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818B1 -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장치간의 모바일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장치간의 모바일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818B1
KR100569818B1 KR1020050085926A KR20050085926A KR100569818B1 KR 100569818 B1 KR100569818 B1 KR 100569818B1 KR 1020050085926 A KR1020050085926 A KR 1020050085926A KR 20050085926 A KR20050085926 A KR 20050085926A KR 100569818 B1 KR100569818 B1 KR 100569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mobile terminal
output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6894A (ko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주)드림투리얼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투리얼리티 filed Critical (주)드림투리얼리티
Priority to KR1020050085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818B1/ko
Publication of KR20050096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894A/ko
Priority to PCT/KR2006/000799 priority patent/WO2007032585A1/en
Priority to TW095111854A priority patent/TW200713006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6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input data format or job format or job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 G06F3/1247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by conversion to printer ready forma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장치간의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장치간의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에서 촬영 혹은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장치간의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장치간의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는,
블루투스 혹은 적외선 포트가 설정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기와 블루투스 혹은 적외선 포트가 설정되어 있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에 직접 연결되거나 네트워크로 연결된 출력 장치가 존재하는 프린팅 장치에 있어서,
블루투스 혹은 적외선 모듈을 탑재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통신기능부(410)와;
상기 무선통신기능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인쇄하기 위한 파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신파일판단부(420)와;
상기 수신된 파일을 인쇄하기 위한 파일로 변환하는 수신파일변환부(430)와;
상기 수신파일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파일을 컴퓨터에 설정된 디폴트 출력장치로 인쇄 전송을 하는 출력전송부(440)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부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 제어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장치 상호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데이터 접속포트 연결없이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출력장치에서 즉시 출력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출력장치 자체에 연결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에 따른 제조 원가 절감의 효과 또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무선통신, 모바일 단말기, 출력장치, 프린팅.

Description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장치간의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Mobile Printing Device in use Wireless Communication}
도 1 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프린터 장치를 간단히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장치간의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장치간의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의 설치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 통신 단말기 110 : 이동 통신 단말기 모듈
120 : 인화 제어부 130 : 인터페이스부A
140 : 전원부A 150 : 커넥터A
200 : 프린터 장치 210 : 프린터 제어 모듈
220 : 엔진 및 메커니즘부 230 : 통신 제어부
240 : 인터페이스부B 250 : 전원부B
300 : 데이터 케이블 310, 320 : 케이블 커넥터
400 :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장치
410 : 무선통신기능부 420 : 수신파일판단부
430 : 수신파일변환부 440 : 출력전송부
450 : 중앙제어부 500 : 모바일 단말기
600 : 출력장치 700 : 컴퓨터 단말기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장치간의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장치간의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에서 촬영 혹은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장치간의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모바일 단말기에서 다양한 오피스 문서를 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에서 다양한 오피스 문서나 잡지, 신문 등을 원본과 동일한 모양으로 볼 수 없었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적은 액정의 단말기에서 다양한 형태로 원본을 모양 그대로 볼 수 있게 되었다.
종래에는 모바일 단말기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와 모바일 단말기 사이에 별도의 데이터 케이블을 연결하고,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해야 했었다. 하지만,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 메모리 카드 및 PDA(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주변 기기가 급속도로 보급되면서 모바일 단말기와의 직접 연결을 통한 데이터 전송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서환경에서 PC상에서는 가장 중요한 활용 분야가 바로 인쇄기능이다. 많은 자료를 PC화면에서 뷰잉하다가 필요한 자료를 인쇄하여 보관 또는 상세히 종이로 보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종래에는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와 모바일 단말기 사이에 별도의 데이터 케이블을 연결하고, 모바일 단말기에 프린터 드라이버가 구현되어야 하는 어려움과,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서 영상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송한 후 컴퓨터에 연결된 출력 장치를 통해서 출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모바일 단말기에서 보던 문서를 프린팅하기 위해서는 문서를 출력장치에 적합한 형태로 만들어야 하는데 이에 대한 계산 및 자원 등이 필요하나 모바일 단말기의 제한적인 자원으로는 무리가 되기 때문에 큰 파일등은 처리하기 어렵고 프린팅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 장치 상호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데이터 접속포트 연결없이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 장치에서 출력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 장치간의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는,
블루투스 혹은 적외선 포트가 설정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기와 블루투스 혹은 적외선 포트가 설정되어 있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에 직접 연결되거나 네트워크로 연결된 출력 장치가 존재하는 프린팅 장치에 있어서,
블루투스 혹은 적외선 모듈을 탑재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통신기능부와;
상기 무선통신기능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인쇄하기 위한 파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신파일 판단부와;
상기 수신된 파일을 인쇄하기 위한 파일로 변환하는 수신파일 변환부와;
상기 수신파일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파일을 컴퓨터에 설정된 디폴트 출력장치로 인쇄 전송을 하는 출력전송부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부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파일 변환부는,
출력장치에서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의 피씨엘(PCL) 또는 포스트스크립트(Postscript)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 장치간의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프린터 장치를 간단히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린터 장치는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2004-0066480호에 제시되어 있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출력단자 연결 수단과, 상기 연결 수단을 통해 프린터 장치와 통신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A(130)와, 상기 인터페이스부A(130)를 통해 상기 프린터 장치와 소정의 정해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쇄 명령과 이에 따른 응답을 받으면서 통신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모듈(110)에 저장되거나 다운로드 받는 정보들을 인화 제어하는 인화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린터 장치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연결 수단과 대응하는 구조의 프린터 연결 수단과, 상기 프린터 연결 수단을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B(240)와, 상기 인터페이스부B(240)를 통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 통신하여 인쇄 명령에 응답하고 인쇄 정보를 수신하여 프린터 제어 모듈(210)을 통해서 인화 제어를 하는 통신 제어부(230)와, 상기 프린터 장치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B(250)로 구성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프린터 장치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 방식은 유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결수단과 대응하는 구조의 프린터 연결 수단이 필요하므로 프린터의 제조시 상기 프린터 연결수단을 탑재해야 한다. 즉, 처음부터 연결 수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므로 제조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며, 상기 연결 수단이 탑재된 프린터 장치이외의 프린터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 장치간의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 장치간의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는,
블루투스 혹은 적외선 포트가 설정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기와 블루투스 혹은 적외선 포트가 설정되어 있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에 직접 연결되거나 네트워크로 연결된 출력 장치가 존재하는 프린팅 장치에 있어서,
블루투스 혹은 적외선 모듈을 탑재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통신기능부(410)와;
상기 무선통신기능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인쇄하기 위한 파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신파일판단부(420)와;
상기 수신된 파일을 인쇄하기 위한 파일로 변환하는 수신파일변환부(430)와;
상기 수신파일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파일을 컴퓨터에 설정된 디폴트 출력장치로 인쇄 전송을 하는 출력전송부(440)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부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제어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파일 변환부(430)는,
출력장치에서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의 피씨엘(PCL) 또는 포스트스크립트(Postscript)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파일 판단부(420)는,
인쇄가 완료되면 인쇄종료 확인과 함께 본 문서를 삭제하거나 모바일 단말기에 인쇄의 성공 여부를 상기 무선통신기능부(410)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400)는 무선통신기능부(410), 수신파일 판단부(420), 수신파일 변환부(430), 출력전송부(440), 중앙제어부(4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400)와 통신하기 위한 환경요소로는 블루투스 혹은 적외선 포트가 탑재된 모바일 단말기를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블루투스 혹은 적외선 포트가 설정되어 있는 컴퓨터가 설정되어 있는 컴퓨터 단말기가 있어야 하며, 상기의 컴퓨터 단말기에 직접 연결되거나 네트워크로 연결된 출력장치가 존재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블루투스 혹은 적외선 모듈을 탑재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통신기능부(410)에 직접 블루투스 혹은 적외선 포트가 탑재될 수도 있다.
상기 수신파일 변환부(430)에 수신된 파일로는 웹문서, 워드 파일 혹은 한글 파일에 따라 전부 다른 형태의 파일이나 출력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파일은 거의 유사한 형태로 존재하게 되는데 공지 기술로 제공되는 에이피아이(API)를 활용하거나 제공되는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각각의 수신파일을 프린팅하기 위한 파일로 변환하게 된다. 즉, 출력장치에서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인 피씨엘(PCL) 또는 포스트스크립트(Postscript)로 변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신파일 판단부(420)는 몇 초당 1회씩 해당 문서포맷이 전송되는지 유무를 감지하다가 해당하는 문서가 도착하는 경우 옵션 파일과 함께 해당 데이터를 로딩하게 된다.
상기 수신파일 변환부(430)는 상기 수신파일 판단부(420)에서 로딩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출력장치에서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 장치간의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의 설치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혹은 적외선 포트가 탑재된 모바일 단말기(500)와, 본 발명인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400)와, 출력장치(600)로 구성된다.
상기 블루투스 혹은 적외선 포트가 탑재된 모바일 단말기(500)는 지정된 뷰어에 의해 포맷을 오픈하여 문서를 뷰잉하게 된다. 또한, 본 뷰어에서는 메뉴에 "인쇄"메뉴를 포함하고 있고, 사용자는 이 "인쇄"메뉴를 이용하여 원하는 페이지수, 출력수등의 옵션 기능을 정의하여 해당 문서포맷과 각종 지정한 옵션 파일을 상기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400)가 내장된 컴퓨터 단말기(700)에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400)가 내장된 컴퓨터 단말기(700)에서는 출력장치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인 피씨엘(PCL) 또는 포스트스크립트(Postscript)로 변환하여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400)의 출력전송부(440)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출력장치(600)로 전송하여 원하는 문서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인쇄가 완료되면 상기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400)의 수신파일 판단부(420)에서는 인쇄종료 확인과 함께 본 문서를 삭제한 후 필요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 인쇄의 성공 여부를 상기 무선통신기능부(4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 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 장치간의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장치 상호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데이터 접속포트 연결없이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출력장치에서 즉시 출력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출력장치 자체에 연결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에 따른 제조 원가 절감의 효과 또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Claims (3)

  1. 블루투스 혹은 적외선 포트가 설정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기와 블루투스 혹은 적외선 포트가 설정되어 있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에 직접 연결되거나 네트워크로 연결된 출력 장치가 존재하는 프린팅 장치에 있어서,
    블루투스 혹은 적외선 모듈을 탑재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통신기능부(410)와;
    상기 무선통신기능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인쇄하기 위한 파일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인쇄가 완료되면 인쇄종료 확인과 함께 본 문서를 삭제하거나 모바일 단말기에 인쇄의 성공 여부를 상기 무선통신기능부(410)를 통해 전송하는 수신파일판단부(420)와;
    상기 수신된 파일을 인쇄하기 위한 파일인 출력장치에서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의 피씨엘(PCL) 또는 포스트스크립트(Postscript)로 변환하는 수신파일변환부(430)와;
    상기 수신파일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파일을 컴퓨터에 설정된 디폴트 출력장치로 인쇄 전송을 하는 출력전송부(440)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부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제어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장치간의 모바일 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50085926A 2005-09-14 2005-09-14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장치간의 모바일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 KR100569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926A KR100569818B1 (ko) 2005-09-14 2005-09-14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장치간의 모바일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
PCT/KR2006/000799 WO2007032585A1 (en) 2005-09-14 2006-03-07 Mobile printing device in use wireless communication
TW095111854A TW200713006A (en) 2005-09-14 2006-04-03 Mobile printing interface apparatu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terminal and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926A KR100569818B1 (ko) 2005-09-14 2005-09-14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장치간의 모바일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894A KR20050096894A (ko) 2005-10-06
KR100569818B1 true KR100569818B1 (ko) 2006-04-11

Family

ID=37276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926A KR100569818B1 (ko) 2005-09-14 2005-09-14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장치간의 모바일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69818B1 (ko)
TW (1) TW200713006A (ko)
WO (1) WO20070325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057B1 (ko) * 2005-10-19 2006-05-16 (주)드림투리얼리티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외부디스플레이장치간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장치
KR100807102B1 (ko) * 2006-06-13 2008-02-26 한국과학기술원 컴퓨터 단말기의 주변 기기를 통하여 통신 단말기의 입출력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에뮬레이터 모듈 및 상기 모듈의동작 방법
US9658806B2 (en) 2011-12-16 2017-05-23 Intel Corporation Driverless printing by a target printer
KR101367369B1 (ko) * 2012-07-09 2014-02-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 설정 원격 프린팅 서비스 시스템 및 프린팅 서비스 제공방법
CN106354448A (zh) * 2016-09-23 2017-01-25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基于树莓派的蓝牙无线打印终端、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548B1 (ko) * 2001-01-10 2003-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팅 속도를 향상시키는 프린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00292A (ko) * 2003-06-23 2005-01-03 이종희 무선통신 내장형 카메라 휴대폰 및 디지털 카메라를이용한 무선 사진 출력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5020489A (ja) * 2003-06-27 2005-01-20 Canon Inc 無線通信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5020672A (ja) * 2003-06-30 2005-01-20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プリント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894A (ko) 2005-10-06
TW200713006A (en) 2007-04-01
WO2007032585A1 (en)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739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680197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及び方法
JP4574089B2 (ja) 携帯端末用クレイドル、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US7519760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inputting data to pieces of digital equipment
US837387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host device and direct-print control method of host device
JP2012037986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画像形成システム
US20110102608A1 (en) Image output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s connected by communications with master-slave relation
JP4582208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5335383B2 (ja)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を制御する制御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装置を制御する制御プログラム
KR100569818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와 출력장치간의 모바일프린팅 인터페이스 장치
US20150293735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20090164999A1 (en) Job execution system, portable terminal apparatus, job execution apparatus, job data transmission and receiv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um
US20190034126A1 (en) Control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CN1318950C (zh) 图像提供设备及其控制方法,打印系统
KR101593735B1 (ko) 디지털 데이터 컨버팅 방법
US20080266403A1 (en) Universal printing method and universal printer driver module for printing out non-image file document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driver module
CN101115111A (zh) 具有直接打印功能的成像设备以及直接打印方法
KR100727927B1 (ko) 오더링 파일을 이용한 프린트 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프린트 시스템, 이미지 공급장치 및 프린트 장치
US200602536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printing and charging of a mobile capture device via a docking device
JP2005020489A (ja) 無線通信プリントシステム
KR1007038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프린터 장치 간의 인쇄 제어 방법
JP2006215630A (ja) プリントシステム
KR100508120B1 (ko) Usb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린터 출력장치
JP6642965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115900A (ja) 画像読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