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704B1 - 바이오가스 리프팅을 이용한 외부 순환형 혐기성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바이오가스 리프팅을 이용한 외부 순환형 혐기성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704B1
KR100569704B1 KR20040108747A KR20040108747A KR100569704B1 KR 100569704 B1 KR100569704 B1 KR 100569704B1 KR 20040108747 A KR20040108747 A KR 20040108747A KR 20040108747 A KR20040108747 A KR 20040108747A KR 100569704 B1 KR100569704 B1 KR 100569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digester
anaerobic
sludge
bio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108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주경
김윤섭
서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앤써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앤써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앤써브
Priority to KR20040108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66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 C02F3/2893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with biogas recyc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 폐수처리용 혐기성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폐수를 소화조(120) 내의 하부로 유입되게 하는 폐수유입배관(111)과, 상기 폐수유입배관(111)을 통한 유입수를 소화조(120) 내에 균등하게 분배/분산시키는 분배기(112)와, 상기 분배기(112)를 통한 유입수가 일정수위 채워지고 하부로부터 차례로 식종 혐기성 슬러지층이 형성되며 혐기성 미생물을 다량 보유하는 소화조(120)와, 상기 소화조(120) 내의 중간상부에 다열로 배설되며 소화조(120) 내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제거시 상승되는 바이오가스(102) 및 발생되는 혐기성 미세 슬러지(101-1)에서 가스의 리프팅특성을 이용하여 전체 발생가스량의 90~95%에 해당하는 바이오가스를 1차적으로 분리시키는 하부 가스분리기(130)와, 상기 소화조(120) 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승되는 바이오가스(102) 및 혐기성 미세 슬러지(101-1)에서 가스를 2차 분리해내는 상부 가스분리기(140)와, 상기 하부 가스분리기(130)를 통해 분리시킨 가스를 포집하되 포집된 가스에서 잔여 미세 슬러지(101-1)를 분리하여 상기 소화조 내로 재공급되게 함과 동시에 가스만을 가스배출관(160)을 통해 배출되게 한 가스분리탱크(150)와, 상기 소화조(120)의 하측에 연결되며 소화조(120) 내의 증식된 잉여 혐기성 입상화 슬러지(101)를 입상화 슬러지 저장조(180)로 유출되게 하는 입상화 슬러지 배출관(170)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이오가스 리프팅을 이용한 외부 순환형 혐기성 소화장치{EXTERNAL CIRCULATION ANAEROBIC DIGESTER USING GAS LIFTING}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혐기성 소화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혐기성 소화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혐기성 입상화 슬러지 101-1: 혐기성 미세 슬러지
102: 바이오가스 111: 폐수유입배관
112: 분배기 120: 소화조
130: 하부 가스분리기 131: 포집체
132: 가스분리관체 140: 상부 가스분리기
150: 가스분리탱크 160: 가스배출관
170: 입상화 슬러지 배출관 180: 입상화 슬러지 저장조
본 발명은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시스템에 있어 유기성 폐수의 처리를 위한 혐기성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조 내 발생되는 가스를 이중으로 분리/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스와 슬러지의 분리효율을 향상시켜 미생물이 함유된 슬러지(scum)의 유실을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유기물의 처리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바이오가스 리프팅을 이용한 외부 순환형 혐기성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수는 인간활동과 각종 산업활동에 의해 끊임없이 생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폐수가 처리되지 않고 유기물질을 함유한 채로 자연생태계에 유입되면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등 인간생활에 많은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폐수에서 유기물질을 제거하여야 할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폐수를 물리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방식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때, 물리화학적 처리방식은 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처리 후의 생성물을 재처리 또는 처분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도시생활하수의 1차 처리 및 3차 처리에 주로 사용되어진다.
생물학적 처리방식은 주로 미생물을 이용하여 폐수 내의 오염물질을 분해/해독/분리시키는 것으로서, 주로 도시생활하수의 2차 처리나 유기물질을 함유한 공장 폐수 및 이로부터 생성되는 슬러지(sludge)의 처리에 사용되며, 비교적 저렴한 경비와 다양한 공정 등의 장점으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생물학적 처리방식은 산소의 이용 유무에 따라 호기성 처리와 혐기성 처리로 나뉘어지는데, 이들의 처리 방법에 있어 미생물들은 폐수 내에 균일하게 또는 플록(floc)을 형성하여 부유생활을 하거나 적당한 표면에서 부착생활을 하는 등 크게 두가지 유형으로 대별할 수 있다.
여기서, 혐기성 처리는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폐수중의 유기오염물을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언에어로빅(anaerobic) 상태하에서 메탄가스(CH4)와 이산화탄소(CO2)로 분해하여 제거하는 폐수처리방식으로서, 미생물 부착성질을 이용하여 혐기성 소화조 내에 담체(擔體)를 설치하는 혐기성 필터(anaerobic filter) 공법과, 미생물의 자기 고정화(self immobilization)에 따른 입상화(granulation)를 이용하는 UASB(Upflow Anaerobic Sludge Blanket) 공법이 통상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혐기성 필터 공법은 운반체인 담체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소화조의 내부용적이 감소하고 처리효율이 떨어지며 단락현상에 의해 소화조 내의 경로 막힘이 자주 발생됨은 물론 유출수가 혼탁해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혐기성 소화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UASB 공법처리되는 종래의 혐기성 소화장치는 혐기성 처리를 위한 폐수(유입수)를 소화조 내에 분배/공급하는 폐수공급부(10)와, 상기 폐수공급부(10)에 의해 공급되는 폐수가 일정수위 채워지고 하부로부터 차례 로 식종 혐기성 슬러지층이 형성되며 혐기성 미생물(1)을 함유하는 소화조(20)와, 상기 소화조(20) 상부에 소화조(20)로 유입된 폐수 중에서 혐기성 미생물의 작용에 의한 유기물 제거시 분해/상승되는 바이오가스(2)의 분리/배출을 위한 가스분리기(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스분리기(30)를 통해 분리된 가스는 상기 소화조(20)의 상면에 연결된 가스배출관(40)을 통해 회수/포집하여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거나 또는 태워 대기중에 배출시키고 미생물 작용에 의해 유기물이 제거된 폐수는 소화조(20)의 상부에 연계된 유출배관(50)을 통해 잔여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폭기조로 유입되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의 종래기술에 따른 혐기성 소화장치는 가스분리기(30)를 구비하고 있다고는 하나, 소화조(20)의 상층으로 상승하는 바이오가스(2)와 미세 혐기성 슬러지(1-1)의 분리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뿐더러 바이오가스의 상승에 편승하는 미세 혐기성 슬러지(1-1)의 수량이 많아 슬러지가 다량 유실(流失; washout)되는 단점이 있으며, 유기물 제거요소인 미세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일명 스컴(scum)이라 한다.]가 다량으로 유실되므로 인하여 소화조 내 미생물이 축적되거나 입상화되지 못하고 감소됨에 따라 유기물 제거의 처리효율이 저감되는 문제점과 더불어 유출수 내에 부유물질(suspended solid)량이 매우 높아져 후처리 공정인 폭기조에서의 산소공급량이 늘어나게 되고 슬러지 처리비 및 탈수약품비가 높아지는 등 전반적인 운전비의 상승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혐기성 소화장치는 폐수공급부의 유입수 분배측이 단일의 파이프 타입으로 소화조 내 유입수의 균등분산이 어렵거나 불완전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편류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소화조 내 발생되는 가스를 이중으로 분리/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스와 슬러지의 분리효율을 향상시켜 유기물 제거시 발생되는 신규의 미세 혐기성 슬러지(scum)의 유실을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혐기성 미생물(슬러지)을 최대한 보유하고 입상화하여 유기물의 처리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외부 순환형 혐기성 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생된 바이오가스를 이중으로 분리 처리되게 하되 가스의 리프팅(lifting)현상에 의한 분리효율을 높임으로써 미세 혐기성 슬러지(scum)의 유실을 방지함과 더불어 혐기성 입상화 슬러지를 다량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전반적인 장비의 운전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순환형 혐기성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소화조 내로 공급되는 유입수를 균등하게 분배/분산되게 처리함으로써 소화조 내 유입수의 편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외부 순환형 혐기성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폐수가 저장된 조정조 내의 폐수를 소화조 내의 하부로 유입되게 하는 폐수유입배관과, 상기 폐수유입배관을 통한 유입수를 소화조 내에 균등하게 분배/분산시키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를 통해 분사되는 유입수로 일정수위가 채워지고 하부로부터 차례로 식종 혐기성 슬러지층이 형성되며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를 다량 보유하는 소화조와, 상기 소화조 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승되는 바이오가스 및 혐기성 미세 슬러지에서 가스를 분리해내는 상부 가스분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혐기성 소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조 내의 중간상부에 다열로 배설되며 소화조 내 유입수의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제거시 상승되는 바이오가스 및 혐기성 미세 슬러지에서 가스의 리프팅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가스분리기를 통한 가스의 분리 전에 가스를 1차적으로 분리되게 한 하부 가스분리기와, 상기 하부 가스분리기를 통해 분리시킨 가스를 포집하되 포집된 가스에서 잔여 미세 슬러지를 분리하여 상기 소화조 내로 재공급되게 함과 동시에 가스만을 가스배출관을 통해 배출되게 한 가스분리탱크와, 상기 소화조의 하측에 연결되며 소화조 내의 증식된 잉여 혐기성 입상화 슬러지를 입상화 슬러지 저장조로 유출되게 하는 입상화 슬러지 배출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게 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혐기성 소화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가스 리프팅을 이용한 외부 순환형 혐기성 소화장치(100)는 UASB 공법에 의한 폐수처리를 수행하는 생물학적 폐수처리시스템의 한 장치로서, 원폐수를 저장하고 이를 균질화시킨 조정조 내의 폐수를 차후에 진술되는 소화조(120) 내의 하부로 유입되게 하는 폐수유입배관(111)과, 상기 폐수유입배관(111)을 통해 소화조(120) 내로 유입되는 유입수(폐수)를 소화조(120)의 하측에서 균등하게 분배/분산시켜 분사하는 분배기(112)와, 상기 분배기(112)를 통해 분사되는 유입수로 일정수위가 채워지고 하부로부터 차례로 식종 혐기성 슬러지층이 형성되며 혐기성 미생물(입상화) 슬러지(101)를 다량 보유하는 소화조(120)와, 상기 소화조(120) 내의 중간상부에 다열로 배설되며 소화조(120) 내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입수의 유기물 제거시 상승되는 바이오가스(102) 및 혐기성 미세 슬러지(101-1)에서 가스의 리프팅(상승)특성을 이용하여 가스를 1차적으로 분리되게 한 하부 가스분리기(130)와, 상기 소화조(120) 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승되는 바이오가스(102) 및 혐기성 미세 슬러지(101-1)에서 가스를 2차 분리해내는 상부 가스분리기(140)와, 상기 하부 가스분리기(130)를 통해 분리시킨 가스를 포집하되 포집된 가스에서 잔여 미세 슬러지를 분리하여 상기 소화조 내로 재공급되게 함과 동시에 가스만을 가스배출관(160)을 통해 배출시키는 가스분리탱크(150)와, 상기 소화조(120)의 하측에 연결되며 소화조(120) 내의 증식된 잉여 혐기성 입상화 슬러지(101)를 재이용할 수 있도록 입상화 슬러지 저장조(180)로 유출되게 하는 입상화 슬러지 배출관(17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배기(112)는 폐수의 균등한 분배/분산 공급을 통해 편류의 방지와 더불어 편류의 영향력 배제를 위하여 소화조(120) 내의 전반에 걸쳐 일정간격으로 다수 배치됨을 갖게 하며 폐수(유입수)의 분사를 위한 다수의 분사공(미 도시됨)을 형성한 구성이다.
상기 하부 가스분리기(130)는 소화조(120) 내의 하측에서 상승되는 바이오가스(102) 및 이 가스에 편승되어 상승하는 혐기성 미세 슬러지(101-1)를 포집하되 하측방향으로부터 경사면을 타고 상향 이동하면서 중심측으로 순차 이동되게 한 갓(∧)모양의 포집체(131)와, 상기 포집체(131)의 중심에 일측이 연결되되 포집체(131)의 내측으로 상기 바이오가스(102) 및 혐기성 미세 슬러지(101-1)가 유입될 수 있는 돌출부(132a)가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가스분리탱크(150)의 상측으로 연결되며 가스의 리프팅특성에 의한 가스의 흡입처리를 수행하는 가스분리관체(1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포집체(131)는 소화조(120)의 직경에 대응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가스 리프팅을 이용한 외부 순환형 혐기성 소화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혐기성 미세 슬러지(101-1) 및 혐기성 입상화 슬러지(101)는 미생물과 동질의 개념으로 이해하면 된다.
원폐수가 저장된 조정조로부터 폐수유입배관(111)을 통해 소화조(120) 내로 유기물이 함유된 폐수(유입수)가 유입되되 분배기(112)에 의해서 소화조(120) 내에 균등하게 분배/분산되어 유입 처리된다. 이때, 분배기(112)의 구성은 유입수의 소화조(120) 내 공급시 균등한 분배로 편류를 방지되게 한다.
유입수는 소화조(120) 내에 일정수위로 채워지고 소화조(120) 내의 하부로부터 차례로 식종 혐기성 슬러지층이 형성되며, 이런 혐기성 미생물을 다량 함유하는 소화조(120) 내에 유기성 폐수가 유입되게 되면 혐기성 미생물이 이산화탄소와 메 탄가스로 전환/분해시키면서 신규의 혐기성 미세 슬러지(101-1)를 형성하게 된다.
소화조(120) 내로 유입된 유입수는 혐기성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유기물의 분해가 진행되고 이 유기물 분해 과정중에 바이오가스(메탄가스+이산화탄소)(102)가 발생하게 된다. 발생된 가스(102)는 리프팅특성에 의해 소화조(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가스(102)의 상승에 편승하여 신규 생성된 혐기성 미세 슬러지(101-1)도 발생된 바이오가스(102)에 부착되어 상승하게 된다.
상승되는 바이오가스(102) 및 혐기성 미세 슬러지(101-1)는 하부 가스분리기(130)의 포집체(131)에 의해 계속적인 상승의 억제됨을 받은 상태로 포집체(131)의 내면에 부착되어 포집이 진행되고 계속적인 포집됨에 의해 밀쳐지면서 포집체(131)의 경사면을 타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순차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중 중심에 돌출 된 가스분리관체(132)의 돌출부(132a) 입구에 도달되면 리프팅특성을 소유한 바이오가스(102)가 가스분리관체(132)를 타고 가스분리탱크(150)로 이송되어 1차적인 분리과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소화조(120) 내에서 발생된 바이오가스(102)는 하부 가스분리기(130)에 의해 90~95% 이상이 분리/제거된다. 이때, 바이오가스(102)의 상승에 편승되어 다량의 미세 슬러지(101-1) 또한 가스분리관체(132)를 통해 가스분리탱크(150)로 이송되어진다.
가스분리탱크(150)로 이송된 가스(102)는 상승특성에 의해 가스분리탱크(150)의 상측에 연결된 가스배출관(160)을 통해 회수/포집됨을 갖게 되고 이렇게 회수/포집되는 가스는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거나 또는 태워 대기중으로 방출한다. 또한, 가스분리탱크(150)로 이송된 다량의 미세 슬러지(101-1)는 가스분리탱크 (150)의 하부에 분리되어 일시 저장되고 소화조(120) 내로 다시 공급되는 재공급 루트에 의해 소화조(120) 내로 재투입된다.
한편, 하부 가스분리기(130)에 의해 걸러지지 않고 상승하는 5~10% 잔여분의 바이오가스(102)는 소화조(12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가스분리기(140)에 의해 2차 분리됨을 갖게 되며, 이때 분리된 바이오가스(102) 또한 가스배출관(160)을 통해 회수/포집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거나 태워 대기중으로 방출 처리된다. 여기서, 하부 가스분리기(130)에 의해 발생가스가 거의 분리되기 때문에 잔여 가스의 상승에 편승하여 상승되는 슬러지의 량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므로 혐기성 미세 슬러지(101-1)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생물 작용에 의해 유기물 제거의 극대화를 이룬 폐수는 소화조(120)의 상측에 연계된 유출배관(190)을 통해 폭기조로 유입되게 하여 유출수 중에서 잔여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소화조(120)는 10~20kgCODcr/㎥.d의 유기물 부하율로서 80~90%의 유기물 처리효율을 갖게 되며 이는 5~10kgCODcr/㎥.d의 유기물 부하율로서 70~80%의 유기물 처리효율을 갖는 기존의 소화장치에 비하여 크게 향상된 유기물 처리효율의 장점을 지니게 되며, 폭기조로 넘어가는 유출수 내에 유기물량 및 슬러지량이 적어져 슬러지 처리비나 탈수약품비 및 폭기조 동력비 등 전반적으로 운전비를 절감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외부 순환기능에 의해 소화조(120) 내로 재투입되는 혐기성 미세 슬러지(101-1)는 여재층을 형성하는 입상화 슬러지(101) 내에서 상승력의 저하됨을 갖게 되어 입상화 슬러지(101)측 부착되거나 자기 고정화에 의한 입상화를 수행하 므로 입상화 슬러지(101)의 축적됨을 이루거나 입상화 슬러지의 고농도화를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라 소화조(120) 내에 유기물 부하율의 향상과 함께 유기물 처리효율의 동시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미세 슬러지(101-1)의 입상화 진행에 따라 소화조(120) 내에 필요 이상의 혐기성 입상화 슬러지(101)가 존재하게 되면, 소화조(120) 하부의 입상화 슬러지 배출관(170)을 통해 입상화 슬러지 저장조(180)로 배출/저장되게 함으로써 유기물 폐수의 혐기성 처리를 위한 소화조(120) 내 혐기성 입상화 슬러지(101)를 일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고농도화를 이룬 고가의 입상화 미생물 슬러지를 새롭게 구성하는 혐기성 소화장치에 사용하거나 또는 이를 필요로 하는 제3자에게 판매할 수 있는 등의 부대효과에 따른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가스 리프팅을 이용한 외부 순환형 혐기성 소화장치에 의하면, 소화조 내 발생되는 바이오가스를 이중으로 분리 처리함으로써 가스와 슬러지의 분리효율이 크게 향상되며 기존 소화조에서 발생 가스에 부착되어 유실되는 미세 슬러지(scum)의 유실을 극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기물의 처리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유용함을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의 리프팅(lifting)현상을 이용하여 분리효율을 높임으로써 미세 슬러지의 유실을 방지함과 더불어 고농축의 혐기성 입상화 슬러지를 다 량 확보할 수 있어 부하변동에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유용함이 있으며, 유기물 처리효율의 향상됨에 의해 후공정인 폭기조로 넘어가는 유출수 내에 존재하는 유기물량 및 슬러지량이 적어지므로 슬러지 처리비나 탈수약품비 및 폭기조 동력비의 절감 등 전반적으로 장비의 운전비를 절감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기존의 혐기성 소화장치에 비해 단위용적당 유기물 처리부하율이 높으며, 소요 단면적이 적어 소화조 내로 공급되는 유입수의 균등한 분배/분산이 가능하고 소화조 내로 유입수의 공급시 편류의 발생을 배제할 수 있는 유용함을 발휘한다.

Claims (2)

  1. 원폐수가 저장된 조정조 내의 폐수를 소화조(120) 내의 하부로 유입되게 하는 폐수유입배관(111)과, 상기 폐수유입배관(111)을 통한 유입수를 소화조(120) 내에 균등하게 분배/분산시키는 분배기(112)와, 상기 분배기(112)를 통해 분사되는 유입수로 일정수위가 채워지고 하부로부터 차례로 식종 혐기성 슬러지층이 형성되며 혐기성 미생물 슬러지(101)를 다량 보유하는 소화조(120)와, 상기 소화조(120) 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승되는 바이오가스(102) 및 혐기성 미세 슬러지(101-1)에서 가스를 분리해내는 상부 가스분리기(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혐기성 소화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소화조(120) 내의 하측에서 상승되는 바이오가스(102) 및 이 가스에 편승되어 상승하는 혐기성 미세 슬러지(101-1)를 포집하되 하측방향으로부터 경사면을 타고 상향 이동하면서 중심측으로 순차 이동되게 한 포집체(131)와, 상기 포집체(131)의 중심에 일측이 연결되되 포집체(131)의 내측으로 상기 바이오가스(102) 및 혐기성 미세 슬러지(101-1)가 유입될 수 있는 돌출부(132a)가 배치되고 가스의 리프팅특성에 의한 가스의 흡입처리를 수행하는 가스분리관체(132)로 이루어져, 상기 소화조(120) 내의 중간상부에 다열로 배설되어 상기 상부 가스분리기(140)를 통한 가스의 분리 전에 가스를 1차적으로 분리시키는 하부 가스분리기(130)와;
    상기 하부 가스분리기(130)의 가스분리관체(132)를 통해 분리시킨 가스를 포집하되 포집된 가스에서 잔여 미세 슬러지(101-1)를 분리하여 상기 소화조 내로 재공급되게 함과 동시에 가스만을 가스배출관(160)을 통해 배출되게 한 가스분리탱크(150)와;
    상기 소화조(120)의 하측에 연결되며 소화조(120) 내의 증식된 잉여 혐기성 입상화 슬러지(101)를 입상화 슬러지 저장조(180)로 유출되게 하는 입상화 슬러지 배출관(17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 리프팅을 이용한 외부 순환형 혐기성 소화장치.
  2. 삭제
KR20040108747A 2004-12-20 2004-12-20 바이오가스 리프팅을 이용한 외부 순환형 혐기성 소화장치 KR100569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08747A KR100569704B1 (ko) 2004-12-20 2004-12-20 바이오가스 리프팅을 이용한 외부 순환형 혐기성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08747A KR100569704B1 (ko) 2004-12-20 2004-12-20 바이오가스 리프팅을 이용한 외부 순환형 혐기성 소화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506U Division KR200396873Y1 (ko) 2005-07-14 2005-07-14 바이오가스 리프팅을 이용한 외부 순환형 혐기성 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9704B1 true KR100569704B1 (ko) 2006-04-17

Family

ID=37180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108747A KR100569704B1 (ko) 2004-12-20 2004-12-20 바이오가스 리프팅을 이용한 외부 순환형 혐기성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70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812B1 (ko) * 2010-11-12 2011-02-14 주식회사 한텍엔지니어링 고농도 유기성 폐수처리시 처리수와 바이오가스의 복합 순환형 혐기성소화장치
KR101048673B1 (ko) * 2009-02-12 2011-07-12 주식회사 앤써브 외부 순환형 혐기성 소화 장치
CN103241832A (zh) * 2013-05-13 2013-08-14 北京盛源水沃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颗粒污泥制造及污泥自动收集的ic厌氧反应器
CN108862816A (zh) * 2018-05-30 2018-11-23 四川奥恒环保科技有限公司 封闭式污水处理装置
CN109825340A (zh) * 2019-03-08 2019-05-31 黄冈师范学院 沼气的简易收集净化贮存输送装置及方法
KR101988179B1 (ko) 2018-10-01 2019-09-26 원영학 3상 분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킨 순환형 혐기성 소화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673B1 (ko) * 2009-02-12 2011-07-12 주식회사 앤써브 외부 순환형 혐기성 소화 장치
KR101013812B1 (ko) * 2010-11-12 2011-02-14 주식회사 한텍엔지니어링 고농도 유기성 폐수처리시 처리수와 바이오가스의 복합 순환형 혐기성소화장치
CN103241832A (zh) * 2013-05-13 2013-08-14 北京盛源水沃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颗粒污泥制造及污泥自动收集的ic厌氧反应器
CN108862816A (zh) * 2018-05-30 2018-11-23 四川奥恒环保科技有限公司 封闭式污水处理装置
KR101988179B1 (ko) 2018-10-01 2019-09-26 원영학 3상 분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킨 순환형 혐기성 소화장치
CN109825340A (zh) * 2019-03-08 2019-05-31 黄冈师范学院 沼气的简易收集净化贮存输送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1976B2 (en) Coupling bioreactor and method for purifying malodorous gases and wastewater
JP5038985B2 (ja) 曝気レス水処理装置
CN105174622A (zh) 适于处理高浓度有机废水的系统及其方法
KR101048673B1 (ko) 외부 순환형 혐기성 소화 장치
KR100698522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축산분뇨 정화시스템
KR100569704B1 (ko) 바이오가스 리프팅을 이용한 외부 순환형 혐기성 소화장치
KR100313315B1 (ko) 3상 생물막의 순환여과에 의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 처리방법 및 장치
KR200396873Y1 (ko) 바이오가스 리프팅을 이용한 외부 순환형 혐기성 소화장치
CN105110571A (zh) 高浓度氨氮有机废水的处理系统及其方法
JP3838579B2 (ja) 水質浄化装置
CN107200431A (zh) 一种养猪废水深度处理方法
KR100873052B1 (ko) 개방형 오폐수 및 하수 처리장치
CN205856269U (zh) 治理污染水体的生物反应池
CN214244101U (zh) 一种农村污水处理系统
CN205035223U (zh) 运用厌氧-好氧-微电解组合处理有机废水的系统
CN102001799B (zh) 一种高浓度有机废水的高效厌氧-耗氧组合处理装置
KR100756292B1 (ko) 상부 자폐 공기방울 방출 억제층 및 거품 억제층을 구성하고, 미세공기주입을 통한 고농도 유기폐수의 호기/혐기성 병합처리방법
CN207903981U (zh) 一种高效的升流式生物反应装置
KR200258363Y1 (ko) 생물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장치
KR101924499B1 (ko)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
CN205892999U (zh) 一种一体化集成污水处理装置
CN114702202B (zh) 一种微生物水质净化滤罐
CN110963566A (zh) 一种高硝氮废水的处理装置及其应用
CN111977809B (zh) 一种电活性填料导管折流人工湿地
KR100237606B1 (ko) 탈질·반응·침전조 수직 일체형 하수·오수·폐수의 생물학적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