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596B1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596B1
KR100572596B1 KR1020040039795A KR20040039795A KR100572596B1 KR 100572596 B1 KR100572596 B1 KR 100572596B1 KR 1020040039795 A KR1020040039795 A KR 1020040039795A KR 20040039795 A KR20040039795 A KR 20040039795A KR 100572596 B1 KR100572596 B1 KR 100572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air
air conditioner
blade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4741A (ko
Inventor
황태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9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2596B1/ko
Publication of KR20050114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6Drip trays for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0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with outlet air in upward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2Weather protecting means, e.g. against wind, rain or sn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토출형 실외기의 팬가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상방으로 토출되도록 토출구가 상부에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상방으로 안내하고, 상기 토출구로 낙하는 빗물을 토출구 바깥쪽으로 배수하기 위한 다수의 블레이드유닛을 포함하는 팬가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따르면, 토출되는 공기가 기류의 큰 변화없이 전체적으로 상방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종래의 팬가드에 비하여 토출기류의 유동저항이 감소되고, 따라서 응축기에서의 열교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공기조화기, 실외기, 상부토출형, 팬가드, 블레이드.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2의 III-III선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단면도.
도4는 도2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블레이드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1: 격판
12: 기계실 13: 열교환실
14, 15: 흡입구 16: 토출구
17: 응축기 18: 송풍팬
20: 압축기 30: 팬가드
31: 블레이드유닛 31a: 지지대
31b: 블레이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토출형 실외기의 팬가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증발기를 기본 구성으로 하는 냉동사이클에 의해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들 냉동사이클이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일체형과, 증발기와 응축기가 각각 별도의 유닛에 구성되는 분리형으로 구분된다.
분리형 공기조화기에는 압축기와 응축기 등을 구비하는 실외기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실외기의 일 예로서 도1에는 건물 옥상 등에 설치되는 대용량의 공기조화기 실외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외기 내부는 상하로 구획되어 하부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등이 설치되는 기계실을 구비하며 상부에는 실외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가 설치되는 열교환실이 구비된다.
열교환실에 마련되는 응축기는 하우징(1)의 내벽면을 따라 설치되며, 하우징(1)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4,5)가 마련된다. 하우징(1)의 상부에는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6)가 마련되며, 토출구(6)의 안쪽에는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기 위한 유동력을 발생시키는 팬이 마련된다.
그리고 하우징(1)의 상부에는 빗물 등이 토출구(6)를 통해 실외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팬가드(7)가 마련된다. 빗물이 실외기 내부로 침투되면 내부기기들을 부식시켜 수명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고, 특히 내부 기기들의 운전 을 제어하는 PCB기판 등에 유입되면 기기의 오작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팬가드(7)는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상방에서 측방으로 꺾어주게 되는데, 기류의 방향전환 각도가 커서 유동저항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 응축기에서의 열교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외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의 방향전환 각도를 최소화하여 토출 기류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키고, 응축기에서의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외기의 토출구로 빗물 및 기타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실외기의 수명 단축과, 기기 오작동 등의 방지할 수 있는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상방으로 토출되도록 토출구가 상부에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상방으로 안내하고, 상기 토출구로 낙하는 빗물을 토출구 바깥쪽으로 배수하기 위한 다수의 블레이드유닛을 포함하는 팬가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유닛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마련되어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집수되는 빗물이 상기 지지대 측으로 모이도록 지지대 측으로 갈수록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집수된 빗물이 용이하게 자연배수 되도록 그 길이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는 각도구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쌍을 이루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한 쌍 이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유닛은 상방에서 보았을 때 인접 블레이드가 서로 겹치거나 적어도 빈틈없이 연속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III-III선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을 구비하고, 하우징(10) 내부 공간은 수평으로 설치되는 격판(11)에 의해 하측의 기계실(12)과 상측의 열교환실(13)로 구획된다. 하우징(10)의 측면에는 실외 공기 를 하우징(10)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4,15)가 마련된다. 흡입구(14,15)는 하우징(10) 측면 하부에 마련되어 흡입된 공기가 기계실(12)로 유입되게 하는 기계실 측 흡입구(15)와, 하우징(10) 측면 상부에 마련되어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실(13)로 유입되게 하는 열교환실 측 흡입구(14)로 구분된다. 하우징(10) 상부에는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6)가 형성되며, 이 토출구(16)의 상부에는 빗물이 토출구(16)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다수의 블레이드유닛(31)으로 구성되는 팬가드(30) 가 마련된다.
기계실(12)에는 실내기(미도시)에서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20)와, 냉매가 상기 압축기(20)로 유입되기 전 액냉매를 걸러내기 위한 어큐뮬레이터(21)가 구비된다. 열교환실(13)에는 압축기(20)에서 압축된 냉매를 실외공기와 열교환시켜 액상으로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17)가 구비된다. 이 응축기(17)는 흡입되는 실외공기와의 열교환이 용이하도록 흡입구(14)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열교환실(13)의 상부에는 실외공기를 하우징(10) 내부로 흡입하고 이를 다시 토출하기 위한 유동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18)이 구비된다. 이 송풍팬(18)은 송풍력이 높은 축류형 팬이 사용된다. 송풍팬(18)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19)는 하우징(10) 내측 상부를 횡단하도록 설치되는 모터고정브라켓(19a)을 통해 고정된다.
한편 격판(11)에는 다수의 통공(11a)이 형성되어 있어 기계실 측 흡입구(15)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압축기(20)를 냉각시킨 후 열교환실(13)을 거쳐 외부로 토출된다.
팬가드(30)는 소정의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블레이드유닛(31) 으로 구성된다. 이 블레이드유닛(31)은 하우징(10)에 지지되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공기의 송풍방향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판상의 지지대(31a)와, 이 지지대(31a)에 마련되어 토출구(16)로 낙하하는 빗물을 받기 위한 한 쌍의 블레이드(31b)로 구성된다. 이 한 쌍의 블레이드(31b)는 'V'자 형상, 즉 지지대(31a)쪽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빗물이 토출구(16)로 떨어지지 않고 지지대(31a) 쪽으로 모이도록 해준다. 블레이드(31b)는 토출공기의 흐름을 크게 방해하지 않도록 경사각도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레이드(31b)에 고인 빗물이 자연배수 되도록 블레이드(31b)는 그 길이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수평면에 대하여 대략 5도정도의 각도구배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유닛(31)은 도4에서와 같이 한 쌍의 블레이드(31b)로 구성할 수 도 있으나, 도2,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두 쌍 혹은 그 이상으로 구성하여 빗물을 다단으로 집수할 수 도 있다. 그리고 각 블레이드유닛(31) 사이로 빗물이 통과되지 않도록 연직 상방에서 보았을 때 인접한 블레이드유닛(31) 간의 블레이드(31b)는 서로 겹치거나 적어도 빈틈없이 연속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동작 및 그 작용을 설명한다.
실내기(미도시)의 증발기(미도시)에서 기체상태로 증발된 냉매는 어큐뮬레이터(21)를 거쳐 액냉매가 분리된 후 압축기(20)로 흡입된다. 압축기(20)에서는 흡입된 냉매를 압축한 후 열교환실(13)에 마련된 응축기(17)로 보내어 다시 액체상태로 응축시키게 된다.
응축기(17)에서 냉매의 응축을 활발히 일어나게 하기 위하여 실외공기를 도입하여 응축기(17)와 열교환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송풍팬(18)을 구동하면 응축기(17) 주변의 흡입구(14)를 통해 실외공기가 유입되어 응축기(17)와 열교환하고 열교환 된 공기를 토출구(16)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기계실 측 흡입구(15)에서도 실외공기가 흡입되는데 흡입된 공기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해 구동하면서 가열된 압축기(20)를 냉각시키고 격판(11)의 통공(11a)을 통해 열교환실(13)로 유입된 후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도3을 참조하면 송풍팬(18)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는 토출구(16)에서 연직상방을 향하게 되고, 토출구(16) 상부에 마련된 팬가드(30)를 지나게 된다. 팬가드(30)를 지나는 공기는 블레이드(31b)에 의해 진행방향이 꺾여서 진행하다가 토출되는데, 최종적인 기류의 평균적인 방향은 연직 상방을 향하게 된다.
실외기의 상부에서 떨어지는 빗물은 팬가드(30)의 블레이드(31b)에 의해 지지대(31a)측으로 집수된 후, 자연배수를 위한 각도구배에 의해 블레이드(31b)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수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팬가드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기류의 큰 변화없이 전체적으로 상방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종래의 팬가드에 비하여 토출기류의 유동저항이 감소되고, 따라서 응축기에서의 열교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팬가드는 실외기의 토출구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 부 부품의 부식과,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상방으로 토출되도록 토출구가 상부에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상방으로 안내하고, 상기 토출구로 낙하는 빗물을 토출구 바깥쪽으로 배수하기 위한 다수의 블레이드유닛을 포함하는 팬가드가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유닛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마련되어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집수되는 빗물이 상기 지지대 측으로 모이도록 지지대 측으로 갈수록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집수된 빗물이 용이하게 자연배수 되도록 그 길이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는 각도구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쌍을 이루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유닛은 한 쌍 이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유닛은 상방에서 보았을 때 인접하는 블레이드가 서로 겹치거나 적어도 빈틈없이 연속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0040039795A 2004-06-01 2004-06-01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572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795A KR100572596B1 (ko) 2004-06-01 2004-06-01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795A KR100572596B1 (ko) 2004-06-01 2004-06-01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741A KR20050114741A (ko) 2005-12-06
KR100572596B1 true KR100572596B1 (ko) 2006-04-24

Family

ID=3728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795A KR100572596B1 (ko) 2004-06-01 2004-06-01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25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693B1 (ko) * 2014-03-31 2015-03-12 주식회사 에스제이환경산업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배출 에어가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535B1 (ko) * 2013-03-13 2014-07-15 이상봉 히트 펌프용 실외측 열교환기 덮개장치
CN108548951A (zh) * 2018-06-29 2018-09-18 安徽和光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环保型避雨散热电表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693B1 (ko) * 2014-03-31 2015-03-12 주식회사 에스제이환경산업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배출 에어가이드
WO2015152497A1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에스제이환경산업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배출 에어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741A (ko) 2005-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1563B2 (ja) チリングユニット
EP2993418B1 (en) Air conditioner
KR100954358B1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박스
EP2985549B1 (en) Air conditioner
EP3150928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10775057B2 (en) Dehumidification drainage system with mist eliminator
JP5807668B2 (ja) 空気調和機
KR100572596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90066217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0765563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KR20080011510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626455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1442114B1 (ko) 공기조화기
KR100529914B1 (ko)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21095452A1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装置
KR20050082476A (ko) 공기조화기의 오일분리기
KR200187777Y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장치
KR100381158B1 (ko) 제습기
KR100671568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291872B1 (ko) 룸에어콘용실내기의배수장치
KR100593081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615786B1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대용량 실외기
KR100584284B1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상면판넬 결합구조
KR20060082580A (ko) 공기조화기의 오일분리기 장착구조
KR20050077327A (ko) 공기조화기의 오일분리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