sant Quantification of haemoglobin A2 for mass screening of major haemoglobinopathies
CN117849159A (zh) M蛋白的检测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10185870A (ja) 測定データの取得・評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