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933B1 - 오일 필터의 여과 엘리먼트 - Google Patents

오일 필터의 여과 엘리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933B1
KR100569933B1 KR1020030071662A KR20030071662A KR100569933B1 KR 100569933 B1 KR100569933 B1 KR 100569933B1 KR 1020030071662 A KR1020030071662 A KR 1020030071662A KR 20030071662 A KR20030071662 A KR 20030071662A KR 100569933 B1 KR100569933 B1 KR 100569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ilter
filtration element
sides
ou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6097A (ko
Inventor
황중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1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933B1/ko
Publication of KR20050036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펌프에서 펌핑되어 엔진으로 공급되는 오일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오일 필터를 구성하는 여과지에 이물질이 퇴적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연료 필터의 여과 엘리먼트에 관한 것으로,
통형상의 오일 필터의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오일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오일 필터의 여과 엘리먼트에 있어서,
상기한 여과 엘리먼트는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 간에 마련되는 공간은 방사상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오일 입구 및 오일 출구의 형성을 위한 격벽에 의해서 다수의 챔버로 분리형성되고, 다수로 분리된 상기한 각각의 챔버 내에는 원주방향으로 접히는 여과지가 수용되어지되,
상기한 오일 입구는 그 외측이 외부 케이스의 외부와 연통되고, 그 양측의 격벽은 경계되는 양측의 챔버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한 오일 출구는 그 내측이 내부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되고, 그 양측의 격벽은 경계되는 양측의 챔버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과 엘리먼트, 오일 필터, 여과지

Description

오일 필터의 여과 엘리먼트{Oil filter eleme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여과 엘리먼트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여과 엘리먼트의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여과 엘리먼트의 장착상태도.
도 5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일 필터 11 : 하우징
30 : 여과 엘리먼트 31 : 챔버
32 : 외부 케이스 33 : 내부 케이스
34,36 : 격벽 34a,36a : 통공
35 : 오일 입구 37 : 오일 출구
40 : 여과지
본 발명은 연료 필터의 여과 엘리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일 펌프에서 펌핑되어 엔진으로 공급되는 오일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오일 필터를 구성하는 여과지에 이물질이 퇴적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연료 필터의 여과 엘리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에는 실린더와 피스톤처럼 접동을 하는 부분이나, 크랭크 샤프트 및 캠 샤프트와 같이 회전운동을 하는 부분이 있으며, 이러한 운동 마찰부분은 금속끼리 직접 접촉하면 마찰열이 발생하고, 마찰면이 거칠어져 빨리 마모되거나 눌어 붙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고자 엔진의 각 마찰부나 습동부에 오일을 공급하여 주게 된다. 엔진의 각 마찰부에 공급하는 오일은 엔진의 하부에 취부되는 오일 팬에 저장되고, 오일 팬에 저장된 오일은 엔진의 시동과 동시에 오일펌프의 작동에 의해 각 부분으로 오일이 펌핑된다.
상기와 같이 오일펌프에서 펌핑되는 오일은 오일 필터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다음에 엔진의 각 윤활부분으로 공급되어진다. 이 과정에서 오일 필터에서는 엔진의 각 접동부분에서 발생된 쇠가루나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카본 등이 여과된다.
이러한 오일 필터(10)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캡이 개방가능한 원통형상의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되는 종이재의 여과 엘리먼트(2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한 여과 엘리먼트(20)는 여과지를 소정의 폭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반복하여 접히도록 형성한 다음에, 그 여과지를 원주의 크기로 절단하여 전체 형상이 원통형상이 되도록 그 양측끝단을 연결하므로서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여과 엘리먼트(20)는 여과지가 소정의 폭으로 방사상으로 접힌 상태로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오일 필터(10)의 하우징(11)으로 입력되는 오일은 상기 여과 엘리먼트(2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오일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여과 엘리먼트(20)의 표면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여과 엘리먼트의 경우에는 지그재그로 접힌 여과지본체가 원통형상으로 되도록 그 양측 끝단을 붙이는 과정에서 여과 엘리먼트의 내경측이 그 외경측보다 간격이 조밀하게 구성되므로서, 오일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좁은 간격으로 형성된 여과 엘리먼트의 내주연 측에 퇴적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오일 필터의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오일 펌프에서 펌핑되어 엔진으로 공급되는 오일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오일 필터를 구성하는 여과지에 이물질이 퇴적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연료 필터의 여과 엘리먼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통형상의 오일 필터의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오일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오일 필터의 여과 엘리먼트에 있어서,
상기한 여과 엘리먼트는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 간에 마련되는 공간은 방사상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오일 입구 및 오일 출구의 형성을 위한 격벽에 의해서 다수의 챔버로 분리형성되고, 다수로 분리된 상기한 각각의 챔버 내에는 원주방향으로 접히는 여과지가 수용되어지되,
상기한 오일 입구는 그 외측이 외부 케이스의 외부와 연통되고, 그 양측의 격벽은 경계되는 양측의 챔버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한 오일 출구는 그 내측이 내부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되고, 그 양측의 격벽은 경계되는 양측의 챔버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여과 엘리먼트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여과 엘리먼트의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여과 엘리먼트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여과 엘리먼트의 장착상태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는 3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여과 엘리먼트를 지시하는 것으로, 상기 여과 엘리먼트(30)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오일 필터(10)의 하우징(11)에 수용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한 여과 엘리먼트(30)는 여과지(40)의 수용을 위해서 외부 케이스(32)와 내부 케이스(33)로 형성되는데, 상기 외부 케이스(32)와 내부 케이스(33) 간에는 후설할 오일 입구(35)와 오일 출구(37)를 위한 격벽(34,36)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한 격벽(34,36)들에 의해서 상기 외부 케이스(32)와 내부 케이스(33) 사이의 내부 공간은 다수의 챔버(31)로 분리형성된다.
오일 입구(35)와 오일 출구(37)는 상기 외부 케이스(32)와 내부 케이스(33)의 공간 사이에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방사상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오일 입구(35)의 외측 끝은 상기 외부 케이스(32)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방형성되고, 그 내측끝은 내부 케이스(33)의 벽에 의해서 막힌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오일 출구(35)의 내측 끝은 상기한 내부 케이스(33)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방형성되고, 그 외측 끝은 상기 외부 케이스(32)의 벽면에 의해 막힌 상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오일 입구(35)는 외부 케이스(3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오일 출구(37)는 내부 케이스(33)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오일 입구(35) 및 오일 출구(37)를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챔버(31) 간의 벽을 이루는 격벽(34,36)의 도중에는 상기 오일 입구(35) 및 오일 출구(37)가 상기 챔버(31)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통공(34a,26a)이 형성된다. 이 통공(34a,36a)은 상기 격벽(34,36)에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원활한 오일의 소통을 위해서 상기 통공(34a,36a)의 크기는 가능하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각각의 챔버(31)에 수용되는 여과지(40)는 방사상의 방향으로 접힌 종래의 여과 엘리먼트와는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주방향으로 접힌 채로 형성된다. 즉, 상기한 상기한 여과지(40)는 여과지의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폭이 유지된 채로 접히게 되므로서, 종래의 여과 엘리먼트에서와 같이 내주연 측의 폭이 상대적으로 비좁게 형성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여과 엘리먼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같이 구성된 여과 엘리먼트(30)는 오일 필터(10)의 하우징(11)에 수 용되어, 오일 필터(10)의 오일 유입구 측에서 유입되는 오일이 상기 여과 엘리먼트(30)를 통과하도록 하므로서 오일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거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연료 필터(10)의 하우징(11) 내부로 입력된 오일은 외부 케이스(32)의 외부에서 순환되면서 상기한 오일 입구(35)를 통해서 챔버(31) 내측으로 유도된다. 챔버(31)로 유도된 오일은 상기한 여과지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 후, 오일 출구(37)를 통하여 내부 케이스(33)의 내측으로 유도된다. 내부 케이스(33)로 유도된 오일은 오일 필터(10)의 하우징(11) 일측에 마련된 오일 유출구를 통해서 엔진의 각 마찰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오일이 여과되는 과정에서 본 발명에 의한 여과 엘리먼트(30)의 경우에는 종래의 여과 엘리먼트의 경우와는 달리 여과지가 원주방향으로 접히게 되므로서, 여과지의 특정부위가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특정부위에 이물질이 과다하게 퇴적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여과지(40)가 수용되는 챔버(31)가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챔버(31)와 연결되는 오일 입구(35) 및 오일 출구(37)가 다수로 형성되므로서, 어느 일측의 여과지(40)의 여과효율이 크게 떨어지게 되더라도 다른 측의 여과지(40)를 통해서 오일이 여과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종래의 여과 엘리먼트와는 달리 여과지의 접힘방향이 방사상이 아닌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여과지의 내경측 단면이 좁게 형 성되어 여과 엘리먼트의 내경측에 그 외경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이물질이 퇴적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되므로서, 종래기술에 의한 여과 엘리먼트보다 그 수명이 연장될 뿐만 아니라, 오일 필터의 여과성능이 향상되어 오일 필터의 크기의 축소도 가능하게 되는 등의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통형상의 오일 필터의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오일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오일 필터의 여과 엘리먼트에 있어서,
    상기한 여과 엘리먼트(30)는 외부 케이스(32)와 내부 케이스(33) 간에 마련되는 공간은 방사상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오일 입구(35) 및 오일 출구(37)의 형성을 위한 격벽(34,36)에 의해서 다수의 챔버(31)로 분리형성되고, 다수로 분리된 상기한 각각의 챔버(31) 내에는 원주방향으로 접히는 여과지(40)가 수용되어지되,
    상기한 오일 입구(35)는 그 외측이 외부 케이스(32)의 외부와 연통되고, 그 양측의 격벽(34)은 경계되는 양측의 챔버(31)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한 오일 출구(37)는 그 내측이 내부 케이스(33)의 내부와 연통되고, 그 양측의 격벽(36)은 경계되는 양측의 챔버(31)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의 여과 엘리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부 케이스(32)와 내부 케이스(33)는 그 도중에 형성되는 오일 입구(35) 및 오일 출구(37)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의 통형상으로 성형되어지되, 상기 오일 입구(35)의 외측 끝은 외부 케이스(32)의 길이방향으로 전구간에 걸쳐 개방되고, 상기 오일 입구(35)의 내측 끝은 내부 케이스(33)의 길이방향 전구간에 걸쳐 개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의 여과 엘리먼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오일 입구(35) 및 오일 출구(37)와 상기 각 챔버(31)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격벽(34,36)에 형성되는 통공(34a,36a)은 사각형상의 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필터의 여과 엘리먼트.
KR1020030071662A 2003-10-15 2003-10-15 오일 필터의 여과 엘리먼트 KR100569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662A KR100569933B1 (ko) 2003-10-15 2003-10-15 오일 필터의 여과 엘리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662A KR100569933B1 (ko) 2003-10-15 2003-10-15 오일 필터의 여과 엘리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097A KR20050036097A (ko) 2005-04-20
KR100569933B1 true KR100569933B1 (ko) 2006-04-10

Family

ID=37239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662A KR100569933B1 (ko) 2003-10-15 2003-10-15 오일 필터의 여과 엘리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9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38815A (zh) * 2013-12-11 2014-03-19 联合滤洁流体过滤与分离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大通量滤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27663A1 (de) * 2008-06-10 2009-12-24 Ibs Filtran Kunststoff-/ Metallerzeugnisse Gmbh Filtermedium für einen Ölfil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38815A (zh) * 2013-12-11 2014-03-19 联合滤洁流体过滤与分离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大通量滤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097A (ko)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0008B1 (en) Vane pump
CN108290098B (zh) 具有用于从内燃机的曲轴箱排放物中分离油的过滤元件的设备和装置
US2689048A (en) Refillable filter
US7922005B2 (en) Removable shield in an engine oil strainer
US11073118B2 (en) Fuel pump and fuel pump module
KR100569933B1 (ko) 오일 필터의 여과 엘리먼트
US5830349A (en) Flow inverter for filters
CA2317891C (en) Liquid filter with centrifugal separator
CN112292193B (zh) 曲轴箱通风过滤器的抗旋转特征
US3279607A (en) Oil filter cartridge
JP5757910B2 (ja) オイルフィルタ装置
US20220088523A1 (en) Split flow axial crankcase separator
KR200199728Y1 (ko) 오일필터
KR100372124B1 (ko) 오일팬의 구조
KR19980033477U (ko) 자석 흡착식 이중 오일 여과기
JP2017200692A (ja) 遠心機、ならびに遠心機のためのインサートおよびベース要素
KR100580705B1 (ko) 오일펌프 일체형 원심분리식 보조 오일필터
RU81441U1 (ru) Элемент фильтрующий
RU205216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здания трибохимического режима в системе смазки механизма
KR0114040Y1 (ko) 오일 클리너용 여과지
CN116669859A (zh) 离心分离器
WO2016022913A1 (en) Filter cartridge with integral lock ring
KR200435366Y1 (ko) 이물질 유출방지 구조를 갖는 오일펌프
WO2019025888A1 (en) FUEL FILTRATION CARTRIDGE ASSEMBLY WITH A SUPPORT GROUP
KR19980019744U (ko) 오일 브리더(Oil breat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