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545B1 - Concrete work method and CFT structure - Google Patents

Concrete work method and CFT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545B1
KR100570545B1 KR1020030037799A KR20030037799A KR100570545B1 KR 100570545 B1 KR100570545 B1 KR 100570545B1 KR 1020030037799 A KR1020030037799 A KR 1020030037799A KR 20030037799 A KR20030037799 A KR 20030037799A KR 100570545 B1 KR100570545 B1 KR 100570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eel pipe
filling
filled steel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7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107022A (en
Inventor
박무용
고경숙
김철
황기수
Original Assignee
박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용 filed Critical 박무용
Priority to KR1020030037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545B1/en
Publication of KR20040107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0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5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2Compacting the soil at the footing or in or along a casing by forcing cement or like material through tubes

Abstract

본 발명은 탑/다운 공법 또는 다운로드 공법으로 건물을 시공할 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과 이때 사용되는 충전강관기둥(Concrete-Filled steel Tube;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lacing concrete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by a top / down method or a download method and a structure of a concrete-filled steel tube (concrete-filled steel tube) used at this ti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 내부에 콘크리트 충전을 위한 파이프를 일체식으로 설치하여 특히 지하층 기둥 타설시 콘크리트를 하부에서 압입하는 공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공정과 관련한 전반적인 작업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적인 측면에서도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건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방법 및 충전강관기둥 구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grally installing the pipe for filling the concrete inside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lar to be able to apply the method of press-fitting concrete from the bottom, especially in the case of basement column installation, overall workability and workability related to the concrete placing process It can improve, and also increase the strength in the structural aspect, so it provides concrete pouring method and filled steel pipe pillar structure to secure the safety of the building.

콘크리트 타설, 탑/다운 공법, 다운로드 공법,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Concrete pouring, Top / down method, Download method, Concrete filled steel pipe column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방법 및 충전강관기둥 구조{Concrete work method and CFT structure} Concrete pouring method and filled steel pipe column {Concrete work method and CFT structure}             

도 1a,1b,1c는 일반적인 상부 낙하식 콘크리트 타설방법을 보여주는 개략도Figures 1a, 1b, 1c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ypical top drop concrete pouring method

도 2는 일반적인 하부 압입식 콘크리트 타설방법을 보여주는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general lower press-fit concrete pouring metho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방법에서 사용하는 충전강관기둥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분리 사시도Figure 3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acked steel pipe pillar used in the concrete plac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of FIG.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방법에서 충전강관기둥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5a, 5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used to connect the filling steel pipe pillar in the concrete plac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6b,6c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방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을 시공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Figure 6a, 6b, 6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constructing a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lar using the concrete plac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7b,7c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방법을 이용하여 연속벽을 시공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Figure 7a, 7b, 7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constructing a continuous wall using the concrete plac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충전강관기둥 11 :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0: filled steel pipe column 11: concrete filling pipe

12 : 연결부 13 : 배출부12 connection portion 13 discharge portion

14 : 브라켓 15 : 꺽임부14: bracket 15: bending

16 : 곡선부 17 : 보강판16 curved portion 17 reinforcement plate

본 발명은 탑/다운 공법 또는 다운로드 공법으로 건물을 시공할 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과 이때 사용되는 충전강관기둥(Concrete-Filled steel Tube;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 내부에 콘크리트 충전을 위한 파이프를 일체식으로 설치하여 특히 지하층 기둥 타설시 콘크리트를 하부에서 압입하는 공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공정과 관련한 전반적인 작업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적인 측면에서도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건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방법 및 충전강관기둥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lacing concrete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by a top / down method or a download method and to the structure of a concrete-filled steel tube (concrete-filled steel tube) use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verall workability and workability related to the concrete placing process by installing the pipes for filling concrete inside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lars so that the method of press-fitting concrete from below can be appli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placing method and a filled steel pipe pillar structure that can increase the strength in terms of structural aspects, thereby securing the safety of the building.

일반적으로 탑/다운 공법 또는 다운로드 공법으로 건물을 시공하는 경우 건물의 기둥부재는 대부분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when building a building by a top / down method or a download method, the pillar members of the building mostly use concrete-filled steel pipe columns that can secure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여기서, 탑/다운(Top/down) 공법이란 지상층과 지하층을 동시에 시공하는 공법으로서, 지상층의 경우 골격을 세워가면서 그대로 진행하고, 이와 동시에 지하층의 경우 골격을 세운 후 한층씩 파내려가면서 시공을 하는 공법이다. Here, the top / down method is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ground floor and the basement at the same time, and proceeds as it is while building the skeleton in the case of the ground floor. It is a construction method.

또한, 다운로드 공법은 탑/다운 공법과는 달리 지하층 부분만 역타시공하는 공법이다. In addition, unlike the top / down method, the download method is a method for reverse construction only the basement part.

상기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은 강관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일종의 기둥을 의미하며, 이때의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을 골조의 주요 구성부재 중 기둥부재로 채용하여 고축력에에 저항하는 구조를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 구조라 한다.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lar refers to a kind of pillar filled with concrete in the steel pipe, and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lar is a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lar structure that adopts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lar as a pillar member among the main structural members of the frame. .

이러한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 구조는 강관이 콘크리트를 구속함으로써 강성, 내력, 변형 등의 구조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내화 및 시공 등 다방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장점 때문에 도심의 빌딩, 고층복합시설 등과 같은 건축물에 많이 적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This concrete filled steel pipe column structure has many advantages for buildings such as buildings and high-rise complexes in the city because of the advantages that steel pipes constrain concrete, not only in terms of structural aspects such as stiffness, strength, and deformation, but also in various aspects such as fire resistance and construction. This is the trend.

상기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은 상부에서 낙하시키는 방법과 하부에서 강제 압입시키는 방법이 있다. The method of pouring concrete into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lar has a method of dropping from the top and a forced press from the bottom.

예를 들면,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서 낙하시키는 방법은 보통 트레미관(110)을 이용하게 되는데,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100)의 내부 바닥부근까지 트레미관(110)을 배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서, 콘크리트 낙하시 재료분리, 콘크리트 미충전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100)을 몇개의 구간으로 나눈 다음, 트레미관(110)을 위로 올려가면서 콘크리트를 단계적으로 타설하는 방법이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s 1a to 1c, the method of dropping from the top is usually using a tre tube (110), the tremi tube 110 to the inner bottom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column 100 near the bottom After placing, as a method of pouring concrete, in order to prevent problems such as material separation, unfilled concrete when falling concrete,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column 100 divided into several sections, and then raised up the tremi pipe 110 It is a method of pouring concrete step by step.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서 강제 압입시키는 방법은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100)의 하부에 주입구를 만든 후, 펌프 등으로 강제 압송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서, 이러한 방법은 상부에서 낙하시키는 방법에 비해 재료분리 등을 우려없이 짧은 시간 동안에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마칠 수 있게 되므로 지상층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100)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은 거의 대부분 하부에서 강제 압입시키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method of forcibly press-fitting at the bottom is a method for pouring concrete by making a inle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lar 100, and then forcibly pushed with a pump or the like, such a method at the top Compared to the dropping method, since the concrete can be finished in a short time without worrying about material separation, etc., most of the concrete placing on the ground-floor concrete-filled steel pipe pillar 100 is forcedly pressed in from the bottom.

그러나, 탑/다운 공법 또는 다운로드 공법으로 건물을 시공하는 경우 지상층에 대해서는 하부에서 강제 압입시키는 방법을 적용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지하층의 경우에는 그 적용자체가 불가능하여 상부에서 낙하시키는 방법을 적용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However,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by the top / down method or the download method, there is no problem in the method of forcibly pressing in the lower part of the ground floor, but in the case of the basement floor, it is impossible to apply it. There is only a limit.

즉, 종전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은 콘크리트 타설시 상부에서 낙하시키는 방법이 갖고 있는 여러 비효율적인 측면, 예를 들면 콘크리트 타설을 몇차례 나누어 단계적으로 실시하기 때문에 타설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 콘크리트가 채워질수록 크레인 등으로 트레미관을 계속 올려가면서 작업을 수행하고, 또 어느 정도 올린 후에는 트레미관을 분해하여 길이 짧게 만들어주는 작업을 여러 번 수행해야 하는 등 작업이 불편하고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 등으로 인하여 전반적으로 작업소요시간이 길어지고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concrete pouring work is a problem that takes a lot of time for pouring work because it is divided into several inefficient aspects of the method of dropping from the upper part when placing concrete, for example, concrete pouring several times. As the work is inconvenient and inferior in workability,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work by continuously raising the tremi pipe with a crane, etc. Overall work time is long and there is a problem that workability is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탑/다운 공법 또는 다운로드 공법을 이용한 건물 시공시 지하층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의 경우에도 하부에서 강제 압입시키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공정과 관련하여 전반적인 작업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구조적인 측 면에서도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방법과 이때 채용하는 충전강관기둥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and in the case of concrete pouring to the basement floor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using the top / down method or the download method, it is possible to apply a method of forced indentation from the bottom, concrete pour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crete pouring method that can improve the overall workability and workability in terms of the process, and to increase the strength in terms of structural aspects, and a filled steel tube pillar structure to be employ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방법은 건물의 지하층 골조를 위한 콘크리트 타설방법에 있어서, 상기 골조의 내부에 바닥부근까지 연장되는 일체식의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를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를 통해 콘크리트를 하부로부터 강제 압입시키는 방법으로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crete plac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ncrete placing method for the basement frame of the building, the integrated concrete filling pipe extending to the bottom near the inside of the frame, the concrete filling It is characterized by pouring in a method of forcing the concrete from the bottom through the pipe.

또한, 골조를 2단 이상 연결하여 세우는 경우 2단부터의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는 골조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골조 연결시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 간의 연결 후 골조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crete filling pipe from the second stage is to be separated from the frame when the frame is connected to two or more steps to enable the connection of the frame aft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crete filling pipe when connecting the frame.

또한, 상기 골조는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 또는 연속벽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o be applied to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lar or continuous wall.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충전강관기둥 구조는 건물 지하층의 골조를 위해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충전강관기둥에 있어서, 상기 충전강관기둥은 내부의 바닥부근까지 연장되어 콘크리트를 하부로부터 강제 압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일체식의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lling steel pipe pilla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the filled steel pipe pillar is filled with concrete for the frame of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the filled steel pipe pillar is extended to the bottom of the interior to the concrete from the bottom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tegral concrete filling pipe that is to be forced to be pressed.

또한, 상기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는 상단 연결부와 하단 배출부를 가지면서 충전강관기둥 내의 브라켓에 의해 하단부가 고정되어 지지되고, 하단 배출부는 충전강관기둥의 바닥과 근접하게 위치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crete filling pipe is fixed to the lower end is supported by a bracket in the filling steel pipe pillar having a top connection portion and the bottom discharg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discharge portion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located close to the bottom of the filling steel pipe pillar. do.                         

또한, 상기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는 콘크리트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하단부 일부 구간이 꺽임부와 곡선부로 되어 있는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crete filling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tion is a curved portion and a curved portion for smooth flow of the concrete.

또한, 상기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의 배출부는 상부를 향하는 수평형이나 측부를 향하는 경사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concrete filling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toward the top or inclined toward the side.

또한, 상기 충전강관기둥을 2단 이상 연결하여 세우는 경우 2단부터의 충전강관기둥 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는 충전강관기둥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nnecting two or more stages of the filling steel pipe pillar, the concrete filling pipe installed in the filling steel pipe pillar from the second stage may be separated from the filling steel pipe pillar.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콘크리트 타설방법은 기본적으로 콘크리트를 하부로부터 강제 압입시키는 방법을 적용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Concrete pouring method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pplies a method of forcibly pressing the concrete from the bottom.

특히, 탑/다운 공법 또는 다운로드 공법을 적용하는 건물 시공시 건물의 지하층 골격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이나 연속벽의 시공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ore efficiently performing the construction of concrete-filled steel pipe pillars or continuous walls constituting the basement skeleton of a building when the building is applied by the top / down method or the download method.

이를 위하여,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이나 연속벽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이나 연속벽 내부의 바닥부근까지 콘크리트를 유도할 수 있는 수단, 예를 들면 일반 강관 파이프를 일체 설치하고, 이 파이프를 통해 콘크리트를 하부로부터 강제 압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상부에서 낙하시키는 방법에 비해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용이하고 콘크리트 타설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등 전체적인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To this end, when concrete is poured into a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lar or continuous wall, a means for inducing concrete to the bottom of the inside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lar or continuous wall, for example, a general steel pipe pipe is integrally installed. By allowing the concrete to be forced in from the bottom through,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verall construction period, such as easy to place concrete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time to place concrete compared to the existing dropping method.

즉, 이렇게 지하층의 골격에 대해서도 하부에서 강제 압입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기존 상부에서 낙하하는 방식에서의 여러 비효율적인 부분, 예를 들면 1차 콘크리트를 타설 후 크레인 등으로 트레미관을 들어 올리는 문제, 어느 정도 높이를 올린 상태에서는 트레미관을 분해해야 하는 문제 등 작업성이 떨어지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부분들을 개선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apply the method of forced indentation in the lower part of the skeleton of the basement layer as well, so that various inefficient parts in the method of falling from the existing upper part, for example, after placing the primary concrete,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ability-consuming and time-consuming parts such as raising problems and having to disassemble the tremi tube at a certain height.

여기서,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이나 연속벽 내에 설치되는 파이프는 콘크리트와 함께 그대로 뭍히게 되므로,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이나 연속벽의 구조적인 강성 또한 한층 높일 수 있다. Here, the pipe is installed in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lars or continuous wall as it is squeezed together with the concrete,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lars or continuous wall can be further increas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과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방법에서 사용하는 충전강관기둥의 구조와 이것의 시공상태를 보여준다. 3 and 4 show the structure of the packed steel pipe pillar used in the concrete plac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struction state thereof.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다수의 보강판(17)을 가지면서 4개의 강판조합으로 이루어진 충전강관기둥(10)의 내부에는 그 중앙을 따라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ures 3 and 4, hav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 17 therein while the inside of the filling steel pipe pillar 10 made of four steel plate combination is a concrete filling pipe 11 along the center thereof Is installed.

상기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는 충전강관기둥(1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할 때 이를 안내하는 수단이며, 충전강관기둥(10)의 내부에 일체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concrete filling pipe 11 is a means for guiding this when the concrete is filled in the interior of the filled steel pipe pillar 10, i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integrally fixed to the interior of the filled steel pipe pillar (10).

이를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는 그 하단부의 위치가 충전강관기둥(10)의 바닥부근에 최대한 근접한 상태로 위치되면서 충전강관기둥(10)의 중심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하단부가 충전강관기둥(10)의 폭을 가로질러 고정 되는 양쪽 2개의 브라켓(14)에 의해 용접 고정되므로서, 충전강관기둥(10)의 내부에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To this end, the concrete filling pipe (11)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center of the filling steel pipe column 10 while the position of the bottom portion is positioned as close to the bottom near the bottom of the filling steel pipe column (10), the bottom portion By being welded and fixed by two brackets 14 fixed across the width of the packed steel pipe column 10, it can be supported in the interior of the packed steel pipe column (10).

이러한 상기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의 상단부는 나사, 플랜지, 용접 등의 연결부(12)로 되어 있어서 이웃하는 다른 파이프와 연결될 수 있으며, 하단부는 콘크리트를 최종 토출하는 배출부(13)로 되어 있다.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filling pipe 11 is a connection portion 12 such as screws, flanges, welding, etc. can be connected to other neighboring pipes, the lower end is the discharge portion 13 for the final discharge of concrete. .

특히, 상기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는 하단부 일부 구간이 꺽임부(15)로 되어 있는 동시에 배출부(13)가 있는 끝 구간은 곡선부(16)로 되어 있어서 파이프는 통해 압송되는 콘크리트의 유동 및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concrete filling pipe 11 has a lower portion of the section is a bent portion 15, while the end section with the discharge portion 13 is a curved portion 16, the pipe is flowed through the concrete flow through And discharge can be made smoothly.

또한, 상기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는 배출부(13)가 있는 곡선부(16)를 제외한 전체 길이를 직선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직선형태는 후술하는 연속벽 시공시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를 적용할 때 설치상의 유리한 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crete filling pipe 11 can be produced in a straight shape of the entire length except the curved portion 16 having the discharge portion 13, this straight shape is a concrete filling pipe for construction of the continuous wall to be described later ( There is an installation advantage when applying 11).

이때, 파이프로부터 토출되는 콘크리트의 급격한 낙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부(13)는 수평형 또는 경사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a sudden drop of concrete discharged from the pipe, the discharge portion 13 is preferably formed in a horizontal or inclined form.

이와 같이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를 포함하는 충전강관기둥(1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설치를 위해 파놓은 홀 속에 배치된 후, 콘크리트 기초(120)에 의해 지지되고, 충전강관기둥(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를 통해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4, the filled steel pipe pillar 10 including the concrete filling pipe 11 is disposed in a hole dug for pillar installation and then supported by the concrete foundation 120. As concrete is injected through the concrete filling pipe 11 installed inside the filling steel pipe column 10, the concrete pouring may be completed.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방법에서 충전강관기둥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일 예를 보여준다. Figures 5a and 5b shows an example of using the filling steel pipe pillar in the concrete plac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의 시공 여건에 따라 충전강관기둥(10a),(10b)을 2단 이상 연결하여 세우는 경우 가장 아래쪽 1단의 충전강관기둥(10a) 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a)는 박스본체와 일체식으로 구성되고, 2단부터 그 이상의 충전강관기둥(10b) 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b)는 충전강관기둥(10b)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조립식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 5a and 5b,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conditions of the site when the filling steel pipe pillars (10a, 10b) connected by two or more stages of concrete filling installed in the bottom of the first stage filled steel pipe pillar (10a) The pipe 11a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x body, and the concrete filling pipe 11b installed in the second or more filling steel pipe pillars 10b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filling steel pipe pillars 10b. .

이러한 조립식의 구성은 각각의 충전강관기둥(10a),(10b)을 연결 설치할 때,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a),(11b) 간의 연결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This prefabricated configuration provides convenience that can facilitate the connection work between the concrete filling pipe (11a), (11b) when connecting each of the packed steel pipe columns (10a, 10b).

따라서, 1단 충전강관기둥(10a) 내의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a)에 2단 충전강관기둥(10b) 내에 설치될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b)를 먼저 연결한 다음, 그 외측에서 2단 충전강관기둥(10b)을 1단 박스 기둥(10a)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하면, 여러 개의 충전강관기둥 및 그 내측의 각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의 연결 설치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oncrete filling pipe 11b to be installed in the two-stage filling steel pipe column 10b is first connected to the concrete filling pipe 11a in the first-stage filling steel pipe column 10a, and then the two-stage filling steel pipe from the outside thereof. When the column 10b is connected to the first-stage box column 10a by welding or the like, connection installation work of a plurality of filled steel pipe columns and respective concrete filling pipes therein can be completed.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방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을 시공하는 상태를 보여준다.6a to 6c shows a state of constructing a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llar using the concrete plac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 지하층의 골격을 구성하는 각 충전강관기둥(10)의 설치위치를 천공하여 홀을 조성한다.As shown in Figs. 6A to 6C, holes are formed by drilling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filled steel pipe columns 10 constituting the skeleton of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이때의 파낸 홀 직경은 충전강관기둥(10)의 직경에 대해 약 2배 정도 크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hole diameter at this time is generally about 2 time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lled steel tube pillar (10).

계속해서, 홀 내에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를 갖는 충전강관기둥(10)을 그 중심에 배치하면서 바닥에서부터 충전강관기둥(10)의 하단 일부가 뭍힐 수 있는 일정높이까지 콘크리트 기초(120)를 한다. Subsequently, the concrete foundation 120 is placed from the bottom to a certain height at which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filling steel tube pillar 10 can be struck while arranging the filling steel tube pillar 10 having the concrete filling pipe 11 in the center thereof. do.

콘크리트 기초(120)가 굳은 후, 충전강관기둥(10) 내에 콘크리트 타설을 수행한다. After the concrete foundation 120 is hardened, concrete pouring is performed in the packed steel pipe column 10.

즉,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의 상단 연결부에 펌프차 등으로부터 연장되는 배관을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압송시키면,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를 통해 충전강관기둥(10)의 하부로부터 채워지기 시작하여 상부까지 완전히 채워진다. That is, when the concrete is pumped by connecting a pipe extending from a pump car or the like to the upper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crete filling pipe 11, the concrete begins to be filled from the bottom of the filling steel pipe pillar 10 through the concrete filling pipe 11. To be completely filled up to the top.

콘크리트가 충전강관기둥(10)의 상부까지 완전히 채워지면 압송을 중단하고, 이때의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0)는 콘크리트와 함께 그 속에서 굳게 방치한다.When the concrete is completely fil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lled steel pipe column 10, the feeding stops, and the concrete filling pipe 10 at this time is left firmly in the concrete.

이와 같이, 건물 지하층의 골격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부에서 압입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에 필요한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종전과 같이 트레미관을 취급하는 등의 불편하고 비효율적인 부분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apply a method of press-fitting the concrete placing work on the skeleton of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from the bottom, it can significantly shorten the working time required for concrete placing, it is inconvenient to handle the tremi tube as before It can also improve workability by eliminating inefficient parts.

또한, 하부에서 압입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따라 기본적으로 재료분리나 충전불량 등의 문제가 없고, 타설공정이 간단하여 공기절약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concrete is poured by the method of press-fitting from the bottom, there are basically no problems such as material separation or filling failure, and the pouring process is simple, thereby improving air saving and constructability.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방법을 이용하여 연속벽을 시공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7a to 7c show the state of constructing the continuous wall using the concrete plac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속벽은 탑/다운 공법 또는 다운 로드 공법을 이용한 건물의 시공에 있어서 지하층의 외벽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철근 구조물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한다. As shown in Figure 7a to 7c, the continuous wall is a part constituting the outer wall of the basement layer in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using the top / down method or the download method, it is constructed by placing concrete in the reinforced structure.

이때에도 위의 충전강관기둥과 마찬가지로 홀 속에서 골격을 잡고 있는 철근 구조물(130) 내에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를 설치하고, 이것을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In this case, as well as the filling steel pipe pillar, the concrete filling pipe 11 is installed in the reinforcing structure 130 holding the skeleton in the hole, and the method of pouring concrete can be applied through this.

연속벽 시공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는 시공 후 콘크리트와 함께 뭍혀있는 부분이 되며, 콘크리트를 하부에서 압입하는 방법으로 타설할 수 있음에 따라 연속벽의 경우에도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고, 또 우수한 시공성을 기대할 수 있다. The concrete filling pipe 11 used for the continuous wall construction becomes a part entangled with the concrete after the construction, and can be drastically shortened the air even in the case of the continuous wall since the concrete can be poured by pressing in the lower part. In addition, excellent workability can be expect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탑/다운 공법 또는 다운로드 공법을 이용한 건물 시공시 지하층의 기둥이나 연속벽 등에 대해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하부에서 강제 압입시키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공정과 관련하여 전반적인 작업성,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건물의 구조적인 측면에서도 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crete placing method which can be applied to the method of forcibly press-fitting from the bottom when placing concrete for the pillar or continuous wall of the basement floor when building the building using the top / down method or the download method, With regard to the concrete pouring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mprove the overall workability, workability and economics, and also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trength in the structural aspect of the building.

Claims (8)

건물의 지하층 골조를 위한 콘크리트 타설방법에 있어서,In the concrete placing method for framing basement of a building, 상기 골조의 내부에 바닥부근까지 연장되는 일체식의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를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를 통해 콘크리트를 하부로부터 강제 압입시키는 방법으로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방법. Concrete install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integral concrete filling pipe extending to the bottom of the frame within the frame, and forcing the concrete from the bottom through the concrete filling pipe. 삭제delete 삭제delete 건물 지하층의 골조를 위해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충전강관기둥(10) 구조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of the filled steel pipe pillar 10 is filled with concrete for framing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상기 충전강관기둥(10)은 내부의 바닥부근까지 연장되어 콘크리트를 하부로부터 강제 압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일체식의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강관기둥 구조. The filling steel pipe column 10 is a filled steel pipe pilla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tegral concrete filling pipe (11) which is extend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to force the concrete from the botto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는 상단 연결부(12)와 하단 배출부(13)를 가지면서 충전강관기둥(10) 내의 브라켓(14)에 의해 하단부가 고정되어 지지되고, 하단 배출부(13)는 충전강관기둥(10)의 바닥과 근접하게 위치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강관기둥 구조. According to claim 4, The concrete filling pipe 11 has a lower end is fixed and supported by a bracket 14 in the filling steel pipe pillar 10 having an upper connection portion 12 and a lower discharge portion 13, Bottom discharge portion 13 is a filled steel pipe pilla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located close to the bottom of the filled steel pipe pillar (10).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는 콘크리트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하단부 일부 구간이 꺽임부(15)와 곡선부(16)로 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충전강관기둥 구조. The method of claim 4 or 5, wherein the concrete filling pipe (11) is a filling steel pipe pilla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tion is a bent portion 15 and the curved portion 16 for the smooth flow of concrete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충전용 파이프(11)의 배출부(13)는 상부를 향하는 수평형이나 측부를 향하는 경사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강관기둥 구조. 6. The filling steel tube pillar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discharge portion (13) of the concrete filling pipe (11) is horizontally upward or inclined toward the side. 삭제delete
KR1020030037799A 2003-06-12 2003-06-12 Concrete work method and CFT structure KR1005705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799A KR100570545B1 (en) 2003-06-12 2003-06-12 Concrete work method and CF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799A KR100570545B1 (en) 2003-06-12 2003-06-12 Concrete work method and CFT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022A KR20040107022A (en) 2004-12-20
KR100570545B1 true KR100570545B1 (en) 2006-04-13

Family

ID=3738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799A KR100570545B1 (en) 2003-06-12 2003-06-12 Concrete work method and CFT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54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159B1 (en) * 2008-06-25 2011-11-07 주식회사 에이스지오 Enlarged endbearing capacity foundation using cone and it's construction work method
KR101080160B1 (en) * 2008-06-25 2011-11-07 주식회사 에이스지오 Construction work apparatus for enlarged endbearing capacity foundation with clothoid screw
KR101080158B1 (en) * 2008-06-25 2011-11-07 (주)한토건설 Enlarged endbearing capacity foundation using cone with screw and it's wet process of construction wor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172B1 (en) * 2013-05-16 2015-04-10 (주)한국건설공법 A joint structure of a CFT composite column and RC wide girder
CN115262536A (en) * 2022-09-30 2022-11-01 江苏大力神管桩有限公司 Hollow concrete pi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159B1 (en) * 2008-06-25 2011-11-07 주식회사 에이스지오 Enlarged endbearing capacity foundation using cone and it's construction work method
KR101080160B1 (en) * 2008-06-25 2011-11-07 주식회사 에이스지오 Construction work apparatus for enlarged endbearing capacity foundation with clothoid screw
KR101080158B1 (en) * 2008-06-25 2011-11-07 (주)한토건설 Enlarged endbearing capacity foundation using cone with screw and it's wet process of construction 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022A (en) 2004-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097B1 (en) Slab and subgrade external wall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lab and subgrade external wall, bracket
KR100694503B1 (en) Downward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for 1-way girder and slab of underground structure
JP3900344B2 (en) Column-to-pile connection structure of steel structure build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694493B1 (en) Downward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using bracket support type temporary structure as working table
KR100570545B1 (en) Concrete work method and CFT structure
KR102286225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busing PC integrating method without support
JP2017110346A (en) Construction method of pillar/beam using precast concrete pillar
KR100605514B1 (en) Bracket support type downward construc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0372315Y1 (en) Moving-fabricated supporting bracket structure of downward construction system
KR101006411B1 (en) System and method for underground downward construction using concrete filled tube
KR100775359B1 (en) Concrete-mold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01979777B (en) Construction method of combined underground continuous wallboard of cast-in-place hollow square pile
KR100747665B1 (en) Concrete mold for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ab using the same
KR101171746B1 (en) Method execution silo
KR101150369B1 (en) Complex girder for building
JP3802996B2 (en) Construction method of flat slabs using steel pipe concrete columns
KR100916672B1 (en) Mast fixation of construction lift embed anchor and spatial-temporal method
KR20050068675A (en) Cft and concrete fonudation work method and cft its using filling pipe
CN111058622A (en) Large steel mould cast-in-place column construction method adopting binding and lapping mode for column steel bars
JP3470246B2 (en) Method of reinforcing steel pedestal and reinforced pedestal
JP3426492B2 (en) Hollow precast concrete precast concrete column unit with column and beam reinforcement and colum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is column unit
JP2007092370A (en) Aseismatic reinforcing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existing building
JP3528141B2 (en) Method for concrete filling reinforcement of pedestal and reinforced pedestal
CN217537293U (en) Prefabricated component and assembled tubular column
KR200369675Y1 (en) Jointing structure for the plural story - one node PC column and the plural story - one node PC column us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